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63666F> 전문대학 | ㄱ | <colbgcolor=#ffffff,#191919> |
| ㅅ | |||
| ㅎ | |||
| 기능대학 | ㅎ | }}}}}}}}} |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립 | ㄱ | |
| 사립 | |||
| ㄱ | |||
| 전문대학 | |||
| ㄱ | |||
| 기능대학 | |||
| ㅎ | |||
| 원격 대학 | ㅎ |
| 강릉영동대학교 江陵嶺東大學校 Gangneung Yeongdong University | ||
| | ||
| <colbgcolor=#008174><colcolor=#ffffff> 국가 | | |
| 분류 | 전문대학 | |
| 개교 | 1963년 6월 1일 | |
| 총장 | 제17대 현인숙[1] | |
| 재단 | 학교법인 현송학원 | |
| 주소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공제로 357[2] | |
| 재학생 수 | 2,617명(2024년) | |
| 교직원 수 | <colbgcolor=#008174><colcolor=#ffffff> 전임 교원 | 68명(2024년) |
| 직원 | 54명(2024년) | |
| 경영위기대학 | 전문대학기관 평가인증대학 (2024년) | |
| 링크 | ||
1. 개요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공제로 357에 소재한 사립 전문대학이다.6개 계열 22개 과를 보유하고 있다.
2. 역사
- 1963년 4월 - 강릉간호고등기술학교로 설립인가, 동년 6월 개교
- 1973년 3월 - 강릉간호전문학교 개교
- 1979년 3월 - 강릉간호전문대학 개교
- 1983년 3월 - 설립자 변경으로 학교법인 한보학원 정태수 이사장 취임
- 1988년 3월 - 영동전문대학으로 교명변경
- 2002년 9월 - 강릉영동대학으로 교명변경
- 2008년 4월 - 법인 명칭 변경 (학교법인 한보학원 → 학교법인 정수학원)
- 2009년 4월 - 법인 주소지 변경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316[3] → 강원도 강릉시 홍제동 1009]
- 2012년 12월 - 강릉영동대학교로 교명 변경
- 2022년 7월 - 법인 명칭 변경 (학교법인 정수학원 → 학교법인 현송학원)
3. 학과
| 계열 | 전공 | 비고 |
| 간호계열 | 간호학과 | 4년제, 교직이수 가능 |
| 보건계열 | 물리치료과 | 3년제 |
| 치위생과 | 3년제 | |
| 안경광학과 | 2년제 | |
| 뷰티미용과 | 2년제 | |
| K-메디컬뷰티과 | 2년제 외국인 학생 대상 한국인 학생 입학 불가 | |
| 인문사회계열 | 사회복지과 | 2년제 |
| 디지털안보행정학과 | 2년제 | |
| 고향사랑경영학과 | 성인학습자 과정 일반 학생 입학 불가 | |
| 공학계열 | AI메타버스과 | 2년제 |
| 토목건설과 | 2년제 | |
| 건축인테리어과 | 2년제 | |
| 글로벌에너지신소재과 | 2년제 외국인 학생 대상 한국인 학생 입학 불가 | |
| 예체능계열 | 실용음악예술과 | 2년제 |
| 휴먼레저음악과 | 2년제 | |
| 국제마인드스포츠과 | 2년제 외국인 학생 대상 한국인 학생 입학 불가 | |
| 자연과학계열 | 산림경영전공 | 2년제 |
| 전기드론전공 | 2년제 | |
| 스포츠지도전공 | 2년제 | |
| 승마산업전공 | 2년제 | |
| 레저스포츠전공 | 2년제 | |
| 제과제빵바리스타전공 | 2년제 | |
| 호텔조리전공 | 2년제 | |
| 호텔관광전공 | 2년제 |
3.1. 폐과
- 경영정보과
- 관광일어과
- 군사학과
- 귀금속세공디자인과
- 도시환경과
- 디지털영상광고과
- 부동산컨설팅과
- 비철금속과
- 사이버경찰과
- 여성교양과: 배우 김서형이 졸업한 학과이다.
- 영유아보육과
- 유통경영과
- 웨딩산업과
- 의료기기과
- 의료서비스코디과 : 의료계 종사자들이 입는 의복의 디자인을 담당하는 패션디자인학과였다.
- 의료코디네이터과
- 전기과
- 전자정보과
- 정보통신과
- 컴퓨터정보과
4. 대학 평가
- 2014년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에 포함돼서 불이익을 받았다.
-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는 상위 등급인 B등급에 선정돼서 어떠한 불이익도 받지 않게 되었다.
- 2018년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는 자율개선대학 선정에 탈락했다. 이후, 역량강화대학으로 포함돼서 정원감축 권고 7%, 특수목적재정지원사업 참여 허용, 정원감축시 조건부 일반재정지원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 결과, 일반재정지원 미선정대학으로 분류되어 재정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되었다.
5. 캠퍼스
5.1. 강릉캠퍼스
5.2. 태백캠퍼스
태백시, 강릉영동대 태백캠퍼스 유치 박차태백시는 대학 폐교[4]로 인한 청년층 유출 심화와 폐광[5] 이후 대체산업인 주요 국책사업과 연계한 인재 양성의 필요성에 따라 지난해부터 대학 유치에 힘써왔다.
강릉영동대는 태백캠퍼스 조성을 위해 현재 폐교된 옛 장성여자중 부지 매입을 검토 중이다.
시는 강릉영동대와 협력해 2027년 개교목표로 실무기반 교육 과정 설계, 기업연계형 계약학과 운영, 졸업 후 지역 정착 지원 정책 마련 등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모든 과정은 공정하고 투명하게 추진하며, 시의회, 시민과의 소통을 강화해 지역 발전과 인재 양성의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시는 설명했다.
강릉영동대는 올해 강원도 지역혁신지원체계(RISE) 사업에 선정됐다. 태백시 미래 신산업 기반 조성을 중심으로 지역 산업 수요와 연계한 맞춤형 취업·정주형 특성화 대학 운영, 지역 위기 대응 공동연구소 구축 등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지난달 23일에는 국제·어학교육원 분원 및 태백시 지역학습관을 개관했다.
5.3. 교통편
6. 사건 사고
학교 내에서 일어난 사건·사고에 대해서는,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할 수 있습니다. 학교 이름이 실명으로 보도될 필요는 없습니다.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 中 학교 분야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 中 학교 분야
6.1. 한보그룹 일가 논란
- 1963년에 공립 강릉간호고등기술학교로 설립된 학교이나, 1983년 한보그룹의 정태수가 중간에 설립자로 들어오면서 여기 또한 사학비리가 만연하게 되었다. 한보그룹의 몰락 이후에도 정태수는 이 대학에 여전히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고, 각종 비리로 감옥에 수감되었다. 5년 5개월 동안 복역하다 02년 10월에 고혈압 및 협심증에 고령을 이유로 병보석으로 석방되었으나 2005년 학교에서 무려 72억원의 교비를 빼돌린게 걸렸고 1심에서 3년의 유죄를 선고받았다. 그러나, 2007년 병치료를 이유로 일본으로 건너간 후 그 후 해외 도피 생활을 하다가 2018년 말에 사망하였다.
- 2009년 2월 정태수의 며느리[7]인 김정윤(金廷玧) 제9대 학장[8]이 교비 횡령과 용역의 불법계약 등으로 학교 운영에 중대한 장해를 초래했다는 이유로 직위해제되었다. 해외도피중인 정태수의 도피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사학비리를 저질렀던 것으로 관선이사 체재에서도 여전히 학교가 한보의 정태수 손아귀에 있었다는 것을 알려준 사건이였다. #
- 2011년 보수화된 정권에서 정태수마저 학교 복귀를 위해 작업 중이고 교육부가 석연치 않은 이유로 현인숙 이사장을 해임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 하지만 결과적으로 정태수 일가의 학교 장악 시도는 실패하고 현인숙 이사장이 다시 복귀했다.
6.2. 부총장의 코로나 관련 발언 논란
현재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수업 → 대면 수업 전환시기를 학교 측에서 논란 당일 오전에 회의한 후 오후에 총학생회와 가진 회의에서 부총장과 입학처장의 발언이 논란이 되었다.발언으로는 여러분들은 아직 젊기 때문에 코로나에 감염되어도 100% 완치할 수 있다고 제가 장담한다라는 발언을 하였고 입학처장도 안전보다 졸업과 취업이 우선이다라는 발언을 하였다. 물론 학교 측 입장에서도 온라인 강의 질이 떨어지는 과가 있기에 충분히 대면 수업의 입장에서 고려를 했겠지만 이와 별개로 학생들의 안전보다 자신들의 사익의 입장을 고수하려는 부분에서 많은 재학생들의 분노가 이어졌다.[9]
이후 일부 SNS와 언론사에 제보를 하는 등 재학생들이 발칵 뒤집어졌으며 대면 수업을 원하던 학생들도 이 발언에 대해서는 비판적이다. 현재 부총장은 개인적인 해명이 없는 상태이다.
7. 야구부
강릉영동대학교 야구부가 유명하다. 2018년 전국체육대회[10]에서 은메달을 차지했고, 2019년 제53회 대통령기 전국대학야구대회에서 첫 전국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2년제 대학이 4년제 대학을 결승전에서 최초로 승리한 기록을 세운건 덤. 같은 지역 내의 강릉고등학교 야구부와 연습 경기를 많이 가지며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다.[11] 최근 고3 야구선수들이 4년제 대학보다는 2년제 대학을 선호하기 시작하면서[12] 좋은 선수들이 많이 들어올 것으로 보인다.[13] 2021년에 대구 중구리틀야구단에서 인스트럭터로 활동하던 前 NC 다이노스의 김종호를 코치직으로 영입했다.강릉영동대에 지명된 프로 선수중 2024시즌 기준 1군에 주전으로 있는 선수로는 LG 트윈스 외야수 문성주와 두산 베어스 불펜 투수 최지강이 있다.최강야구 2023 시즌에 출연하여 최강 몬스터즈와의 두 번의 맞대결에서 모두 전승하였다.[14][15]
8. 출신 인물
- 에드워드 권 - 요리사
- 김지용 - 前 야구선수
- 문성주 - LG 트윈스 소속 야구 선수
- 이상호 - 前 야구 선수
- 이승재 - KIA 타이거즈 소속 야구 선수
- 김서형 - 배우
- 최지강 - 두산 베어스 소속 야구 선수
- 전다민 - 두산 베어스 소속 야구 선수
- 임선비 - 방송인
[1] 정수학원으로 바뀌면서 취임했던 이사장. 서능욱 九단의 아내이다.[2] 홍제동 1009[3] 1997년 외환위기의 원흉 중 하나인 한보그룹의 본사 소재지였다. 한보그룹이 망한 이후에도 법인은 여전히 저 곳에 소재했다.[4] 2024년, 태백시의 유일한 고등교육기관인 강원관광대학교의 폐교로 태백시는 현재 고등교육기관이 전무한 상황이다[5] 지역의 일자리인 장성광업소가 폐광하였으며, 석탄 산업이 크게 축소되면서 2025년에는 결국 대한석탄공사가 폐업하기도 하였다[6] 5~40분 간격. 평균 20~25분 간격이며 합쳐서 1일 35왕복 운행.[7] 정태수의 셋째 아들 정보근(鄭譜根, 1963. 9. 20 ~ ) 전 한보그룹 회장의 아내이다.[8] 대학의 총장과 같은 위치다. 지금은 교육부가 전문대학에도 대학교라는 명칭과 총장을 허용해주고 있다.[9] 사익의 입장이 고수하는 것이 아니고 학생들의 안전을 우선하여 대면 수업을 진행한다고 하였다면 분노는 일어나지도 않았을 것이다.[10] 야구/일반부[11] 강릉고는 2019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준우승을 차지했다.[12] 대학만 놓고 보자면 당연히 4년제가 훨씬 명문이고 좋다. 그러나 요즘의 대학야구는 고졸로 프로에 못 간 학생들이 차선책으로 가는 곳이다 보니 지명 가능성이 꽤 높은 선수가 고졸로 지명을 못 받아서 강제로 대학에 가게 되면 빨리 드래프트에 참여하기 위해서 일부러 전문대에 진학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전문대에서도 미지명되면 그 때 4년제 대학교로 편입한다. 말하자면 얼리 엔트리 같은 느낌. KBO에서도 2020년부터 얼리 엔트리 제도에 진지하게 고민하기 시작했고 2022년 드래프트부터 이 제도가 도입되었다.[13] 2년제 야구부 중에서도 가장 꾸준히 성과를 내서 그런지 20학번들 명단을 보면 프로에 가지 못 했던 선수들 중 가장 좋은 선수들을 싹쓸이하다시피 했다. 2021 드래프트 모의 지명에서도 가장 많이 언급되는 대학이기도 하다.[14] 1차전 3:2, 2차전 8:9[15] 심지어 단일팀 기준으로는 최강 몬스터즈 창단 최초로 스윕패를 안겨준 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