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7 21:38:02

강화교통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 강화군 군내버스
계양구 동화운수
남동구 부성여객 삼환운수 성원운수
인천교통공사
부평구 성산여객 강인교통 강인여객
미래교통 청라교통 대인교통
태양여객
서구 선진여객 세운교통 공영급행
신동아교통 마니교통 마니버스
삼성여객 수정관광 시영운수
신강교통 신화여객 원진운수
청룡교통 해성운수
연수구 더월드교통 도영운수 성민버스
중구 강화교통 미추홀교통 삼환교통
송도버스 인천스마트 인천제물포교통
은혜교통 인강여객 신흥교통
영종운수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선진그룹 계열사 강인여객 계열사
동구미추홀구, 옹진군은 관내에 주사무소(본사)를 둔 업체가 없어 제외.
}}}}}}}}} ||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인천광역시 중구의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7211a> 시내버스 강화교통 은혜교통 미추홀교통 삼환교통
송도버스 신흥교통 영종운수 인강여객
인천스마트 인천제물포교통
마을버스 예성교통
공영버스 신흥교통
인천광역시의 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10px -0px"<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차파트너스자산운용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43c1f><colcolor=#fff> 서울
인천
대전
제주
* 인수된 순서로 분류함.
}}}}}}}}} ||
강화교통주식회사
江華交通株式會社
Ganghwa Transportation Co., Ltd.
설립일 2006년 10월 19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노승후
모회사 스마트인천모빌리티제1호
주요 주주 스마트인천모빌리티제1호: 100%
(2023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보유대수 46대 (예비 3대)
직원 수 127명(2023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2억원(2023년 기준)
매출액 136억 7,715만 2,595원(2023년 기준)
영업이익 11억 8,454만 932원(2023년 기준)
순이익 7억 2,244만 8,916원(2023년 기준)
자산총액 101억 1,237만 8,261원(2023년 기준)
부채총액 32억 5,573만 4,563원(2023년 기준)
부채비율 47.48%(2023년 기준)
소재지 본사 - 인천광역시 중구 축항대로86번길 135 (항동7가)
강화차고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중앙로 219 (창리)[1]
구래차고지 -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김포한강3로 611-12 (구래리)
송도차고지 -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바이오대로 277 (송도동, 송도제2차고지)
청라차고지 - 인천광역시 서구 파랑로 105 (청라동, 청라BRT통합차고지)
아시아드차고지 - 인천광역시 서구 염곡로 725 (연희동, 아시아드임시차고지)

1. 개요2. 역사3. 특징
3.1. 업체 관련3.2. 차량 관련
4. 영업소 및 소속 노선5. 보유 노선
5.1. 좌석버스5.2. 간선버스5.3. 과거 보유 노선
6. 면허 체계7. 보유 차량8. 지배구조9.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in70-aclf.jpg 파일:인천강화800_UNVLX.png
간선버스 70번 좌석버스 800번
인천광역시시내버스 업체로, 본사는 중구 항동7가에 있으며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다.[2]

2. 역사

  • 2006. 10. 19. 선진그룹 산하의 강화선진버스로 설립되었다.
  • 2007. 01. 22. 강인여객으로부터 700번, 701번을 양도받았다.
  • 2007. 08. 10. 701번을 폐선하였고, 700번에 통합하였다.
  • 2008. 10. 01. 시외완행 70-1번을 신설하였다.
  • 2009. 11. 01. 시외완행 70번, 70-1번을 인천광역시 간선버스로 전환하였다. 또한 김포운수로부터 60-2번을 양도받았고, 김포시 시내버스에서 인천광역시 간선버스로 전환하였다.
  • 2010. 10. 01. 신동아교통으로부터 17번, 60-2번, 70번을 양도받았다.
  • 2011. 06. 14. 800번을 신설하였다. 또한 70-1번을 폐선하였고, 좌석 700번과 700-1번을 간선버스로 전환하였다.
  • 2012. 07. 13. 17-1번을 신설하였다.
  • 2014. 04. 16. 60-5번을 신설하였다.
  • 2015. 04. 01. 삼화고속으로부터 2500번을 양도받았다.
  • 2016. 07. 30. 17번을 폐선하였다. 또한 700-2번을 신설하였다.
  • 2018. 09. 15. 700-2번을 폐선하였다.
  • 2020. 12. 31. 60-2번을 폐선하였고, 60-5번에 통합하였다. 또한 800A번, 800B번을 신설하였다.
  • 2022. 09. 01. 강화교통으로 사명을 바꾸었다.
  • 2022. 12. 10. 801번을 신설하였다. (800A번, 800B번 정식노선 전환) 또한 17-1번이 17번으로, 700-1번이 71번으로 변경되었다.

3. 특징

3.1. 업체 관련

  • 선진그룹의 계열사인 선진버스선진상운이 각자의 노선들을 양도하며 신설된 법인으로, 설립 당시에는 ‘강화선진버스’라는 이름으로 운영되었고 ‘강화선진’이라는 약칭으로도 불렸다. 그러므로 강화교통은 선진버스와 선진상운에서 양도받은 노선을 기반으로 삼는다.[3] 이밖에도 신동아교통에서 노선을 일부 양도받으면서, 내륙 노선도 보유하고 있다.
  • 보유 노선 중 인천광역시 구간만 운행하는 17번을 제외하면 모든 노선이 강화군김포시를 경유하며[4], 배차간격이 30분을 넘는다. 운행거리 역시 100km 이상인 것이 공통점이다.
  • 준공영제 노선만 운영하는 업체임에도 불구하고 2교대 근무가 아닌 격일제 근무를 채택한다.
  • 새벽부터 오전까지는 시간표가 잘 지켜지는 반면 오후부터는 교통체증으로 인해 시간표보다 10~20분 늦게 오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래도 웬만해서는 시간표와의 오차를 줄이려고 노력하는 편이고 조발은 거의 하지 않는다.
  • 장거리 노선인 70번, 71번, 800번은 강화 주박 차량과 본토 주박 차량을 7 : 3 정도로 분할하여 운행하고 있다. 대부분 강화 소속이지만, 일부 차량은 아시아드경기장 인근의 차고지에서 주박하며 본토 쪽 첫차 올라가는 방식으로 운행된다.[5] 17번 역시 첫차 1대에 한하여 구래리에서 청라국제도시로 회송하여 양방향 동시 첫차로 운행하는 방식을 택한다.
  • 방학 기간에는 대부분의 노선이 방학감차를 적용하기에 배차가 많이 길어지지만 시간표가 차내와 여러 정류장에 붙어있고 17번을 제외한 다른 노선들은 강화군청 홈페이지에도 시간표가 업로드되어 있어 확인하기는 쉬운 편이다. 17번의 경우, 차내에 방학감차 적용 시간표를 지속적으로 부착하며 마전지구의 일부 정류장에는 다른 노선들과 함께 시간표를 게시해두고 있다.

3.2. 차량 관련

  • 2016년 이전까지는 자일대우버스의 비중이 많았고, 800번을 포함한 대부분의 노선에 BS106 NGV 좌석형버스가 투입되었다. 이후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차량을 대차했는데, 다른 선진 계열사와 달리 김포시 노선에서 자주 도입하던 2 X 2 배열의 38석 무리클 LS 시트 옵션이 적용되었다.[6] 이후 800번에 현대 뉴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CNG를 출고하였다.
  • 2014년에 800번의 차급 상승과 구형 BS106 대차를 위해 자사 최초로 고급좌석버스인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디젤을 출고하였다. 보통 기본 옵션인 MS-E 시트를 적용하는 다른 광역버스 업체와 달리, 오버항 시트를 장착한 것이 특징이다.[7]
  • 2020년에 17번의 저상버스를 대차하면서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개선형 좌석형버스를 도입하였다. 항상 2 X 2 배열을 도입하던 강화교통이었으나, 17번 차량에 한하여 2 X 1 배열의 32석 옵션을 적용하였다. 현재 1대는 예비차로 격하되었다. 그러나 2022년에 출고한 개선형 좌석형버스는 2 X 2 배열의 38석으로 다시 회귀한 것이 특징. 동시에 남아있던 저상버스가 모두 대차되었다. 2020년식 차량은 판서스, 2022년식 차량은 에어서스 차량이다.
  • 2023년에 유니버스 프라임 CNG를 출고하여 기존 유니버스 엘레강스 디젤을 모두 대차하였다. 남아있던 차량은 2024년에 대차되었는데, 이때 도입한 유니버스는 경남여객 취소분을 도입하여 경기도 공공버스의 옵션이 그대로 적용되었다.[8]
  • 2024년 12월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 차량을 도입해 71번에 투입되었고, 동년 5월에도 추가로 도입하여 70번에도 투입되면서 다시 저상버스 운용을 시작하게 되었다. 해당 차량들 모두 로우백 시트와 무지개 손잡이 등 주로 서울권 차파트너스 업체의 옵션이 장착되었다.
  • 가스 충전은 강화터미널에서 10분 정도 이동하면 나오는 대문고개 근처의 충전소를 이용한다. 강화터미널을 이용하는 군내버스, 선진버스, 선진상운도 해당 충전소를 이용한다. 17번은 선진버스 구래리영업소를 이용하며, 수소전기버스는 매립지 내의 충전소를 이용한다.

4. 영업소 및 소속 노선

<rowcolor=#fff> 영업소 소재지 노선 비고
본사 인천광역시 중구 축항대로86번길 135 (항동7가 73-1) - 실질적 본사
강화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중앙로 43 (남산리 222) 60-5, 70, 71, 800, 801 상법상 본사
선진버스 공유[10]
구래리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김포한강3로 611-12 (구래리 796-2) 17 선진버스 공유[11]
아시아드 인천광역시 서구 봉수대로 806 (연희동 826) 17, 70, 71 [12]
송도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바이오대로 277 (송도동 473) 800 [13]

5. 보유 노선

5.1. 좌석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60-5 ♿️
[강화]
강화터미널 창리 - 안양대학교 - 양도초등학교 - 노랑새고개 - 화도터미널 - 온수리 - 강화루지 강남상회- 강화초지대교 - 대곶사거리 - 양촌터미널 - 호수마을 - 청송마을 - 운양역 - 김포한강로 - 개화역 김포국제공항국내선 45~65
800
[강화][송도]
강화산성서문 강화군청 - 강화터미널 - 강화병원 - 김포대학입구 - 오리정 - 마송 - 구래역 - 해동2사단 - 검단사거리역 - 마전역 - 완정역 - 독정역 - 검암역 - 아시아드경기장역 - 서구청역 - 루원시티사거리 - 인천대로 - 인천의료원 - 인천재능대학교 - 제물포역 - 시민공원.문화창작지대 - 인천시청후문 - 롯데백화점(인천종합터미널) 인천터미널역3번출구 30~50
801
[강화][송도]
강화터미널 강화병원 - 김포대학입구 - 오리정 - 마송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인하대병원 - 용현3동행정복지센터 - 시민공원.문화창작지대 - 인천시청후문 - 롯데백화점(인천종합터미널) 인천문학경기장(X게임장) 1일 4회

5.2. 간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17 ♿️
[구래리][아시아드]
마전지구버스차고지 마전고등학교 - 검단동행정복지센터 - 마전역 - 완정역 - 독정역 - 검암중학교 - 검암역 - 서곶지구대 - 서구보건소 - 청라고등학교 - 청라하우스토리 - 청라호수공원 - 청라한양수자인 서인천세무소 16~21
70 ♿️
[강화][아시아드]
강화터미널 창리 - 선원면주민센터 - 불은면주민센터 - 온수리 - 강화초지대교 - 대곶사거리 - 구래역 - 해병2사단 - 왕길동 - 검단사거리역 - 마전역 - 완정역 - 독정역 - 검암역 - 서곶지구대 - 경서지구 - 아시아드경기장역 - 서구청역 - 청라고등학교 - 청라롯데캐슬 - 청라호수공원 - 청라반도유보라 청라한양수자인 30~37
71 ♿️
[강화][아시아드]
강화터미널 창리 - 안양대학교 - 양도초등학교 - 노랑새고개 - 화도터미널 - 길상면행정복지센터 - 초지리 - 대곶사거리 - 구래역 - 해병2사단 - 검단사거리역 - 마전역 - 완정역 - 독정역 - 검암역 - 검바위역 - 공촌마을 - 가정역 - 루원더퍼스트 - 가정교 인천아시아드경기장 30~45

5.3. 과거 보유 노선

6. 면허 체계

  • 인천 70 바 25##
    • 영종운수 면허. 17번이 신동아교통으로 양도되면서 일부 매각되었고, 이후 유입되었다.
  • 인천 70 바 37##
    • 신동아교통 면허. 17번과 17-1번을 인수하면서 유입되었다.
  • 인천 78 바 10## ~ 11##
  • 인천 78 바 32##
    • 강화군 증차 면허. 사실상 강화교통 주 면허로 간주된다. [25]

7. 보유 차량

7.1. 현재 보유 차량

7.1.1. 현대자동차

7.2. 과거 보유 차량

7.2.1. 현대자동차

7.2.2. 자일대우버스

7.2.3. 선롱버스

8. 지배구조

2023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스마트인천모빌리티제1호
100.00% 모회사

9. 관련 문서


[1] 상법상 본점[2] 상법상 본점은 강화군 선원면 창리다.[3] 양도받은 노선 대부분이 강화군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17번만 유일하게 신설되었다.(舊 17번과는 관련이 없는 노선이다.)[4] 다만 강화 내에서는 운행 구간이 제각각이다. 이 중 강화대교를 건너는 800번과 801번을 제외하면 모든 노선이 온수리를 경유하여 강화초지대교를 건넌다. 그리고 60-5번을 제외하고 모두 구래역검단사거리역에서 한 번 더 교차한다.[5] 800번의 경우, 문학경기장에서 가장 가까운 서창공영차고지에 입주하여 본토 주박을 실시한다.[6] 김포선진과 동일하게 손잡이가 달려있지 않으며, 무격벽으로 출고되었다. 그러나 시의 권고 조치와 함께 2023년 이후부터 강인여객 계열과 같이 순차적으로 전 차량에 사제 격벽을 설치하였다.[7] 800번이 시외좌석버스로 인가가 되어있어, 간선버스보다 50원만 더 받는 상황인데 일반 광역버스보다 더 고급 옵션을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었던 것이 특징이다.[8] 손잡이의 유무와 안전벨트로 구분이 가능하다.[9] 2024년 11월 생산분이며, 매립지 내의 수소 충전소에서 충전한다.[10] 충전은 강화터미널 밑에 있는 CNG 충전소를 사용한다.[11] 주박과 가스 충전은 구래리에서 하며, 실질적인 운행대기는 마전지구버스차고지에서 한다. 수소 충전은 매립지 내로 회송한다.[12] 17번 청라 주박차량 1대, 70번 본토 주박차량 3대, 71번 본토 주박차량 2대만. 충전은 강화터미널 인근의 충전소를 사용한다.[13] 800번 본토 주박차량 4대만. 충전은 강화터미널 인근의 충전소를 사용한다.[강화] 남산영업소 소속[강화] [송도] 송도영업소 소속[강화] [송도] 송도영업소 소속[구래리] 구래리영업소 소속[아시아드] 연희영업소 소속[강화] [아시아드] [강화] [아시아드] [25] 3243호 ~ 3245호는 2015년에 2500번을 더월드교통에 매각하며 이관되었다.[26] 경남여객 취소분으로 강화교통에서 1대만 존재하며 800번에서 운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