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 강화군 | 군내버스 | ||
계양구 | 동화운수 | |||
남동구 | 부성여객 | 삼환운수 | 성원운수 | |
인천교통공사 | ||||
부평구 | 성산여객 | 강인교통 | 강인여객 | |
미래교통 | 청라교통 | 대인교통 | ||
태양여객 | ||||
서구 | 선진여객 | 세운교통 | 공영급행 | |
신동아교통 | 마니교통 | 마니버스 | ||
삼성여객 | 수정관광 | 시영운수 | ||
신강교통 | 신화여객 | 원진운수 | ||
청룡교통 | 해성운수 | |||
연수구 | 더월드교통 | 도영운수 | 성민버스 | |
중구 | 강화교통 | 미추홀교통 | 삼환교통 | |
송도버스 | 인천스마트 | 인천제물포교통 | ||
은혜교통 | 인강여객 | 신흥교통 | ||
영종운수 | ||||
범례 | ||||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 선진그룹 계열사 | 강인여객 계열사 | ||
동구와 미추홀구, 옹진군은 관내에 주사무소(본사)를 둔 업체가 없어 제외.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시내버스 | 강인교통 | 강인여객 | 대인교통 | 미래교통 |
성산여객 | 청라교통 | 태양여객 | |||
인천광역시의 버스 회사 |
주식회사 대인교통 株式會社 大仁交通 Daein Transportation Co., Ltd. | |
설립일 | 1992년 7월 22일 |
업종 | 시내버스 운송업 |
대표자 | 김용옥, 서여경 |
주요 주주 | 남기태: 26.24% 김용옥: 21.29% (2023년 12월 31일 기준) |
기업구분 | 중소기업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직원 수 | 148명(2023년 12월 31일 기준) |
자본금 | 2억 200만원(2023년 기준) |
매출액 | 135억 3,545만 9,938원(2023년 기준) |
영업이익 | -3억 6,826만 3,595원(2023년 기준) |
순이익 | -1억 932만 5,463원(2023년 기준) |
자산총액 | 52억 8,288만 2,741원(2023년 기준) |
부채총액 | 53억 7,446만 813원(2023년 기준) |
부채비율 | -5,868.72%(2023년 기준) |
소재지 | 본사 - 인천광역시 부평구 대정로 38-1, 3층 (부평동) 산곡지점 - 인천광역시 부평구 마장로264번길 33, 2층 (산곡동, 뉴서울상가) 주안지점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소성로 183-27, 2층 201호 (학익동, 토림빌딩) 송도지점 - 인천광역시 연수구 아카데미로51번길 42 (송도동, 송도공영차고지) |
1. 개요
| |
송도지점 좌석버스 320번 | 산곡지점 지선버스 574번 |
스위트버스로 출범하였고, 이후 시내버스로 전환되면서 대인교통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2. 역사
- 1992년 7월 22일에 관교운수가 설립되었다.[1] 이후 안남교통으로 변경되었다.
- 2003년 1월 7일에 경향여객으로부터 6번(A방향)을 인수하였다. 이후 514-1번이 개통하였다.
- 2003년 3월 3일에 561번의 일신주공행 지선이 개통하였다.
- 2004년에 대인교통으로 변경되었다.
- 2010년 9월에 514번, 514-1번을 부일버스로 매각하였다. 동시에 회사의 전신인 관교운수 주체가 독립하였다.
- 2011년 1월 10일에 515-1번이 개통하였다.
- 2013년 8월 29일에 561번(일신주공행)이 폐선되었다.
- 2014년 4월 28일에 6-2번이 개통하였다.
- 2016년 7월 30일에 삼환교통으로부터 320번을 인수하였다. 동시에 6-2번이 6-3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8년 9월 15일에 6-3번이 폐선되었다.
- 2021년 6월 26일에 562번이 개통하였다.
3. 상세
3.1. 시내버스 업체 전환 과정
- 2002년 2월에 마을버스의 시내버스 전환 정책의 일환으로 생겨난 업체이며, 당시 부평구와 남구에 있던 버스 회사들의 컨소시엄으로 만들어졌다. 관교운수(남구 4번)를 비롯하여 주안교통(남구 5번), 부일여객(부평 11번), 산곡운수(부평 24번)까지 합류하였고, 이후 ‘안남교통’이라는 사명을 거쳐 ‘스위트버스’라는 사명으로 시내버스 업체로 전환되었다. 전환 당시의 중심에는 관교운수가 있었으나, 정작 관교운수의 노선들은 2010년에 해성운수에 매각되었고 지금은 부일여객 출신의 부개지점이 본사가 되어 총 4개의 지점(부개, 주안, 산곡, 송도)로 운영되고 있다.
- 2003년 1월에 간선버스도 운행을 하게 된다. 당시 경향여객이 운행하던 6번의 A방향이 스위트버스에 매각되고, 이후 번호를 6-1번으로 바꾸게 된 것. 해당 주체는 그대로 송도지점으로 이어져 현재까지도 6-1번과 320번 등 대형버스만 운용하는 곳으로 남게 되었다. 참고로 현재의 ‘대인교통’ 사명은 6-1번 인수 약 1년 후인 2004년에 바꾼 것이다.
- 본사인 부개지점과 산곡지점은 부평구 노선을, 주안지점은 미추홀구 노선을, 송도지점은 연수구 노선을 주로 담당하고 있다. 이 중 송도지점과 주안지점은 독자적인 운영 주체를 가지고 있으며, 부개지점과 산곡지점은 어느 정도 교류가 존재하는 편. 지분 이동과 노선 매각 및 양수가 타 사에 비해 유독 잦았던 편이라 노선 보유 변동이 꽤 잦았던 편이다. 현재는 송도지점을 제외하면 모든 노선이 공통적으로 석남동차고지에서 주박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차고지 내에 충전소도 없어 장수공영차고지를 이용하는 부개지점을 제외하면 산곡지점과 주안지점은 모두 가좌동차고지까지 회송하여 천연가스버스 충전을 실시한다. 반대로 송도지점은 송도공영차고지 내에 입주해있어 차고지 내에서 모든 것을 해결하고 있다.[3]
3.2. 원진운수와의 연관성
- 원진운수의 전신은 부평구 마을버스 회사였던 백마운수로, 부평구 16번(現 566번), 부평구 16-1번(現 567번)을 운행하고 있었다. 이후 2002년에 스위트버스에 인수되어 산하 지점으로 존재하게 되는데, 이 스위트버스가 바로 지금의 대인교통의 전신이다.
- 이후 원진운수가 시내버스로 전환하면서 사세를 확장하기 위해 용현운수 22번을 인수하고 ‘인천버스’라는 사명을 사용하게 된다. 당시 시내버스 인가대수인 40대를 맞추기 위해 법인을 바꿔버리면서, 부평구 노선과 간선버스 노선이 서로 다른 법인을 사용하게 된 것. 그러나 실질적인 소유주는 동일했으며, 일종의 계열 관계로 존속된 것이다. 이후 경향여객 6번과 제물포버스 24번을 인수하여 규모를 더 키우고, 566번과 567번을 다시 ‘원진운수’ 법인으로 가져오게 되었으나 기존 원진운수 경영진이 부평구 노선을 들고 독립을 해버리면서 다시 남남이 되었다. 다만, 이번에는 부평구 노선이 아예 삼환운수로 편입되어 부평지점으로 출범하게 되었다는 차이가 있다. 이후 성원운수 출신 경영진이 회사를 인수하면서 지금의 원진운수가 완성된 것이다.
- 현재 원진운수와 대인교통(송도지점 한정)은 6번, 6-1번의 순환선을 서로 반대로 운행하며, 320번을 공동배차하고 있는 업체이다. 또한 두 업체 모두 경향여객에서 넘겨받은 6번 시리즈를 통해 인천에서 가장 먼저 송도국제도시에 진출한 버스 업체이기도 하다. 정작 두 업체는 계열사가 아니고 서로 남남이지만, 회사의 전신을 비롯하여 지속적으로 교류가 있었고 2007년 이후로는 공동배차도 계속 진행해오는 듯 협력 관계를 가지고 있는 셈이라 볼 수 있다.[4]
4. 차량
- 과거 스위트버스 시절 때까지만 해도 코스모스, 에어로타운은 물론 BM090, 글로벌900도 간간히 보였다. 2020년대 기준 현대버스과 자일대우버스의 비중이 비슷하다.[5]
- 2014년에 송도지점에 NEW BS106 디젤 좌석형버스를 출고하였다. 사실, 이전에도 BS106 좌석형을 출고하여 6-1번에 투입한 이력이 있는데, 워낙 송도지점이 현대버스만 주력으로 뽑는 추세였기 때문에 의외라는 평이 많았다. 추가로 그린시티 디젤 입석형버스도 출고하였고,[6] 국내 최초의 유로6 디젤 1호차도 이 곳에서 출고하여 전량 6-1번에 투입하였다.[7]
- 2017년부터 송도지점의 구형 차량을 대차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형버스를 출고하기 시작했다. 이 중 일부차량은 당시 강화선진버스 등과 같이 2 X 2 배열로 출고한 것이 특징이며, 출고 직후부터 바로 사제 격벽을 장착하여 운행중이다.[8]
- 2020년부터 그린시티 개선형을 출고하고 있는데, 인천에서 그린시티 개선형에 연두색을 손잡이를 적용하는 업체 중 하나인데 유일하게 입석형 차량에 연두색 손잡이가 적용되어 있다.[9] 또한 2022년형 차량은 흰색 손잡이를 적용했다. 하지만 2023년형 차량은 컬러 손잡이로 적용했다. 시트는 모두 스펀지 시트를 적용하였다.
- 2021년 5월 28일에 상현운수, 청화운수에 이어 시내버스 회사 중 전국 최초로 베트남산 BS090을 출고해 인천 최후의 유로4 대우 차량이자 BS090 좌석형 차량이 전멸되고 산곡지점 574번에 투입되었다.[10]
- 2021년 10월 6일에 부개지점 561번에 투입하기 위해 현대 그린시티 개선형 신차를 출고하였다. 이후 2022년 2월 1일 산곡지점에서도 574번 투입용으로 그린시티 개선형 차량을 출고했다. 산곡지점에서 현대자동차 출고는 2017년에 대차 이후 5년 만이다.[11]
- 2022년 4월 28일에 송도지점에서 인천 최초의 CRRC 그린웨이 1100을 2대 출고하여 간선노선인 6-1번에 투입하였고, 동년 8월 3일 송도지점에서 수도권 및 인천 최초의 하이거 하이퍼스 H를 3대 출고해 좌석노선인 320번에 투입했다.
- 2023년 10월에 송도지점에서 인천 최초의 하이거 하이퍼스1611N을 4대 출고하여 6-1번에 투입했다. 과거 514번 시리즈에 운행했던 현대 저상버스 이후 다시 저상버스가 늘어나고 있는 중이다.
- 2024년 6월 말에는 사내 최초로 일렉시티 FCEV를 2대 출고하여 6-1번에 투입하였고, 동년 7월에는 사내 최초로 유니버스 FCEV를 1대 출고해 320번에 투입했다. 이 시점부터 출고하는 차량은 모두 인천광역시 정책에 맞추어 수소전기버스로 출고중이며, 저상버스가 운행하지 않았던 515번, 515-1번, 574번에도 각각 2025년 1월과 2월에 1대씩 추가로 투입되었다.
5. 차고지
<rowcolor=#fff> 지점명 | 소재지 | 노선 | 비고 |
부개 | 인천광역시 부평구 대정로 38-1 3층 (부평동 204-14) | 561, 562 | 본사[주박] |
산곡 | 인천광역시 부평구 마장로264번길 33 뉴서울상가 2층 (산곡동 255-1) | 574 | [주박] |
주안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소성로 183-27, 201호 (학익동 244-17, 토림빌딩) | 515, 515-1 | [주박] |
송도 | 인천광역시 연수구 아카데미로51번길 42 (송도동 13-44) | 6-1, 320 |
6. 운행 노선
6.1. 간선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6-1 ♿ | 송도공영차고지 | 인천대학교 - 지식정보단지역 - 송도컨벤시아 - 송도자이하버뷰 - 송도힐스테이트 - 동막역 → 연수구청 → 동춘역 → (주)창원 → 사리울중학교 → 인천논현역 → 도림주공 → 서창센트럴푸르지오 → 남동체육관 → 남동중학교 → 남동구청 → 만수역 → 모래내시장 → 길병원사거리 → 인천종합터미널 → 선학역 → 함박마을입구 → 청학초등학교 → 청량중학교 → 동막역 → 이후 역슨 | 남동체육관 | 10~13 |
6.2. 공항좌석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320[공동배차] | 송도더샵센트럴시티 | 송도글로벌캠퍼스푸르지오 - 테크노파크역 - 캠퍼스타운역 - 송도풍림아이원 - 해양경찰청 - 제2경인고속도로 → 영종도풍림아이원1차 → 운서역 → 영종고등학교 → 영종중학교 → 중산동 → 영종우미린1단지 → 영종블루오션2차 → 영종우미린2단지 → 영종LH7단지 → 그린나래지하차도 → 제2경인고속도로 → 이후 역순 | 영종LH7단지 | 16~22 |
6.3. 지선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515 ♿ | 인천지방법원 | (→ 학익시장 → 인하대역 → 학익시장 →) - 신동아아파트 - 문학경기장 - 관교여자중학교 - 신기.남부종합시장 - 시민공원역 | 주안역 | 9~12 |
515-1 ♿️ | 인천지방법원 | 연학초등학교 - 신기.남부종합시장 - 시민공원역 | 주안역 | 15~23 |
561 | 희망체육공원입구 | 동수역 - 인천성모병원 - 부개1동행정복지센터 - 부평역 | 부평시장 | 10~15 |
562 | 희망체육공원입구 | 동수역 - 인천성모병원 - 부개역 - 부평여자중학교 - 부광여자고등학교 - 부개주공3단지 | 삼산체육관역 | 28~38 |
574 ♿ | 뉴서울1차아파트 | 경남아파트 - KT부평지사 - 부평동아아파트 - 부평역 - 부평시장 | 부평역 | 5~8 |
6.4. 과거 운행 노선
6.4.1. 간선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6-2 | 송도공영차고지 | 셀트리온 - 인천가톨릭대학교 - 연세대 - 캠퍼스타운역 - 더샵엑스포빌리지 - 경제자유구역청 | 국제업무지구역 | 14~22(1일 60회) |
6-3 | 송도공영차고지 | 인천대학교 - 인천가톨릭대학교 - 지식정보단지역 - 캠퍼스타운역 - 엑스포빌리지 - 경제자유구역청 - 인천대입구역 | 송도공영차고지 | 15~23(1일 56회) |
6.4.2. 지선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514 | 인천종합터미널 | 삼영아파트 - 진흥아파트 - 재흥시장 - 시민회관사거리 - 석바위시장 - 동양장사거리 | 주안역환승정류장 | 60 |
514-1 | 인천종합터미널 | 삼영아파트 - 진흥아파트 - 재흥시장 - 시민회관사거리 - 석바위시장 - 승기사거리 | 주안역환승정류장 | 9~12 |
561(일신주공행 | 동수역 | 부개농협 - 수도군수지원단(장애인복지관) - 풍림아파트104동 - 광일아파트 -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 동수역 | 30(1일 4회) |
581 | 계양고등학교 | 초정마을 - 서운동성당 - 서운교 - 동보아파트 - 갈산사거리 - 굴포천 - 부평구보건소 - 부평시장(가구의거리) - 부평시장.한길안과병원 - 부평시장(용갈비) | 부평역 | 13~16 |
7. 면허 체계
- 인천 70 바 4101 ~ 4127 호
- 대인교통 주 면허. 송도지점 소속 차량에서 주로 사용된다.[16]
- 인천 71 바 7001 ~ 7011 호
- 부평구 소재 시내버스의 증차 면허. 주안교통 시절 발급받았고, 주안지점 소속 차량에서 주로 사용된다.
- 인천 71 바 5201 ~ '5208 호
- 부평구 소재 시내버스의 증차 면허. 부일여객 시절 발급받았고, 부개지점 소속 차량에서 주로 사용된다.[17]
- 인천 71 바 6101 ~ 6110 호
- 부평구 소재 시내버스의 증차 면허. 산곡운수 시절 발급받았고, 산곡지점 소속 차량에서 주로 사용된다.
- 인천 72 바 1914 호
- 부평구 소재 시내버스의 증차 면허. 현재 561번 차량이다.
- 인천 74 사 1061 호
- 연수구 소재 시내버스의 증차 면허. 현재 515번 차량이며, 구. 인천 70바 7012호에서 전환되었다.
8. 보유 차량
8.1. 현재 보유 차종
8.1.1. 현대자동차
8.1.2. 자일대우버스
8.1.3. 하이거
8.1.4. CRRC
8.2. 과거 보유 차종
8.2.1. 자일대우버스
8.2.2. 현대자동차
- 현대 에어로타운 디젤
- 현대 글로벌900 디젤
- 현대 글로벌900 천연가스버스
- 현대 그린시티 디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송도]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송도]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 천연가스버스
8.2.3. 기아
9. 지배구조
2023년 12월 기준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26.24% | ||
21.29% | 공동대표이사 | |
18.01% | ||
11.88% | ||
기타 | 22.58% | 2인 |
10. 관련 문서
[1] 514-1번과 모체인 514번의 전신이다.[2] 부일여객(561)이 부개지점, 주안교통(515, 515-1)이 주안지점, 산곡운수(574)가 산곡지점으로 변경되었다.[3] 수소충전은 예외적으로 차고지에서 약 5분 거리에 위치한 수소충전소를 사용한다. 그래봤자 700m 정도 거리라 큰 지장이 없다.[4] 320번의 경우 공동배차를 정확하게 1:1 비율로 하고 있으며, 6번과 6-1번은 송도 운행 구간이 다르지만 동막역 이후로는 운행구간이 서로 순환하는 관계라 인사를 하고 다니는 경우가 간혹 있다.[5] 엄밀히 따지자면 본사인 부개지점과 산곡지점은 자일대우버스를 선호하고 주안지점과 송도지점은 현대자동차를 선호한다. 다만 지금은 부개지점, 산곡지점도 현대버스를 출고한다.[6] 한때 그린시티는 6-3번에서 운행했으나 노선 폐선 후 다시 6-1번으로 되돌아왔다.[7] 2014년식이지만, 2015년식과 동일하게 차폭등, 유로6 등이 적용되었다. 경원여객과 같이 1-1-1-5의 도시형 배열이 적용되었다.[8] 손잡이도 달지 않은 것이 특징. 참고로 강화교통과 강인여객 등 일부 업체는 격벽을 따로 설치하지 않았으나, 2020년대에 들어서 시 당국의 권고 조치로 격벽을 추가 설치했다.[9] 반면 또 다른 업체인 미추홀교통, 검단버스는 좌석형이다.[10] 대차 전 차량도 꽤 특이했는데, 인천 최후의 팬더미디이자 좌석형으로 출고된 차량이었다.[11] 이후 2022년에도 일부 차량을 도입하는데, 그 중 몇 대는 신대운여객 취소분도 섞여있었다.[주박] 지선버스 주박은 모두 해성운수 석남동차고지에서 실시한다. 충전은 가좌동차고지, 장수공영차고지(561, 562 한정)에서 실시한다.[주박] [주박] [공동배차] 원진운수와 공동 배차[16] 다만 4126호, 4127호는 주안지점(515번) 소속이다.[17] 다만 5204호는 예비차 겸 주안지점(515번) 소속이다.[송도] 송도지점만 보유하고 있다.[송도] [송도] [송도] [송도] [송도] [송도] [송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