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5bac,#003e8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기본 정보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25%> 역사 ||<width=25%> 재단 ||<width=25%> 상징 ||<width=25%> 출신 인물 ||
| 제도 | |||
| 입학 | 학부 | 학사 제도 | 대학원 |
| 관련 기관 | ||
| 한진그룹 (대한항공) | 야구부 | |
| <colcolor=#fff> 인하대학교 仁荷大學校 Inha University | |||
| | |||
| <colbgcolor=#005bac,#005BAC> 창학이념 | 인격도야ㆍ진리탐구ㆍ사회봉사 | ||
| 교훈 | 참(眞) | ||
| 상징 | <colbgcolor=#005bac,#005BAC><colcolor=#fff> 슬로건 | 역사를 넘어 혁신으로, Innovation X Heritage | |
| 상징물 | 비룡(飛龍) | ||
| 교색 | INHA DEEP BLUE (#005BAC) INHA SKY BLUE (#00AFEC) INHA WHITE (#FFFFFF) | ||
| 국가 | | ||
| 분류 | 사립대학, 4년제 종합대학 | ||
| 지역 | 인천광역시 | ||
| 개교 | 1954년 4월 24일 ([age(1954-04-24)]주년) 인하공과대학[1] | ||
| 설립자 | 이승만 | ||
| 총장 | 제15·16대 총장 조명우 | ||
| 재단 및 법인 | 학교법인 정석인하학원[2] | ||
| 대학병원 | 인하대학교병원 | ||
| 주소 | 용현 | ||
| 항공우주 | 인천광역시 연수구 갯벌로 36 (송도동 7-49) | ||
| 송도 |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540 | ||
| 재학생 | 학부생 | 17,486명 (2024년) | |
| 대학원생 | 5,046명 (2024년) | ||
| 교원 | 전임 | 888명 (2024년) | |
| 비전임 | 1,249명 (2024년) | ||
| 대학기관평가 | 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대학(2025년) | ||
| 해외 분교 | 타슈켄트 인하대학교 / (IUT-Inha University in Tashkent) | ||
| 웹사이트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용현캠퍼스 | |||
| 항공우주융합캠퍼스 | |||
| 송도캠퍼스 | |||
| 타슈켄트 분교 | |||
| <nopad> |
| 인하대학교 본관 |
| |
| 인하대학교 60주년 기념관 |
1. 개요
| <nopad> |
| 인하대학교 용현캠퍼스 |
| |
| 인하대학교 비룡탑 |
인하대학교(仁荷大學校, INHA UNIVERSITY)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와 연수구에 위치한 4년제 사립 종합대학이다.
1952년 하와이 교민 이주 50주년 기념 사업의 일환으로 조국의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해 미국의 MIT와 같은 최고 수준의 대학을 한국에 세우고자 하는 계획이 시작되었고 이승만 대통령이 자신이 하와이에서 독립운동 하던 시절 설립, 운영했던 한인기독학원의 매각 대금을 비롯한 하와이 교민 성금 15만 달러, 정부 출연금, 국민 성금, 인천시의 토지 기부 등을 모아 1954년 인하공과대학으로 개교하였다. '인하(仁荷)'라는 이름은 이러한 하와이 교민들이 성금으로 보내온 독립운동 자금이 대학 설립의 바탕이 된 것을 기념하는 의미이다.
교훈인 ‘참(眞)’을 바탕으로 조국 부강과 민족 번영을 위한 '인격도야', '진리탐구', '사회봉사'의 3대 교육 이념을 추구한다. 1969년 한진그룹 창업주 조중훈 회장이 학교법인 인하학원을 인수한 이후 학교는 확대 개편되어 1971년, 종합대학인 인하대학교로 승격하며 경기도 최초의 종합대학[3]이 되었고 이후 의과대학, 대학병원, 법학전문대학원 등을 설립하며 확장, 발전하였다. 2014년에는 한국 고등교육 수출 1호로 우즈베키스탄의 수도 타슈켄트에 해외 분교(IUT)를, 2020년에는 송도에 항공우주융합캠퍼스를 설립했다. 현재는 13개 단과대학, 70여 개 학과(부), 대학원 과정과 79개의 부설 연구소를 갖춘 연구중심 종합대학으로 성장했다.
정문에 수인·분당선 인하대역이 위치하며, 캠퍼스와 바로 연결되어 있다.
2. 교명
| | |||
| <colbgcolor=#f5f5f5,#2d2f34> 유래 | 인천의 仁(인)과 하와이의 荷(하) | ||
| 의미 | 하와이로 이주한 이민자들의 독립운동 성금으로 탄생한 대학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언어별 명칭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5f5f5> | 인하대학교 (인하대) | |
| 仁荷大學校 (仁荷大) | |||
| | INHA University (IU) | ||
| | [ruby(仁荷大學, ruby=rénhè dàxué)] | ||
| | [ruby(仁荷大学, ruby=インハだいがく )] | ||
인하대학교의 설립자금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 시절 하와이로 건너가 낯선 이국 땅에서 고된 노동을 하며 살던 하와이 교민들이 모은 독립운동 성금이다. 교민들은 6.25 전쟁 이후 황폐화된 조국을 재건하기 위한 공과대학의 설립을 위해 이승만 대통령이 하와이에서 독립운동 하던 시절 설립, 운영했던 한인기독학원 매각 대금을 비롯한 독립운동을 위해 모았던 피땀 어린 성금을 기부하였다. 조국을 위한 그들의 숭고한 정신을 기념하기 위해 인천(仁川)과 하와이(荷蛙伊)의 앞 글자를 각각 따서 인하(仁荷)라는 교명이 탄생하게 되었다.
"인하대학(仁荷大學)을 만든 취지(取旨)는 한국에 공과대학을 만들어서 마치 미국의 MIT와 같은 공과대학을 설립 하고자하는 것으로..." (『대통령이승만박사담화집』, 공보처, 1953),행정안전부-대통령기록관 |
"...본 대학의 재단 확립을 위한 하와이 동포들의 눈물겨운 기부금 15만불..." 설립 당시 김법린 문교부 장관의 담화문 |
3. 역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역사#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인하공과대학 개교 영상 |
| | |
| <colbgcolor=#005bac,#005BAC><colcolor=#fff> 1952 | 인하공과대학 설립 기성위원회 조직 |
| 1954 | 재단법인 인하학원 - 인하공과대학 |
| 1964 | 학교법인 인하학원 - 인하공과대학 |
| 1968 | 한진그룹 - 학교법인 인하학원 인수 |
| 1971 | 종합대학 승격(인하대학교), 이과대학/경영대학 신설 |
| 1972 | 사범대학 신설 |
| 1980 | 사범대학 - 인문대학/사범대학, 법경대학 - 경상대학/법정대학으로 단과대 분리 |
| 1984 | 의과대학 신설 |
| 1996 | 의과대학 부속병원 개원 |
| 2009 | 법학전문대학원 개원 |
| 2020 | 인하대학교 항공우주융합캠퍼스 개교 |
| 2020-현재 | 인하대학교 용현캠퍼스 | 인하대학교 항공우주융합캠퍼스 |
4. 재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학교법인 정석인하학원#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학교법인 정석인하학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51766,#051766><tablebgcolor=#051766,#051766> | 학교법인 정석인하학원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고등교육기관 | ||
| | | | |
| 중등교육기관 | |||
| | | | |
| 대학 병원 | |||
| | |||
5. 상징
| | |
| | |
| <colbgcolor=#f5f5f5> [[방패| 방패 ]] | 위쪽의 하늘색은 하늘을, 아래쪽의 짙은 청색은 바다를 상징한다. |
| [[문양| 문양 ]] | '인하'의 첫 글자인 어질 인(仁)을 형상화했으며, 하얀색은 순결을 의미한다. |
| 엠블럼 | |
| | |
| 커뮤니케이션 로고 | |
| | |
| 안뇽이 | 인경호에서 태어난 용. 구름날개로 하늘을 날며 여의주를 먹은 인덕이와 함께 있으면 신비한 능력이 나타난다.[4][5] |
| 인덕이 | 안뇽이의 승천에 필요한 여의주를 삼켜버린 오리. 여의주의 신비한 기운으로 세상의 모든 이치를 깨우치게 된다.[6] |
| 공식 마스코트 | |
6. 학풍
| | |
◇ 실용주의 인하대학교는 1954년 인하공과대학으로 출발할 적 개교 이념부터 국가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실용적 연구를 하는 역할을 하기 위한 대학이었다. 이는 과거 인하대학교의 영문명인 INHA Institute of Technology (IIT)을 보더라도 알 수 있는데, 실제로 인하대는 국가의 발전에 필요하다고 여기는 학과들을 개설하여 해당 분야의 연구를 선도한 역사가 있다. 과거 인하공과대학 시절 있었던 한국 최초의 병기공학과와 원자력공학과가 그 예시이다. 이외에도 인하대학교의 연혁을 보면, 국내 최초 등의 기록을 가지고 있는 학과들이 많다. ◇ 개척정신 인하대학교는 그 분야를 선도하는 개척정신을 중시한다. 이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시가 바로 인하대의 로켓 개발이다. 인하대는 대한민국의 로켓 개발사에 큰 역할을 하였는데, 한국의 로켓 개발은 초기엔 정부 주도로 이루어지다가 4.19 혁명과 5.16 군사정변 등의 정치 격변을 겪으며 인하대를 중심으로한 민간 연구로 넘어갔다. 당시 인하대는 우리나라 로켓 개발의 최선두에 선 대학이었고, 그 시기 한국의 로켓 개발은 사실상 인하대에서 전담했다.[7] 1960년에 자체 기술 로켓인 IITO-1A와 IITO-2A를 발사했고 1964년엔 IITA-7CR을, 1968년에는 IITA-X21을, 1988년에는 IS-001,IS-002를 발사했다. 1964년에 개교 10주년으로 발사했던 IITA-7CR은 캠퍼스에 그 모형이 지금도 전시되어 있다. 현재도 활동 중인 로켓연구 동아리인 INHA Rocket Research Institute (I.R.R.I)는 인하대의 로켓 연구에 대한 열정으로부터 비롯된 한국 최초의 대학생 로켓동아리이다. 이러한 특징과 능력은 현재에도 이어져 2018년에는 NASA와 공동연구를 위한 우주기술계약을 아시아 대학 최초로 맺어 NASA의 심우주 탐사 프로젝트인 헬리오스 프로젝트에 동참하는 등 인하대학교의 개척 정신을 확인할 수 있다. ◇ 창업정신 인하대학교는 한국 벤처기업 1호인 비트컴퓨터를 시작으로 국내에서 내로라 하는 벤처기업가들을 수없이 배출해왔다. 그래서 1990년대 후반 벤처 돌풍이 휩쓸 때는 벤처가 강한 대학 이라는 슬로건으로 주요 동문들을 내세워 홍보하여 많은 효과를 얻었다. 지금도 '해커톤대회', '창업경진대회', '스타트업 부스터' 같은 행사나 창업 관련수업을 수시로 개최하고 있기 때문에 스타트업이나 벤처기업에 관심이 많은 학생이라면 참여해 볼 만하다. 학사과정도 전반적으로 굉장히 유연하여 전과도 활발하고 부전공, 복수전공도 유연하기 때문에 입학 후에도 본인의 전공이 맞지 않는 것 같으면 본인의 적성을 찾아 전과를 하여 진로를 수정하기에도 수월하고, 부전공이나 복수전공을 통하여 여러 분야를 배우고자 하는 학생들에게도 매우 좋은 환경이다. 이 때문인지 자신의 적성을 찾아 다양한 수업을 듣고, 자신의 진정한 진로를 찾아가는 학생들이 많다. 또한 인하대학교는 서울대, 한양대에 이어 3번째로 창업가가 많은 대학이다. 이에 그치지 않고 2023년 기준 100대 기업 CEO 출신 대학 5위에 올랐고 2018년 기준 코스닥 기업 CEO 출신 대학 10위, 30대 대기업 임원 출신대학 조사에서는 9위에 오르는 등 기업 CEO들과 대기업 임원들을 많이 배출했다. 전반적으로 인하대학교 출신 CEO 및 임원 비율은 높은 편에 속하며 스타트업 및 창업 분야에서도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 |
7. 동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출신 인물#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출신 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응원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응원가#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응원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학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학부#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학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0. 대학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대학원#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대학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1. 학사제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학사제도#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학사제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인하대학교의 학사제도는 상당히 자유로운 편이다. 전과도 매우 활발하고, 채플같은 귀찮은 과목도 없고, 복수전공 및 부전공도 매우 유연하다. 유사 계열 뿐만 아니라 문이과 간의 전과도 상당히 활발하다. 게다가 2,3,4학년 모두 전과가 가능하다.[8] 정원이 생기면 간호학과나 사범대 전과도 가능하다. 심지어 의대 전과도 가능했지만 지금은 없어졌다.[9] 인하대의 1학년들은 모두 자유전공학부라는 말이 있을 정도다.
12. 학교생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학교생활#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학교생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3. 캠퍼스 및 시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캠퍼스 및 시설#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캠퍼스 및 시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 인하대학교 용현캠퍼스 | |
| 인하대학교 항공우주융합캠퍼스 | |
14. 교통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교통#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교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5. 상권 및 생활환경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주변 환경#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주변 환경#|]]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6. 대학병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병원#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병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7. 대학평가
| | |||||||
| <colbgcolor=#005bac,#005BAC><colcolor=#fff> 연도 | QS | THE | ARWU | CWUR | USN & WR | CWTS P(10%) | Nature Index |
| 2020 | 521-530위 | 801-1000위 | 601-700위 | 677위 | -위 | 639위 | 국내 21위 |
| 2021 | 531-540위 | 801-1000위 | 701-800위 | 701위 | -위 | 608위 | 국내 26위 |
| 2022 | 561-570위 | 1001-1200위 | 601-700위 | 708위 | -위 | 609위 | 국내 22위 |
| 2023 | 531-540위 | 1001-1200위 | 601-700위 | 715위 | 1327위 | 594위 | 국내 22위 |
| 2024 | 691-700위 | 801-1000위 | 601-700위 | 731위 | 1189위 | 685위 | 국내 21위 |
| 2025 | 631-640위 | 801-1000위 | 601-700위 | 728위 | 1144위 | - | 국내 20위 |
17.1. 중앙일보 대학평가
2024년 종합순위 14위.2012년 전후 정도까지는 카이스트와 포스텍을 포함하고도 종합 9~10위 정도의 수준이었다.
카이스트-포스텍 / 서울 연세 고려 서강 성균관 한양 다음의 포지션으로 해마다 조금씩 달랐지만 인하대는 주로 9-10위의 포지션으로 이화여대, 경희대, 중앙대, 한국외대 등과 TOP 10을 다투는 입장이었다.
13년이후 TOP 10에서 밀려나고 있는 추세. 17년의 8위 이후 현재는 약 15위권에 있다. (2014년부터 카이스트와 포스텍은 순위에서 제외되어 있다. 17년은 실질적으로는 10위인 셈).
18. 사건 사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사건 사고#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하대학교/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9. 방송 촬영
- 드라마 비밀의 숲에서 주인공들이 근무하는 서부지검을 인하대 캠퍼스에서 촬영하여 자주 등장한다. 특히 본관과 정석학술정보관.
- 드라마 역도요정 김복주에 주인공들이 다니는 한얼대로 인하대 캠퍼스 곳곳이 자주 등장한다.
- 드라마 보이스(OCN)에 5호관이 등장한다.
- 드라마 아다마스에서 송수현이 근무하는 중앙지검으로 자주 등장한다.
-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 본관 내외부와 60주년 기념관 인근이 등장한다.
- 드라마 천원짜리 변호사에 캠퍼스 곳곳이 등장한다.
- 드라마 소방서 옆 경찰서에 본관이 서울동부지방법원으로, 정석학술정보관이 서울동부지방검찰청으로 등장한다.
- 드라마 나쁜엄마
- 드라마 마이 데몬
- 드라마 판도라: 조작된 낙원
- 웹예능 전과자 45화에서 생명공학과를 주로 다루었다.
- 드라마 피라미드 게임
- 드라마 중증외상센터
- 드라마 두 번째 시그널
- 영화 악녀에서 국정원 간부들이 회의하는 장면을 촬영했다.
20. 여담
- 하와이 교민 1세대들이 특히 학교에 대해 애정이 많았다. 인하학보 1961년 제17호 기사에 하와이 교포들이 학교를 방문하여 인하대의 발전에 매우 기뻐하면서 "베리베리 기뻐요"를 외쳤다는 기록이 있다. 그리고 1966년 제44호 기사에서는 하와이 교포 여자 방문단 일행이 "우리 하와이 교포는 뜻 깊은 인하대학에 지극한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학생 여러분의 성실한 공부로 가난한 우리나라를 부흥시켜 달라"고 말했다는 기록이 있다.
- 같은 재단의 인하공업전문대학의 캠퍼스가 바로 옆에 있기는 하나 재단만 같을 뿐 서로 별개의 학교다.
- 현재도 활동하고 있는 로켓 연구 동아리인 인하로케트연구회는 한국 대학생 최초의 로켓 동아리이다.
- 지금은 전국에 퍼져 있는 계란빵을 1980년대에 최초로 만든 원조 가게가 인하대 후문에 2024년 현재도 영업 중이다.
- 교내 연못인 인경호에서 신종 미생물이 발견되어 국제미생물생명공학회지에 논문이 실렸다. 미생물의 이름은 인하대학교와 인경호의 이름을 합친 I‘nhella inkyongensis(인헬라 인경엔시스)로 명명되었다.[12]
- 인하대학교에 학교발전기금으로 5천만원 이상을 후원할 경우 인하대 특수대학원 수험료 50% 할인 등은 물론 대한항공 SKYPASS 모닝캄 프리미엄 클럽 평생회원이 될 수 있다. 또한, 1억원 이상 기부시 기부자의 이름을 딴 강의실 네이밍권을 부여한다. 출처
21. 둘러보기
| | |||||||||||||||||||||||||||||||||||||||||||||||||||||||||||||||||||||||||||||||||||||||||||||||||||||||||||||||||||||||||||||||||||||||||||||||||||||||||||||||||||||||||||||||||||||||||||||||||||||||||||||||||||||||||||||||||||||||||||||||||||||||||||||||||||||||||||||||||||||||||||||||||||||||||||||||||||||||||||||||||||||||||||||||||||||||||||||||||||||||||||||||||||||||||||||||||||||||||||||||||||||||||||||||||||||||||||||||||||||||||||||||||||||||||||||||||||||||||||||||||||||||||||||||||||||||||||||||||||||||||||||||||||||||||||||||||||||||||||||||||||||||||||||||||||||||||||||||||||||||||||||||||||||||||||||||||||||||||||||||||||||||||||||||||||||||||||||||||||||||||||||||||||||||||||
| |||||||||||||||||||||||||||||||||||||||||||||||||||||||||||||||||||||||||||||||||||||||||||||||||||||||||||||||||||||||||||||||||||||||||||||||||||||||||||||||||||||||||||||||||||||||||||||||||||||||||||||||||||||||||||||||||||||||||||||||||||||||||||||||||||||||||||||||||||||||||||||||||||||||||||||||||||||||||||||||||||||||||||||||||||||||||||||||||||||||||||||||||||||||||||||||||||||||||||||||||||||||||||||||||||||||||||||||||||||||||||||||||||||||||||||||||||||||||||||||||||||||||||||||||||||||||||||||||||||||||||||||||||||||||||||||||||||||||||||||||||||||||||||||||||||||||||||||||||||||||||||||||||||||||||||||||||||||||||||||||||||||||||||||||||||||||||||||||||||||||||||||||||||||||||
[1] 1971년 12월에 종합대학 인하대학교로 승격[2] 대한항공 등의 항공사와 물류 법인을 보유한 2023년 기준 대한민국 재계서열 11위의 한진그룹의 학교법인이다.[3] 당시는 경기도 인천시가 인천직할시로 승격하기 이전이었다.[4] 원래는 금빛의 몸을 가지고 있었으나, 인덕이가 여의주를 삼켜버려 금빛 기운을 잃게 되었다.[5] 인덕이 함께 힘을 합치면, 본래의 모든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설정이다.[6] 둥근 플라스크를 닮았다.[7] 1960년대에는 사실상 인하대 뿐이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생기기 이전인 1980년대까지도 인하대와 공군사관학교, ADD 밖에 없는 것을 볼 수 있다.[8] 물론 3,4학년 때 전과한다면 졸업이 늦춰질 건 각오해야 한다...[9] 물론 의대 전과의 경우는 난이도가 극악이었다. 화공, 생공, 화학, 생명 정도 이외에는 안 뽑는데다 이 과를 현역~재수 이내로 들어온 1학년 중 학점 4.5에 만점에 수렴하는 토익, 전과영어 점수를 만족하는 사람들 간의 경쟁이기 때문이며 그래도 전과인 이상 의대를 수시/정시로 가는 것보단 쉬웠다.[10] 촬영 자체는 정석항공과학고등학교 건물 옥상에서 한 것으로 보인다.[11]
[12] 이후 추가로 3개의 신종 미생물이 국제학술지에 등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