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나들목 智異山 나들목 Jirisan Interchange | ||
지리산 요금소 Jirisan Tollgate | ||
광주 방면 동남원IC ← 11.5 km | 광주대구선19 | 대구 방면 서함양IC 14 km → |
◀ 지리산휴게소(양방향) | ||
주소 |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아영면 봉대리 | ||
관리기관 | ||
광주대구선 | 한국도로공사 광주전남본부 남원지사 | |
개통 | ||
1984년 6월 27일 | ||
접속도로 | ||
[[37번 지방도| 37 ]](인월장터로 · 아백로) |
1. 개요
광주대구고속도로 19번.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아영면 인월장터로 280 (봉대리)에 위치한 광주대구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인근에 위치한 지리산에서 유래했다.2. 구조
2.1. 광주 방향(하행선)
2.2. 대구 방향(상행선)
3. 역사
4. 특징
지리산국립공원 경계 기준으로 국립공원 북쪽 끝과의 직선거리가 4km에 불과해 지리산국립공원에서 가장 가까운 나들목이다.[2] 다만 지리산 자체가 워낙 넓고 주능선도 북쪽보다는 남쪽에 주로 자리하고 있어서 지리산의 어디를 목적지로 하느냐에 따라 이 나들목의 효용성은 크게 차이가 난다.백무동, 벽소령, 뱀사골, 달궁 등 지리산 북부 지역은 이 나들목이 확실히 가갑다. 성삼재 역시 이 나들목으로 나가는 것이 가장 좋은데, 같은 고속도로의 남원IC나 순천완주고속도로 구례화엄사IC가 출발지에 따라 동선상으로는 더 가깝기도 하지만, 남원IC는 정령치의 존재로 악명 높은 737번 지방도를, 구례화엄사IC는 천은사를 지나 성삼재로 굽이굽이 들어가는 길고 험한 노고단로[3]를 경유해야 해서 난이도가 극도로 높다. 동절기에 아예 통제되는 것은 덤. 지리산IC에서 861번 지방도를 타고 달궁계곡을 지나 올라가는 것도 편한 길은 아니나 그래도 훨씬 완만한 오르막길이다. 물론 웬만해서는 4륜 구동 SUV차량을 추천한다.
지리산 천왕봉 정상으로 가는 것은 이 나들목보다 통영대전고속도로 단성 나들목이 더 가까우며, 노고단이나 반야봉과 같은 대표 봉우리들은 남쪽 능선을 따라 올라가는 것이 보통이라 이 나들목을 경유해서 나가는 것은 비추천한다.
나들목 자체는 아영면에 있지만 아영면보다는 인월면 소재지와 더 가깝다. 고속도로 나와서 직진으로 바로 이어지는 도로도 인월면 소재지로 이어지며 지리산으로 가려면 이쪽을 지나간다. 아영면은 고속도로 나오면 나오는 삼거리에서 좌회전하자.
==# 둘러보기 틀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f3f7f><tablewidth=500><tablebgcolor=#3f3f7f> | 고속국도 제12호선 구간 | }}}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무안광주고속도로 | 무안공항IC - 북무안IC - 무안공항TG - 함평JC( 동함평IC - 문평IC - 나주IC - 서광산IC - 동광산TG - 운수IC | |
광주대구고속도로 | 문흥JC( 순창IC - 남원JC( 서함양IC - 함양IC - 함양JC( 거창韓SA - 해인사IC - 고령IC - 동고령IC - 고령JC( | ||
1. 제25호선과 중첩되는 구간 | }}}}}}}}} |
[1] 88올림픽 高速道路 개통, 1984-06-27, 매일경제신문[2] 구례화엄사 나들목부터 천은사쪽 국립공원 입구까지는 직선거리로 5km에 살짝 못 미쳐 약간 더 멀다.[3] 예전에는 이쪽 방면의 길 중간에 있는 천은사에서 입장료를 징수했으나, 2019년 4월에 천은사 요금소는 폐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