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39c4a>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ac59><colcolor=#fff> 고령 군내 (606번) | <colbgcolor=#00ac59><colcolor=#fff> 대가야읍 | 시실 | 저전 | 대가야고 |
덕곡면 | 백리 | 백운1리 | |||
운수면 | 팔산 | 대평2리 | 용암 | ||
성산면 | 상용 | 고탄 | |||
다산면 | 다산 | ||||
개진면 | 생리 | 양전2리 | |||
우곡면 | 봉산 | ||||
쌍림면 | 반용사 | 산주·신촌 | 평지 | ||
대창양로원 | |||||
임시운행 | 설화명곡역 | ||||
광역 | | ||||
폐선 | 서문시장 | 서부정류장 | 수륜 |
|
1. 개요
대가야여객이 운행하는 고령군 농어촌버스 노선.2. 노선 정보
2.1. 고령-성산/용암-다산
| |||||
기점 |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헌문리(고령시외버스정류장) | 종점 |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상곡리(다산회차지) | ||
종점행 | 첫차 | 06:30 | 기점행 | 첫차 | 07:05 |
막차 | 17:00 | 막차 | 18:50 | ||
운수사명 | 대가야여객 | 운행횟수 | 1일 4회 | ||
경유지 | (고령시외버스정류장 ← 대구은행, JS마트 ← 축협 ← 대가야문화누리 ← 대가야읍 ← )고령시외버스정류장( ← 대가야고등학교 ← 하나로쇼핑 ← [등교]) - 양전리(금산교차로) - (도룡골) - 사부리 - 기산리 - 어곡리(성산면사무소) - 득성리마을회관 - (상용리) - 박곡리 - (동고령산업단지) - (무계) - 고령산업단지 - 벌지1리 - (다산중학교 - 다산주공아파트/노곡 - 곽촌) - 다산회차지 |
| |||||
기점 |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헌문리(고령시외버스정류장) | 종점 |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상곡리(다산회차지) | ||
종점행 | 첫차 | 18:02 | 기점행 | 첫차 | 07:20 |
막차 | 막차 | ||||
운수사명 | 대가야여객 | 운행횟수 | 평일 1일 1회 | ||
경유지 | 고령시외버스정류장 - ( ← 대가야고등학교 ← 하나로쇼핑 ← [등교]) - 양전리(금산교차로) - 사부리 - 기산리 - 어곡리(성산면사무소) - 득성리마을회관 - 박곡리 - (고령산업단지) - 강변도로(다산강변로) - 다산중학교 - 다산주공아파트 - 다산회차지 |
| |||||
기점 |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헌문리(고령시외버스정류장) | 종점 |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상곡리(다산회차지) | ||
종점행 | 첫차 | 06:15 | 기점행 | 첫차 | 11:40 |
막차 | 13:00 | 막차 | 17:55(곽촌, 노곡 경유) | ||
운수사명 | 대가야여객 | 운행횟수 | 1일 2회 | ||
경유지 | (고령시외버스정류장 ← 대구은행, JS마트 ← 축협 ← 대가야문화누리 ← 대가야읍 ← )고령시외버스정류장 - 하나로쇼핑 - 쾌빈3리 - 본관2리 - 월산리 - 봉평리(운수) - 신간2리 - 용정2리 - 용암 - 선송리 - 용계리 - 고령산업단지 - 벌지1리 - (다산중학교 - 다산주공아파트/노곡 ← 곽촌) - 다산회차지 |
2.2. 다산면내 운행
| |||||
기점 |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상곡리(다산회차지) | 종점 |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송곡리(고령산업단지) | ||
종점행 | 첫차 | 14:50 | 기점행 | 첫차 | 15:10 |
막차 | - | 막차 | - | ||
운수사명 | 대가야여객 | 운행횟수 | 1일 1회 | ||
경유지 | 다산회차지 - 다산주공아파트 - 다산중학교 - 벌지1리 - 고령산업단지 |
| |||||
기점 |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상곡리(다산회차지) | 종점 |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상곡리(다산회차지) | ||
종점행 | 첫차 | 13:50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운수사명 | 대가야여객 | 운행횟수 | 1일 1회 | ||
경유지 | 다산회차지 → 곽촌 → 노곡 → 벌지1리 → 고령산업단지 → 벌지1리 → 다산중학교 → 다산주공아파트 → 다산회차지 |
===# 폐지된 노선 #===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 |||||
기점 |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상곡리(다산회차지) | 종점 | 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서문시장) | ||
종점행 | 첫차 | 기점행 | 첫차 | ||
막차 | 막차 | ||||
운행횟수 | 1일 3회[3] | ||||
운수사명 | 대가야여객[4] | 인가대수 | |||
경유지 | 다산회차지 - 다산주공아파트 - 다산농협 - 화원유원지 - 화원초등학교 - 대곡역 - 상인네거리(상인역)[남부][북부] - 서부정류장(관문시장) - 성당시장 - 대구보건고등학교 → 새길시장 → 구)대영학원 → 대구제일고등학교 → 서문시장 → 남산초등학교 → 대명시장 → 대구보건고등학교 - 이후 역순 |
3. 역사
- 2013년 이전에는 607번(2000년대 중반까지는 606-1번)이었으며, 607번 시절에는 고령-다산 구간 말고도 다산-서부정류장, 서문시장 구간과 고령-다산-서부정류장 구간, 고령-다산-서문시장 구간도 운행하였다.
- 하지만 상곡리회차지가 정비되자 2006년 7월 2일부터 달성1번과 650번이 수시로 들어오기 시작했고, 당연히 배차가 적고 환승할인이 안되는 607번은 인기가 계속 감소했다. 그러다가 2013년에 단축된 후, 무번호로 남아 지금까지 운행하고 있다.
4. 특징
- 과거에는 고령시외버스정류장에서 승차권을 구입해야 탑승할 수 있었다. 하지만 어느 새 교통카드 단말기가 설치되었고, 지금은 정식으로 교통카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농어촌버스 노선이다.
- 2024년 12월 13일까지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및 도시철도와 무료 환승 혜택은 없었으나, 대경선이 개통하는 2024년 12월 14일부터 환승할인제에 포함되고 환승할인을 실시하여 환승 혜택을 제공한다. 대구권 광역환승제 참조.
- 다산주공아파트와 종점인 다산회차지에서 650번과 연계되며, 중간에 용암면에서는 성주 버스 성주-용암-문양역과 연계된다.
5.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f><colcolor=#923f73> 대구광역시 | |
성주군 | 고령-작은동 | |
합천군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f><colcolor=#923f73> 대구광역시 | |
고령군 | 고령-작은동 | |
김천시 | ||
칠곡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