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0 23:21:35

김해대학교

파일:김해대학교 UI.svg 김해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전문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동양미래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미래대학교 · 파일:명지전문대학 엠블럼.svg 명지전문대학 · 파일:배화여자대학교 UI.svg 배화여자대학교 · 파일:삼육보건대학교 UI.svg 삼육보건대학교 · 파일:서울여자간호대학교 UI.svg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파일:서일대학교 엠블럼.svg 서일대학교 · 파일:숭의여자대학교 UI.svg 숭의여자대학교 · 파일:인덕대학교 엠블렘.svg 인덕대학교 · 파일:한양여자대학교 엠블럼.svg 한양여자대학교
파일:경기과학기술대학교 엠블럼.svg 경기과학기술대학교 · 파일:경민대학교 교표.svg 경민대학교 · 파일:경복대학교 엠블럼.svg 경복대학교 · 파일:계원예술대학교 UI.svg 계원예술대학교 · 파일:국제대학교 심볼.svg 국제대학교 · 파일:김포대학교 UI.svg 김포대학교 · 파일:농협대학교 엠블럼.svg 농협대학교 · 파일:대림대학교 UI.svg 대림대학교 · 파일:동남보건대학교 UI.svg 동남보건대학교 · 파일:동서울대학교 UI.svg 동서울대학교 · 파일:동아방송예술대학교 로고.svg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파일:동원대학교 UI.svg 동원대학교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UI.svg 두원공과대학교 · 파일:부천대학교 심볼.svg 부천대학교 · 파일:서울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예술대학교 · 파일:서정대학교 심볼.svg 서정대학교 · 파일:수원과학대학교 UI.svg 수원과학대학교 · 파일:수원여자대학교 UI.svg 수원여자대학교 · 파일:신구대학교 UI.svg 신구대학교 · 파일:신안산대학교 UI.svg 신안산대학교 · 파일:안산대학교 UI.svg 안산대학교 · 파일:연성대학교 엠블럼.svg 연성대학교 · 파일:여주대학교 UI.svg 여주대학교 · 파일:오산대학교 UI.svg 오산대학교 · 파일:용인예술과학대학교 UI.svg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파일:웅지세무대학교 엠블럼.svg 웅지세무대학교 · 파일:유한대학교 UI.svg 유한대학교 · 파일:장안대학교 UI.svg 장안대학교 · 파일:청강문화산업대학교 UI.svg 청강문화산업대학교 · 파일:한국관광대학교 UI.svg 한국관광대학교
파일:경인여자대학교 엠블럼.svg 경인여자대학교 · 파일:인하공업전문대학 UI.svg 인하공업전문대학 · 파일:재능대학교 심볼.svg 재능대학교
파일:강릉영동대학교 UI.svg 강릉영동대학교 · 파일:강원도립대학교 UI.svg 강원도립대학교 · 파일:세경대학교 UI.svg 세경대학교 · 파일:송곡대학교 UI.svg 송곡대학교 · 파일:송호대학교 UI.svg 송호대학교 · 파일:한국골프대학교 UI.svg 한국골프과학기술대학교 · 파일:한림성심대학교 UI.svg 한림성심대학교
파일:한국영상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영상대학교
파일:대덕대학교 UI.svg 대덕대학교 · 파일:대전과학기술대학교 UI.svg 대전과학기술대학교 · 파일:대전보건대학교 심볼.svg 대전보건대학교 · 파일:우송정보대학 심볼.svg 우송정보대학
파일:계명문화대학교 심볼.svg 계명문화대학교 · 파일:대구공업대학교 UI.svg 대구공업대학교 · 파일:대구과학대학교 UI.svg 대구과학대학교 · 파일:대구보건대학교 UI.svg 대구보건대학교 · 파일:수성대학교 UI.svg 수성대학교 · 파일:영남이공대학교 UI.svg 영남이공대학교 · 파일:영진전문대학교 심볼.svg 영진전문대학교
파일:광주보건대학교 UI.svg 광주보건대학교 · 파일:기독간호대학교 심볼.svg 기독간호대학교 · 파일:동강대학교 교표.svg 동강대학교 · 파일:서영대학교 교표.svg 서영대학교 · 파일:조선간호대학교 UI.svg 조선간호대학교 · 파일:조선이공대학교 심볼.svg 조선이공대학교
파일:경남정보대학교 UI.svg 경남정보대학교 · 파일:대동대학교 UI.svg 대동대학교 · 파일:동의과학대학교 심볼.svg 동의과학대학교 · 파일:부산경상대학교 UI.svg 부산경상대학교 · 파일:부산과학기술대학교 엠블럼.svg 부산과학기술대학교 · 파일:부산보건대학교 심볼.svg 부산보건대학교 · 파일:부산여자대학교 심볼.svg 부산여자대학교 · 파일:부산예술대학교 UI.svg 부산예술대학교
파일:울산과학대학교_UI.svg 울산과학대학교 · 파일:춘해보건대학교 UI.svg 춘해보건대학교
파일:강동대학교 UI.svg 강동대학교 · 파일:대원대학교 UI.svg 대원대학교 · 파일:충북도립대학교 UI.svg 충북도립대학교 · 파일:충북보건과학대학교 UI.svg 충북보건과학대학교 · 파일:충청대학교 UI.svg 충청대학교
파일:백석문화대학교 심볼.svg 백석문화대학교 · 파일:신성대학교 UI.svg 신성대학교 · 파일:아주자동차대학 엠블럼.svg 아주자동차대학교 · 파일:연암대학교 엠블럼.svg 연암대학교 · 파일:충남도립대학교 심볼.svg 충남도립대학교 · 파일:혜전대학교 UI.svg 혜전대학교
파일:군산간호대학교 UI.svg 군산간호대학교 · 파일:군장대학교 UI.svg 군장대학교 · 파일:백제예술대학교 UI.svg 백제예술대학교 · 파일:원광보건대학교 UI.svg 원광보건대학교 · 파일:전북과학대학교 UI.svg 전북과학대학교 · 파일:전주기전대학 UI.svg 전주기전대학 · 파일:전주비전대학교 UI.svg 전주비전대학교 · 파일:한국농수산대학교 UI.svg 한국농수산대학교
파일:광양보건대학교 로고.svg 광양보건대학교 · 파일:나주대학교 엠블럼.svg 나주대학교 · 파일:동아보건대학교 심볼.svg 동아보건대학교 · 파일:목포과학대학교 UI.svg 목포과학대학교 · 파일:순천제일대학교 UI.svg 순천제일대학교 · 파일:전남과학대학교 UI.svg 전남과학대학교 · 파일:전남도립대학교 UI.svg 전남도립대학교 · 파일:청암대학교 심볼.svg 청암대학교 · 파일:한영대학교 UI.svg 한영대학교
파일:가톨릭상지대학교 UI.svg 가톨릭상지대학교 · 파일:경북과학대학교 심볼.svg 경북과학대학교 · 파일:경북보건대학교 심볼.svg 경북보건대학교 · 파일:경북전문대학교 엠블럼.svg 경북전문대학교 · 파일:구미대학교 UI.svg 구미대학교 · 파일:대경대학교 UI.svg 대경대학교 · 파일:문경대학교 UI.svg 문경대학교 · 파일:선린대학교 심볼.svg 선린대학교 · 파일:성운대학교 UI.svg 성운대학교 · 파일:안동과학대학교 UI.svg 안동과학대학교 · 파일:영남외국어대학 심볼.svg 영남외국어대학 · 파일:포항대학교 UI.svg 포항대학교 · 파일:호산대학교 UI.svg 호산대학교
파일:거제대학교 UI.svg 거제대학교 · 파일:경남도립거창대학 UI.svg 경남도립거창대학 · 파일:경남도립남해대학 UI.svg 경남도립남해대학 · 파일:김해대학교 UI.svg 김해대학교 · 파일:동원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파일:마산대학교 UI.svg 마산대학교 · 파일:연암공과대학교 엠블럼.svg 연암공과대학교 · 파일:진주보건대학교 UI.svg 진주보건대학교 · 파일:창원문성대학교 UI.svg 창원문성대학교 · 파일:한국승강기대학교 심볼.svg 한국승강기대학교
파일:제주관광대학교 심볼.svg 제주관광대학교 · 파일:제주한라대학교 UI.svg 제주한라대학교
}}}}}}}}} ||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의 전문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전문대학 파일:거제대학교 UI.svg 거제대학교 · 파일:경남도립거창대학 UI.svg 경남도립거창대학 · 파일:경남도립남해대학 UI.svg 경남도립남해대학 · 파일:김해대학교 UI.svg 김해대학교
파일:동원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동원과학기술대학교
파일:마산대학교 UI.svg 마산대학교
파일:연암공과대학교 엠블럼.svg 연암공과대학교
파일:진주보건대학교 UI.svg 진주보건대학교
파일:창원문성대학교 UI.svg 창원문성대학교
파일:한국승강기대학교 심볼.svg 한국승강기대학교
기능대학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 한국폴리텍Ⅶ대학(진주·창원) ·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 한국폴리텍특성화대학(항공)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파일:김해시 CI_White.svg 김해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립 파일:가야대학교 UI.svg 가야대학교
파일:부산장신대학교 UI.svg 부산장신대학교
파일:인제대학교 교표.svg 인제대학교(김해캠퍼스)
전문대학
파일:김해대학교 UI.svg 김해대학교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한국대학IR협의회 로고.pn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1C98A7> 회원대학 <colbgcolor=#1C98A7> 대학 <colbgcolor=#fff,#191919>파일:가야대학교 UI.svg 가야대학교 · 파일: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svg 가톨릭관동대학교 ·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강서대학교 ·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 파일:경일대학교 UI.svg 경일대학교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 파일:광주교육대학교 UI.svg 광주교육대학교 · 파일:광주대학교 UI.svg 광주대학교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파일:김천대학교 UI.svg 김천대학교 · 파일:나사렛대학교 UI.svg 나사렛대학교 · 파일:남부대학교 UI.svg 남부대학교 ·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 ·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 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 대구한의대학교 · 파일:대전대학교 엠블럼.svg 대전대학교 · 파일:대진대학교 UI.svg 대진대학교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 파일:동서대학교 엠블럼.svg 동서대학교 · 파일:동신대학교 엠블럼.svg 동신대학교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 파일:동양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대학교 · 파일:동의대학교 UI.svg 동의대학교 ·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 파일:백석대학교 UI.svg 백석대학교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 · 파일:서울신학대학교 UI.svg 서울신학대학교 · 파일:서원대학교 UI.svg 서원대학교 ·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 파일:송원대학교 엠블럼.svg 송원대학교
파일:수원대학교 심볼.svg 수원대학교 ·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 ·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 파일:신라대학교 교표.svg 신라대학교 ·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 파일:용인대학교 엠블럼.svg 용인대학교 · 파일:우석대학교 UI.svg 우석대학교 · 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 ·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파일:유원대학교 UI.svg 유원대학교 · 파일:을지대학교 UI.svg 을지대학교 · 파일:인제대학교 교표.svg 인제대학교 ·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 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 · 파일:청운대학교 심볼.svg 청운대학교 · 파일:청주대학교 UI.svg 청주대학교 · 파일:추계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추계예술대학교
파일:POSTECH_emblem.svg 포항공과대학교 · 파일:한경국립대학교 로고.svg 한경국립대학교 ·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 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 · 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파일:한라대학교 엠블럼.svg 한라대학교 · 파일:한림대학교 앰블럼.svg 한림대학교 ·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 파일:협성대학교 UI.svg 협성대학교
파일:호남대학교 UI.svg 호남대학교 · 파일:호원대학교 UI.svg 호원대학교
전문대학 파일:경남정보대학교 UI.svg 경남정보대학교 · 파일:경인여자대학교 엠블럼.svg 경인여자대학교 · 파일:계원예술대학교 UI.svg 계원예술대학교 · 파일:김해대학교 UI.svg 김해대학교 · 파일:대구보건대학교 UI.svg 대구보건대학교
파일:마산대학교 UI.svg 마산대학교 · 파일:삼육보건대학교 UI.svg 삼육보건대학교 · 파일:선린대학교 심볼.svg 선린대학교 · 파일:용인예술과학대학교 UI.svg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파일:전남과학대학교 UI.svg 전남과학대학교
파일:조선이공대학교 심볼.svg 조선이공대학교 · 파일:춘해보건대학교 UI.svg 춘해보건대학교 · 파일:한국관광대학교 UI.svg 한국관광대학교 · 파일:한양여자대학교 엠블럼.svg 한양여자대학교 · 파일:한영대학교 UI.svg 한영대학교
대학원대학 파일: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
김해대학교
金海大學校

Gimhae College
파일:김해대학교 UI.svg
<colbgcolor=#ffffff> 교훈 <colbgcolor=#ffffff> 창의, 정의, 실천
분류 사립 전문대학 2/3/4년제
개교 2005년
총장 편금식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소재 경상남도 김해시 삼안로112번길 198
재학생 수 1,368명[1]
전임교원 수 51명[2]
학교법인 영해학원
경영위기대학 전문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대학 (2024년)
웹 사이트 https://www.gimhae.ac.kr
본교
차별적 역량의 현장중심
건강보건복지 특성화 대학
Challenge Your Dream

1. 개요2. 학부 및 학과
2.1. 자연과학계열
2.1.1. 보건계열
2.1.1.1. 소방계열2.1.1.2. 공학계열
2.2. 인문사회계열2.3. 예체능계열
3. 연혁4. 인증 및 선정사례5. 대학재정6. 캠퍼스 안내7. 교통8. 병역9. 여담

1. 개요

김해대학교 홍보영상 (2024)
  • 김해대학교(金海大學校, Gimhae College)는 경상남도 김해시에 있는 사립 전문대학 2/3/4년제이다.
  • 건강보건복지 특성화 대학으로 보건 계열의 학과가 주를 차지한다.

2. 학부 및 학과

2.1. 자연과학계열

2.1.1. 보건계열

2.1.1.1. 소방계열
2.1.1.2. 공학계열
  • AI융합의료과

2.2. 인문사회계열

  • 휴먼케어학부
    • 사회복지전공
    • 뷰티케어전공
    • 호텔조리제과제빵전공
    • 글로벌휴먼케어전공
  • 유아교육과(3년제)

2.3. 예체능계열

3. 연혁

  • 2004년 12월 : 김해대학 설립
  • 2005년 2월 : 김해대학 개교
  • 2012년 : 김해대학에서 김해대학교로 교명 변경
  • 2014년 : 교육부 선정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
  • 2015년 : 교육부 선정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 D+등급[3] 신청가능
  • 2017년 : 교육부 대학구조개혁평가 2차년도 이행점검 결과 재정지원제한 완전 해제
  • 2018년 : 교육부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결과 역량강화대학[4] 선정 및 조건부 일반재정지원
  • 2019년 : 교육부 주관 전문대학혁신지원 역량강화형(Ⅱ유형)선정
  • 2022년 : 교육부 대학기본역량진단 결과 일반재정지원대학[5] 선정

4. 인증 및 선정사례

  • 고등직업교육 평가인증원 품질인증대학[6]
  • 한국간호교육평가원 간호교육 인증평가 획득[7]
  • 교육부 주관 교육기부 진로체험 인증기관 선정[8]
  • 전문대 연계 고등 2-2학기 직업교육 위탁과정 선정[9]
  • 국토교통부 주관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10]
  • 교육부 주관 고등직업교육 거점지구사업[11]
  • 대학혁신지원사업 일반재정지원형 선정[12]

5. 대학재정

  •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이 112.3%[13]로서 사립대학 중 많은 재산을 확보하고 있다.
  • '법적부담금[14]'은 0%[15]로서 낮은 수치[16]를 유지하고 있다.
    • 법인이 수익용 기본재산에서 발생한 수입으로 법정부담금을 부담할 수 없는 경우 교비회계(등록금)에서 부담하도록 예외조항[17]을 뒀다.

6. 캠퍼스 안내

  • A동 창의관 = 강의 및 실습실, 정독실, 학생식당, 교직원 식당, 서점(문구/복사)[18]
  • B동 실천관 = 남학생 생활관, 학생회실, 학보사실, 학생 동아리실, 풋살장(외부)
  • C동 정의관 = 여학생 생활관, 정독실, 휴게실, 교수연구실, 회의실, 상담실, 세미나실
  • E동 실용관 = 도서관, 정독실, 편의점(CU), 휴게시설, 강의동, 스카이홀

7. 교통

  • 학기 중에만 통학버스를 운행한다.
  • 등교시 운행하는 통학버스의 방면은 다음과 같다[19].
    • 창원/장유 방면
    • 창원/마산/진영 방면[마산/진영]
    • 장유 방면
    • 서면/사상 방면
    • 동래/덕천 방면
  • 하교시 운행하는 통학버스의 방면은 다음과 같다[21].
    • 창원 방면
    • 부산덕천/동래 방면
    • 장유 방면
    • 마산/진영 방면
  • 자세한 내용은 https://www.gimhae.ac.kr/CmsHome/sub04_06.aspx에서 확인 할 수 있다.
    • 실시간 통학버스의 위치는 통학버스위치조회[23]에서 확인 할 수 있다.
    • 통학버스위치조회 ID/PW는 링크 접속 후 노선 전체 다운받기 -> 네모난 칸에 있다.
  • 김해에 거주하는 경우 시내버스 100번을 통하여 통학 할 수 있다.

8. 병역

  • 김해대학교는 전문대학교로서 ROTC가 없다.[24]
  • 군 입대부터 제대까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입대]
* 군 입대 시기를 1-2학기 / 2-1학기 / 졸업의 과정으로 나눈다.
* 징집병 / 모집병 선발 통보로 입대가 확정된 경우, 학사정보시스템 - 학적관리 - 휴학처리(휴학신청하기)에 등록한다.
* 학과사무실에 입영통지서[25]와 (군입대)휴학신청서[26]을 복사하여 제출한다.[27]
* 입대 전, 학사정보시스템 - 학적관리(개인학적현황) - 학적변동에서 "군입대휴학"을 확인한다.
[전역]
* 군 제대 이후, 해당년도 본인의 학기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일반)휴학신청서를 신청하여 휴학한다.[28]
* 전역 후 복학 전, 학사정보시스템 - 학적관리 - 복학처리(복학신청하기)에 등록한다.
* 학과사무실에 전역(병역)증명서[29]과 김해대학교 복학신청서[30]을 복사하여 제출한다.[31]
* 등록금 고지서 발부 시, (복학생)등록금 입금 계좌로 이체한다.
* 등교 전, 학사정보시스템 - 학적관리(개인학적현황) - 학적변동에서 "제대복학"을 확인한다.

9. 여담

  • 자가용, 대중교통 중 어느 교통편을 이용하더라도 대학 위치 상 경사로 인해 불편감을 겪는다.
    • 경차의 경우, 저단기어(4단 기어 기준 1단 및 CVT 기준 L단) 사용을 권장한다.
  • 학생식당 가격 및 맛과 질 향상이 매년 건의되고 있다[32].
    • 물가 상승 및 인건비 상승으로 가격 상승[33] 및 맛[34]은 어쩔 수 없으나, 학생 입맛에 맞는 메뉴 선정은 이루어져야 한다.
  • 학교카페와 무인카페기계 2대[35]가 있어 A동 창의관에서는 언제든지 마실 수 있다[36].
    • 무인카페기계의 안정적인 맛과 가격대가 괜찮아 많이 찾는 편으로 주기적인 관리가 되고있지만 일부 이용자가 음료 흘림등에 따른 뒷 정리를 안하고 가는 경우가 있어 외관상 좋지 않을 때도 있다.
  • 배달의 민족/요기요 등 음식 배달 가능 지역이지만 배달 대행에 따라 추가금 받는 식당도 있다[37].
    • A동 창의관 B1층[38], 1층[39], 5층[40]에서 취식 가능하다.
  • 김해대학교는 국가건강증진법에 따라 시설 전체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하고, 지정된 장소 외 흡연은 금지하고 있다.
    • 일부 흡연자가 지정되지 않은 장소에서 흡연한 사례가 계속 확인되고 있어, 지속 민원이 발생한 바 있다.
    • 이에, 김해대학교는 총 8개의 장소를 제외한 구역에서 흡연 적발시 실제 과태료를 부과함으로 공지 하였다.
  • 2024년 일반전형 내 신입생 충원률이 72.9%로 낮은 편이다. 113명만 신입생으로 등록했다.
  • 2025년 신입생 충원률이 65.7%를 기록해 경상남도내 대학 중 최하위권을 차지했다.


[1] 2024년 기준[2] 2024년 기준[3] 국가장학금 2유형+학자금대출[4] 국가장학금 1, 2유형+학자금대출 신청가능[5] 국가장학금 1, 2유형+학자금대출 신청가능[6] 20년 1월 ~ 24년 12월[7] 21년 6월 ~ 26년 6월[8] 21년 1월 ~ 23년 12월[9] 23년 3월 ~ 23년 12월[10] 21년 10월 ~ 23년 10월[11] 22년 ~ 24년[12] 22년 ~ 24년[13] 2022년[14] 법인(재단)이 내야하는 교직원 4대보험 비용 등을 말하며, 대학 자산의 건전성 지표로서 자산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15] 2022년[16] 100%에 가깝다면 법인(재단)이 부담하는 액수가 높으며, 0%에 가깝다면 교비회계(등록금)과 세금에서 부담하는 액수가 높다.[17] 사립대학 기준[18] 도서 구매 시 불친절 의견이 많은 편이다.[19] 2023년[마산/진영] 방면[21] 2023년[22] 2023년[23] 에스원 UVIS[24] 일부 전문대학교는 RNTC(부사관 학군단)을 운영한다.[25] 원본/사본[26] 원본[27] 학사정보시스템의 휴학 작성 일자와 휴학신청서의 제출일자(작성일자)가 동일하도록 작성한다.[28] 해당 과정을 거치지 않는 경우, 학적부에서 배제된다.[29] 병자력증명서(원본/사본)[30] 원본[31] 학사정보시스템의 복학 작성 일자와 복학신청서의 제출일자(작성일자)가 동일하도록 작성한다.[32] 학생회 공약 단골 멘트[33] 김해대학교 옆 "I"대학교도 학생식당 가격 상승[34] 사람마다 다른 입맛을 맞추기에는 사실상 어렵다.[35] A동 창의관 B1층, 3층[36] 18대 총학생회 다온의 공약 실현[37] 대체로 없는 편이다.[38] 학생식당 옆의 휴게실[39] 중앙 휴게실 및 흡연장소 근처 휴게실[40] 중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