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전문대학 | ㄱ | <colbgcolor=#fff,#191919> |
ㄴ | |||
ㄷ | |||
ㅂ | |||
ㅅ | |||
ㅇ | |||
ㅈ | |||
ㅊ | |||
ㅎ | |||
기능대학 | I | ||
ㅎ | }}}}}}}}}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 국립 | ㄱ | |
사립 | ㅅ | ||
ㅇ | |||
전문 대학 | |||
ㄷ | |||
ㅇ | |||
대학원 대학 | ㄷ | ||
원격 대학 | ㅎ | }}}}}}}}} |
{{{#!wiki style="margin: -8px;" | <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125FA5> 회원대학 | <colbgcolor=#125FA5> 산학협력 고도화형 본사업 | <colbgcolor=#fff,#191919> | |
산학협력 고도화형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 ||||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 ||||
'''' ← ''LINC+ (2017~2021) ''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관계사 | |
지주회사 | <colbgcolor=#fff,#1f2023>DL | |
건설 | DL E&C | DL건설 | |
석유화학 | DL케미칼 | DL FnC | 여천NCC | 폴리미래 | Cariflex | |
에너지·제조·무역 | DL에너지 | DL모터스 | 대림 | |
레저 | 글래드호텔앤리조트 | 제주항공우주호텔 | 메이힐스 | |
문화 | 대림문화재단 | 대림미술관 | 디뮤지엄 | 구슬모아당구장 | |
교육 | 학교법인 대림학원 | 대림대학교 | 안양여자고등학교 | 안양여자중학교 |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 }}}}}}}}} |
대림대학교 大林大學校 DAELIM UNIVERSITY COLLEGE | ||
| ||
교훈 | 성실한 교양인, 유능한 기술인, 근면한 직업인 | |
상징 | 동물 | 명웅(곰) |
교목 | 담쟁이 | |
교색 | DUC Blue | |
국가 | | |
분류 | 2/3년제 사립 전문대학 | |
설립자 | 이재준 | |
개교 | 1977년 6월 24일 | |
총장 | 제 8대 황운광 | |
법인 | 학교법인 대림학원 | |
주소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임곡로 29 (비산동) | |
재학생 | 7,325명(2020 대학알리미) | |
교직원 | 전임교원: 171명(2020 대학알리미) 겸임교원: 176명 기타교원: 3명 강사: 166명 직원: 70명 계약직: 41명 | |
대학기본역량진단 | 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 (2021) | |
취업률 | 75.8%(2020 대학알리미) | |
홈페이지 | | |
[clearfix]
1. 설명
대림대학교는 경기도 안양시에 위치한 2/3/4년제 전문대학이다.[1] 1970년 학교법인 대림학원 설립인가를 시작으로 1977년 대림공업전문학교, 1990년 대림전문대학으로 교명 변경 이후 쭉 지나와 2011년 12월 대림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이름에서 볼 수 있듯 DL그룹 계열 학교법인이다. 그래서 처음에는 공업전문학교로 시작했으며 대림대학교로 바뀐 이후에도 자동차, 기계 관련 학과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2. 연혁
- 1970년 8월: 학교법인 대림학원 설립인가
- 1977년 6월: 대림공업전문학교 설립인가(토목, 건축, 기계, 전기 4개 과)
- 1978년 3월: 대림공업전문학교 개교
- 1978년 11월: 기계설계과 신설
- 1978년 12월: 대림공업전문대학으로 개편인가
- 1983년 9월: 공업경영과, 건축설비과, 실무영어과 신설
- 1984년 11월: 공업재료과, 전자과 신설
- 1990년 11월: 대림전문대학으로 교명변경, 전자계산과 신설
- 1992년 10월: 제어계측과 신설
- 1998년 5월: 대림대학으로 교명 변경
- 2000년 11월: 학생정원조정 (19개학과 6,000명)
- 2001년 10월: 학생정원조정(1학부, 3계열, 24개과 및 전공, 5,986명)*
- 2001년 11월: 전자정보통신계열 수업연한 3년제 전환
- 2002년 11월: 건축계열 수업연한 3년제 전환, 학생정원조정 (1학부 ,4계열 25개과 및 전공 , 5,944명)
- 2003년 10월: 학생정원조정 (1학부, 4계열 26개과 및 전공, 6,140명)
- 2004년 10월: 학생정원조정 (4계열, 26개과 및 전공, 6,322명)
- 2006년 10월: 학생정원조정 (5계열, 31개과 및 전공, 6,254명)
- 2007년 10월: 학생정원조정 (5계열, 31개과 및 전공, 6,504명)
- 2009년 1월: 인력개발처, 교수학습센터 신설
- 2009년 10월: 대학발전계획 선포식
- 2010년 3월: 국제협력센터, 국제어학원 신설, 학생정원조정(4계열, 32개 과 및 전공, 6,095명)
- 2011년 4월: 한중협력센터 신설
- 2011년 12월: 대림대학교로 교명변경
- 2012년 3월: 대학민국 아이덴티티 리뉴얼 사이버 선포식
- 2012년 4월: 2012년도 전문대학 교육역량 강화사업 4년연속 우수대학 선정
- 2012년 7월: 2012 대한민국을 빛낸 대표브랜드 선정
- 2012년 10월: 학사삭위 전공심화과정 4개학과 설치인가 승인
- 2012년 11월: 대림아카덱스 2012 개최
- 2012년 11월: 교육과학기술부 지정 "우수 교수학습센터" 선정
- 2012년 11월: 2013학년도 수도권전문대학 진로 진학 박람회
- 2013년 2월: 2013년 고용노동부 청년고용재정지원사업 약정(협약)체결
- 2013년 2월: 고용노동부 대학취업지원관 지원사업 선정
- 2013년 3월: 전문대학 교육역량강화사업 5년 연속 선정
- 2013년 7월: 제 3회 대한민국 SNS 대상 수상(교육기관/연구소 부문)
- 2013년 8월: 제 7대 남중수 총장 취임
- 2013년 10월: 교육부 '세계적 수준의 전문대학(WCC:World Class College)' 선정
- 2014년 2월: 2014년 고용노동부 강소기업체험프로그램 사업 선정
- 2017년 8월: 제 8대 황운광 총장 취임
3. 임원
3.1. 이사장
- 남용 / 2020.05.16 ~ 2022.05.15 / 현. 디엘이앤씨(주) 상임고문
3.2. 총장
- 제갈정웅 (제 6대 총장) (전. 안양여자중학교 이사장)
- 남중수 (제 7대 총장) (전. KT 대표이사)
- 황운광 (제 8대 총장) (전. 우송대학교 솔브릿지국제경영대학 부총장, LG전자 부사장)
4. 캠퍼스
대림대학교의 언덕은 상당히 유명한편으로 경사가 심하다. 통학로도 경사가 심하지만 자동차관이나 홍지관을 제외하면 언덕을 더 올라야한다.[2] 이 때문에 학교에서는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였고 통학로에도 2018년에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여 학생들이 많이 편해졌다고한다. 캠퍼스는 그리 크지도 않고 작지도 않은 사이즈로 신식건물과 구식건물들이 반씩 섞여있으며 자동차학부, 스포츠지도과를 제외하면 다른 학과들은 건물을 같이 사용하는편이다. 아쉽게도 은행은 없고 ATM기만 존재하고 홍지관에 블루포트와 생활관에 카페베네가 있다.* 홍지관: 호텔관광과, 항공서비스과, 언어치료과, 유아교육과가 같이 쓰는 건물로 정문 맨 앞에 있는 건물로 대림아트홀이나 원스톱지원실, 제증명 발급기가 있는 건물로 복학신청이나 휴학신청, 자퇴신청을 하려면 이곳에서 하면 된다. .
- 한림관: 스포츠지도과 및 해군기술부사관과 학생들이 쓰는 건물로 실내체육관으로 사용되는 건물이다. 주로 입학식이나 졸업식을 이곳에서 진행한다. 과거 안양실내체육관이 완공되기 전 안양 SBS 프로농구단의 홈 경기가 잠시 이곳에서 진행됐다.
- 자동차관: 미래자동차학부 학생들이 쓰는 건물로 평생교육원도 이 건물안에 있다. 유일하게 학과이름이 사용된 건물이다.
- 퇴계관: 건축학부, 경영학부, 토목환경과, 실내디자인학부 학생들이 사용하는 건물로 신식건물이며 건물크기가 상당히 큰편이다. 율곡관과 연결되어있고 과제나 정보검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에이스 스테이션이 있다. 참고로 책구매는 퇴계관 1층에서 구매하면된다.
- 율곡관: 전기과, 스마트팩토리학부, 제과제빵커피전공, 호텔조리전공 학생들이 사용하는 건물로 퇴계관 뒤쪽에 있는 건물이다. 퇴계관과 연결되어있다.
- 정보통신관: 영상디자인전공, 방송음향기술전공, 스마트전자통신학부 학생들이 사용하는 건물로 꽤나 오래된 건물이다.
- 전산관: 컴퓨터정보학부 학생들이 사용하는 건물로 과제나 정보검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스테이션이 여기에 있다.
- 임곡관: 컴퓨터정보학부의 강의실이 있으며 취업팀, 기업연계센터, 현장실습지원센터, 장애학생지원센터, 보건실이 여기에 있다.
- 생활관: 편의점, 안경점, 카페가 있는 건물이다.
- 다산관: 기계과, 소방안전설비과, 보건의료기기과 학생들이 사용하는 건물. 상당히 오래되었으며 가장 먼 위치에 있어 통학할 때 좀 힘들다.
- 수암관: 비서사무행정과, 사회복지과, 도서미디어정보과 학생들이 사용하는 건물로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캠퍼스다. 대림대의 도서관인 수암도서관도 이 건물 4층에 있다.
- 학생회관: 학생식당, 편의점 및 학생예비군대대가 이곳에 있다. 3층은 임곡관과 연결되어있다. 지하에는 자동차학부 학생들의 실습실로 사용된다.
- 대학본부: 교육행정팀, 입학팀, 산학협력지원센터가 여기에 있다.
5. 학과
6. 교통
2015년 대림대사거리에 대림대학교와 안양천을 이어주는 횡단보도가 신설되었다.[3][4][5]2019년부터 학교 초입부터 무빙워크가 생겨서 올라가기가 좀 더 수월해졌다.[6]
6.1. 셔틀버스
6.2. 시내버스
6.3. 철도
수도권 전철 1호선 안양역에서 걸어서 15분 소요된다.과거에는 안양역에서 하차한 학생들이 인근 아파트 단지를 관통해서 학교로 간 일이 많아 아파트 단지에서 이를 막은 전력이 있다.
6.4. 택시
택시 타고 대림대를 가면 정문 혹은 운동장의 택시 승강장에서 내려준다. 학교 내부는 택시의 출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7]7. 출신 인물
7.1. 기업인
7.2. 연예계
7.3. 체육계
7.4. 음악계
- 박제성(작곡가) [13]
7.5. 게임계
- 황진형(재학중)
7.6. 인터넷방송인
7.7. 기타
8. 인터넷 커뮤니티
9. 여담
- 1980년대에 정문앞에 대림문구가 있었지만 망했다.
- 간판과를 뽑자면 역시 자동차과. 전문대 공학계열에선 인기가 상당히 많으며 입결도 꽤나 높은 편이다.[15] 또한 2015~2022년 KSAE 전국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4년연속 입상 및 우승을 하여 저력을 과시했다.
- KBL 안양 SBS 스타즈가 1999-2000 시즌에 이 대학교 체육관을 잠깐 홈 경기장으로 활용했다.
- 2018년 4월, 한 학생이 전자출결 시스템을 해킹하였다. 그 학생의 자진신고로 전자출결 앱과 대림대학교 전자출결 사이트가 문제점을 보완하여 업데이트를 실시했다. 공학계열 일부 학과에서 떠도는 소문이라 사실여부 확인은 어렵다.(사실이며 해킹을 했던 학생은 총장으로부터 공로상을 받았고, 약 1년간 컴퓨터소프트웨어과에서 조교로 근무했음)
사실 해킹이라고 보기에는 어렵다. 우회접속으로 교수 아이디와, 관리자 아이디로 접속할 수 있는 것이 였고,
당시 해당 전자출결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던 모든 대학교가 우회접속으로 관리자 접속, 교수 아이디로 접속 할 수 있는 치명적인 버그 였다. [16]
또한, 그 학생이 대학에 문제점을 보고하여 공로상을 수여받았지만, 당시 소속 학과장이 여러 부서에 불려가며, 그 과정은 매우 매끄럽지 않았다.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상을 받았으며, 공로상에 대한 포상은 전혀 없었다고 한다.
제일 중요한 것은, 당시 대학측에서 우회접속을 막았지만, 그 학생이 다른 방법으로 우회접속 해버리는 기염을 토하였고, 전자출결뿐만 아니라, 대학 시스템의 모든 학생과 교수의 로그인 정보를 바꿀 수 있는 취약점을 발견하였지만, 당시 조교로 근무 중이 였으며, 위 문제 또한 언급하였지만, 위에 쉬쉬하는 분위기였고,그 학생은 퇴사와 동시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다시 입사하였다.
- 대림대학교 축제하면, 불꽃축제였다. 하지만 2018년 축제를 마무리로 더이상 볼 수 없게 되었으며,
이유는 인근 약 3000여 세대 아파트 주민들의 민원과 불꽃놀이에 따른 환경, 군사시설, 비행 문제 등 많은 이유 인 것 같다. .
아쉽게 2018년 축제 이후로 불꽃축제를 볼 순 없지만, 한편으로는 대림대학생의 등록금을 하늘에 안 터트려서(?) 다행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10. 사건사고 및 논란
2006년 입학 당시 학장의 조카 두 명을 입학시킨답시고 예비 입학자의 번호가 2개씩 밀린 짤방으로 유명하지만, 이미 10년도 더 지난 일인데다 정확한 출처를 찾기 어려워 사실여부 확인은 어렵다. 상식적으로 대림대 정도에 들어가려고 꼼수를 쓸까?
- 2018년 6월, 사회복지학과에서 학생회비 중 사물함 유지비에 327만원을 배당했다는 공지를 올렸고, 이에 의심을 품은 한 학생이 사회복지학과 온라인 건의함 카톡을 통해 이 지출에 대한 자세한 해명을 해 달라고 했으나 "네넹 앞으로도 더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라는 어처구니 없는 대답만 들었다. 출처기사
이 학생은 대림대 대신전해드립니다 페이지에 이를 고발했으나 대신전해드립니다 측에선 학교 이미지에 좋지 않은 글은 올려드릴 수 없다며 올리는 것을 거절했다. 결국 이 학생은 해당 캡처분을 인터넷 곳곳에 올려 확산시켰고, 대신전해드립니다에선 부랴부랴 이에 대한 해명글을 올렸다. 허나 이 해명글은 이후 삭제되었으며, 관련 댓글을 올리는 사람들을 전부 차단하고 있다.
문제의 씨앗이었던 사회복지학과에선 부적절한 답변에 대해 사과를 하고 해명글을 올렸으나 분명 유포자가 1인당 19만원이라는 부분도 함께 올렸음에도 1인당 300만원이라고 왜곡을 했다며 사이버 수사대를 운운하는 등의 반협박으로 글을 마무리해 반응은 썩 좋지 않다.
[1] 영등포구의 대림동이 아니다.[2] 제일 위에 있는 수암관같은경우 농담이 아니라 홍지관까지 올라왔던 거리를 한번 더 올라가는 수준이라고 보면 된다. 물론 홍지관 위에 있는 에스컬레이터부터는 경사가 그렇게 심한편은 아니지만.. 그래도 힘들다.[3] 추가되기 전 상당히 많은 학생들이 무단횡단을 시도하였고 굉장히 위험했다. 게다가 이 도로는 왕복 10차선이다... 옆에 지하보도로 들어가는 시간이 상당해서 출결점수와 목숨을 맞교환하려는 학생들이 수두룩했다.[4] 그러나 이쪽 도로의 지나다니는 차량이 어마어마해서 신호등 대기시간이 3분에 수렴한다...[5] 추가되기 전에 어떤 학과 1학년이 무단행단을 하다 경찰에게 걸려 벌금을 내는 경우도 있었다.[6] 다만, 고장이 잦은 편이며, 올라가는 무빙워크만 있고, 내려가는 무빙워크는 없다.[7] 경비실에서 막기 때문에 통과할 수 없다.[8] 경기도 군포에 위치한 한세대로 편입함[9] 캠퍼스 내에 있는 에스컬레이터를 지어주었다는 소문이 있다.[10] SBS드라마 《해변으로 가요》 데뷔,《아모르 파티 - 사랑하라, 지금》 황철오역)[11] SBS 《웃찾사》 "화상고", tvN 《코미디빅리그》 "리액션스쿨", "원초적 본능" 등 다수 출연[12] 머슬마니아 세계챔피언, 《리미트리스짐 대표》, 《서울현대직업전문학교》 스포츠재활&PT 교수[13] 태진아의 《사랑은 아무나 하나》 편곡자. 그 외 핑클, 젝스키스, 이승철 등 음악 작곡[14] 안양 초등생 유괴 살인 사건의 범인.[15] 각종 자동차관련 매스컴에 대림대 자동차과 교수들이 많이 출연하여 인지도가 높아졌다. 특히 김필수 교수는 자동차 업계에서 큰손이라 불리며 자동차과 인지도를 높인데에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김필수 교수는 협회 활동으로 인지도를 쌓았을 지는 몰라도, 자동차공학 엔지니어로서의 역량을 쌓은 사람은 아니어서 교수라는 직위가 무색하게 공학적으로 말도 안 되는 내용을 늘어놓는 등 여러모로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16] 인근 대학 똑같은 시스템을 사용하는 성결대에 위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는 걸 말하여, 해당 우회접속을 차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