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0 -10px;" | <colbgcolor=#ffcd00><colcolor=#000>목포시 | · · · | <colbgcolor=#ffcd00><colcolor=#000>여수시 | · · · · |
순천시 | · | 나주시 | · | |
광양시 | 광양교통 | 담양군 | 동광담양고속 · 동광고속 | |
곡성군 | 곡성교통 | 구례군 | · | |
고흥군 | · · | 보성군 | 보성교통 | |
화순군 | 화순교통 | 장흥군 | 장흥교통 | |
강진군 | 강진교통 | 해남군 | ||
영암군 | 낭주교통 · 영암교통 | 무안군 | · | |
함평군 | 함평교통 · 함평군민교통 | 영광군 | ||
장성군 | 완도군 | · · · · · · 청산도관광 · | ||
진도군 | · · | 신안군 | · |
강진교통 유한회사 康津交通 | |
설립일자 | 1987년 7월 2일 ([age(1987-07-02)]주년) |
대표이사 | 오순자 |
업종 | 시내버스 운송업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기업규모 | 중소기업 |
보유대수 | 20대 (2015년 기준) |
소재지 |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금릉6길 7[지번] |
1. 개요
|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에 위치한 강진군의 유일한 농어촌버스 회사이다. 좌측은 현도색, 우측은 구도색이며, 현도색이 목포시 시내버스 지선/외곽연계 도색과 동일하다.
2. 운행 차량
주력 차량은 로얄미디(NEW BS090)이며, 그린시티와 카운티, 레스타도 보유중이다.완도교통처럼 자일대우버스 울산공장이 폐쇄되자 잠시 현대차를 뽑았다가 베트남 대우버스를 수입한 업체이며, 의성여객처럼 베트남산 BS090에 자동변속기가 달린 차량도 있다. 하지만 베트남 수입이 막히자 현대차를 다시 뽑았다.
2025년 저상버스 1대를 도입할 예정이다.
면허
전남 74아 7000~7024
3. 운행 노선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강진군 농어촌버스/노선)]
강진에 전남에서 가장 긴 노선있다.
8시20분에 터미널을 출발하여
경유지:용포,상남,하평,황곡,연동,토동
병영,옴천,성전,작천,군동을 다 경유한다
총 90KM다.
강진군 내 노선을 운행 중이며, 인접 지자체인 장흥과 해남 방면 노선도 운행 중인데 그리 많지는 않다. 운행 노선과 운행 시간표는 아래와 같다.
노선 번호는 강진군청에 들어가면 확인할 수 있다.
2024년 6월 12일 기준 시간표
2023년 7월 1일부터 일부 노선이 바뀌면서, 해남읍, 영암읍으로 다니지 않게 되었다.
2024년 1월 8일부터 남창터미널과 완도군 당목항으로도 다니지 않게 되었다.
구례와 같은 티머니 트로이카 단말기를 사용했으나, 2022년 12월에 삼원FA 단말기로 교체되었다. 티머니, 캐시비, 레일플러스가 지원된다. 과거에는 영광, 구례, 고흥과 마찬가지로 후불교통카드가 지원되지 않았으나 지금은 가능하다.(19.1.2023 BC카드 기준) 요금은 일반인 기준 현금, 카드 1000원, 학생은 현금, 카드 100원이며 시계외에서도 같다.
2023년 현재 BIS가 도입되었으며 시범서비스 중에 있다.
4. 사건사고
2021년 7월 19일 오전8시 25분경 강진군 성전면 강진교차로에서 장날 읍내로 가는 20인승 마을버스와 3.5톤트럭이 버스옆면을 들이받아 버스옆으로 넘어졌다. 운전자, 승객 등 40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소형 20인승 마을버스가 정원초과된 40여명이 꽉 차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태가 재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후 장날에 한정하여 대형버스를 투입할 예정이다. #5. 현재 보유 차량
5.1. 자일대우버스
5.2. 현대자동차
6. 과거 보유 차량
6.1. 자일대우버스
6.2. 현대자동차
7. 여담
2023년 6월 12일 강진군 농어촌버스 20대에 공공와이파이를 설치를 했다고 한다.8.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강진군 | 고흥군 | 곡성군 | 광양시 | 구례군 |
나주시 | 담양군 | 목포시 | 무안군 | 보성군 | |
순천시 | 신안군 | 여수시 | 영광군 | 영암군 | |
완도군 | 장성군 | 장흥군 | 진도군 | 함평군 | |
화순군 | 해남군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colbgcolor=#66c142><colcolor=#ffffff> 철도 | 목포보성선 | 강진역 |
도로 | 고속도로 | ||
국도 | 2번 국도, 13번 국도, 18번 국도, 23번 국도, 77번 국도 | ||
지방도 | 55번 지방도, 819번 지방도, 827번 지방도, 830번 지방도, 835번 지방도 | ||
버스 | 농어촌버스 | 강진군 농어촌버스 | |
고속(시외)버스 | 강진버스여객터미널 | ||
항만 | 강진항, 마량항, 사초항 外 22개소 | ||
전라남도의 교통 | }}}}}}}}} |
저상버스 미보유 지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강원특별자치도 | 동해시, 양양군, 영월군, 철원군 |
충청남도 | 금산군, 청양군 | |
충청북도 | 괴산군, 단양군, 증평군 | |
전북특별자치도 | 고창군, 순창군, 임실군 | |
전라남도 | 강진군, 무안군, 신안군, 완도군2026X,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 |
경상북도 | 고령군, 성주군, 영양군2026X, 울릉군2026X, 의성군2026X, 청도군2026X, 칠곡군 | |
경상남도 | 의령군2026X | |
2026X: 2025년 보조금 미배정 및 배정여부 불명인 지역 중 2026년 수요조사 미배정 지역 |
[지번] 평동리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