최근 수정 시각 : 2025-09-21 15:26:50

동고령IC

동고령 나들목
東高靈 나들목
East Goryeong Interchange
동고령(성산) 요금소
East Goryeong(Seongsan) Tollgate
파일:Expressway_kor_12.svg
주소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어곡리
관리기관
광주대구선 한국도로공사 대구경북본부 고령지사
개통
1984년 6월 27일
접속도로
#!if (+n) > 0
[[905번 지방도|{{{#!wiki style="padding: 1px 2px; display: inline; border: 1.25px solid #ddd; border-color:#ffffff; background-color: #FDBA0B; color:#0C4D8D; word-break: keep-all;"
905}}}]]
#!if (+n) <= 0
[[지방도|{{{#!wiki style="padding: 1px 20px; aspect-ratio: 3/2; display: inline; border: 1.25px solid #ddd; border-color:#ffffff; background-color: #FDBA0B; color:#0C4D8D; word-break: keep-all;"
}}}]]
(성산로)

1. 개요2. 구조
2.1. 광주 방향(하행선)2.2. 대구 방향(상행선)
3. 역사
3.1. 성산IC3.2. 동고령IC
4. 여담


26
#!wiki style="display: table-cell; background: #007448; color: #fff;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 -10px 0"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7448,#007448><rowbgcolor=#007448,#007448><color=#fff,#fff> {{{#!if 연결도로 != "고속도로"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 '''동고령'''}}}{{{#!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linear-gradient(105deg, #007448 30%, #fff 0%, #fff 40%, transparent 0%, transparent 55%),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0%, transparent 30%, #fff 0%, #fff 45%, transparent 0%, transparent 55%), linear-gradient(75deg, transparent 60%, #fff 0%, #fff 70%, #007448 0%),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55%, #fff 0%, #fff 70%, #007448 0%)"
  '''↗'''}}}}}}}}}{{{#!if 연결도로 == "고속도로"
{{{#!wiki style="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1em"
{{{+1 '''동고령'''}}}}}}}}} ||}}}

파일:arrow_white_right_up.svg
#!if 연결도로 == "고속도로" && 연결도로명 != null
[[|{{{#!wiki style="margin: -5px -10px; text-align: justify; text-justify: inter-character;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25em; text-align: center; color: #fff"
'''()'''}}}]]
#!if 연결도로 == "고속도로" && 민자도로명 != null
[[|{{{#!wiki style="margin: -5px -10px"
||<nopad><tablealign=center><bgcolor=#00498B,#00498B><color=#fff,#fff>{{{#!wiki style="text-align: justify; text-justify: inter-character;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25em"
''''''}}}||}}}]]
#!if 연결도로 != null
{{{#!wiki style="display: table-cell; width: max-content; height: max-content;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 margin: auto; padding: 5px 10px; border-right: 1px solid #007448"
{{{#!if 방위 != null && 연결도로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font-size: 12px; margin: -5px -10px; text-align: center; font: 1em/2.0 sans; font-family: revert"
''''''[br]}}}}}}{{{+4 '''{{{#!if 연결도로 == "국도"
[[26번 국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 2px solid #fff; border-radius: 38.89%/57.14%; background-color: #00498B; color:#fff; min-width: 2em;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1px"
26}}}]]}}}{{{#!if 연결도로 == "지방도"
[[26번 지방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 2px solid #fff; border-radius: 6.94%/10.42%; aspect-ratio: 3/2; background-color: #EA9E00; color:#00498B; min-width: 2em;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1px"
26}}}]]}}}'''}}}{{{#!if 연결도로 == "고속도로" && 연결도로2 == null
[[파일:Expressway_kor_26.svg|height=50px]]}}}{{{#!if 연결도로 == "고속도로" && 연결도로2 != null
[[파일:Expressway_kor_26.svg|height=40px]]}}}{{{#!if 연결도로 == "시도" && 연결도로2 == null
[[파일:Cityroad_kor_26.svg|height=40px]]}}}{{{#!if 연결도로 == "시도" && 연결도로2 != null
[[파일:Cityroad_kor_26.svg|height=30px]]}}}{{{#!if 연결도로 == "자동차도" && 연결도로2 == null
[[파일:Cityroad_kor_26m.svg|height=40px]]}}}{{{#!if 연결도로 == "자동차도" && 연결도로2 != null
[[파일:Cityroad_kor_26m.svg|height=30px]]}}}{{{#!if 연결도로2 != null
[br]{{{#!if 방위2 != null && 연결도로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font-size: 12px; margin: -5px -10px; text-align: center; font: 1em/2.0 sans; font-family: revert"
''''''[br]}}}}}}{{{+4 '''{{{#!if 연결도로2 == "국도"
[[번 국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 2px solid #fff; border-radius: 38.89%/57.14%; background-color: #00498B; color:#fff; min-width: 2em;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1px"
}}}]]}}}{{{#!if 연결도로2 == "지방도"
[[번 지방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 2px solid #fff; border-radius: 6.94%/10.42%; aspect-ratio: 3/2; background-color: #EA9E00; color:#00498B; min-width: 2em;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1px"
}}}]]}}}'''}}}{{{#!if 연결도로2 ==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svg|height=40px]]}}}{{{#!if 연결도로2 == "시도"
[[파일:Cityroad_kor_.svg|height=30px]]}}}{{{#!if 연결도로 == "자동차도"
[[파일:Cityroad_kor_26m.svg|height=30px]]}}}}}}}}}
{{{#!if 하이패스전용 == "상단"
#!if 보조지명 != null
{{{#!wiki style="display: table; border: #007448 solid 3px; border-collapse: collapse; width: 320px; background: #007448; margin: 5px 0"
{{{#!wiki style="display: table; padding: -5px -10px; width: 320px; background: #007448; border: #fff solid 1px; color: #fff"
{{{#!wiki style="display: table-row"
{{{#!wiki style="display: table-cell; padding: -5px -10px; text-align: center; letter-spacing: 1px"
''''''}}}}}}}}}}}}
#!if 관광지 != null && 관광지종류 == null
{{{#!wiki style="display: table; border: #6D3A19 solid 3px; border-collapse: collapse; width: 320px; background: #007448; margin: 5px 0"
{{{#!wiki style="display: table; padding: -5px -10px; width: 320px; background: #6D3A19; border: #fff solid 1px; color: #fff"
{{{#!wiki style="display: table-row"
{{{#!wiki style="display: table-cell; padding: -5px -10px; text-align: center; letter-spacing: 1px"
'''도동서원'''{{{#!if 관광지영문 != null
{{{#!wiki style="font-size: 13px"
Dodongseowon}}}}}}}}}}}}}}}}}}
#!if 관광지종류 != null && 관광지종류2 == null
{{{#!wiki style="display: table; border: #6D3A19 solid 3px; border-collapse: collapse; width: 320px; background: #6D3A19; margin: 5px 0"
{{{#!wiki style="display: table; padding: -5px -10px; width: 32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top, #6D3A19 0%, #6D3A19 70%, #fff 0%); border: #fff solid 1px; color: #fff"
{{{#!wiki style="display: table-row"
{{{#!wiki style="display: table-cell; padding: -5px -10px"
[[파일:관광지표지_사찰.png|width=100%]]}}}}}}{{{#!wiki style"display: table-row"
{{{#!wiki style="display: table-cell; padding: 5px 10px; width: 100%"
{{{+1 '''도동서원'''}}}[br]{{{#!wiki style="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Dodongseowon}}}}}}}}}}}}}}}
#!if 관광지종류 != null && 관광지종류2 != null && 관광지종류3 == null
{{{#!wiki style="display: table; border: #6D3A19 solid 3px; border-collapse: collapse; width: 320px; background: #6D3A19; margin: 5px 0"
{{{#!wiki style="display: table; padding: -5px -10px; width: 320px; background: #6D3A19; border: #fff solid 1px; color: #fff"
{{{#!wiki style="display: table-row"
{{{#!wiki style="display: table-cell; padding: -5px -10px; vertical-align: bottom"
[[파일:관광지표지_사찰.png|width=320px&height=60px&object-fit=cover]]}}}}}}{{{#!wiki style"display: table-row"
{{{#!wiki style="display: table-cell; padding: 5px 10px; width: 100%"
{{{+1 '''도동서원'''}}}[br]{{{#!wiki style="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Dodongseowon}}}}}}{{{#!wiki style="display: table-row"
{{{#!wiki style="display: table-cell; padding: -5px -10px; vertical-align: bottom"
[[파일:관광지표지_.png|width=320px&height=60px&object-fit=cover]]}}}}}}{{{#!wiki style"display: table-row"
{{{#!wiki style="display: table-cell; padding: 5px 10px; width: 100%"
{{{+1 ''''''}}}[br]{{{#!wiki style="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

1. 개요

광주대구고속도로 26번.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성산로 955 (어곡리 176-1)에 위치한 광주대구고속도로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고령군에서 유래했다.

개통 당시에는 성산 나들목이었으나 2005년 ~ 2006년 사이에 나들목 명칭이 동고령으로 변경되었다. 다만, 이 나들목의 요금소 명칭은 성산 요금소로 유지하다가, 2016년부터 동고령(성산) 요금소로 변경되었다.

이 나들목과 고령 나들목 사이에 양전 나들목이 있었으나 1995년에 폐쇄되었다.

2. 구조

나들목 진입로에 굴곡이 2번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고령 분기점의 개통으로 이 나들목과 고령 분기점 간의 거리를 최대한 벌리기 위해서 이 나들목의 진출입로를 이설하고 요금소는 기존 위치에 새로 지어 생긴 모양이다. 현재 이전 트럼펫형 나들목 부지에는 회사 두 곳이 들어서 있다.

2.1. 광주 방향(하행선)

  • 진출 가능 : 성산로 양방향
  • 진입 가능 : 성산로 양방향

2.2. 대구 방향(상행선)

  • 진출 가능 : 성산로 양방향
  • 진입 가능 : 성산로 양방향

3. 역사

3.1. 성산IC

3.2. 동고령IC

4. 여담

  • 이 나들목으로 진출하면 확장된 26번 국도와 바로 연결이 되지 않고 구 국도와 연결된다. 확장된 국도로 가려면 고령 방향으로는 1.5km 가까이를, 대구 방향으로는 아예 낙동강을 건너 3km 가까이를 구 국도를 이용해야 한다. 직결을 하자니 고속도로 진입 삼거리에 파출소가 길을 딱 막고 있고 연결될 만한 부분이 26번 국도의 터널 구간이라 서로 직결이 힘들어 보인다.
  • 성산면소재지를 지나는데 좁은 도로에 큰 차들도 많고 상가와 주택이 길가에 바짝 붙어 있어서 좀 위험하다. 그리고 레미콘 공장도 있어서 큰 차들이 엄청 많이 다닌다.
  • 경일교통의 성주-고령-대구서부 간 농어촌버스와 고령에서 대구 서부정류장까지 운행하는 시외버스들이 이 나들목을 출입해 남대구 나들목까지 고속도로를 주행한다.
  • 광주, 함양 서쪽에서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옥포읍으로 가려면 이 나들목에서 나가야 한다.

==# 둘러보기 틀 #==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3f3f7f><tablewidth=500><tablebgcolor=#3f3f7f>
파일:Expressway_kor_12.svg
고속국도 제12호선
구간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무안광주고속도로 - - - - - - - - - -
광주대구고속도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1. 호남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

파일:고령군 CI.svg 고령군 교통체계
<colbgcolor=#009944> 철도 달빛철도(미개통) 고령역(미개통)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45.svg중부내륙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2.svg광주대구고속도로(고령IC, 동고령IC)
국도 26번 국도, 33번 국도
지방도 67번 지방도, 905번 지방도, 1011번 지방도, 1036번 지방도, 1084번 지방도
버스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고령군 농어촌버스, 고령터미널
경상북도의 교통


[1] 순창군, 남원시, 장수군, 함양군, 거창군 또한 최초였다.[가] 88올림픽 高速道路 개통, 1984-06-27, 매일경제신문[가] [가] [5] 88고속도로 성산-옥포간 6차로로 확장 개통, 국토교통부, 2006-12-04[6] 오늘 광주∼대구 고속道 4차로 확장 개통, 영남일보, 2015-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