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9 10:23:49

미시령터널

미시령터널
彌矢嶺터널 | Misiryeong Tunnel
기점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토성면 원암리
종점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개통
2006년 7월 1일
시공
코오롱건설, 롯데건설, 현대건설,
대림산업, 두산건설, 한화건설
관리
미시령동서관통도로(주)
길이
3,565m (인제 방향)
3,520m (속초 방향)
11m (왕복 4차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60806_Misiryeong_Tunnel_%28Tunnel_Entrance%29.jpg
미시령터널 상행선(인제 방향) 입구[1]

1. 개요2. 통행료3. 문제점
3.1. 급커브, 급경사의 속초방향 내리막길3.2. '세금 먹는 하마'로 전락
4. 기타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56번 지방도(미시령로)의 터널로, 민자사업으로 건설된 유료도로다.

동계에 통제되는 미시령 옛길을 대체하고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2]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고성군 사이의 교통 편의를 위해 2001년부터 왕복 4차로 미시령터널 공사를 시작하여 2006년에 완공 및 개통했다. 터널 길이는 상/하행이 다르지만, 약 3.5km 남짓한다.[3] 속초 쪽으로 갈 때, 터널 들어가기 직전에 짧은 교량으로 미시령계곡을 건너고 터널을 나오면 설악산 울산바위가 나타난다.

동부고속중앙고속에서 운행하는 서울 ↔ 속초동서울 ↔ 속초 고속버스전환시외로 면허를 바꾸고 이 터널로 경로를 돌렸고, 마찬가지로 당시 고속버스 면허였던 인천 ↔ 속초 노선도 2016년 4월 22일부터 경로를 바꾸어 미시령터널을 통과했었다. 서울양양고속도로 전 구간이 개통한 후에는 이 터널 대신 서울양양고속도로 인제양양터널을 이용하고 있으나, 양양 정차 문제로 계속 전환시외로 유지하고 있다.[4]

자동차전용도로가 아니기 때문에 이륜차(오토바이) 통행이 가능하다. 처음에는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하려다가 도로 설계와 도로시설물 등이 관련 규정에 맞지 않아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되지 않았다. 거기에다 오토바이 동호회가 이 문제로 관련기관에 자동차전용도로 지정을 막아 달라는 내용의 민원도 넣었다고 한다. 통행료를 내는 것 때문에 이 도로를 고속도로로 착각해서 이륜차가 다니는 것을 신고하기도 하지만, 고속도로나 자동차전용도로가 아닌 일반 지방도이기 때문에 이륜차 통행에는 문제가 전혀 없다.

2008년 국민연금공단이 대주주가 되고 요금소 표지판에 국민연금공단이 붙여졌다.[5]

2. 통행료

고속도로가 아닌 일반도로지만 민자 건설 구간이기 때문에 마치 고속도로처럼 통행요금을 받으며, 요금소는 고성군 토성면 쪽에 있다. 하이패스는 2014년 5월부터 설치에 들어갔고, 동년 7월 23일에 서비스를 개시했다. 군용 작전차량은 요금 징수 대상이 아니다.(다만 통행증은 뽑아 두고, 나갈 때 통행증 줘야 한다) 인제군 북면 용대리에서 고성군으로 나갈 때 터널 진출 직후 내리막이면서 급커브길이 나오는데 이 구간에서 사고가 잦은 편이므로 주의한다. 다만 자전거 운행이 합법인 유료도로에서는 100% 통행료를 면제시킨다. 단, 자전거는 요금소에서는 내려서 끌고가야한다.
종별 요금
소형(1종) 3,400원
중형(2종) 5,800원
대형(3~5종) 7,500원
경차(6종) 1,700원
이륜자동차
자전거
개인형 이동장치[6]
면제[7]

또한 2021년 7월 1일부터 미시령터널 주변 시군(속초시, 홍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양양군) 차량은 통행료가 면제된다. 단, 감면카드를 신청하고 하이패스차로로 통행하면 안된다.

3. 문제점

3.1. 급커브, 급경사의 속초방향 내리막길

파일:미시령동서관통도로(미시령터널)_구간과속단속_안내도.png
왕복 4차로임에도 불구하고 속초 방향 제한속도가 60km/h이다.[8] 그리고 미시령터널 속초 방향 입구 100m 전방(시점)에서 요금소 350m 전방(종점)까지는 구간단속 구간이다.# 터널에서 요금소까지의 내리막길 구간이 무려 4~10.6도나 되는 제법 큰 경사각 구간이라서, 속도 좀 잘못 냈다간 교통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매우 큰 곳이기 때문이다.

이런 급경사로 인해 브레이크 과열과 파열로 인한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지라 요금소로 내려가는 내리막길 중간에 긴급제동시설이 설치돼 있고 엔진 브레이크를 저단기어로 놓고 걸어도 속도가 계속 상승할 정도로 가파르다. 따라서 엔진 브레이크를 반드시 걸고 주행해야 하며, 엔진 브레이크 없이 풋 브레이크만으로 주행하는 것은 미시령 옛길과 마찬가지로 자살 행위다!! 풋 브레이크를 지속적으로 밟을 경우 파열 위험이 매우 높으며, 이 경우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만일 크루즈 컨트롤 기능이 있다면 50km/h 중후반 정도로 맞추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또한 악천후시에는 평소보다 20~50% 감속운행해야 한다는 규정은 필히 지켜야 하며, 추월행위 또한 권장되는 곳은 아니다.

그러나 자신의 차가 전기자동차하이브리드 자동차라면 브레이크 과열에 대한 걱정은 좀 덜어도 좋다. 여기에 크루즈 컨트롤 기능까지 있다면 금상첨화. 회생제동이란 위대한 발명품의 진가를 느껴보자. 크루즈 컨트롤과 함께 사용하면 자동적, 지속적으로 개입하는 회생제동의 특성상 이 엄청난 내리막 구간에서도 정한 속도 이상으로 올라갈 일이 거의 없다. 오른다 해도 끽해봐야 1~2km/h 정도. 올라오는 데 사용한 배터리를 내리막 구간에서 거의 모두 회수하는 것은 물론 구간단속까지 피할 수 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160517_Misiryeong_Penetrating_Road.jpg
미시령동서관통도로의 긴급제동시설(Emergency Escape Ramp)

미시령동서관통도로의 긴급제동시설은 미시령터널 하행선(속초방향) 출구에서 톨게이트로 내려가는 내리막길 중간 지점에 설치되어 있다.# 과거에는 이 곳에 전망대가 있었고 제동시설이 조금 더 내려가서 위치했으나, 긴급제동시설이 굉장히 짧아서 사고도 많았고 논란이 많았기에 결국 전망대를 메워버리고 새로 설치하였다.[9]

기존의 구간단속은 감압 센서 방식이자 전면 번호판 촬영 단속 장비여서 이륜차 단속이 불가능하였다. 그래서 사륜차가 평균 60km/h로 정속 주행하면 이륜차는 과속으로 추월하여 추돌 사고 위험이 우려되었다.#

결국,우려되었던 대로 초과속[10] 추돌 사망 사고가 발생하였다.# 2021년 7월 13일(화) 14시 경, 초과속으로 주행하던 이륜차가 구간단속으로 정속 주행하던 승용차를 추돌하여 해당 운전자가 사망하였다.

2013년부터 2차 설치된 기존 전면 번호판 촬영 및 감압 센서 방식 무인 구간단속 장비가 노후화되면서 2024년 3월부터 후면 번호판 촬영 및 레이더 방식 무인 구간단속 장비로 교체되었다.

3.2. '세금 먹는 하마'로 전락

미시령터널은 민간투자사업으로 건설되었고, 이로 인해 2006년 개통 직후부터 최소운영수입보장(MRG) 조항에 따른 손실보전을 해주느라 강원도 재정에 큰 부담을 줬다.

게다가 2017년 6월 30일 서울양양고속도로 동홍천 - 양양 구간이 개통되면서 미시령터널의 통행량은 급감했다. 이로 인해 강원도가 운영업체인 미시령동서관통도로(주)에 지급하는 손실보전금 규모가 천문학적으로 급증하여 매년 수백억원에 달하게 되었다.

하지만 강원도의 잘못도 일부 있는데 연구 용역 당시 서울양양고속도로 건설 계획이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연구 용역을 맡은 강원도 산하 기간인 강원발전연구원(현. 강원연구원)이 이를 무시했다는 것이 드러났다. #

이런 추세라면 강원도가 운영비보전 계약 만료 기간인 2036년까지 민자사업자에게 지급해야 할 손실보전금은 3,852억 원, 개통 후 지금까지 보전해 준 금액(405억 원)을 포함하면 30년간 총 4,257억 원에 달한다. 이에 공익처분 등 시급한 대책 마련과 함께 미시령터널의 통행료를 폐지해야 한다는 강원도민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이것 때문에 강원도가 통행로 손실 방안을 바꾸자고 운영업체에 요구했으나 대주주인 국민연금공단이 계약위반이라며 반발을 했다.#

협상이 결렬되자 결국에는 공공기관끼리의 분쟁으로 번져 법정 분쟁까지 일어난 터라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4. 기타

2015년 7월 20일, 미시령관통도로와 고성 지역을 곧바로 연결하는 고성 군도 12호선(고성대로)이 개통됐다. 지금까지 수도권, 호남권경남 서부권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을 가려면 진부령을 이용하거나, 미시령을 넘는 차량들은 미시령옛길이나 미시령터널(미시령관통도로)을 지나 속초시를 거쳐야만 했지만, 고성 군도(원암리~천진리) 12호선의 개통으로 미시령관통도로 원암2교차로에서 속초를 거치지 않고 고성 천진까지 약 10분 정도면 도달할 수 있게 되었다.

2019년 고성-속초 산불의 최초 발화 지점으로 추정되는 곳이며 추후 이 터널 하부로 춘천속초선이 통과해 속초시로 향할 예정이다.

5. 관련 문서


[1] 미시령터널의 길이는 상행선(인제 방향) 3565m, 하행선(속초 방향) 3520m로, 상행선이 하행선보다 45m 더 길다. 흔히 인용되는 미시령터널 길이 '3690m'는 미시령터널의 실제 길이가 아니다. 미시령동서관통도로(15674m)는 건설 당시 3개 공구로 나뉘어 공사가 진행되었는데, '3690m'는 3개 공구 중 민자구간인 제2공구(터널구간)의 시점(STA. 4+920)과 종점(STA. 8+610)간의 거리이다. 미시령터널은 상행선과 하행선의 실제 길이가 다른 만큼, 상행선과 하행선의 실제 거리를 병행 표기하는 것이 정확하고 올바른 표기 방법일 것이다.[2] 백담사가 있는 동네며, 이 동네 주변은 모두 산이다. 따라서 울창한 삼림을 볼 수 있다.[3] 비슷한 성격의 터널로는 팔공산터널이 있다. 이쪽은 한티재미시령처럼 동계에 눈이 오면 전면 통제되기 때문이며, 터널 길이도 미시령터널같이 3km가 조금 넘는다. 다른 점은 팔공산터널이 재정사업으로 건설됐다는 것이다.[4] 인천 ↔ 속초 노선은 한 동안 고속버스 면허가 유지됐지만, 양양 경유로 인가가 바뀌면서 전환시외 노선이 되었다.[5] 이 전에도 부채 문제로 국민연금공단의 재정 지원이 커져 결국 인수를 한 것이다.[6] 전동킥보드 등.[7] 유료도로법에 따라 오토바이는 통행료를 내야 하는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서 그렇다. 일산대교, 백양터널의 요금소도 이륜차는 요금을 내지 않는다.[8] 구간 단속이 실시되는 이동 방면은 전 구간(미시령터널~요금소 직전)이 60km/h이고 이서 방면은 요금소 통과 후부터 미시령터널 입구까지만 60km/h이고 터널 입구 직전까지만 60km/h, 미시령 터널 구간은 70km/h로 지정되었다. 또한 이동 방면은 2019년에 구간 단속 시점이 터널 입구로 이전된 후 70→60km/h로 하향된 것이 아니고 원래부터 60km/h로 지정되었다. 터널 진입 시부터 60km/h로 감속하는 것이었다.[9] 미시령동서관통도로 긴급제동시설 진입로 선형개선 및 보강공사 완료(2016년 11월 18일)[10] 200~270km/h 추정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