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4 08:07:02

겐트 대학교/글로벌 캠퍼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겐트 대학교
파일:인천 글로벌 캠퍼스 흰색 CI.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wrap: keep-all; margin-bottom: -15px;"
파일:2decb1aa0b90ecde284176356b4c0ba8960334f4.png 파일:external/masonkorea.gmu.edu/logo.png 파일:겐트 대학교 글로벌 캠퍼스 로고.svg 파일:유타대 로고 무배경.png
한국뉴욕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 · FIT)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겐트 대학교 글로벌 캠퍼스 유타 대학교 아시아 캠퍼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겐트캠퍼스
{{{#!wiki style="margin: -16px -10.5px" 역사 학부 시설 출신 인물 }}}
글로벌캠퍼스
{{{#!wiki style="margin: -16px -10.5px" 교육과정 시설 IGC }}}
}}}}}}}}} ||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
Ghent University Global Campus
파일:겐트 대학교 글로벌 캠퍼스 로고.svg
대학 정보
<colbgcolor=#1E64C8> 교명 Ghent University Global Campus
표어 라틴어: Sapere Aude
영어: Dare to Think
한국어: 과감하게 알려하라
분류 공립대학
개교 2014년 9월 1일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기에|{{{#!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벨기에}}}{{{#!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캠퍼스총장 한태준
연간정원 225명
편제정원 900명
재적생 832명[기준]
충원율 92.4%
재학생 696명[기준]
교원 상주교원 69명[기준]
위치 인천 송도[4]
<nopad>
1. 개관
1.1. 표어 Dare to Think(과감히 생각하라)1.2. 이념
2. 글로벌캠퍼스의 설립
2.1. 국내유일 유럽이학사(BSc) 학위인증
3. 대학정원 및 입학제도
3.1. 편제정원 및 현원정보3.2. 일반전형3.3. 학교장추천전형3.4. 편입 및 학면면제 제도
4. 학과소개
4.1. 1학년 공통학부과정 - 3월 학기(Preparatory semester) 입학 유형4.2. 1학년 공통학부과정 - 9월 학기 입학 유형4.3. 분자생명공학과(3학년 선택)4.4. 환경공학과(3학년 선택)4.5. 식품공학과(3학년 선택)
5. 학사제도
5.1. 학점체계
6. 시험제도7. 학생활동
7.1. 학내문화7.2. 학내 인턴십7.3. 대외활동7.4. 학업진로상담
8. 졸업, 진학, 취업
8.1. 졸업률8.2. 대학원 진학8.3. 취업 현황
9. 기타
9.1. 랭킹9.2. 벨기에 대학의 랭킹9.3. 여담
10. 둘러보기

1. 개관

파일:겐트대학교 로고 화이트 버젼.png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 공식 소개영상

겐트대학교는 벨기에 오스트플란데렌주 겐트시(Ghent)시에 위치한 종합국립대학교이다.

겐트대학교는 1817년 개교하여, 200년이 넘는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화학과 생리학 분야에서 두각을 발위했으나 현대에 와서는 수의학, 의학, 농식물학, 식품학 등 생명과학 및 생명공학 분야에서 독보적인 학문적 성과와 걸출한 인재들을 내놓은 고등교육기관이자 연구중심대학으로 성장했다.

겐트시에 본교 캠퍼스뿐만 아니라 코르트레이크(산업디자인과, 바이오프로세싱과, 기계공학과 3개 학과), 오스텐더(해양공학, 해양생물학 등 마린테크 대학원 과정)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분자생명공학, 식품공학, 환경공학 3개 학과)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는 2014년도에 설립되었으며, 2025년도 기준 설립 11년 차이다.
200년 이상의 역사를 보유한 유럽 대학답게 학업과 교육품질에 있어선 상당한 엄격함을 강조하는 대학으로, 글로벌캠퍼스역시 지금껏 학업퀄리티를 가장 타협없이 유지한 대학으로 송도글로벌캠퍼스 대학 중 졸업생은 가장 적으나 아웃풋이 가장 좋은 대학이다.

인천글로벌캠퍼스에서 대학랭킹 및 학문랭킹(생명)이 가장 높은 대학이지만, 강도높은 교육과정으로, 실력이 없으면(돈 만으로는) 졸업하기 어려운 대학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인천글로벌캠퍼스 대학 중에서 유일하게 생명 분야 학과들을 가지고 있어서, 국내에서는, 생명특성화대학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4개 대학과는 다르게 대학의 모든 역량을 생명(분자바이오, 환경공학, 식품공학)으로 올인하는 대학이다.

생명으로 한우물만 파는 대학답게, 대학의 총 역량을 생명연구자 육성에 초집중하는 대학이다.
과학자를 양성한다는 일념으로 생명, 화학, 수학, 물리, 코딩과목을 100% 영어, 교양없이 전공필수과목으로만 240학점을 이수시켜 버리는 STEM 중심 학부과정으로 대학원을 안가면 다소 공부한게 아깝다는 생각이 들게 만들어, 대학원 진학률이 65% 가 넘는 진학중심대학이기도 하다.

최근 졸업생이 배출되기 시작하며, 대학원 및 취업 결과가 넘사벽으로 나오면서부터 입결이 상승하는 추세이며, 애매한 국내 생명과에 갈 바엔 대학원 진학 + 영어실력을 염두에 둔 지원자가 늘고 있어, 입결이 상승하는 추세이다.

1.1. 표어 Dare to Think(과감히 생각하라)

어원은 라틴어 경구 Sapere Aude(사페레 아우데)이며, 네덜란드어 Durf Denken, 영어 Dare to Think로 번역된다.
기원은 본래 로마 시인 호라티우스의〈서간집〉(기원전 20년) 1권에 실린 두 번째 시에 나오는 구절이며,("Dimidium facti, qui coepit, habet; sapere aude, incipe.;시작이 반이니, 용기있게 알려하라, 시작하라.") [임마누엘 칸트]가 <계몽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변〉(1784년)에서 인용하면서 계몽주의의 표어가 되었다.

(발췌:"계몽이란 인간이 스스로 책임져야할 미성년 상태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미성숙 상태란 다른 사람의 지도 없이 자신의 지성을 이용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미성숙 상태를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것은, 그 원인이 지성의 부족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지도 없이 지성을 사용하려는 결단과 용기의 부족에 있는 경우이다. 그러므로 과감히 알려고 하라(Sapere aude)! 너 자신의 지성을 사용할 용기를 가져라! 하는 것은 계몽의 표어이다.")

겐트대학교의 학보사의 명칭(https://www.durfdenken.be/en)으로 쓰이기도 하며, 학내에서 굉장히 자주 볼 수 있는 문구이다.
또한 "생각"이라는 표어를 구현하기 위해 "뇌"의 이미지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

1.2. 이념

겐트대학교는 Dare to Think 라는 표어 아래, "독립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지닌 지식생산자의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연구중심대학으로 과학자, 연구자의 육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의 학사 커리큘럼 역시 학생을 과학자(연구자)로 양성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석박과정진학을 위한 유기적인 연계성을 강조하여, 학문적 성향이 강한 인재를 키우기 위해 노력한다.(진짜 공부량이 미쳤다..)

2. 글로벌캠퍼스의 설립

겐트대학교는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와 교육부, 인천광역시 경제자유구역청이 함께 추진하는 해외우수대학유치사업에 초빙돼 2014년 9월에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Global Campus)를 설립하였다.

글로벌캠퍼스는 분교가 아닌 확장캠퍼스 개념으로 분자생명공학과(Molecular Biotechnology), 환경공학과(Environmental Technology), 식품공학과(Food Technology) 학부과정을 개설했다.

글로벌캠퍼스는 국제표준어인 영어로 교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벨기에 본교 학부의 경우 더치어로만 수업하며 영어사용 학사 학위는 송도에서만 가능), 졸업생에게는 벨기에 본교와 동일한 이학사(BSc) 학위가 수여된다. 겐트대학교의 학부과정은 벨기에의 역사적인 이유(과거 100년간 프랑스어로 교육) 네덜란드어 교수원칙이 엄격히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비영어권 대학으로 대학의 국제적 위상을 정립하기 위한 국제화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어, 약 30%의 대학원 과정은 국제표준어인 영어로 교수하고 있으며, 동아시아 거점전략 지역으로 대한민국을 선택하여 진출하게 되었다.

또한 겐트대학교 본교의 경우 학부과정은 50개 정도지만, 대학원 석사과정이 170개(학부도 안되는 주전공/부전공 허용), 박사과정 23개로 구성되어 있어서 연구중심대학으로 성장하기 위한 비전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글로벌캠퍼스 역시 단순히 한국 진출이 인재양성뿐만 아니라 한-EU 국제연구협력 및 산학협력 교류에도 그 목적이 있다.

2.1. 국내유일 유럽이학사(BSc) 학위인증

겐트대학교는 대한민국 교육부로 부터 정식설립인가를 받은 3번째 유럽대학으로, 현재 국내에서 유일하게 유럽 이학사(BSc) 학위 취득이 가능한 고등교육기관이다.

기진출한 유럽대학으로는  네덜란드 국제물류대학(STC-KOREA) 광양캠퍼스(08년 개교, 13년 폐교)와 프리드리히 알렉산더대학(FAU) 부산캠퍼스(11년 개교)가 있다. 본 대학들은 학사과정 제공하지 않았으며, 대학원학위과정을 통한 글로벌 산학협력기반 전문기술인재육성을 위해 한국에 진출했다.

겐트대학교는 유럽커리큘럼 기반 학사학위인증을 통해 겐트대의 건학이념에 의한 동아시아 인재양성을 위해 한국으로 진출하였기 때문에 상위 대학과는 진출목적과 전략적 접근이 달랐다.

3. 대학정원 및 입학제도

3.1. 편제정원 및 현원정보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는 교육부로부터 900명의 편제정원을 허가 받았으며, 연간 225명의 신입생을 선발한다.

각 학과별 정원은 75명이나, 커리큘럼 상 1~2학년 공통학부과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225명 통합 선발로 바라보는 것이 편하다.(한국대학교의 무전공 유형2 방식과 유사하다 생각)

인천글로벌캠퍼스의 전체 편제정원은 4,617명으로,
뉴욕주립대(스토니브룩 1,207 + FIT 210 = 1,417명), 유타대(1,100명), 조지메이슨대(1,200명)와 비교하면 겐트대학교가 교육부에 허가받은 편제정원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하지만 겐트대학교가 바이오 등 생명분야에 특성화된 학과편제를 보유하고 있어, 생명분야 인재선발의 TO는 일반 한국대학의 생명관련학과보다 규모가 큰 편에 속한다.

현재 겐트대학교 등록학생수(재적생)는 교육부 정보공시(24.04) 기준 862명이며 충원률은 (862/900) 약 96% 이다.

3.2. 일반전형

일반전형는 국내학력 및 해외학력, 검정고시, 문과생 모두 지원이 가능한 가장 일반적인 방식의 전형으로, 많은 해외대학들이 외국인 유학생을 선발하는 방식이다. 겐트대학교가 제공하는 온라인입학시험(수학, 화학)과 공인영어성적을 제출하는 방법으로 일종의 '학업역량'을 소명하는 방식이다.

필수서류
ㄱ. 영문 졸업장(혹은 졸업예정서, 재학증명서)
ㄴ. 영문 성적증명서
ㄷ. 국문 생활기록부
ㄹ. 여권사본
ㅁ. 여권사진
ㅁ. 입학시험 결과서(수학 및 화학시험 20점 만점 14점 이상)
ㅂ. 영어성적표(토플 72점, 아이엘츠6.0 수능영어 2등급 이상)

일반전형의 경우 해외학력자, 국내학력 중 내신성적이 불리한 이과생이나, 수학과학 성적이 없는 문과생, 검정고시생이 주로 지원한다. 따라서 본인이 학교장추천전형의 내신교과 및 생기부가 약하다 생각하면 일반전형으로 지원한다.

3.3. 학교장추천전형

학교장추천전형은 국내학력소지자(이과생)만 지원이 가능하며, 입학시험과 영어시험을 보지 않는다는 장점으로 많은 지원자는 학추전형을 지원한다.

필수서류
ㄱ. 영문 졸업장(졸업예정서 및 재학증명서)
ㄴ. 영문 성적증명서
ㄷ. 국문 생활기록부
ㄹ. 학교장추천서
ㅁ. 여권사본
ㅂ. 여권사진

만약 학교장추천전형이라 하더라도 본인의 학업역량을 추가소명하기 위하여, 추천서+공인영어성적(토플, IELTS, 수능영어 2등급), 추천서+입학시험 형태로 원서 제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학교장추천전형에서 떨어질 경우에는, 일반전형으로 재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입학시험과 공인영어성적을 메일을 통해 제출할 것을 요구하기도 한다.

3) 선택제출서류
입학사정을 위한 선택제출 서류로는 수능성적표(영문) 지원동기서, 학업계획서, 수상경력, 활동경력서 등 이며, 모든 서류는 영문으로 공증되어야 한다.

더욱 자세한 입학에 관한 사항은 링크참조 링크

3.4. 편입 및 학면면제 제도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는 커리큘럼의 연속성과 특성상 별도의 편입 전형을 운영하지 않는다. 그러나 ‘학점면제 제도’를 통해 국내외 대학에서 이수한 일부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다.

이 제도는 주로 해외 대학에서 유학 중 국내 복귀를 희망하는 학생이나, 국내 대학의 생명과학 계열 전공자가 활용하고 있으며, 실제로 전적 대학에서 이수한 일부 과목에 대해 학점이 면제된 사례가 있다.

해외 대학 출신자의 경우 비자 문제나 생활 적응 등의 사유로 국내로 복귀해 겐트대학교에 입학하게 되며, 국내 대학생의 경우에는 보다 전문적인 생명과학 중심의 커리큘럼과 전 과정 영어 수업이라는 차별화된 학습 환경에 매력을 느껴 학점면제를 신청하는 경우가 많다.

학점면제를 신청하려는 경우, 반드시 원서 접수 전에 입학 상담을 통해 전적 대학 이수 과목과 학점면제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권장된다.

학점면제 결과는 일반적으로 등록금 고지서가 발행되기 전에 통보된다.

4. 학과소개

4.1. 1학년 공통학부과정 - 3월 학기(Preparatory semester) 입학 유형

겐트대학교 입시는 국내 대학과 별도로 진행되기 때문에 국내 대학의 "수시지원 6회 및 정시모집 3회 지원 횟수 제한" 규정을 적용받지 않는다는것을 먼저 명심해야한다.
따라서 수시 시즌(9월)과 정시 시즌(3월)로 갈리는 편이다.

벨기에 본교가 9월 학기에 시작하는 학사제도와 동일한 운영을 위해 9월 학기로 대학이 개강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한국대학이 3월 학기제이기 때문에 현지교육환경 적응에 따라 3월 학기 신입생 선등록과 학점이수를 허용하고 있다.

따라서, 3월 입학생의 경우 Preparatory semester 라고 부르는 과정을 거치며, 1학년 과정을 3학기(1.5년)에 나눠서 수강해 4.5년만에 학위를 취득하게 된다.

3월 등록생은 Preparatory semester를 통해 15ECTS(3과목) 만 수강하여 영어에 조금 더 익숙해지고 수업방식에 조금 더 편안하게 적응할 시간이 주어진다.

3월 학기의 수강과목은 학술영어, 공학수학은 필수과목이며, 생물과 무기화학은 선택이 가능하다. 과목 선택시 아무래도 진로를 생명분야로 선택한 학생이 많기 때문에 대부분 생명*과목을 먼저 선택하고, 등록이 늦은 학생(학사기본금 납부가 늦은 학생)들의 어쩔 수 없이 TO에 따라 화학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거두절미하게 3월 학기는 화학을 택하라 권유하고 싶다. 3과목 밖에 없을 때 조금 더 난도 있는 과목을 선택해야한다. 9월 학기에 4과목을 이수해야하는데 그* 인포메틱스와 화학을 둘 다 잡을 빠엔 생물의 난도가 더 평이하다.

반면 9월 등록생은 1학년 1학기 전체 학점인 30 ECTS를 한번에 소화해야한다. 이 때 등록금을 과목별로 받기 때문에 3월 등록생(1학기 3과목, 2학기 4과목, 3학기 5과목, 총 12과목)과 9월 등록생(1학기 6과목, 2학기 6과목)의 1학년 등록금의 총액은 동일하다.

9월 학기에 들어온 외국인 유학생들도, 9월은 피하라고 권유한 다. 국제학교에서 계속 영어로 공부했어도, 첫 대학생이 되어 대학공부와 캠퍼스라이프에 대한 적응이 부족한 가운데 6과목 돌리는 건 상당히 힘든 일이다. 또한 성적이 누적되는 겐트대 학점 특성상 20점 만점에 평균 득점이 높아야(즉, 쑤마 쿰 라우데나 마그나 쿰 라우데 졸업) 최상위권 대학원 진학이 용이한데, 1학년 수업을 3과목을 이수하는게 한번에 6과목을 동일한 시간 내 시험을 치는 것 보다 높은 성적을 받기 유리(절대평가)한 경향이 있다.

따라서 내가 영어를 못하거나 준비가 부족하다고 3월 입학 대신에 선행이다, 사교육이다, 어학연수다 이런 것에 의존하다 9월 학기에 진학할 경우, STEM 기반 100% 전공기초 6과목을 4개월 이내에 영어로 통째로 암기해야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니 이 점을 유의해야한다. 즉 9월 학기는 AP 이과과목 4개 이상 이수자 및 IBDP 학력 보유자 중 이과과목 이수자 중 어느 정도 영어로된 STEM 교육에 트레이닝이된 자들이 와야한다.

프렙학기에는 아래의 3 과목을 이수하며, 널널하다.(만약 프렙 재수강 뜬다하면 진지하게 겐트대 잔류 여부를 고민해야한다..)

1. 공학수학
2. 영어
3. 생물, 화학 중 택 1

3월 학기생의 9월 학기(가을학기)는 다음 4과목을 이수한다.
1. 인포메틱스(이어롱)
2. 물리
3. 영어
4. 생물, 화학 중 프렙학기에 이수하지 않은 과목

4.2. 1학년 공통학부과정 - 9월 학기 입학 유형


9월 학기에는 보통 외국인, 국제학력자들이 들어온다.(간혹 재수포기하고 9월에 지원하여 들어오늘 국내학력자도 있다.) 9월 학기생들을 일반전형을 통해 수학, 화학시험 통과자나 AP나, IB 이수자들이 들어오기 때문에 국내학력자보다는 학업적으로는 적응이 된 친구들이 들어온다. 일반 한국고등학교에서 오는 친구들의 경우에는 학업난도가 낮은 3월 학기부터 천천히 학업역량을 끌어올리는 것이 겐트대 생존에 더 유리하다.

3월 학기와 9월 학기 각 학기별 선발인원 T/0가 없다. 따라서 225명 연간정원만 존재하며 3월에 많이 선발하면 반대로 9월 선발 가능인원이 줄어들게 된다.

9월 학기에는 다음 6과목을 이수한다.
1. 수학
2. 영어
3. 생물
4. 화학
5. 물리
6. 정보

4.3. 분자생명공학과(3학년 선택)

가장 인원이 많고, 선택자가 많은 간판 학과

4.4. 환경공학과(3학년 선택)

숫자는 적으나, 가장 아웃풋이 좋은 실적으로 보이는 학과

4.5. 식품공학과(3학년 선택)

교수진과의 소통과 교류가 상당히 밀접한 학과

5. 학사제도

글로벌캠퍼스의 학사제도는 4년제로 구성이 되어 있어, 벨기에 3년제 구성과는 차이가 있다.

이는 대한민국 교육부와 벨기에 교육부 간 양국 교육과정을 조율한 결과로 이를 통해 글로벌캠퍼스의 교육과정이 벨기에와 한국의 고등교육학력으로 양국간에 동일한 효력이 발생하는 학위인증이 가능하게 되었다.(대한민국 교육부의 입장에서는 3년 과정을 전문학사가 아닌 일반학사학위로 인정하는 것은 형평성의 문제가 있었고, 공동개교 및 기진출한 타 미국대학들은 이러한 부분이 검토될 필요가 없었다.)

본 협약을 통해 벨기에 본교는 글로벌캠퍼스의 교과과정을 4년제로 편성하게 되었으며, 일부 석사과정과 연구활동을 수행하는 커리큘럼이 구성하게 되었다. 석사과정이 학부과정으로 편제되면서 나온 효과로, 1~2학년 과정이 STEM 기반의 과학교육이 이루어지는 반면, 고학년부터는 실제 본교 석사생들만 들을 수 있는 바이오 인더스티리얼 및 응용분야까지 의무 이수가 이루어 지게 된다.(4학년 1학기 벨기에 본교학기를 가게되면 약간 학사생보다는 석사생 취급을 받으며, 일부 교과과정은 글로벌캠퍼스 학생들만 수학한다.)

4년제로의 개편에 따른 또 다른 효과의 발생으로 4학년1학기에 이미 석사과정을 들었으니, 본교 대학원에 특정 석사과정에 진학시 학점 인정이 허용된다.(모든 과정들이 학점인정이 되는 것은 아니다)
한국이나 벨기에나 Faculty of Bioscience Engineering 소속 학생은 대부분 이미 석사진학을 고려하고 입학하기 때문에 졸업생의 실제 석사진학률은 상당히 높은 편인데, 학생의 입장에선 4학년 1학기 벨기에 생활도 경험도 해봤고 이미 학점도 이수했고, 무엇보다 등록금 엄청 싸고 또한 평소 쓰던 시스템으로 별다른 까다로운 조건과 절차 없이 석사과정 등록이 가능하기 때문에 동대학원으로 진학하는 케이스가 상당히 많다.

5.1. 학점체계

학점제도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유럽공통학점교환제도인 ECTS(European Credit Transfer System)를 활용하고 있으며 졸업이수 학점은 총 240 학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벨기에식의 대학시험점수제도를 따라 20점을 만점으로 0~20까지 절대평가로 이루어지며 본인의 상대적인 위치도 성적표에 패스한 인원수를 분모로 계산한 %로 표시된다.(즉 상대평가도 병기된다). 시험에서 10점을 넘기지 못하면 과락이며, 학년 전체 수강과목의 절반 이상이 과락일 경우, 학사경고가 나간다.

총 학점은 1000점 만점으로 다시 환산되어 졸업학점이 되며, 졸업총점에 따라 summa cum laude (825+/1000) / magna cum laude (750+/1000) / cum laude (675+/1000) / cum fructu (500+/1000) 로 졸업장이 차등 부여된다.  점수체계 1 점수체계 2
이런 Latin Honour의 경우 주로 미국 및 유럽권 대학에서 수여하며 국가별, 기관별로 상이하다.
<rowcolor=white>학위   점수   네덜란드어 명칭    영어 명칭  
 최우등졸업 학위  825/1000 (16.5/20) 이상  met grootste onderscheiding  summa cum laude 
 우수졸업 학위  750/1000 (15/20) 이상  met grote onderscheding  magna cum laude 
 상위 학위  675/1000 (13.5/20) 이상  met onderscheiding  cum laude 
 학위  500/1000 이상  op voldoende wijze  cum fructu 

대학홈페이지의 "Grades higher than 18 out of 20 are rather exceptional."이라는 설명으로 보아 18/20 즉, 900/1000점 이상은 실제적으로 상당히 우수한 성적이라 유추해볼 수 있다. 숨마쿰라우데문서참고.

2020년까지는 선택과목이 없이 일체 정해진 코스를 듣고 졸업하는 형식이었으나 2021년 교육개정에 의해 10ECTS는 선택과목이 개설되었다. 선택과목 중 일부는 다른 인천글로벌캠퍼스내 대학이나 대한민국내 대학에서 수강하는 것을 학점교류가 가능하다.

ECTS의 학점체계가 대한민국과 미국방식의 GPA로 변환의 공인이 어려운 점과 변환시 낮은 학점에 대해 걱정하는 재학생이 많지만,
이미 다양한 국가에서 인사채용을 하는 대기업과 외국계기업의 입장에서는 GPA학점(성적)의 변환유무는 기업의 채용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며, 공기업의 경우도 블라인드 면접의 대세로 학점변환형태가 채용 평가시의 감점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결국 취업의 당락은 본인이 학생때 부터 길러온 여러분의 실력이다.(인턴 등 사회경험, 해외대학 졸업생으로서의 영어실력, 전공분야인 바이오, 환경, 식품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랩)환경 및 장비운용 경험 등)

6. 시험제도

시험은 영어 서술형으로 진행한다. 대부분 중간고사(정확하게는 mock exam이라 부르며, 기말평가의 부담을 덜기위한 예행평가)는 맛보기 식으로 학점에 영향이 적고(전체 점수의 1~2점반영. 한 학기에 쪽지시험으로 나눠서 2번이상보는 경우도 있다.),학기말 지필 점수비중(대부분의 경우 16점)이 높게 반영 된다.일부 실험과목의 경우 practical의 보고서 점수와 발표점수가 포함 된다 (20점 만점에 2점~4점정도).기말고사의 경우 영어서술형이지만 대부분의 과목이 시간에 크게 압박을 받을 정도는 아니지만 교수님에 따라 시간압박을 두는 과목도 있긴 하다.

재수강이 없는 경우의 학생을 Model Trajectory라고 부르며 본교에서도 Model Trajectory의 수가 적어 학업을 과락없이 잘 마친 경우 추가적으로 보상해 줘야한다는 의견이 제안되기도 했다. 

시험에 부담감을 느끼는 경우 Resit이라는 재시험제도를 잘 활용하는 학생들이 다수이다. 과락을 한다고 바로 재수강을 하는 것이 아니라, 방학기간에 재시험을 준비하여 학기 시작 2~3주 전에 두번째 시험기회를 가질 수 있다. Resit 시험을 치른다고 해서 수업료나 추가로 제공되는 강의는 없으니 그냥 2번째 기회를 제공하는 형식으로 이해하면 좋으며, 따로 수업료를 지불하는 한국대학의 계절학기와는 다른 제도이다.

본시에서 통과를 하면 재시험을 치를 수 없다. 즉 더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 재시험을 활용할 수 없이니 참고가 필요하다.Resit 제도로 시험을 본다고 하여도 성적은 절대평가로 부여되기 때문에 불이익이 없다 (하술하겠지만, 현재는 장학금 측면에서 불이익이 있다.). 즉, 본시를 치른 학생의 점수보다 Resit을 본 학생의 점수가 높을 수 있다. 위와 같은 사유로 재학생 대부분이 공부분량이나 과목난이도에 따라 적절히 Resit을 활용한다.(예시 총 5과목을 이수하는 학기라면 본시는 3개, Resit은 2개로 전과목 패스 목표Resit 시험을 준비하기로 결정한 사람은 두 달 정도의 방학기간 동안에도 계속 공부를 할 수 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Resit 시험의 난이도는 케바케인데, 본시와 비슷한 난이도일 때도 있으나, 공부의 기간을 안해 난이도가 더 높아지는 경우도 있다. 2021년부로 장학금 수여 방식을 변경하면서 Resit을 보는 경우 장학금 대상에서 제외한다.

7. 학생활동

7.1. 학내문화

수업은 100% 영어로 진행되며 매일 8시 반에 시작해서 5시에 마친다. 학기 중에 절반정도는 이론수업을 (오전수업) 절반정도는 실험이나 문제풀이 (오후수업)을 진행한다. 따라서 학교에 있는 시간이 엄청 길고, 시간 조절도 쉽지 않아서 겐트고등학교라 많이 불린다.

자치활동으로 학생회, 동아리, 캠퍼스 홍보대사 등이 있다.

coffee meeting, 벨기에 문화축제, 벨기에 유명교수의 방문강연 등을 개최하기도 했었다. 동아리는 점차 추가로 개설되는 중이며 현재는 벨기에 본교의 학생들이 교환학생으로 올 예정이다.

7.2. 학내 인턴십

학내 Study Work Program 과 Research Intern 활동기회가 주어진다. 특히 방학 때 교수님들의 지도아래 Intensive Research Program이라는 학부생 연구나 실험기회 등이 제공되는데 학생수가 늘면서 선발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학업이 매우 우수한 경우 랩인턴으로 실제 연구에 참여해 SCIE급 저널에 제1 저자로 이름을 올리는 경우도 있다.

7.3. 대외활동

대외 활동이나 인턴십의 경우는 양질의 프로그램들에 합격한 사례가 있다.
영어실력이 뛰어나 UN산하의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나 국제백신연구소(IVI)등 다양한 국제기구에 인턴으로 참여하는 경우가 있다. 몇은 셀트리온얀센한미약품등 제약 및 바이오회사에 인턴으로 참여하기도 한다. 학업에 관심이 있는 경우 다양한 정출연인 극지연구소국립환경과학원KIST등에서 인턴을 진행하기도 한다. (다만 대부분 바쁜 학업으로 3개월 이상의 인턴은 힘들어 방학 때도 시간이 안 나오면 휴학하고 한다.)

4학년 1학기 벨기에 행 비자의 경우 간단한 아르바이트 같은 것이 허용되어 네덜란드어가 능통한 경우, 벨기에에서 아르바이트를 할 기회를 잡을 수 있다고 한다. 
벨기에에 석사를 가서는 벨기에 현지회사에 인턴으로 참여하는 경우도 있다.

7.4. 학업진로상담

study counselor 3명을 두고 학업 상담을 진행한다. 
Ombudsperson을 둬서 조교(TA)나 학생의 불만을 학교측과 조율하는 제도를 갖고 있다.

교내의 교수진과 조교(TA)들의 출신국이 벨기에를 비롯해 인도세르비아나이지리아요르단이란아르메니아중국필리핀등 꽤 다양한 편이다. 따라서 입학시 영어가 부족하면 안된다.[5] (영어를 못하면 소통이 아예 안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수평적이고 개방적인 의사소통과 교수님-학생 또는 조교-학생간의 관계를 지향한다. 벨기에의 교육상 이러한 부분에 강조점을 두기 때문이다. 다각도의 질문, 의사소통이 많은 수업방식이 선호되는 편이기도 하며 영어 발표실력이 상당히 중요한 수업도 많고 (학기당 1~2개씩의 영어 발표과제가 존재한다) 개별적으로 배운 내용들을 연결하는 스킬도 강조해 스스로 간략하게 실험을 설계하는 문제를 출제하기도 한다. 교수님들은 학생들의 학업적인 호기심을 더 돋궈주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질문하면 너무 바쁘시지 않은 이상 정말 친절하게 답변해주신다.

8. 졸업, 진학, 취업

8.1. 졸업률

졸업 시 벨기에 겐트캠퍼스와 같은 졸업장을 받는다. 
벨기에 플랑드르 교육인허가 기구인 NVAO의 승인을 받아 정식 겐트대학교학위를 부여한다.링크

개교 초 졸업생수가 적었지만, 지금은 3~4학년 학생수가 2023년 9월 기준 200명이 넘기 때문에 졸업생수는 향후 급격히 증가할 것이다.

연도별 졸업생 수
<rowcolor=white> 기수  연도  분자생명공학(MBT)  환경공학(ET)  식품공학(FT)  합산 
 1기  2018  1  1  0  2 
 2기  2019  5  2  3  10 
 3기  2020  18  4  3  25 
 4기  2021  20  1  6  27 
 5기  2022  21  5  5  31 
 6기  2023  24  2  8  34 
 7기  2024  48  7  7  62 

누적졸업생 191명(24.08 기준)

8.2. 대학원 진학

2024년 기준 7기 졸업생까지 배출되었으며, 현재 졸업생 중 약 80%가 대학원으로 진학한다.(누적 65%) 겐트대학교 학부를 졸업하면 다른 조건 없이 Direct Entry로 겐트대학교의 석사과정으로 진학이 가능하기에 유럽 진출을 위한 발판으로 생각되면 편할 거 같다. 졸업생의 동 대학원 진학률은 약 50%인데, 이는 학부 4학년에 이수한 과목 중 상당히 많은 과목을 대학원 과정 학점으로 인정해준다는 점과(이 경우 부전공까지 선택하여도 공부부담이 덜하여 졸업 시 매리트가 크다.),  4학년 벨기에 학기를 통해 이미 겐트 생활에 적응이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 본교 제약공학 대학원(MSc in Pharmaceutical Engineering) Direct Admission이 가능하게 되면서, 본교 대학원 진학의 문이 더 활성화되고 있다.

미국대학원 진학보다는 유럽 내 대학원 진학에 이점을 가지기에 많은 졸업생들이 유럽 대학원으로 진학하게 되었다. 미국대학원보다 유럽대학원을 선호하는 사유 중 하나는 학비이다. 유럽대학원 등록금이 미국에 비해 압도적으로 저렴하다. 겐트대 입학 후 유럽석사학위 취득까지 소요되는 비용을 미국학사+석사 비용과 비교한다면 확연히 가성비가 좋아진다.

겐트대 학생이 이 글을 보고 동대학원 진학을 검토하고 있다면, 선배가 작성한 석사학위별 비교를 참조할 것을 권유한다.링크

겐트대학교 졸업생이 진학할 수 있는 석사과정은 다음과 같다.

[3개 전공자 공통진학가능 학위]
International Master of Science in Agro- and Environmental Nematology링크
Master of Science in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링크
MSc in Pharmaceutical Engineering


[MBT 전공자 진학가능 학위]
Master of Science in Biochemistry and Biotechnology링크
Master of Science in Bio-informatics: Bioscience Engineering링크
Master of Science in Bio-informatics: Systems Biology링크
Master of Science in Bioscience Engineering: Cell and Gene Biotechnology링크
 
[FT 전공자 진학가능 학위]
Master of Science in Nutrition and Rural Development링크(UGent-KU Leuven Joint 과정으로 KU Leuven에서 입학을 받기에 Direct Entry는 아님)
Master of Science in Business Engineering – Data Analytics링크

겐트대 바이오, 생명, 식품분야가 세계 50위 내 인것 답게 상위 랭킹의 유럽대학원 및 국내대학원 진학 성과도 상당하다.
<rowcolor=white> 나라 대학
영국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맨체스터대학교, 애딘버러대학교, 선더랜드대학교
스웨덴카롤린스카 연구소
독일뮌헨공과대학, 뮌헨대학교
호주멜버른대학교, 모나쉬대학교
네덜란드델프트공과대학교, 와게닝겐대학교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학교(ETH Zurich), 로잔연방공과대학교(EPFL)
대한민국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카이스트, 한양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UNIST
미국코넬대학교, 노스웨스턴대학교, 일리노이대학고(어베인-삼페인), 텍사스대학교(오스틴), 라이스대학교, 일노이대학교(시카고), 뉴욕주립대학교
싱가폴싱가폴국립대학교
중국칭화대학교
벨기에겐트대학교, KU루벤대학교, 브뤼셀자유대학교

8.3. 취업 현황

2022년 하반기 기준 취업률을 96%로 바이오산업 분야의 채용확대와 더불어 취업률은 높은 편이다. 졸업생은 적은 편이나 속속들이 국내 대기업, 외국계기업, 정출연 등 취업실적이 나오고 있다.
<rowcolor=white> 기관 회사명
 국내기업삼성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사이언스, 셀트리온, CJ제일제당, 매일유업, 빙그레, 씨젠, 바이넥스, 비엘엔에이치, 에프엔디넷, 제이엘케이, 메디바이오, 한미약품, 대웅제약, 제일약품, 대원제약, 유한화학, 일동제약
 외국계기업얀센백신, Sartorius Biotech, IQVIA, ERM, IDT, Charles River, 행켈, 로레알, EY한영, 딜로이트, KPMG
 정출연 및 의료기관한국화학연구원, 서울아산병원, 서울삼성병원

9. 기타

9.1. 랭킹

세계적으로 4대 대학평가기관이라고 일컬어지는 중국 ARWU, 영국의 THE 세계 대학 랭킹과 QS 세계 대학 랭킹, 미국 U.S. 뉴스 & 월드 리포트의 각 평가순위와 주로 연구업적 탁월성을 기초로 산정하는 네덜란드 CWTS 레이던 랭킹에서 모두 수준급의 위치에 자리하고 있고, 강점을 보이는 특정 전공분야에서는 세계최고수준의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2020년 ARWU에서 종합평가순위 66위를 기록하였고, 특히 수의학 분야에선 세계1위, 농생명과학 분야 세계14위, 생명공학 분야 세계23위에 랭크되었다. 그리고 같은 해 CWTS에서 종합순위 세계65위를 기록하였다.

2020년 THE에서 종합순위 세계103위, QS에서 종합130위(수의학 11위, 농생명과학 12위)를 기록하였으며, 2021년 U.S. 뉴스 & 월드리포트 종합85위(동식물학 9위, 농생명과학 15위, 생명공학 및 응용미생물학 34위)에 랭크되었다.

2021년 QS 랭킹 벨기에 2위, 세계 135위로 집계되었다.

9.2. 벨기에 대학의 랭킹

벨기에는 플란데런(네덜란드어권)과 왈롱-브뤼셀 연방(프랑스어권)의 주요한 2개의 개별 정부로 구성된 국가임을 고려해야한다.

벨기에의 플란데런 정부에 해당하며 박사학위를 수여하는 종합대학은 겐트대학을 포함하여 아래의 5개뿐이다.이 대학들은 네덜란드-플란데런 교육기관 (NVAO)에 소속되어있다.

9.3. 여담

  • 영국의 대학들과 교류가 활발한 편이며 특히 스코틀랜드 대학과의 교류는 더욱 긴밀하다.

10. 둘러보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외국교육기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유형 지역 · 사업 본교 교명
초중등교육기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이시아폴리스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리 아카데미
대구국제학교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국제도시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채드윅 스쿨
채드윅송도국제학교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 칼빈 크리스천 스쿨
칼빈매니토바국제학교
제주국제자유도시
제주영어교육도시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노스런던컬리지에잇스쿨
노스런던컬리지에잇스쿨 제주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 브랭섬 홀
브랭섬 홀 아시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세인트존스베리아카데미
세인트존스베리아카데미 제주
고등교육기관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국제도시
인천 글로벌 캠퍼스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뉴욕 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 FIT)
한국뉴욕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 FIT)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조지 메이슨 대학교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 겐트 대학교
겐트 대학교 글로벌 캠퍼스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유타 대학교
유타 대학교 아시아 캠퍼스
기울임체: 제주국제학교는 외국교육기관법이 아닌 제주특별법 제223조에 근거하여 설립되었음
}}}}}}}}} ||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립 <colbgcolor=#fff,#191919>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인천캠퍼스)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인천대학교
사립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메디컬캠퍼스) · 파일:겐트 대학교 로고.png 겐트 대학교(글로벌캠퍼스)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안양대학교(강화캠퍼스) ·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국제캠퍼스) · 파일:University_of_Utah_seal.svg 유타 대학교(아시아 캠퍼스) · 파일:인천가톨릭대학교 UI.svg 인천가톨릭대학교 ·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파일:청운대학교 심볼.svg 청운대학교(인천캠퍼스)
파일:State_University_of_New_York_seal.svg 한국뉴욕주립대학교 · 파일:George_Mason_University_seal.svg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원격대학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인천지역대학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white,white>
파일:Guild resized_0.png
더 길드: 유럽 연구 중심 대학 연합
Reimagining Universities in Europe and Beyond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1deg, #4a2359 50%, #25aae1 5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he Guild 개요 

* 2016년에 결성된 The Guild of European Research-Intensive Universities (이하 The Guild)는 유럽 16개국의 21개 연구 중심 대학으로 구성된 연합체다.
* 소속 학술 기관 연구자 간의 교류 및 협력을 촉진해 이들의 연구 역량을 발전시키고 연구 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colbgcolor=#4a2359><colcolor=#fff> 국가 소속 대학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네이메헌 라드바우드 대학교 아이콘.png
랏바우트 대학교
파일:흐로닝언 대학교 아이콘.png
흐로닝언 대학교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오슬로 대학교 아이콘.png
오슬로 대학교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오르후스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오르후스 대학교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괴팅겐 대학교 아이콘.png
괴팅겐 대학교
파일:튀빙겐 대학교 로고.png
튀빙겐 대학교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Babeş-Bolyai_University_logo.png
바베시-볼리야이 대학교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겐트 대학교 로고.png
겐트 대학교
파일:루뱅 가톨릭 대학교 아이콘.png
루뱅 가톨릭 대학교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웁살라대학교 로고.svg
웁살라 대학교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Universität Bern 아이콘.png
베른 대학교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Pompeu Fabra University Logo.png
폼페우 파브라 대학교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university-of-ljubljana-logo-small.png
류블랴나 대학교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타르투 대학교 아이콘.png
타르투 대학교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Shield_of_the_University_of_Glasgow.png
글래스고 대학교
파일:워릭 대학교 아이콘 원형.png
워릭 대학교
파일:KCL 아이콘.png
킹스 칼리지 런던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빈 대학교 문장.png
빈 대학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external/www.cs.unibo.it/logo.gif
볼로냐 대학교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POL_Jagiellonian_University_logo.svg.png
야기엘론스키 대학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파리 시테 대학교 아이콘.png
파리 시테 대학교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Bluesky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틀 바로가기
}}}}}}}}}}}} ||

파일:ENLIGHT 로고.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EN_Co-fundedbytheEU_RGB_NEG.png
소속 대학
파일:타르투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웁살라대학교 로고.svg 파일:Universität Bern 아이콘.png 파일:겐트 대학교 로고.png 파일:괴팅겐 대학교 아이콘.png
타르투
대학교
웁살라
대학교
베른
대학교
겐트
대학교
괴팅겐
대학교
파일:코메니우스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흐로닝언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University of Galway 아이콘.png 파일:University of Bordeaux 아이콘.png 파일:University of the Basque Country 아이콘.png
브라티슬라바
코메니우스 대학교
흐로닝언
대학교
골웨이
대학교
보르도
대학교
바스크
대학교
소속 대학 소재지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2 {{{#black,#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ENLIGHT-map-2024-borderless.png
}}}}}}}}}}}}}}}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틀 바로가기
}}}}}}}}}}}} ||
파일:CESAER Logo.png
선진 공학 교육 및 연구를 위한 유럽 대학 협의회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주의 사항 

* 취소선: 톰스크 폴리테크닉 대학교 (TPU)는 러시아 대학 총장 협회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지지 성명에 동참함에 따라 회원권이 무기한 정지됐다.
사건 사고 

* 처음 CESAER 이사회는 톰스크 폴리테크닉 대학교 (TPU)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지지 성명에 동참하자 TPU의 회원권을 일시 정지시켰다. 문제는 그 후에도 TPU가 지속적으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정당화하는 언행을 보이자 발트 3국의 탈린 공과대학교, 리가 기술대학교, 카우나스 공과대학교와 체코의 프라하 체코 공과대학교가 TPU를 영구히 제명시켜야 한다고 CESAER 이사진에 촉구했다. 허나 이들의 이의 제기는 최종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TPU의 회원권을 무기한 정지하는 선에서 그쳤다. 이에 반발한 위 4개 대학은 2024년부로 CESAER 탈퇴를 공식 선언했다.
<colbgcolor=#228bd6><colcolor=#fff> 국가 소속 대학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아테네 국립 공과대학교_로고.png
아테네
국립 공과대학교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TU Delft 아이콘.png
델프트
공과대학교
파일:트벤테 대학교 아이콘.png
트벤테
대학교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_Small logo.png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
파일:아그데르 대학교 로고.png
아그데르
대학교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올보르 대학교 아이콘.png
올보르
대학교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 아이콘.png
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
파일: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_Logo.png
드레스덴
공과대학교
파일:라이프니츠 하노버 대학교_로고.png
라이프니츠
하노버 대학교
파일:TUM 아이콘.png
뮌헨
공과대학교
파일:TU Berlin 아이콘.png
베를린
공과대학교
파일: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 아이콘.png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
파일:슈투트가르트 대학교_로고.png
슈투트가르트
대학교
파일:아헨 공과대학교 Text Logo.png
아헨
공과대학교
파일: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 아이콘.png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Tomsk Polytechnic University (TPU)_아이콘.png
톰스크
폴리테크닉 대학교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부쿠레슈티 폴리테크닉 대학교 (UPB) 아이콘.png
부쿠레슈티
폴리테크닉 대학교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겐트 대학교 로고.png
겐트
대학교
파일:1200px-KU_Leuven_logo.svg.png
뢰번
가톨릭 대학교
파일:루뱅 가톨릭 대학교 아이콘.png
루뱅
가톨릭 대학교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베오그라드 대학교 문장.png
베오그라드
대학교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룬드 대학교 로고.webp
룬드
대학교
파일:KTH logo.png
스웨덴
왕립 공과대학교
파일:ChalmerstekniskahögskolaGöteborgVästraGötalandslänSverige.png
샬메르스
공과대학교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로고.svg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파일: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Simplified 로고.png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Universidad Politécnica de Madrid_Small logo.png
마드리드
공과대학교
파일:UPV 문장.png
발렌시아
공과대학교
파일:카탈루냐 공과대학교_로고.png
카탈루냐
공과대학교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브라티슬라바 슬로바키아 공과대학교 아이콘.png
브라티슬라바 슬로바키아
공과대학교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 원형 아이콘.png
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사우스햄튼 대학교 쉴드 로고.png
사우스햄튼
대학교
파일:서리 대학교_Logo.png
서리
대학교
파일:셰필드 대학교 아이콘.jpg
셰필드
대학교
파일:University_of_Strathclyde_Coat_of_Arms.svg.png
스트래스클라이드
대학교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TU_Signet_CMYK.svg.png

공과대학교
파일:TU Graz_Logo.png
그라츠
공과대학교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NTUU_KPI_logo.png
키이우
공과대학교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Technion Israel Institute of Technology 아이콘.png
테크니온-이스라엘
공과대학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로마 사피엔차 대학교 문장.png
로마 사피엔차
대학교
파일:polimi 원형 아이콘 color.png
밀라노
폴리테크니코
파일:POLITECNICO DI TORINO_Logo.png
토리노
폴리테크니코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브르노 공과대학교 로고.jpg
브르노
공과대학교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Istanbul_Technical_University_emblem.svg.png
이스탄불
공과대학교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1024px-Universidade_NOVA_de_Lisboa_logo_logotipo_2021.png
리스본 노바
대학교
파일:포르투 대학교_로고.png
포르투
대학교
파일:Instituto Superior Técnico_Logo.png
리스본
공과대학교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Logo_Gdańsk_University_of_Technology.svg.png
그단스크
공과대학교
파일:Warsaw_University_of_Technology.png
바르샤바
공과대학교
파일:포즈난 공과대학교 문장.png
포즈난
공과대학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그르노블 대학교 아이콘.png
그르노블 알프
대학교
파일:INSA Lyon 아이콘.png
리옹 국립
응용과학연구소
파일:Paris Tech_Small logo.png
파리
공과대학교
파일:파리 사클레 대학교 아이콘.png
파리 사클레
대학교
파일:Polytechnique Institute of Paris_Logo.png
파리 폴리테크니크
인스티튜트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알토 대학교 아이콘.png
알토 대학교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부다페스트 기술경제대학교_로고.png
부다페스트
기술경제대학교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틀 바로가기
}}}}}}}}}}}}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0c4f9f>
파일:EFFRA_Icon.png
European Factories of the Future Research Association
유럽 미래 제조 기술 연구 협회
}}}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소속 연구 기관
파일:polimi 원형 아이콘 color.png 파일: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 아이콘.png 파일:Formal_Seal_of_Chalmers_tekniska_högskola,_Göteborg,_Västra_Götalands_län,_Sverige.svg.png 파일:볼로냐 대학교 문장.png 파일:TalTech-Logo.png
밀라노
폴리테크니코
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
샬메르스
공과대학교
볼로냐
대학교
탈린
공과대학교
파일:노팅엄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 원형 아이콘.png 파일:아헨 공과대학교 Text Logo.png 파일:TUe_simplified logo.png 파일:아보 아카데미 대학교 아이콘.png
노팅엄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
아헨
공과대학교
에인트호번
공과대학교
오보 아카데미
대학교
파일:알토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University of Twente_Logo.png 파일: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_Small logo.png 파일:POLITECNICO DI TORINO_Logo.png 파일:러프버러 대학교 아이콘.png
알토
대학교
트벤테
대학교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
토리노
폴리테크니코
러프버러
대학교
파일:1200px-KU_Leuven_logo.svg.png 파일:브라운슈바이크 대학교_로고.png 파일:퀸스 대학교 벨파스트 원형 아이콘.png 파일:겐트 대학교 로고.png 파일:파도바 대학교 문장.svg.png
뢰번
가톨릭 대학교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
퀸스 대학교
벨파스트
겐트
대학교
파도바
대학교
파일:오르후스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파일:University of Limerick_Icon.png 파일:발렌시아 공과대학교_Small Logo.png 파일:UCA_Small Logo.png 파일:코임브라 대학교 로고2.png
오르후스
대학교
리머릭
대학교
발렌시아
공과대학교
카디스
대학교
코임브라
대학교
파일:탐페레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몬드라곤대학.png 파일:University of Bergamo_Icon.png 파일:오울루 대학교 아이콘1.png 파일:University_of_Patras_(seal).png
탐페레
대학교
몬드라곤
대학교
베르가모
대학교
오울루
대학교
파트라
대학교
파일:룰레오 공과대학교 로고.png 파일:VSB 아이콘.png 파일:SETU_Icon.png 파일:University of Modena and Reggio Emilia_Icon.png 파일:말라르달렌 대학교 아이콘.png
룰레오
공과대학교
오스트라바
공과대학교
사우스 이스트
공과대학교
모데나 레지오
에밀리아 대학교
말라르달렌
대학교
파일:Sabanci University_Icon.png 파일:로렌 대학교_아이콘.png 파일:먼스터 공과대학교 아이콘.png 파일:AIT_Icon.png 파일:ZHAW 아이콘.png
사반치
대학교
로렌
대학교
먼스터
공과대학교
오스트리아
기술연구원
취리히
응용과학대학교
파일:SUPSI 아이콘.png 파일:INSA Lyon 아이콘.png 파일: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Upper Austria 로고.png 파일:WIT 아이콘.png
스위스 남부
응용과학예술대학교
리옹
국립응용과학원
어퍼 오스트리아
응용과학대학교
워터포드
공과대학교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틀 바로가기
}}}}}}}}}}}}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CDIO 로고.png
The CDIO™ INITIATIVE
CDIO 공학교육 도입 대학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1
<colcolor=#fff><colbgcolor=#66b4b4>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인제대학교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colcolor=#000,#fff> 펑챠대학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공학기술원 · 몽골과학기술대학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가나자와공업대학 · 가나자와국제고부 · 구마모토공업고등전문학교 · 나가노공업고등전문학교 · 나가오카공업고등전문학교 · 센다이공업고등전문학교 · 쓰루오카공업고등전문학교 · 아난공업고등전문학교 · 이바라키공업고등전문학교 · 츠야마공업고등전문학교 · 키사라즈공업고등전문학교 · 홋카이도정보대학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다롄동연신식학원 · 베이징교통대학 · 베이징석유화공학원 · 산토우대학 · 쑤저우 공업원구 전문대학 · 얀샨대학 · 전자과기대학 · 청두신식공정대학 · 칭화대학
동남아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마라 공과대학교 · 웅쿠 오마르 폴리테크닉 대학교 · 이브라힘 술탄 폴리테크닉 대학교 · 테일러스 대학교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FPT 대학교 · 국립토목공학대학 · 달랏 대학교 · 동나이 공과대학교 · 두이탄 대학교 · 베트남국립대학 · 빈 대학교(베트남) · 투다우못 대학교 · 트라빈 대학교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난양이공학원 · 싱가포르 이공학원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이산 대학교 · 쭐랄롱꼰 대학교 · 탄부리 대학교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남필리핀 과학기술대학교/카가얀데오로 캠퍼스 · 불라칸 주립대학교
남아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SRM 과학기술원 · 벨텍 공과대학교 · 사티야바마 과학기술원 · 티야가라자르 공과대학
서아시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 공과대학교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이스라엘 창의진흥원 · 텔아비브 공과대학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쿠웨이트 호주대학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1
<colcolor=#fff><colbgcolor=#66b4b4> 서유럽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colcolor=#000,#fff> 델프트 공과대학교 · 바헤닝언 대학교 · 에인트호번 공과대학교 · 트웬터 대학교 · 헤이그 응용과학대학교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겐트 대학교 · 뢰번 국제 유니버시티 칼리지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리머릭 대학교 · 사우스이스턴 리저널 칼리지 ·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노팅엄 트렌트 대학교 · 랭커스터 대학교 · 레스터 대학교 · 리버풀 대학교 · 리즈 대학교 · 버밍엄 시립대학교 · 브리스톨 대학교 · 사우스 웨스트 칼리지 · 스트래스클라이드 대학교 · 애스턴 대학교 · 얼스터 대학교 · 치체스터 대학교 · 캔터베리 크라이스트 처치 대학교 · 퀸스 대학교 벨파스트 · 하트퍼드셔 대학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CESI 공학대학원 · IMT 아틀란티크 · 파리 국립고등기술공예학교
중부유럽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라인 베스트팔렌 아헨 공과대학교 · 비스마르 응용과학대학교 · 에른스트-아베 응용과학대학교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그단스크 공과대학교
남유럽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나바라 대학교 · 카탈루냐 공과대학교 · 화학공학 고등기술학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밀라노 폴리테크니코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포르투 고등공학원
북유럽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 · 외스트폴 유니버시티 칼리지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VIA 유니버시티 칼리지 · 오르후스 대학교 · 올보르 대학교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빌뉴스 응용과학대학교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룰레오 공과대학교 · 린네 대학교 · 린셰핑 대학교 · 블레킹에 공과대학교 · 샬메르스 공과대학교 · 서부대학교 · 셰브데 대학교 · 옌셰핑 대학교 · 스웨덴 왕립 공과대학교 · 우메오 대학교 · 크리스티안스타드 대학교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 대학교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탈린 공과대학교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LAB 응용과학대학교 · 노비아 응용과학대학교 · 라플란드 응용과학대학교 · 메트로폴리아 응용과학대학교 · 사보니아 응용과학대학교 · 세이네요키 응용과학대학교 · 탐페레 응용과학대학교 · 투르쿠 대학교
동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돈 국립공과대학교 · 모스크바공학물리연구소 부속 국립원자력대학교 · 모스크바 물리기술원 · 모스크바 국립항공대학교 · 바우만 모스크바 국립공과대학교 · 북동연방대학교 ·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항공기기대학교 · 수르구트 국립대학교 · 스콜코보 과학기술원 · 시베리아 연방대학교 · 아스트라한 국립대학교 · 오룔 국립대학교 · 우랄 국립철도운송대학교 · 우랄 연방대학교 · 체레포베츠 국립대학교 · 카잔 연방대학교 · 쿠반 국립공과대학교
}}}}}}}}}}}}
[ 아메리카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colcolor=#fff><colbgcolor=#66b4b4><-2> 북아메리카 ||
[ 아프리카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colcolor=#fff><colbgcolor=#66b4b4><-2> 북아프리카 ||
[ 오세아니아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colcolor=#fff><colbgcolor=#66b4b4><-2> 오스트랄라시아 ||
}}} ||
[기준] 2025년 4월 1일 현재. 출처: 외국교육기관 및 외국인학교 종합안내[기준] 2025년 4월 1일 현재. 출처: 외국교육기관 및 외국인학교 종합안내[기준] 2025년 4월 1일 현재. 출처: 외국교육기관 및 외국인학교 종합안내[4] 벨기에 내의 캠퍼스는 겐트, 코르트레이크, 브뤼헤, 오스텐더 등에 있음[5] 토플 요건이 72점이지만 최소 90이상으로 입학할 것을 권장한다[6] 번역명이 같은 프랑스어권 대학인 브뤼셀 자유대학교(Université libre de Bruxelles)와 한 대학이었으나 갈라졌다.[7] 번역명이 같은 프랑스어권 대학인 루뱅 가톨릭 대학교(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와 한 대학이었으나 갈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