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7 14:33:32

삼환교통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 강화군 군내버스
계양구 동화운수
남동구 부성여객 삼환운수 성원운수
인천교통공사
부평구 성산여객 강인교통 강인여객
미래교통 청라교통 대인교통
태양여객
서구 선진여객 세운교통 공영급행
신동아교통 마니교통 마니버스
삼성여객 수정관광 시영운수
신강교통 신화여객 원진운수
청룡교통 해성운수
연수구 더월드교통 도영운수 성민버스
중구 강화교통 미추홀교통 삼환교통
송도버스 인천스마트 인천제물포교통
은혜교통 인강여객 신흥교통
영종운수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선진그룹 계열사 강인여객 계열사
동구미추홀구, 옹진군은 관내에 주사무소(본사)를 둔 업체가 없어 제외.
}}}}}}}}} ||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인천광역시 중구의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7211a> 시내버스 강화교통 은혜교통 미추홀교통 삼환교통
송도버스 신흥교통 영종운수 인강여객
인천스마트 인천제물포교통
마을버스 예성교통
공영버스 신흥교통
인천광역시의 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10px -0px"<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차파트너스자산운용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43c1f><colcolor=#fff> 서울
인천
대전
제주
* 인수된 순서로 분류함.
}}}}}}}}} ||
주식회사 삼환교통
株式會社 三煥交通
Samhwan Bus Co., Ltd.
설립일 1998년 2월 2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한강수
모회사 스마트인천모빌리티제1호
주요 주주 스마트인천모빌리티제1호: 100%
(2023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346명(2023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6억원(2023년 기준)
매출액 343억 2,559만 8,019원(2023년 기준)
영업이익 20억 6,267만 1,153원(2023년 기준)
순이익 21억 8,771만 7,406원(2023년 기준)
자산총액 103억 3,290만 781원(2023년 기준)
부채총액 58억 219만 228원(2023년 기준)
부채비율 128.06%(2023년 기준)
소재지 인천광역시 중구 축항대로86번길 129 (항동7가)

1. 개요2. 역사3. 특징
3.1. 업체 관련3.2. 차량 관련
4. 영업소 및 소속 노선5. 운행 노선
5.1. 현재 운행 노선
5.1.1. 간선버스5.1.2. 급행간선버스5.1.3. 지선버스
5.2. 과거 운행 노선
6. 면허 체계7. 보유 차량
7.1. 현재 보유 차종7.2. 과거 보유 차종
8. 지배구조9.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in62-ac.png 파일:in99-aC.jpg
간선버스 62번 급행간선버스 급행99번
인천광역시시내버스 업체로, 본사는 중구 항동7가에 있으며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다.

2. 역사

  • 1998. 02. 02. 삼환운수 계열사인 삼환교통으로 설립되었다. 동시에 삼환운수로부터 14번, 23번, 62번의 인가를 양도받았다.
  • 2003. 삼환운수로부터 계열분리되었다.
  • 2005. 08. 16. 79번을 신설하였다.
  • 2008. 02. 25. 25번을 신설하였다.
  • 2016. 02. 01. 인천여객 출신 노선인 4번, 63번, 320번을 공식적으로 양도받았다.[1]
  • 2016. 07. 30. 25번을 폐선하였다.
  • 2018. 09. 15. 동시에 원진운수대인교통에 320번을 이관하고 해당 운행분으로 14-1A번을 신설하였다.
  • 2020. 12. 31. 58번, 급행99번을 신설하였다. 동시에 공영급행에 14-1번을 매각하였고, 14-1A번을 폐선하였다.
  • 2024. 10. 19. 4401번을 신설하였다.

3. 특징

3.1. 업체 관련

  • 1998년에 삼환운수 계열사로 설립해 삼환운수가 인가만 보유하고 있던 14번, 23번, 62번 노선을 받으면서 출범한 시내버스 회사이다. 사명은 당시 삼환운수의 마을버스가 경유하던 만수동 삼환아파트에서 유래한 것으로[2], 현재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업체 중 보유대수가 가장 많다.[3]
  • 2003년부터 삼환운수 계열에서 분리되어 현재는 지선버스 업체인 삼환운수, 삼환여객과는 관련이 없는 별개의 업체이다. 정작 삼환운수와 삼환여객은 계열 관계인데, 삼환운수가 준공영제 찬성 업체를 늘리기 위한 꼼수로 계열을 분리시켜 만든 업체가 삼환여객이기 때문. 또한 삼환여객 자체가 삼환운수 만수지점 출신이다.
  • 현재 보유중인 노선은 여러 곳에 퍼져있는데, 원조 삼환교통 노선인 14번, 23번, 62번을 제외하면 모두 송도국제도시를 경유하며 반대로 원조 노선은 모두 제물포역을 포함한 구도심 지역과 동쪽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동서축으로 연결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중 4번은 인천여객 면허 취소와 함께 양도받았으며, 58번은 더월드교통 780-1번 폐선, 급행99번은 공영급행 909번 폐선에 따른 대체 노선으로 개통한 것이 특징이다. 보유 노선 중 유일하게 79번만 경인선 이남을 운행하지 않고, 북쪽의 서구계양구 일대 위주로 운행하는 것이 특징이다.[5] 선진그룹 출신 차파트너스 계열사와 달리, 이전부터 중구에 면허지를 두었던 몇 없는 업체다.[6]
  • 인천여객 경영권 분쟁과 면허 취소 이후, 최종적으로 노선을 인수한 업체이다. 2016년에 4번과 63번, 320번을 인수하였으나 이후 2018년에 320번을 대인교통원진운수에 매각하였고, 63번 역시 인천교통공사에 매각하면서 현재는 4번만 남아있다. 사실 인천여객과 더불어 적자로 인하여 조합에 반납된 노선을 주로 운행하는 업체로 시작했는데, 삼환교통은 적자 노선을 흑자로 살리는 것이 특징. 14번은 노선분할, 23번과 62번 역시 집중적인 투자를 통해 흑자로 되살려낸 케이스다.
  • 한때 지점을 운영한 이력이 있다. 바로 14-1번을 운행하는 삼환교통 동부지점인데, 삼환교통 본사의 지배를 받지 않고 성원운수 경영진들이 운영하던 별도의 주체였다. 투입 차량 역시 좌석형버스를 투입하는 본사와 달리, 입석형버스 위주로 운용을 했으나 2020년 개편과 함께 14-1번이 검단버스(당시 공영급행)로 매각되면서 동부지점 역시 검단버스의 산하로 편입되었다. 현재는 검단에서 따로 노는 79번을 포함한 전 노선이 본사 직영 체제로 운행중이다.[7]
  • 사측에서 유튜브를 운영한다. 주로 신형 수소전기버스나 전기버스 작동 관련 영상을 업로드한다.

3.2. 차량 관련

  • 인천 최초로 2계단 저상버스인 대우 BS106L 하이파워, 현대 에어로시티 540SL을 최초로 출고한 업체다. 그 뒤로 1999~2000년에 에어로시티 540L도 잠깐 출고하였으나, 2001년에 다시 BS106L(로얄시티)을 출고하였다. 그리고 한국 최초로 1998년에 경원여객과 함께 천연가스버스를 출고한 업체이다.[8] 총 2대가 운행됐으며 1대는 LED 전면 행선판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잦은 고장으로 철거되었다. 그 후 2001년 12월에 조기 대차되었다.[9] 당시 CNG 충전은 학익동에 위치한 삼천리가스에서 했었다.
  • 인천에서 가장 오랫동안 하이파워를 굴렸다. 2007년 가을까지 14-1번에서 운행하다가 대차되었다.[10] 오히려 하이파워보다 2001년식 BS106L이 먼저 대차됐는데, 마이너스 옵션으로 중형버스급에 사용되는 DE08TiS 엔진이 장착된 차량[11]이라 출력도 모자르고 DE12TiS 엔진을 사용하는 차량에 비해 연료소모도 많고,[12] 잔고장도 잦았다고 한다.
  • 현대버스 위주로 운영하지만 1997년(BS106L), 2001년(BS106L), 2006년(BS106L), 2008년(BS106 F/L, BC211M CNG)에 자일대우버스를 출고해 운용했던 적이 있었다. 2017년 10월 이후 자일대우버스가 전량 대차됨으로 인해 전 차량이 현대자동차의 차량으로 운행했었다. 그중에서도 14번과 79번에 인천에서 유일한 동글이 모델의 뉴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13]을 운행하고 있었다.[14] 2006년, 2007년 당시 79번의 충전소 문제로 불가피하게 디젤차를 출고했었는데 천연가스버스로 대차되었다.
  • 2016년에 인천여객 노선을 인수하면서 4번과 63번, 320번에 현대 그린시티 좌석형버스를 대거 출고하였다. 인천광역시의 지침으로 중형버스 투입이 반강제화된 것인데, 이중에도 320번은 자동차전용도로인 인천대교를 경유함에도 안전벨트가 설치되지 않은 차량으로 운행하여 논란이 있었다. 이후 대형버스가 잠깐 투입되었으나, 320번이 대인교통과 원진운수로 매각되면서 현재는 58번으로 이동되었다.[16]
  • 2017년과 2018년에는 기존 구형버스를 대차하면서 32석 LS 시트가 장착된 신형 좌석버스를 간선버스에 투입하였다. 다른 인천권 업체와 마찬가지로 단색(회색) 손잡이가 적용된 것이 특징이다. 2019년부터 출고한 개선형 좌석버스는 무지개 손잡이로 바뀐 것을 제외하면, 옵션 상에 큰 변화는 없으며 이후 2021년에 동일 옵션으로 출고한 좌석버스가 마지막 대형 고상버스다.
  • 2018년에 인천광역시 최초로 개선형 저상을 도입하였다. 기본형 손잡이와 로우백 시트, ZF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으며 23번에 우선적으로 투입되었다. 이후 여러 노선에 분산되었다. 2021년부터 출고하는 개선형 저상은 무지개 손잡이와 하이백 시트로 옵션이 변경되어 2022년까지 해당 옵션을 적용하여 출고하였다.
  • 2024년부터 다른 차파트너스 계열사와 같이 현대 일렉시티II FCEV를 출고하여 23번 일부 차량과 79번 전 차량이 교체되었다. 이후 2025년에는 2024년에 생산한 BYD eBus11과 BYD eBus9을 출고하였다. 이 과정에서 62번은 일부 차량을 제외하고 모두 BYD 전기버스로 대거 교체되었고, 신규 개통한 4401번에는 중형 전기버스가 투입되었다.
  • 차량 투입 방식은 주로 62번이 신차를 우선적으로 몰아주는 경향이 심했고, 구형 차량은 14번에 몰아주는 편이었다. 이후 방식에 변화가 생기면서 14번에도 신형 차량이 투입되기 시작했고, 오히려 79번에 구형 차량이 몰려있었으나 지금은 전기버스 보급과 함께 대부분의 노선에 신차가 골고루 투입되고 있다. 다만 인천여객 출신 4번과 한정면허 버스 대체 노선인 58번은 인천광역시의 방침에 따라 중형버스(현대 그린시티)만 투입된다. 정확히는 차량 보조금을 중형버스 수준만 지급하면서 그린시티 투입이 강제된 것.[17] 2025년 11월에 중형버스를 투입했던 4번은 대형수소전기저상버스로 대차될 예정이다.

4. 영업소 및 소속 노선

<rowcolor=#fff> 영업소 소재지 노선 비고
항동 인천광역시 중구 축항대로86번길 135 (항동7가 73-1) 14, 23 본사
서창동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창방산로 136 (서창동 729) 62
검단 인천광역시 서구 원당대로 227-10 (오류동 434-154) 79 [19]
송도2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바이오대로 277 (송도동 473) 4, 58, 급행99, 4401 [20]

5. 운행 노선

5.1. 현재 운행 노선

5.1.1. 간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4 송도제2차고지 송도꿈유치원 - 테크노파크역 - 캠퍼스타운역 - 무지개.동남아파트 - 연수구청 - 청학초등학교 - 함박도서관 - 신연수역 - 남동시범공단 - 풍림아파트 - 인천터미널 - 문학경기장 - 문학고개 - 인천기계공고 - 제물포역 - 미추홀구청 - 신흥시장 - 신포시장 - 동인천역 - 솔빛마을 - 가좌공단 가좌동 12~15
14 항동7가 연안여객터미널 - 신선초등학교 - 연안초등학교 - 옹진군청 - 토지금고시장 - 숭의역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제물포역 - 인천의료원 - 가재울사거리 - 석남중학교 - 가정고등학교 - (→ 서부문화회관 →/← 신화빌라 ←) - 가정(루원시티)역 - 인천국민안전체험관(북측) - 아나지고개 - e편한세상계양 - 작전역 - 계양구청 오조산공원 12~16
23 항동7가 인천수산물센터 - 서해5도특별경비단 - 항운아파트 - 인천출입국.외국인청 - 신흥시장 - 숭의로터리 - 미추홀구청 - 제물포역 - 시민공원역 - 석바위시장 - 십정사거리 - 부평도서관 - 부평역 - 부흥오거리 - 부개우체국 - 부평동중학교 부개역 8~12
58 송도2차고지 라이크홈기숙사 - 인천대정문 - 송도더샵퍼스트파크 - 인천대입구역 - 해양경찰청 - 동막역 - 연수구청 - 청학초등학교 - 청학사거리 - 신기.남부종합시장 - 시민공원역 주안역 13~18
62 서창공영차고지 인천서창동우체국 - 서창더포레스트 - 장수서창동행정복지센터 - 만수고등학교 - 남동구청 - 만수소방서 - 간석오거리역 - 간석역 - 주안역 - 제물포역 - 송림오거리 동인천역 7~10
79 뷰티풀파크버스공영차고지 공단유통상가 - 검단사거리역 - 마전역 - 검단금호아파트 - (→ 완정역 →/← 검단탑병원 ←) - 검단1교차로 - 독정역 - 검암중학교 - 검암역 - 서곶지구대 - 공촌사거리 - 교통연수원 - 계산역 - 계양구청 - 삼산사거리 - 삼산월드체육관 - 부평동중학교 - 부개역 - 부평LH1.2단지 인천성모병원종점지주차장 16~20

5.1.2. 급행간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급행99 송도2차고지 겐트대학교글로벌캠퍼스 - 송도더샵센트럴시티 - 테크노파크역 - 캠퍼스타운역 - 동막역 - 동춘역 - 신연수역 - 원인재역 - 논현주공 - 논현사거리 - 도림주공 - 서창센트럴푸르지오 - 남동체육관 - 남동구청 - 근로복지공단인천병원 송내역 19~27

5.1.3. 지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4401 송도2차고지 테크노파크역 - 지식정보단지역 - 인천대입구역 - 예송중학교 - 송도자이더스럭스오션SK뷰 - 더샵송도마리나베이 - 송도SK뷰(105동) - 송도더스카이 - 국제업무지구역 - 경제자유구역청 인천포스코고등학교 20~28

5.2. 과거 운행 노선

번호 기점 종점 경유지 배차 간격
14-1 세원에너지충전소 서창2지구 세원에너지충전소ㆍ백운역ㆍ송내역ㆍ장수동ㆍ서창2지구 11~15
14-1A 서창2지구 송내역 서창2지구ㆍ장수동ㆍ근로복지공단 인천병원ㆍ송내역 19~23
25 삼환교통종점 도원역 아암물류단지ㆍ항운아파트ㆍ신선초등학교ㆍ토지금고ㆍ용현동 구 터미널 20~25
62-1 가좌동차고지 숭덕여중 동인천역ㆍ동산고ㆍ인천J밸리ㆍ간석오거리 55~65
63 가좌동차고지 동춘동종점 산업용품센터ㆍ동산중고등학교ㆍ제물포남부역ㆍ주안역ㆍ시민공원ㆍ인천고등학교ㆍ문학경기장ㆍ선학역ㆍ연수구청 11~14
320동춘동LH7단지연수역ㆍ동막역ㆍ송도ICㆍ인천대교고속도로ㆍ운서역ㆍ영종힐스테이트27~28

6. 면허 체계

  • 인천 70 바 31##
    • 삼환교통 주 면허. 일부는 검단버스(동부지점) 14-1번을 통해 매각되었다.
  • 인천 72 아 10## ~ 13##
    • 중구 증차 면허.[21]

7. 보유 차량

7.1. 현재 보유 차종

7.1.1. 현대자동차

7.1.2. BYD

7.2. 과거 보유 차종

7.2.1. 현대자동차

7.2.2. 자일대우버스

8. 지배구조

2023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스마트인천모빌리티제1호
100.00% 모회사

9. 관련 문서


[1] 320번은 차량 부족으로 영풍운수가 5일까지 운행 후, 6일에 이관했다.[2] 삼환교통 노선 중 62번이 경유한다.[3] 총 135대를 보유하고 있다. 비슷한 규모로는 141대를 보유한 흥안운수가 있다.[4] 구 선진교통, 2017년 변경[5] 엄밀히 따지자면 79번도 경인선을 건너긴 하지만, 인천성모병원에서 바로 회차하여 되돌아가기 때문에 사실상 경인선 이남의 간석오거리나 구월동, 만수동 등의 지역을 운행하지 않는다.[6] 이전에는 신흥교통이 있는 신흥동3가의 중구구민회관 인근에 차고지를 두고 있었다. 그러나 차파트너스 편입 전후로 남항을 떠나 항동7가로 이전하게 되었다.[7] 79번의 경우 뷰티풀파크에 있는 차고지를 쓰지만, 신차 투입을 비롯한 여러 작업은 항동에서 처리 후 올려보내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8] 경원여객은 대우 BS106을 운행했지만 삼환교통은 현대 에어로시티를 운행하였다.[9] 그러나 같은 시기에 천연가스버스를 도입한 경원여객은 내구연한 만료 때까지 문제 없이 운행했다.[10] 수도권에서는 대원버스에서 가장 오랫동안 운행했다.[11] 당시 인천에서 출고된 BS106들은 용현운수만 빼고 이 엔진을 얹어서 출고했다.[12] 저용량 엔진이라 토크도 낮은데다 에어컨 가동이나 다수의 승객을 운송할 때 그만큼 가속을 더 해야 했었다.[13] 2001년 11월 CNG 버스 도입 후 인천은 현대 디젤버스를 투입한 적이 없었으나 2023년 기준으로 영종운수, 마니교통, 대인교통에서도 굴리고 있다.[14] 광역시 중 유일하게 디젤 신차 출고가 가능하다.[15] 해당 차종을 굴렸을 당시 운전직들의 평이 좋지 않은 반면 2002년~2004년에 들여온 슈퍼 에어로시티는 평이 좋은 편이었다.[16] 기사들의 평도 당연히 안 좋은 편이다. 그린시티는 판스프링 서스펜션만 존재하여 승차감이 다른 대형버스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인데, 4번을 비롯한 여러 노선들의 운행거리가 꽤 긴 편인지라 운행에 불편이 생기기 때문.[17] 그래서 칼대차를 자주 하는 삼환교통도 그린시티만 예외적으로 차령을 길게 쓰는 편이다. 다른 차량은 9년이 되는 시점에 바로 대차되었으나, 해당 차종만 9년을 넘기기 시작했기 때문.[18] 인천스마트가 동일 양식에 고딕체를 사용한다.[19] 검단산업단지 내에 조성된 임시 차고지였으나 이후 정식 차고지로 전환됐다. 충전은 수도권매립지 내의 CNG 충전소를 사용한다.[20] 충전은 가좌동, 송도공영차고지 등 노선에 따라 분리하여 사용한다.[21] 인천여객 출신 노선 인수 당시에도 면허가 취소되어, 증차 면허를 새로 발급받았다.[22] 현대자동차 천연가스버스 1호 업체였지만 차량에 문제가 많아 조기 대차됐다.[23] 인천광역시 최후 BS106L이었으며, 2015년까지 운용하고 대차되었다.[24] 2001년식 대구 출신 중고차량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