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6 13:26:04

고령-대구 임시운행버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39c4a>
파일:고령군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고령 군내
(606번)
<colbgcolor=#00ac59><colcolor=#fff> 대가야읍 시실 저전 대가야고
덕곡면 백리 백운1리
운수면 팔산 대평2리 용암
성산면 상용 고탄
다산면 다산
개진면 생리 양전2리
우곡면 봉산
쌍림면 반용사 산주·신촌 평지
대창양로원
임시운행버스 설화명곡역
광역 대구
폐선 서문시장 서부정류장 수륜
}}}}}}}}} ||
파일:새천년관광7504.jpg
새천년관광 차량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2025년 5월 23일 대가야여객606번 폐지로 인하여 고령군청이 전세버스를 임차해서 운행하는 임시운행버스. 대가야시장(로얄장)에서 출발해 고령터미널, 위천, 옥포를 거쳐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설화명곡역까지 운행한다.

2. 노선 정보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고령-대구 임시운행버스(본선)
기점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고아리(대가야시장(로얄장)) 종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설화명곡역)
종점행 첫차 06:00 기점행 첫차 07:10
막차 20:50 막차 21:35
운행횟수 일 9회[통합]
운수사명 고령군청
새천년관광
(위탁운행)
인가대수 2대
경유지 대가야시장(로얄장) - 고령시외버스정류장 - 양전리(금산교차로) - 사부리 - 기산리 - 어곡리(성산면사무소) - 득성리마을회관 - 위천1리(위천삼거리) - 옥포이진캐스빌 - 화원고등학교(설화명곡역 2번 출구)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고령-대구 임시운행버스(개진공단 경유)
기점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고아리(대가야시장(로얄장)) 종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설화명곡역)
종점행 첫차 18:20 기점행 첫차 07:40
막차 막차
운행횟수 일 1회
운수사명 고령군청
새천년관광
(위탁운행)
인가대수 본선 차량으로 운행
경유지 대가야시장(로얄장) - 고령시외버스정류장 - 장기리 - 개진공단 - 양전공단(하양전) - 양전리(금산교차로) - 사부리 - 기산리 - 어곡리(성산면사무소) - 득성리마을회관 - 위천1리(위천삼거리) - 옥포이진캐스빌 - 화원고등학교(설화명곡역 2번 출구)

3. 역사

  • 2025년 5월 23일 개통했다.
  • 2025년 6월 2일에 운행 시간이 변경되어 매일 10회 운행한다. 또한 정차 정류소가 변경되었다.(명곡리1->화원고등학교건너)
  • 별도 운행 기간 연장 공지가 없다면 2025년 12월 31일까지 운행할 예정이다.

4. 특징

  • 2025년 6월 1일까지는 평일에 2대로 하루 9회, 주말에는 1대로 하루 7회 운행하였으며, 그 중 평일 증편분 1대는 나머지 운행과 다른데, 바로 설화명곡역에서 25분 휴식을 취하다가 출발하는 점이었으나 2025년 6월 2일부터 평일 증편분 1대가 매일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어 매일 10회로 운행하게 되었다.
  • 기존 606번과 똑같이 개진공단 경유 노선도 있으며, 평일과 주말 모두 하루 1회 운행한다.
  • 606번과 달리 서문시장까지 운행하지 않기 때문에 설화명곡역에서 다음 대체 노선으로 갈아타야 한다.
  • 이외에도 다산행 노선을 타고 다산에서 650번으로 화원초교(화원역 2번출구)에서 1호선 전철로 이동할 수도 있다.[3]
  • 한 때 카운티로 운행했었으나, 출처 혼잡 문제로 인해 제주도 출신[4] BS106으로 운행한다. 출처
  • 2026년 상반기 중 대체 노선으로 공영버스를 신설할 예정이다.#

4.1. 시간표

고령군청 홈페이지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고령군 CI.svg 고령 - 타 시 · 군 간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colcolor=#923f73> 대구광역시
성주군
고령-작은동
합천군
}}}}}}}}}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근교지역간 시내·마을·농어촌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368846> 4권역
(청도군)
0 0-1
2, 5권역
(칠곡군 서부)
성서2 7 250-2
250 27 51 · 51-1 9 20
5권역
(성주군)
0 (성주-고령-대구서부 · 성주-용암-문양역)
6권역
(고령군)
606
임시운행버스
650 달성1
6권역
(창녕군)
달성6 달성7
1, 7권역
(칠곡군 동부)
급행3 급행9 급행9-1 급행9-2 급행9-3
527 730 칠곡2 팔공3 38
칠곡3 200 250 250-1 300
군위-용수 101 101-1
7권역
(구미시)
73-3 78-3
8권역
(경산시 북부)
급행5 802 814 818 55·555
8권역
(영천시)
군위-신녕
9권역
(경산시 남부)
직행1 309 509 609 649
719 848 894 동구10
100 100-1 399 803-1 949
990 991 999 999-1
권역 외
(의성군)
군위-상곡 군위-백학
권역 외
(의령군)
의령/신반-대구[1]
[1] 시외버스→농어촌버스 전환
청: 일부 차량 청도군 금천면 진입 노선
}}}}}}}}} ||



[통합] 일 1회 운행하는 개진공단 경유 노선을 포함하면 일 10회[2] 다만 고령군 농어촌버스 환승 제한시간 하차 후 60(+3)분 이내 2회 환승 아닌 임시버스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대구 도시철도, 대경선과 같은 대중교통 환승 시간기준 하차 태그 후 30(+3)분 이내로 2회 환승 제한시간이 적용되므로 미리 설화명곡역에서 임시버스로 환승시 출발 시간표를 숙지해서 환승 제한시간 33분을 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3] 이 노선은 도시철도를 이용하지 않고도 칠성시장동대구역으로도 한번에 바로 갈 수 있지만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코스로는 완전히는 가지 않아[5] 굴곡은 감수해야 한다. 다만 서문시장으로는 아예 가지 않으니 만약에 이 노선을 이용한다면 화원에서 중간에 한번 환승해야 한다.[4] 삼영교통 출신 차량 2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