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8 02:01:01

더월드교통


파일:연수구 CI.svg 인천광역시 연수구의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버스 더월드교통 도영운수 성민버스
인천광역시의 버스 회사
}}}}}}}}} ||

더월드교통 계열사
남양주시 인천광역시
태산운수 더월드교통 청룡교통
주식회사 더월드교통
株式會社 더월드交通
The World Transportation Co., Ltd.
설립일 2009년 9월 15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김해숙
주요 주주 김해숙 외 1인: 50%
(2020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79명(2020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5,000만원(2023년 기준)
매출액 34억 5,683만원(2023년 기준)
영업이익 -6억 5,189만원(2023년 기준)
순이익 -9억 8,592만원(2023년 기준)
자산총액 69억 4,830만원(2023년 기준)
부채총액 77억 8,924만원(2023년 기준)
부채비율 -926.26%(2023년 기준)
소재지 인천광역시 연수구 아카데미로51번길 42 (송도동, 송도공영차고지)
전화번호 032-424-7878

1. 개요2. 역사3. 상세4. 차량5. 차고지6. 운행 노선
6.1. 과거 운행 노선
7. 면허 체계8. 보유 차량9. 지배구조10. 관련 문서


파일:in1301-uvfc.png 파일:인천1302_4501.png
1301번 1302번

1. 개요

더월드교통은 인천광역시 연수구의 버스 회사다. 계열사로는 태산운수청룡교통이 있다.

청룡교통선진그룹이 합작으로 출범했으며, 광역버스만 운행하는 업체 중 하나이다.

2. 역사

  • 2008년 2월에 청룡교통이 도원리무진을 인수하여 송도사업소로 변경했다. 동시에 8000번, 8100번을 인수했다.
  • 2008년 2월에 8000번이 780번으로 전환되었다. 동시에 공항리무진에서 시내좌석버스로 변경되었다.
  • 2009년 9월 15일에 송도사업소를 천지교통으로 독립시켰다. 동시에 780번을 천지교통으로 매각했다.
  • 2009년 11월 23일에 8100번이 폐선되었다.
  • 2009년 12월 1일에 780-1번이 신설되었다.
  • 2011년 3월 1일에 공영급행으로부터 908번을 인수했다.
  • 2012년 3월에 인강여객으로부터 1301번을 인수했다.
  • 2014년 2월 10일에 780-2번이 신설되었다.
  • 2015년 3월 9일에 1302번이 신설되었다.
  • 2015년 11월 7일에 삼화고속으로부터 1300번을 인수했다.
  • 2019년 5월 11일에 2500번이 폐선되었다.
  • 2019년 5월에 사명이 더월드교통으로 변경되었다.
  • 2019년 12월 13일에 780번이 폐선되었다.
  • 2020년 12월 31일에 780-1번, 780-2번, 908번이 폐선되었다. 동시에 한정면허 버스가 모두 폐선되었고, 광역버스만 운행하게 된다.
  • 2021년 1월 1일에 전 노선이 2교대 운영으로 전환되었다.
  • 2024년 10월 15일에 광역버스 준공영제가 시행되면서, 전 노선이 준공영제로 전환되었다.
  • 2025년 10월 2일에 광역버스 전 노선이 동교동삼거리로 소폭 연장되었다. 동시에 당산역은 미경유한다.

3. 상세

  • 2006년 세진관광과 삼환리무진관광의 공항리무진 노선을 인수한 부천 도원교통의 인천 법인으로 출발한 것이 전신이며, 이후 2008년에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업체인 청룡교통에 흡수되어 송도영업소 소속으로 변경 되었다. 그러다 2010년에 청룡교통 송도영업소가 다시 천지교통으로 분리되었다. 그리고 2019년 5월에 회사명을 더월드교통으로 변경했고, 차량 부착은 6월 13일자로 처리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자회사 격인 남양주 천지교통도 태산운수로 사명을 바꾸었다.
  • 2010년 분사 당시 선진그룹의 지원을 받은 상황이다. 합작까지는 아니고 선진그룹이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형태다. 경영에 큰 관여는 하지 않지만 차량 교류 정도는 있는 듯 하며[1]다. 전직 선진버스의 이순달 대표가 더월드교통 대표이사로 재직했으며 차량 광고또한 선진그룹의 버스광고 전담업체인 선진이앤티에서 담당한다. 또한 선진그룹에서 주로 운용하는 스카이웰 리오네를 도입하는 등, 아직까지도 선진그룹의 영향권에 속해있다고 볼 수 있다.
  • 2020년에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며 다수의 차량이 휴업처리가 되어 인가대수에 절반에도 못미치는 차량들로 운행을 하다보니 시내 및 광역 노선들의 배차간격이 매우 증가하였다. 그러나 2021년 4월에 들어서는 장기휴차 차량들이 운행에 복귀하며 1301, 1302번의 운행대수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1302번은 인가대수인 12대 모두 운행중인 상태였으나,[2] 기사 수급의 어려움으로 1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운행한다.[3]
  • 2021년부터 격일제 근무에서 2교대 근무로 변경되었다. 이는 한정면허 노선들을 전부 없애버리면서, 남아있던 기사들을 모두 광역버스로 이직시켜 기사 수급이 되었고 시 정책의 일환이기 때문이다.
  • 인천광역시에서 신강교통, 인강여객, 선진여객, 마니버스와 같이 광역버스를 운행하는 업체 중 하나이다. 이전에는 780번대와 908번과 같이 한정면허 버스도 같이 운행했는데, 이는 더월드교통이 청룡교통에서 한정면허 버스를 분리시켜 만든 회사이기 때문. 그래서 인터넷 카페도 두 곳의 명칭으로 개설하여 공동으로 관리한다. # 한정면허 버스는 면허 만료가 되는 2020년에 전부 폐선되었고, 현재는 광역버스만 보유하고 있어 다소 사세가 감소하였다.[4]
  • 운영하는 모든 노선이 송도국제도시를 경유하며, 운행 구간이 갈라졌다가 근로복지공단인천병원(일신동)에서 다시 만나 부천시청역, 약대동, 경인고속도로를 거쳐 동교동삼거리까지 동일하게 운행한다. 전 노선이 ‘근로복지공단인천병원 ~ 홍대입구역(동교동) ~ 서울역’ 구간을 공유하는 셈.
  • 현재 송도공영차고지를 차고지로 사용하고 있다. 과거에는 인천종합터미널을 차고지로 사용하다가 동춘동 화물터미널 부지(현재 스퀘어원)로 이전하였다가 오늘에 이르고 있다. 다만 사무실은 신흥동에 두고 있으며, 이 곳에서 청룡교통 M6724번의 차량 관리를 위탁받아 자사 광역버스와 같이 운영중이다.[5]
  • 나름대로 차량번호가 꾸준히 유지된 청룡교통과 달리, 이쪽은 여러 업체로부터의 면허 유입이 많았다. 청룡교통에서 분사 직후 780번대와 908번 양수 등으로 연수구 면허와 서구 면허 일부가 혼합되어 있었지만, 삼화고속으로부터 광역버스를 양도받으면서 추가로 면허가 유입되었다. 이후 2500번 인수와 함께 강화군 면허까지 유입되어 현재는 크게 4지역의 면허를 보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4. 차량

  • 2010년부터 한정면허 버스를 대거 운용하기 시작하였고, 그 당시에는 현대자동차와 자일대우버스를 혼용했었다. 주로 2010년대 초반에 시내좌석버스와 급행좌석버스 투입을 위해 도시좌석형(32석)을 대거 출고하였다. 또한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은 선진버스 출신 중고차량도 많이 존재했다.[6] 리무진 출신의 BH116 로얄럭셔리II도 차령 만료까지 운행하였다.
  • 2008년에 출고된 BS106은 2008년식이었는데, 특이하게 입석형 창문에 좌석형 시트를 설치하여 908번에서 운용했던 이력이 있다.[7] 또한 인천에서 유일하게 BS106 F/L에 현대 풍뎅이 하차벨(검정)을 달았으며 사각램프 BS106도 현대 풍뎅이 하차벨을 달았었다. 주로 780번, 780-2번에는 대우버스를 투입하였으며, 780-1번과 908번에는 현대버스를 투입하는 경향이 높았다.
  • 2014년에 갑자기 NEW BS106을 출고하였는데, 좌석형이 아닌 입석형을 그것도 디젤로 출고하여 780-2번에 투입하였다. 명목상 780-2번을 간선버스로 취급했던지라 입석형을 넣은 것인데, 정작 780-2번은 시내좌석버스였다는 것이 특징. 이 중 일부는 908번에도 입석형 차량을 투입했다.
  • 2015년부터는 대부분 2x2 좌석형 배열의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CNG를 출고하여 780-1번에 투입하였다. 또한 대우버스가 주력이었던 780번에도 2017년부터 현대 좌석버스가 출고되었고, 2018년까지는 광역버스를 포함하여 전 차량이 현대버스만 출고되었다.
  • 2019년에 갑자기 BS106 좌석형을 투입하여 780번과 908번에 투입하였다. 기존에 운용하던 BS106과 달리 2x2 배열로 적용하였으며, 손잡이도 달리지 않고 순수히 좌석형으로만 출고되었다. 이후 한정면허 만료와 함께 모든 도시형버스가 말소되었으나, 2021년에 잠시 908번의 BS106 3대가 임시 등록되었다가 스카이웰 리오네로 대차되었다. 참고로 차량 자체는 저 멀리 경상북도 고령군까지 내려가서 새천년관광에 팔려간 뒤 ‘고령-대구’ 임시노선에 투입되었다.
  • 2021년에 인천광역시와 전국 최초의 스카이웰 리오네 전기버스 3대를 광역버스에 도입하였다.[8] 이듬해인 2022년에도 리오네를 추가 도입하여 현재 총 13대의 스카이웰 차량이 운행중이다. 아무래도 선진그룹의 지분이 일부 포함되어있기에, 리오네를 출고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 일부 차량은 잔고장이 심하여, 2024년에 신동아교통으로 매각되어 3000번에서 운행중이다.[9]
  • 2024년부터는 현대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를 출고하고 있다. 남아있던 초기형 뉴프리미엄 유니버스를 대차하면서 2025년까지 총 13대를 출고하여 전 노선에 투입하였다. 현재는 1300번은 가스차량이 주력이며, 1301번과 1302번은 전기버스가 주력이다. 그래서 1300번에 한하여 유독 차돌리기가 잦은 편이다.
  • 한때 코로나-19와 운행인력 부족 등의 사유로 보유 노선이 대부분 적자를 기록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차량 휴업 신청을 많이 해두어 휴차 중인 유니버스가 10대가 넘어갔다. 2021년 4월 들어서 많은 차량들이 복귀한 상태였으나 2022년부터 다시 감차운행하였다. 이후 2024년 10월에 광역버스 준공영제가 시행되면서 다시 휴차 차량들이 복귀했다.

5. 차고지

<rowcolor=#fff> 영업소 소재지 노선 비고
사무실 인천광역시 중구 서해대로94번길 57-25 (신흥동3가 65-33) 1300, 1301, 1302 본사[10]
차고지 인천광역시 연수구 아카데미로51번길 42 (송도동 13-44) [11]

6. 운행 노선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1300 힐스테이트레이크송도2차(201동) 송도e편한세상 - 송도달빛축제공원역 - 국제업무지구역 - 송도자이하버뷰 - 해양경찰청 - 동아금호아파트 - 인천적십자병원 - 선학역 - 인천터미널 - 남동구청후문 - 근로복지공단인천병원 - 복사골문화센터 - 부천시청역 - 신중동역 - 약대사거리 - 경인고속도로 - 국회대로 - 영등포세무서.선유고등학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동교동삼거리 30~120
1300-1 송도e편한세상 - 송도달빛축제공원역 - 국제업무지구역 - 송도자이하버뷰 - 해양경찰청 - 동아금호아파트 - 인천적십자병원 - 선학역 - 인천터미널 - 남동구청후문 - 근로복지공단인천병원 - 복사골문화센터 - 부천시청역 - 신중동역 - 약대사거리 - 경인고속도로 - 국회대로 영등포세무서.선유고등학교 미상
1301 송도공영차고지 인천대학교 - 송도컨벤시아 - 송도풍림아이원 - 인천운전면허시험장 - 에코메트로7단지 - 청능로사거리 - 큰방죽사거리 - 남동중학교 - 장수초등학교 - 근로복지공단인천병원 - 복사골문화센터 - 부천시청역 - 신중동역 - 약대사거리 - 경인고속도로 - 국회대로 - 영등포세무서.선유고등학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동교동삼거리 20~90
1302 극지연구소 송도더샵센트럴시티 - 연세대학교 - 에코메트로10단지 - 청능로사거리 - 도림주공 - 서창센트럴푸르지오 - 장수서창동행정복지센터 - 장수사거리 - 근로복지공단인천병원 - 복사골문화센터 - 부천시청역 - 신중동역 - 약대사거리 - 경인고속도로 - 국회대로 - 영등포세무서.선유고등학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6.1. 과거 운행 노선

7. 면허 체계

  • 인천 70 바 45##, 4735 ~ 4737호 : 삼화고속 출신 면허
  • 인천 75 바 10##호 : 연수구 증차 면허[13]
  • 인천 78 바 3243 ~ 3245호 : 강화군 증차 면허[14]
  • 인천 72 아 10##호 : 서구 증차 면허 [15]
  • 인천 75 아 11## ~ 12##호 : 연수구 증차 면허
  • 인천 75 아 2338호 : 연수구 증차 면허[16]

8. 보유 차량

8.1. 현재 보유 차량

8.1.1. 현대자동차

8.1.2. 스카이웰

8.2. 과거 보유 차량

8.2.1. 현대자동차

8.2.2. 자일대우버스

9. 지배구조

2020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김해숙 외 1인
50.00% 대표이사 등
기타 50.00% 1인

10. 관련 문서


[1] 김포운수, 선진버스 출신 차량들이 다수 있었다. 반대로 이 회사가 민영제 노선들을 전부 정리하면서 2대가 포천상운으로 넘어가기도 했다. 다만 비슷한 시기에 공영급행도 간선급행버스 사업에서 철수하면서 많은 수의 차량이 중고시장에 풀리게 되었는데 포천에 유입된 차량은 상당수가 공영급행 출신이다.[2] 1300번은 인천종합터미널구월동에서 1400번이 강세를 보이기 때문에 운행횟수를 늘리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3] 차량별로 배차표를 비치해두고 있었지만, 기사들의 말로는 매일 차량 대수가 변화할 정도로 수급이 되지 않았던 적이 많아 자신들도 정확한 배차를 알 수 없다고 할 정도였다.[4] 더월드교통처럼 광역버스만 보유한 업체로는 신강교통, 인강여객, 마니버스가 있다.[5] 다만 M6724번의 운행사원과 차량 소유는 청룡교통 측에 있다. 오로지 관리와 주박 등의 권한만 더월드교통에 일임한 것.[6] 출범 당시 선진그룹의 영향을 받았고, 당시 대표이사였던 이순달 씨가 선진버스 출신이기 때문.[7] 이 당시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보라색 도색을 한 BS106 F/L 차량을 운용했다.[8] 상술한 908번의 19년식 BS106을 임시로 등록한 후, 12년식 유니버스를 대차하는 과정에서 처리해버린 것.[9] 해당 차량을 출고하면서 광역버스 행선판 양식도 바뀌었다. 본래 적색과 황색 조합의 행선판을 사용했으나, 전기버스를 출고하면서 리오네와 수소전기버스에는 남색 행선판을 적용하고 있다.[10] 청룡교통이 운영하는 M6724번을 같이 관리하며, 바로 옆의 은혜산업개발의 CNG 충전소를 사용한다. 수소 충전은 신흥교통 본사에서 실시한다.[11] CNG와 전기 충전은 송도공영차고지 내에서, 수소 충전은 바로 밑 유수지 끝자락에 위치한 수소 충전소를 사용한다.[12] 강화선진버스에서 양도받았다.[13] 청룡교통 출신 면허. 한정면허 노선 위주로 사용했으며, 한정면허 만료 후에는 1070호 한 대만 남게 되었다.[14] 강화교통 출신으로, 강화선진버스 당시 2500번을 양도받으면서 유입되었다.[15] 공영급행으로부터 908번을 양도받으면서 유입되었고, 한정면허 만료 후에는 모두 말소되었다.[16] 75아 1116호 번호판 분실로 새로 발급받은 면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