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4 02:38:50

탈린 공과대학교


파일:에스토니아 국장.svg
에스토니아의 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공립대학 타르투
대학교
탈린
공과대학교
탈린
대학교
에스토니아
생명과학대학교
에스토니아
예술 아카데미
에스토니아
음악 연극 아카데미
사립대학 에스토니아
비즈니스 스쿨
에스토니아
외교대학교
국립
응용과학대학
탈린
응용과학대학교
팔라스
응용과학대학교
에스토니아
항공 아카데미
에스토니아
안보과학 아카데미
에스토니아
국방대학교
탈린
보건대학교
타르투
보건대학교
사립
응용과학대학
에스토니아 기업가정신
응용과학대학교
에스토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신학대학
에스토니아 자유교회
신학대학
발트 감리교
신학대학
북유럽 소재 대학교 일람 | 틀 바로가기
}}}}}}}}} ||
{{{#!wiki style="margin: -7px"<tablebgcolor=white,#1c1d1f><tablebordercolor=white,#1c1d1f>
탈린 공과대학교 관련 틀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TalTech_logo_Transparent.png
파일:TalTech Full Logo_Transparent.png


탈린 공과대학교
Tallinna Tehnikaülikool
<colbgcolor=#342B60,#E4067E> 대학 정보
언어별 공식 명칭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1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에스토니아어 <colcolor=black,white> Tallinna Tehnikaülikool
덴마크어 Tallinns Teknologiske Universitet
독일어 Technische Universität Tallinn
라틴어 Tallinna Universitas Technologiae
러시아어 Таллиннс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스페인어 Universidad Técnica de Tallin
영어 Tallinn University of Technology
이탈리아어 Università tecnica di Tallinn
일본어 タリン工科大学
중국어 塔林理工大学
프랑스어 Université de technologie de Tallinn
핀란드어 Tallinnan teknillinen yliopisto
한국어 탈린 공과대학교
힌디어 तेलिन प्रौद्योगिकी विश्वविद्यालय
}}}}}}}}}}}}
슬로건
라틴어 : Mente et Manu
영어 : With Wisdom and Hands
한국어 : 지혜손길 ||
<colcolor=white> 분류 공립대학, 공과대학교
설립일 1918년 9월 17일 ([age(1918-09-17)]주년)
설립주체 에스토니아 공학회 Eesti  Tehnika  Selts
연혁 {{{#!wiki style="text-align: left; margin: 0 auto; display: inline"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f6f6f8,black> 1918년 Tehnilistel Erikursustel 개교
1919년 교명 변경 : Tallinna Tehnikum
1936년 재설립 : Tallinna Tehnikainstituut
1938년 새 법령에 의한 대학지위 승격 및
교명 변경 : Tallinna Tehnikaülikool
1941년 소련에 의한 교명 강제 변경 :
Tallinna Polütehniline Instituut
1969년 코흐틀라얘르베 일반 공학부 개교
1989년 교명 회복 : Tallinna Tehnikaülikool
1999년 쿠레사레 칼리지 개교
2000년 코흐틀라얘르베 일반 공학부[1] 합병
2005년 타르투 칼리지 개교
2008년 Rahvusvaheline Ülikool
Audentes (IUA) 합병
2014년 에스토니아 해양 아카데미 합병
2017년 에스토니아 정보기술대학 합병
}}}}}}}}} ||
소재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에스토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에스토니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하리우주, 탈린[2]
Ehitajate tee 5, 19086, Tallinn, Estonia
파일:지구 아이콘.png 북위 59.3950°, 동경 24.6719°
총장 티트 란드 (Rektor | 2020년–현재)[3]
예산 1억 2800만 (2024년 기준)
재학생 9,100명 (2024년 기준)
교직원 2,242명 (2024년 기준)
개방대학 재학생
1,575명 (2024년 기준)[4]
마스코트 율리우스 티피카스[5]
교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소속 연맹 및 단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링크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42B60,#E4067E><colcolor=white> 웹사이트 <colcolor=black,whit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대학 홈페이지
소셜 미디어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6]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7] | 파일:플리커 아이콘.svg
학생회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TTÜ Üliõpilasesindusest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Juuliuse Blogi
파일:링크트리 아이콘.svg 과학대학 학생회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동문회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TTÜ Vilistlane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TalTech School of Business and Governance
대학 잡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Mente et Manu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Trialoog TalTech
파일:issuu 아이콘.png Meremees
대학 소식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TTÜ Uudised
데이터 보관소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TalTech Data Repository
슈퍼컴퓨팅 센터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TalTech HPC Centre
기념품몰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TTÜ e-pood
기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TalTech SMART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Research Professional
파일:Storybook 로고.png TalTech Digital Styleguide
파일:링크트리 아이콘.svg 대학 관련 링크 모음
파일:링크트리 아이콘.svg 정보기술대학 전용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Google Play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에스토니아어 Wikipedia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영문 Wikipedia
}}}}}}}}}}}} ||
교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 로고

파일:TUT Logo (Old).png

현 로고

파일:TalTech-Logo.png

에스토니아 해양 아카데미 로고

파일:TalTech Eesti Mereakadeemia_Logo.png

}}}}}}}}}}}} ||
캠퍼스 및 관련 시설 위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메인 캠퍼스
에스토니아 해양 아카데미
타르투 칼리지 비루마 칼리지
쿠레사레 칼리지 세르하우아 지구과학 센터
}}}}}}}}}}}} ||

1. 개요2. 대학 이념3. 대학 조직 및 학부 구성4. 캠퍼스
4.1. 메인 캠퍼스
4.1.1. 스마트 캠퍼스4.1.2. 대학 도서관
4.1.2.1. 대학 박물관
4.1.3. 아카데믹 앨리4.1.4. MEKTORY4.1.5. 테노폴 사이언스 비즈니스 파크
5. 관련 시설6. 출신 인물
6.1. 동문6.2. 교원

1. 개요

 파일:TalTech_Logo_Accent_02.png
파일:Majandusteaduskond_aula_modified.png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탈린 공과대학교 공식 소개영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TalTech is the Flagship of Estoni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Education."
"에스토니아 공학 및 기술 교육의 플래그십."

"We're Estonia's leading international technology university, leading Estonia into a sustainable digital future."
"우리는 에스토니아의 선도적인 국제적 공과대학으로, 에스토니아를 지속 가능한 디지털 미래로 이끌고 있습니다."

NATO 사이버방위센터 성명문 (上)[8] 과 L&Co.의 탈린 공과대학교 설명문 (下)[9]

에스토니아의 수도 탈린에 위치한 연구중심 공립공과대학.
에스토니아 유일의 공과대학이자 발트 3국 지역을 대표하는 공과대학[10]으로 약칭은 TalTech[11] 또는 TTÜ[12].
또한 에스토니아의 기술혁신 생태계를 지원하는 주요 허브이자 에스토니아 경제 성장동력의 주요 제공자로 평가받는 대학으로, 자국의 산학협력 및 STEM 인재 양성 시스템을 대표하는 대학이다.[13]

==# 역사 #==

파일:42227181_10156643511428948_5586081563788967936_n.png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탈린 공과대학교 역사 관련 사진
{{{#black,#black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TTÜM_N214_001.jpg
Tallinna Tehnilised Erikursused 시절
첫 강의가 열린 장소 (1918)
파일:Asutati Tallinna Tehnikumi raamatukogu (Pikk 20).png
Tallinna Tehnikum 시절 대학 도서관 (1919)
파일:1923_Esimene masinaehitajate lend.png
Tallinna Tehnikum 시절
1기 졸업생들과 교수진 (1923)
파일:13Vene-Balti-laevatehase-haldushoone-Kopli-Tallinn.jpg
Tallinna Tehnikum 시절 대학 본관인
구 러시아–발트해 조선소 본관 (1932)
파일:TTÜM_F_541_002.png
Tallinna Tehnikainstituut
설립 기념식 (1936)
파일:TTÜM_F3387_001.png
학생회 이사진들
학생회 설립 18주년 기념식에서 (1938)
파일:Kohtu 4.jpg
Tallinna Polütehniline Instituut 시절
경영학부 본관 (1941)
파일:348669_ERM_Fk2977_262_348669.png
Tallinna Polütehniline Instituut 시절
정식 입학식 (1946)
파일:EAMFk2215_1.jpg
메인 캠퍼스 마스터 플랜 (1961)
파일:muuseum1.jpg
메인 캠퍼스 무스타매에 이주 기념
초석 설치 기공식 (1962)
파일:Puhkpilliorkester aastapäevakontserdi eel 1985.jpg
대학 관악대
창단 35주년 기념사진 (1985)
파일:Akadeemikute allee avamine_cropped_02.png
아카데믹 앨리 개장식 (1986)
파일:HMF1600_186Ff_1_pisipilt.jpg
탈린 공과대학교 합창단
에스토니아 독립 선언서 기념식에서 (1990)
파일:TalTech iseauto.jpg
에스토니아 첫 자율주행 자동차
TalTech – ISEAUTO 시승식 (2018)
}}}}}}}}}}}} ||
탈린 공과대학교의 역사는 에스토니아의 독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에스토니아가 러시아 제국으로 부터 독립을 선언한 이후, 에스토니아 내 공학 및 기술 전문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공학 교육 인프라 부재로 인해 당시 공학 관련 교육을 원하는 에스토니아인들은 독일이나 상트페테르부르크 혹은 리가로 가서 교육을 이수해야만 하는 상황이었고, 신생 국가였던 에스토니아 입장에선 향후 나라를 이끌어갈 공학 분야 고급 인재들을 직접 육성해야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에 따라 1918년 9월 17일, 에스토니아 공학회 (Eesti Tehnika Selts) 주도로 탈린에 전문 공학기술 과정 (Tallinna Tehnilised Erikursused)을 제공하는 소수정예 공학 전문학교가 설립되었으며, 이는 오늘날의 탈린 공과대학교로 이어진다.[14] 다만 개교 당시는 에스토니아의 독립선언에도 불구하고 독일 제국군이 에스토니아를 점령하고 있던 시기였다. 대학 지위를 인정받기 위한 허가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기에 에스토니아 공학회 산하 사립고등교육기관으로 운영되었다. 이듬해인 1919년에 Tallinna Tehnikum으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기계공학, 전기공학, 토목공학, 조선공학과 같은 전공을 제공하며 에스토니아의 산업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시작했다. 1920년엔 국유화되었으며, 동년 10월 1일에 재학생들을 중심으로 학생회를 창단한다.[15] 1923년에 이르러 13명의 첫 졸업생들을 배출한다.

1931년까지 Tallinna Tehnikum은 탈린 구 시가지 (Tallinna Vanalinn) 내 피크 거리 (Pikk Tänav)의 비좁은 환경에서 운영되다가 1932년, 코플리 (Kopli)에 있는 구 러시아-발트해 조선소 본관 (Vene-Balti Laevaehitustehase Peahoone)으로 이전했다.[16] 이후 1936년 4월, 국가 교육체계의 재정비를 원하던 에스토니아 정부로 인해 타르투 대학교의 공학부 (Tehnikateaduskond)로 합병시키자는 방안이 의회에서 논의되기 시작한다. 이로 인해 독립된 공학교육기관으로서 발전을 도모하던 Tallinna Tehnikum과 심한 갈등을 빚게 된다. 종국엔 콘스탄틴 패츠가 "공과대학은 타르투가 아닌 수도 탈린에 위치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타르투 대학교의 공학부를 폐쇄하고 그 유산을 탈린으로 가져오는 결론을 내린다. 콘스탄틴 패츠는 이 유산과 기존의 Tallinna Tehnikum을 합쳐 1936년 6월 25일, Tallinna Tehnikainstituut란 교명과 함께 새로운 공립공과대학을 탈린에 설립한다는 계획을 발표한다.[17] 동년 9월 15일, 기념식과 함께 Tallinna Tehnikainstituut가 공식 설립되었다.

상기한 내용의 연장선상으로 1937년 9월 24일, Tallinna Tehnikainstituut에게 에스토니아 고등교육체제 안에서 타르투 대학교와 동등한 "대학" (University)으로서의 법적 지위를 보장하는 새로운 대학 법령 (Ülikoolide Seadus)이 발표된다. 이 법령은 에스토니아 고등교육역사에서 굉장히 중요한 법령으로 타르투 대학교로 대표되던 타르투 중심의 고등교육 헤게모니를 종식시켰기 때문이다.[18] 이 법령 이후 에스토니아의 고등교육은 종합대학의 타르투 대학교, 공과대학의 탈린 공과대학교로 양분되어 발전하게 된다.[19] 이듬해인 1938년 1월 1일부로 이 법령이 실질적으로 발효되며, 비로소 현재의 탈린 공과대학교 (Tallinna Tehnikaülikool)라는 교명을 사용하게 된다. 이 시기는 대학의 전환점으로, 전공 분야의 확장과 함께 연구 활동도 활발해지며 에스토니아 내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1939년 4월 17일, 에스토니아 교육부 장관은 당시 탈린 공과대학교 총장이었던 폴 코게르만 (Paul Kogerman)에게 서한을 보내 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대학의 너무 길고 엄격한 도제식 교육과정으로 인해 재학생들이 지나치게 과부하가 걸리기 쉽다는게 교육부 장관이 제기한 문제의 핵심이었다.[20] 이에 탈린 공과대학교는 "일반적으로 대학을 졸업하는데 4년 이상 걸리지 않도록 교육과정을 개편하라"는 교육부의 요청을 받아들여 교육과정을 재정비하게 된다.[21]

허나 이러한 대학의 성장은 1940년 소련의 에스토니아 점령으로 인해 큰 도전에 직면하게 된다. 소련 점령기 동안 탈린 공과대학교는 소련의 정책 변화에 맞춰 교육과 연구 내용이 정치적 목적에 의해 강제로 조정되었으며, 교명 또한 Tallinna Polütehniline Instituut (이하 TPI)로 강제 변경된다.[22] 불행 중 다행인지 발트 3국 공학 연구 및 교육 중심지로 남아 지역 내 엘리트 공과대학으로 육성되었으며 (물론 소련의 체제선전 목적이긴 했지만), 이를 바탕으로 발트해 지역 산업 발전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수 있었다. 1960년대 초엔 무스타매에 (Mustamäe)에 대학의 새로운 캠퍼스 건설이 시작됐으며, 1965년에 이주를 완료한다.[23] 메인 캠퍼스 이주를 완료한 이 시기를 전후로 대학 설립때부터 유지되던 소수정예 인재양성 기조에서 탈피하고, 대학의 문호를 넓히기 시작한다. 실제로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전까지는 전체 학생 수가 500명을 넘긴 적이 없었다.[24] 메인 캠퍼스를 무스타매에로 이전한 후부터 소련의 정책을 받아들여 최소 1000명 이상의 학생 수 유지를 위해 노력하게 된다. 더불어 1969년엔 코흐틀라얘르베 일반 공학부 (Kohtla-Järve Üldtehniline Teaduskond)란 단과대학이 설립되었으며, 이 단과대학은 추후 2000년에 탈린 공과대학교에 비루마 칼리지 (Virumaa Kolledž)란 교명으로 합병된다.

1991년 에스토니아가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탈린 공과대학교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이는 대학의 역사적 측면에서 제2의 개교라 할 수 있으며, 소련에 의해 망가졌던 대학의 교육 체계와 연구 역량을 빠르게 복구시켰다. 또한 1990년대 후반부터는 국제화와 현대화를 위한 노력이 가속화되었다. 이 시기부터 세계의 여려 대학들과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자체 연구 역량을 강화하면서 국제적 명성을 쌓는 토대를 마련했다.[25] 특히 정보기술 (IT), 스마트 도시, 지속가능발전과 같은 첨단 기술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에스토니아의 기술혁신 생태계를 지원하는 중요한 허브로 자리 잡았다.

1999년엔 탈린 공과대학교의 단과대학인 쿠레사레 칼리지 (Kuressaare Kolledž)가 설립되었으며, 또다른 단과대학인 타르투 칼리지 (Tartu Kolledž)는 2005년에 설립된다. 더불어 2008년에 국제 오덴테 대학교 (Rahvusvaheline Ülikool Audentes)를 합병했으며, 에스토니아 해양 아카데미 (Eesti Mereakadeemia)는 2014년에 탈린 공과대학교에 합병됐다. 2017년엔 에스토니아 정보기술대학 (Eesti Infotehnoloogia Kolledž)을 합병하며 대학의 외연을 확장시키는데 성공한다. 또한 2018년 9월 17일과 18일 양일에 걸쳐 대학 설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TTÜ 100 행사를 메인 캠퍼스와 알렉셀라 콘서트 홀 (Alexela Concert Hall)에서 대대적으로 개최하였다.

현재 탈린 공과대학교는 디지털화와 기술혁신을 통해 에스토니아의 경제와 사회 발전을 이끄는 주요 기관이자, 명실상부 발트 3국 최고의 공과대학으로 평가받고 있다.[26]

2. 대학 이념

{{{#!wiki style="margin: 17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f2023,black> 파일:TalTech-Logo.png 크게 생각하라!
Think Big!
Mõtle
Suurelt!
. "Professionalism and Reliability." 전문성신뢰성
.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기업가정신혁신
. "Openness and Cooperation." 개방성협력}}}
"Our slogan Mente et Manu reflects the values of the university community, attaching equal importance to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entrepreneurial and practical actions, as well as openness, reliability and cooperation."
"우리의 슬로건인 지혜손길로는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 기업가적이고 실용적인 행동, 개방성, 신뢰성, 협력을 동등하게 중시하는 대학 공동체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습니다."[27][28]
||

상술한 대학의 설립 이념인 국가 최고의 공학분야 인재 육성과 더불어 오늘날의 탈린 공과대학교는 위 3개의 가치를 대학의 주요 운영 목표 및 핵심 가치로 규정하고 있다. 이 중 기업가정신과 혁신은 특히나 강조되고 있는 핵심 가치로 후술할 혁신 및 기업가정신 촉진 센터 (MEKTORY)의 존재와 더불어 테노폴 사이언스 비즈니스 파크 (Teadus- ja ärilinnak Tehnopol)와의 협엽을 통해 구체화 및 현실화되고 있다.

3. 대학 조직 및 학부 구성


 파일:Tallinna Tehnikaülikool_Transparent Logo.png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대학 조직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TalTech-skeem-ENG.png
}}}}}} ||
단과대학 및 학부 구성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정보기술대학
    [EKKA] [EUR‑ACE] [APEL/RP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342b60; font-size: .8em"
School of Information Technologies }}}
Infotehnoloogia Teaduskond 

School of Engineering }}}
Inseneriteaduskond 

  • 과학대학
    [EKKA] [EUR‑ACE] [APEL/RP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342b60; font-size: .8em"
School of Science }}}
Loodusteaduskond 
  • 사이버네틱스학부 [ISO/IEC]
    Department of Cybernetics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수학과
      Division of Mathematics
      • 군과 반군 이론 연구 그룹
        Group and Semigroup Theory Research Group
      • 역문제 및 확률적 방법 연구 그룹
        Inverse Problems and Stochastic Methods Research Group
      • 수학적 분석 연구 그룹
        Mathematical Analysis Research Group
    • 물리학과
      Division of Physics
      • 이론물리학 연구 그룹
        Theoretical Physics Research Group
      • 스핀 디자인 연구소
        Laboratory of Spin Design
      • 고체역학 연구소
        Laboratory of Solid Mechanics
        • 비선형 파동 역학 연구 그룹
          Nonlinear Wave Dynamics Research Group
        • 복합재료의 유변학 연구 그룹
          Rheology of Composites Research Group
    • 시스템 생물학 연구소
      Laboratory of Systems Biology
    • 수파 (水波) 및 해안공학 연구소
      Laboratory of Wave Engineering

    }}}}}}
  • 지질학부 [ISO/IEC] [IAG] [E-Course]
    Department of Geology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암반 지질학 및 소장품 연구학과
      Division of Bedrock Geology and Collections
    • 제4기 (第四紀) 지질학과
      Division of Quaternary Geology
      • 동위원소 및 수문지화학 연구소
        Laboratory of Isotope and Hydrogeochemistry
      • 퇴적학 및 고생태학 연구소
        Laboratory of Sedimentology and Palaeoecology
    • 광물 자원 및 응용 지질학과
      Division of Mineral Resources and Applied Geology
      • 지화학 및 광물학 연구소
        Laboratory of Geochemistry and Mineralogy
    • 광업 및 광물 기술학과
      Division of Mining and Mineral Technology
      • 광산 조건 연구소
        Laboratory of Mining Conditions
    • 세르하우아 지구과학 센터
      Särghaua Earth Science Centre

    }}}}}}
  • 화학 및 생명공학부 [ISO] [Bioceb] [INNOCHEMBIO]
    Department of Chemistry and Biotechnology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화학과
      Division of Chemistry
    • 식품 및 생명공학과
      Division of Food and Biotechnology
    • 유전자 기술 및 생물의학과
      Division of Gene Technology and Biomedicine
      • 지질 및 지단백질 생화학 연구 그룹
        Biochemistry of Lipids and Lipoproteins Research Group
      • 생식생물학 연구 그룹
        Reproductive Biology Research Group
      • 생물의학 연구 그룹
        Biomedicine Research Group
      • DNA 복제 및 게놈 안정성 연구 그룹
        DNA Replication and Genome Stability Research Group
      • 교세포 생물학 연구 그룹
        Glial Cell Biology Research Group
      • 면역생물학 연구 그룹
        Immunobiology Research Group
      • 금속 단백질체학 연구 그룹
        Metalloproteomics Research Group
      • 미세유체역학 연구 그룹
        Microfluidics Research Group
      • 분자신경생물학 연구 그룹
        Molecular Neurobiology Research Group
      • 신경후성유전학 연구소
        Laboratory of Neuroepigenetics
      • 단백질 설계 연구 그룹
        Protein Design Research Group
      • 지능형 분석 연구 그룹
        Smart Analytics Research Group

    }}}}}}
  • 해양 시스템학부 [ISO]
    Department of Marine Systems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해양생태학 연구소 [EAK–L257]
      Laboratory of Marine Ecology
    • 해양물리학과
      Division of Marine Physics
    • 모델링 및 원격 감지학과
      Division of Modelling and Remote Sensing
      • 경사도 시스템 동역학 연구 그룹
        Dynamics of Gradient Systems
      • 해양 동역학 수치 모델링 및 원격 감지 연구 그룹
        Modelling and Remote Sensing of Marine Dynamics
    • Salme 연구용 선박
      Research Vessel Salme
      • 습식 시스템 및 공정 실험실
        Wet Laboratory
      • 해양생물학/화학 실험실
        Biological/Chemical Laboratory

    }}}}}}

School of Business and Governance }}}
Majandusteaduskond 
  • 라그나르 누르크세 혁신 및 거버넌스 학부
    Ragnar Nurkse Department of Innovation and Governance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공공 부문 혁신 연구 그룹
      Public Sector Innovation Research Group
    • 재정 관리 연구 그룹
      Fiscal Governance Research Group
    • 공공관리 및 정책 연구 그룹
      Public Management and Policy Research Group
    • 과학기술 철학 연구 그룹
      Philosophy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Group
    • 기술 거버넌스 및 혁신 정책 연구 그룹
      Technology Governance and Innovation Policy Research Group
    • 지배구조 연구 그룹
      Governance Research Group
    • 사회과학 분야 빅데이터 연구 그룹
      Big data in social sciences Research Group

    }}}}}}
  • 경영학부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회계 연구 그룹
      Accounting Research Group
    • 기업가정신 연구 그룹
      Entrepreneurship Research Group
    • 마케팅 연구 그룹
      Marketing Research Group
    • 조직 및 관리 연구 그룹
      Organisation and Management Research Group
    • 지속 가능한 가치사슬 관리 연구 그룹
      Sustainable Value Chain Management Research Group

    }}}}}}
  • 경제 및 금융학부
    Department of Economics and Finance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기업의 생산성, 투자 및 수출 경쟁력 강화 연구 그룹
      Research Group for Companies’ Productivity, Investments and Export Competitiveness
    • 경제적 성과: 통합, 거버넌스 및 정책 연구 그룹
      Research Group for Economic Performance: Integration, Governance and Policy
    • 금융과 디지털 경제: 금융 행동, 시장 및 경쟁력 연구 그룹
      Research Group for Finance and the Digital Economy: Financial Behaviour, Markets, and Competitiveness
    • 지속 가능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인적 자본, 정신 건강 및 사회 경제적 포용성 연구 그룹
      Research Group for Human Capital, Mental Health and Socio-Economic Inclusion for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
  • 법학부
    Department of Law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탈린 공과대학교 법 연구소 [법  산학협력  연구원]
      TalTech Legal Lab
    • EU 디지털 시장 및 기술에 대한 법적 정책 및 규범 프레임워크와 파트너 국가에서의 적용 연구 그룹
      Research Group for Legal Policy and Normative Framework of EU Digital Market and Technologies and its Application in Partner Countries
    • EU 국제 관계, 보안, 법률 및 기술 연구 그룹
      Research Group for International Relations, Security, Law and Technology
    • 사법 연구 그룹
      Research Group for Private law

    }}}}}}
  • 언어 및 커뮤니케이션 센터
    Centre for Language and Communication

Estonian Maritime Academy }}}
Eesti Mereakadeemia 
  • 연구 그룹
    Research Groups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연구 시설
    Laboratories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냉동 기술 연구소
      Refrigeration Laboratory
    • 프로세스 자동화 연구소
      Process Automation Laboratory
    • 공기압 및 유압 연구소
      Laboratory of Pneumatics and Hydraulics
    • 전자공학 및 전기공학 연구소
      Laboratory of Electronics and Electrical Engineering

    }}}}}}
  • 해양교육 및 훈련 센터
    Centre of Maritime Education and Training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공학관
      Engineering House
    • DP 센터 [DPCA]
      Dynamic Positioning Centre

    }}}}}}
  • 해양 기반시설 센터
    Infrastructure Centre
}}} ||
"The mission of TalTech is to be a leading provider of engineering and economics education, as well as a leader in the fields of engineering sciences and smart technologies."
"탈린 공과대학교의 사명은 공학경제학 교육선도적 제공자이자 공학스마트 기술 분야리더가 되는 것입니다."

― TalTech SMART 소개글[82]

지난 2017년 대대적인 조직 개편 이후 공과대학, 정보기술대학, 과학대학, 비즈니스 및 거버넌스 대학, 그리고 에스토니아 해양 아카데미, 이렇게 5개의 단과대학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단과대학은 여러 학부와 연구 센터를 포괄하고 있다.

4. 캠퍼스

탈린 공과대학교는 메인 캠퍼스 이외에도 타르투, 코흐틀라얘르베 (Kohtla-Järve), 쿠레사레 (Kuressaare)에 각각 타르투 칼리지 (Tartu Kolledž), 비루마 칼리지 (Virumaa Kolledž), 그리고 쿠레사레 칼리지 (Kuressaare Kolledž)라는 공과대학 부설 단과대학들을 운영 중이다. 탈린 공과대학교의 특수목적 단과대학인 에스토니아 해양 아카데미 (Eesti Mereakadeemia)는 탈린의 코플리 (Kopli)에 위치해 있다.

4.1. 메인 캠퍼스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캠퍼스 영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c1d1f> 메인 캠퍼스
}}}}}} ||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캠퍼스 지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메인 캠퍼스
파일:Campuse kaart_2024_EST-ENG_04-06-2024-1.png
}}}}}} ||
캠퍼스 사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메인 캠퍼스
파일:Snowy TalTech_Daytime_KASSFILMS (William Kass).png
파일:TalTech_Zoom_taust_04-03-2021_1920x1080pix_cropped.png
파일:TalTech’s campus in Tallinn.jpg
파일:TalTechi Maamärk.jpg
파일:4adrrs2h.rwg.jpg
파일:Tallinna Tehnikaülikool_õppehoone_01.jpg
파일:majandusteaduskonna maja 2024.jpg
파일:TTÜ õppehoone_01.jpg
파일:140101260_1633889376821261_3659446306603330039_n.jpg
파일:IT-Maja_TalTech_KASSFILMS.jpg
파일:TTÜ_Spordiklubi.png
}}} ||
캠퍼스 가상 투어

탈린 공과대학교의 메인 캠퍼스는 탈린의 무스타매에 (Mustamäe)에 위치해 있다. 본래 탈린의 코플리 (Kopli)에 위치해 있는 구 러시아-발트해 조선소 본관 (Vene-Balti Laevaehitustehase Peahoone)을 메인 캠퍼스로 사용하던 중, 지난 1962년 무스타매에에 새로운 캠퍼스 착공을 시작해 1965년 이주를 완료하며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 후술할 테노폴 사이언스 비즈니스 파크와 함께 하나의 산학협력 캠퍼스를 형성하고 있다.

4.1.1. 스마트 캠퍼스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관련 영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탈린 공과대학교의 메인 캠퍼스는 스마트 캠퍼스 (Smart Campus)를 표방하고 있다.[83] 흔히 스마트 시티 기술 발전을 위한 실험을 진행하는 "Living Lab"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실제로 에스토니아 정부의 탈린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다양한 스마트 시티 관련 기술의 테스트 베드 역할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 차량, 배달 로봇, 5G, 재생에너지, 스마트 빌딩 등 다양한 관련 기술들이 탈린 공과대학교의 메인 캠퍼스에서 실험 및 적용되고 있다.[84]

4.1.2. 대학 도서관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대학 도서관 영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c1d1f>
}}}}}} ||
대학 도서관 사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337429929_6303434826354031_2584482729716018583_n.jpg
파일:Tallinn_University_of_Technology.png
파일:07__MG_2094_sisearh.jpg
파일:Tallinna Tehnikaülikooli Raamatukogu_Interior.png
}}} ||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메인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아카이브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현재의 탈린 공과대학교 도서관 (Tallinna Tehnikaülikooli Raamatukogu)은 본교의 도서관 개관 90주년을 기념하여 지난 2009년에 새롭게 건설 및 개관했다.[85] 본 도서관은 현대적 디자인, 첨단 IT 인프라,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그리고 지속 가능한 건축 철학을 결합하여, 미래 지향적 학습 및 연구 환경을 제공하는 모범적인 사례로 꼽힌다. 이러한 특성은 학술 정보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연구 활동과 협업을 촉진함으로써, 탈린 공과대학교의 전반적인 교육 및 연구 역량을 크게 강화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4.1.2.1. 대학 박물관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대학 박물관 영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c1d1f> 박물관 개관 50주년 헌정 영상
}}}}}} ||
대학 박물관 사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TalTech_Muuseum_väljast_2023.jpg
파일:471396584_10161946712213948_8885221174021930471_n.jpg
파일:XO_8001-2048x1365.jpg
}}} ||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 파일:Visit Tallinn Simplified Logo.png

탈린 공과대학교 박물관 (Tallinna Tehnikaülikooli Muuseum)은 지난 1971년에 공식 개관했으며, 현재는 대학 도서관 건물 1층에 위치하고 있다. 본교의 설립 초기부터 현재까지 이어진 학문적, 기술적 발전을 전시를 통해 기록하고 보존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탈린 공과대학교가 주도한 연구 성과, 기술 개발, 그리고 산업 혁신의 과정을 보여주는데 집중하고 있으며, 기계, 전자, 정보통신 등 여러 분야의 발전사가 상세하게 소개되어 있어, 기술의 흐름과 사회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본 박물관은 정기적인 전시회뿐만 아니라, 교육 프로그램과 워크숍, 강연 등을 통해 재학생 및 지역 사회와의 소통을 활성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과학 기술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미래 혁신 인재 양성에도 기여하고 있다. 더불어 본 박물관의 전시 내용은 단순한 역사 기록을 넘어서, 현재 진행 중인 연구 및 미래 기술에 대한 비전도 함께 다루고 있어, 방문객들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가 어떻게 이어지는지 체험할 수 있다.

4.1.3. 아카데믹 앨리

아카데믹 앨리 사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80%><tablebgcolor=white,#1c1d1f> 1986년 개장 당시 모습
파일:Tallinn_Tallinna Tehnikaülikool_akadeemikute allee_01.png
현재 모습
파일:54197957695_024f887046_k.jpg
파일:Tallinna-Tehnikaulikool-scaled.jpg
파일:122_N5A1951.jpg
파일:TalTech-sisehoov-scaled.jpg
}}} ||
링크 파일:City of Tallinn 로고.png
헌액된 인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c1d1f><rowcolor=white> 성명 링크 비고
I
파일: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40-1953).svg
유리 누트
Jüri Nuut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에스토니아의 수학자이자 우주론자. 前 탈린 공과대학교 교수
II
파일: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40-1953).svg
폴 코게르만
Paul Kogerman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에스토니아의 화학자이자 현대 유혈암 연구의 선구자. 前 탈린 공과대학교 총장
III
파일: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40-1953).svg
아우구스트 벨너
August Velner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에스토니아의 과학자이자 에스토니아 수력 발전의 창시자. 前 탈린 공과대학교 교수
IV
파일: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3-1990).svg
유한 바아벨
Juhan Vaabel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에스토니아의 경제학자. 前 탈린 공과대학교 교수
V
파일: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3-1990).svg
오토마르 매디슨
Ottomar Maddison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에스토니아의 과학자. 前 탈린 공과대학교 교수
VI
파일: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3-1990).svg
알렉산더 볼덱
Aleksander Voldek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에스토니아의 전기공학자. 前 탈린 공과대학교 교수
VII
파일: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3-1990).svg
아구 아르나
Agu Aarna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에스토니아의 유혈암 화학자. 탈린 공과대학교 동문이자 前 총장
VIII
파일: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3-1990).svg
아놀드 후말라
Arnold Humala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에스토니아의 수학자. 前 탈린 공과대학교 교수
IX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알브레히트 알트마
Albrecht Altma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에스토니아의 물리학자. 前 탈린 공과대학교 총장
X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하리 카에르
Harri Käär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에스토니아의 열전발전 기술자 겸 과학자. 前 탈린 공과대학교 교수
XI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하인리히 라울
Heinrich Laul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에스토니아의 건축공학기술자. 前 탈린 공과대학교 교수
XII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엔델 리프마
Endel Lippmaa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에스토니아의 학자이자 정치인. 국립 화학물리학 및 생물물리학 연구소 (KBFI)의 설립자이자 과학위원회 의장. 탈린 공과대학교 동문
}}} ||

1986년 10월 15일 개장한 탈린 공과대학교의 아카데믹 앨리 (Akadeemikute Allee)는 단순한 산책로나 이동 통로 이상의 의미를 지니는, 메인 캠퍼스 내에서 학문적 소통과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설계된 특별한 공간이다. 이 공간은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자, 교수,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만나 아이디어를 교류하고, 새로운 협업 기회를 모색할 수 있도록 배려된 환경을 제공한다.

설치된 흉상들은 단순한 장식물이 아니라 본교의 설립과 발전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인물들이며, 후대 연구자와 재학생들에게 도전 정신과 혁신적인 사고를 불러일으키는 영감을 제공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1986년 아카데믹 앨리 개장 당시 헌액된 최초의 6인은 유리 누트 (Jüri Nuut), 유한 바아벨 (Juhan Vaabel), 폴 코게르만 (Paul Kogerman), 오토마르 매디슨 (Ottomar Maddison), 알렉산더 볼덱 (Aleksander Voldek), 그리고 아우구스트 벨너 (August Velner)이다. 이들 모두는 에스토니아 과학한림원[86] (Eesti Teaduste Akadeemia) 정회원이며, 본교에서 건국의 아버지들과 같은 위상을 지닌다.

지난 2008년에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재정비 되었으며, 가장 최근에 추가된 흉상은 지난 2018년에 설치된 학자 엔델 리프마다.

4.1.4. MEKTORY

MEKTORY 사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80%><tablebgcolor=white,#1c1d1f>
파일:mektory-enda-Entrance.jpg
파일:850_4801.jpg
}}} ||
MEKTORY 가상 투어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Visit Tallinn Simplified Logo.png
"The MEKTORY building is a meeting place for good thoughts, new ideas, inventive people, and awesome solutions."
"MEKTORY 빌딩은 좋은 생각, 새로운 아이디어, 창의적인 사람들, 멋진 솔루션을 위한 만남의 장소입니다."

― Visit Tallinn의 MEKTORY 소개글[87]
EBS 특집 다큐 - '스타트업의 천국, 에스토니아'의 탈린 공과대학교 MEKTORY 부분
(37분 46초부터 41분까지)

탈린 공과대학교 메인 캠퍼스에 위치한 혁신 및 기업가정신 촉진 센터 (TalTech Innovation and Business Centre MEKTORY, 이하 MEKTORY[88])는 학생, 연구자, 기업가, 기업 및 공공 부문을 연결하여 협력과 지식 이전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지난 1998년 공식 출범하였다.[89] MEKTORY는 본교의 알파이자 오메가에스토니아 청년창업의 허브로 불린다.[90]

현재 MEKTORY는 다양한 분야의 연구 및 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며, 창업 인큐베이터, 프로토타이핑 랩, 디자인 스튜디오 등을 제공하고 있다.[91] 이를 통해 학생들과 기업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더불어 다양한 워크숍, 세미나 및 네트워킹 이벤트를 개최하여 혁신적인 사고와 기업가정신을 장려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MEKTORY는 에스토니아와 국제 사회에서 혁신 생태계를 강화하고, 탈린 공과대학교의 연구 및 교육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미래의 기업가들을 교육시키기 위한 장소 내지는 졸업전 그들의 아이디어를 현실에 미리 적용시켜 보기 위한 예비 실험실 역할을 하고 있다.

여담으로 MEKTORY 내부에는 박사 및 박사후 연구원들을 위한 연구소들이 위치해 있으며, 삼성의 지원을 받아 설립된 삼성 디지털 아카데미 (Samsung Digital Academy) 또한 위치해 있다.[92]

4.1.5. 테노폴 사이언스 비즈니스 파크

"The smart research campus forms one big area with TalTech."
"(테노폴의) 스마트 연구 캠퍼스는 탈린 공과대학교와 함께 하나의 큰 지역을 형성합니다."

― 테노폴 사이언스 비즈니스 파크 소개글[93]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테노폴 사이언스 비즈니스 파크 사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Tehnopol.jpg
}}}}}}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b6f00><tablebordercolor=#fb6f00>
파일:Tehnopol white logo.png
테노폴
사이언스 비즈니스 파크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b6f00><colcolor=white> 웹사이트 <colcolor=black,whit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소셜 미디어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소재지
}}}}}}}}}}}} ||
프로토트론
파일:Prototron 로고.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웹사이트 <colcolor=black,whit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소셜 미디어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탈린 공과대학교 메인 캠퍼스의 가장 큰 특징은 캠퍼스 전체가 흡사 스타트업 인큐베이터와 같다는 것이며, 이는 상술한 MEKTORY와 더불어 메인 캠퍼스와 하나의 산학협력 캠퍼스를 형성하고 있는 테노폴 사이언스 비즈니스 파크[94]의 존재 때문이기도 하다.

발트 3국 최대 규모의 첨단 과학 연구 단지 중 하나인 테노폴 사이언스 비즈니스 파크는 애초에 기획 단계부터 거대한 산학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염두에 두고 의도적으로 탈린 공과대학교의 메인 캠퍼스와 서로 연결되어 보이도록 설계되었다. 지난 1998년, 당시 탈린 공과대학교에 상술한 MEKTORY가 설립되며 이를 더 발전 및 확장시킬 방안을 궁리하던 중 대학과 산업계가 연계된 하나의 첨단 기술 산업단지를 건설하자는 논의로 발전했다. 이에 에스토니아 정부가 호응하고, 탈린시, 탈린 공과대학교가 주체가 지난 2001년 탈린 테크놀로지 파크 파운데이션 (Tallinn Technology Park Development Foundation)[95]이 설립되었으며, 현재의 테노폴 사이언스 비즈니스 파크 건설로 이어졌다. 즉 탈린 공과대학교는 테노폴 사이언스 비즈니스 파크의 공동 설립자이자 주요 이해관계자다.

Microsoft의 에스토니아 지사를 비롯해 에스토니아에서 설립된 유명 테크 기업들인 Skype,[96] Starship Technologies, Cybernetica, Ektaco 등 총 200개가 넘는 크고 작은 스타트업들과 더불어 에스토니아 정부 산하기관인 SMIT[97]정부출연연구기관KBFI[98]도 테노폴 사이언스 비즈니스 파크 부지 내에 입주해 있다.

또한 탈린 공과대학교, 테노폴 사이언스 비즈니스 파크, 그리고 Swedbank가 협업하여 지난 2012년 출범시킨 스타트업 육성 펀드인 프로토트론 (prototron)은 탈린 공과대학교 재학생들의 창업 아이디어를 실현시킬 수 있는 기회의 장을 제공하고 있다.[99]

====# 재개발 #====
메인 캠퍼스 대부분의 건물들이 1960년대에 완공된 이후로 내부 리모델링만을 거치며 유지되고 있어 대대적인 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대학측은 지난 2025년 3월 13일, 메인 캠퍼스 일부를 재개발하기 위한 프로젝트인 TalTech Mustamäe Campus Vision 2060을 공식 발족했다. 사전 공모를 통해 모집된 여러개의 재개발 시나리오 중 이미 최종 3개로 후보군을 추린 상태이며, 추후 탈린시 도시계획국 (Tallinna Linnaplaneerimise Amet)과 탈린 공과대학교 간의 최종 재개발 시나리오 선출을 위한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더불어 메인 캠퍼스와 후술할 테노폴 사이언스 비즈니스 파크 (Teadus- ja ärilinnak Tehnopol)를 연결하는 새로운 산책로 (Tehnopoli Tallinna Tehnikaülikooli Rohepromenaad)가 건설될 예정이다. 새로운 산책로 프로젝트는 두 캠퍼스를 잇는 기존의 도로망을 보행자 통행로와 자전거 도로가 함께 있는 형태로 업그레이드 시키고, 여가 활동을 위한 레크레이션 시설들이 산책로 주변에 건설되는 형태로 진행될 예정이다.[100]

===# 에스토니아 해양 아카데미 #===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캠퍼스 영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c1d1f> 해양 아카데미
}}}}}} ||
캠퍼스 사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에스토니아 해양 아카데미
파일:mereakadeemia-small-2500-web.jpg
파일:Mereakadeemia_E-Betoonelementjpg-5.jpg
}}} ||

===# 타르투 칼리지 #===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캠퍼스 영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c1d1f> 타르투 칼리지
}}}}}} ||
캠퍼스 사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타르투 칼리지
파일:TalTech_Tartu Kolledž.jpg
파일:Tartu Kolledž_TalTech.jpg
}}} ||

===# 비루마 칼리지 #===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캠퍼스 영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c1d1f> 비루마 칼리지
}}}}}} ||
캠퍼스 사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비루마 칼리지
파일:411252719_926238436050611_3084747642934574527_n.jpg
파일:TalTech_Virumaa Kolledž.jpg
}}} ||

===# 쿠레사레 칼리지 #===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캠퍼스 영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c1d1f> 쿠레사레 칼리지
}}}}}} ||
캠퍼스 사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쿠레사레 칼리지
파일:Kuressaare_College_by_Mari_Hunt.jpg
파일:TalTechi Kuressaare kolledž.jpg
}}} ||

5. 관련 시설

===# 세르하우아 지구과학 센터 #===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세르하우아 지구과학 센터 영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c1d1f>
}}}}}} ||
세르하우아 지구과학 센터 사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930년 당시 모습
현재 모습
파일:TTÜ_Särghaua Earth Science Centre_01.jpg
}}} ||

탈린 공과대학교는 세르하우아 (Särghaua)에 지구과학 연구를 위한 시설 (TTÜ Särghaua õppekeskus)[영문]을 보유 및 운영하고 있다.

6. 출신 인물

6.1. 동문


 파일:Tallinna Tehnikaülikool_Transparent Logo.png
주요 동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참고
파일:54350214910_664a9823c6_k.jpg
탈린 공과대학교의 설립 취지가 국가 발전에 이바지할 공학 분야 최고 인재 양성이었으며, 재학생들의 기업가정신 함양과 스타트업 창업 지원에 대학의 전 역량을 집중시키고 있는 만큼 출신 인물들은 주로 산업계 인사들이다. 더불어 탈린 공과대학교는 설립 당시 유지되던 소수정예 인재양성 기조로 인해 총 동문의 절대치는 높지않다. (2024년 기준) 총 82,507명의 동문이 있으며, 이 중 3.7%가 해외 국적 출신이다.[102]
. TTÜ – Ülikool Tunnustab
. TTÜ lõpetajad 1918–2006
. 87 Notable alumni of Tallinn University of Technology
. 100 aastat tagasi kaitsti Tehnikaülikooli esimesed lõputööd
. Kategooria : Tallinna Tehnikaülikooli Vilistlased (에스토니아 위키피디아)
. Category : Tallinn University of Technology Alumni (영문 위키피디아)
※ 구 (舊)소련 고등고육 학위 체계 하 (1944년 – 1991년)에서 수학했던 동문들은 "Diplóm Spetsialísta" (Специалиста, 스페치알리스트)라는 학위를 수여받고 졸업했는데, 이는 전문가 양성을 위한 5 – 6년제 통합 학위과정으로 현재의 학·석사 통합과정과 등치된다.[103]
<rowcolor=white> 성명 학위 비고
게르트 칸터
Gerd Kanter
학사 에스토니아의 원반 던지기 선수. 2007 오사카 세계선수권대회 우승자이자, 2008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게오르그 오츠
Georg Ots
학사[중퇴] 1950년대와 60년대 소련을 대표하는 바리톤이자, 에스토니아의 영웅으로 불린 성악가. 20세기 에스토니아의 위대한 인물 100인 중 한 명
군나르 오크
Gunnar Okk
학사 석사 Eesti EnergiaCEO이자, Nordic Investment Bank의 부회장 겸 COO
라글레 파렉
Lagle Parek
스페치알
리스트
에스토니아 제2공화국 초대 내무부 장관. Eesti Rahvusliku Sõltumatuse Partei의 설립자 겸 초대 당대표이자, Caritas EestiCEO
라울 메엘
Raul Meel
스페치알
리스트
1970년대와 80년대 에스토니아 미술 르네상스의 급진적 흐름을 대표하는 예술가. 에스토니아 백성훈장 수훈자이자, 에스토니아 공화국 문화 평생공로상 수상자
라울 윅스베라브
Raoul Üksvärav
스페치알
리스트
박사 현대 에스토니아 경영과학의 선구자로 알려진 경제학자이자, 정치인. 특히 소련 시대 계획경제에 서구 조직이론을 도입하였으며, 에스토니아의 독립 후 경제 개혁에 크게 기여함
라이문드 하겔베르크
Raimund Hagelberg
스페치알
리스트
박사 에스토니아를 대표하는 경제학자. Eesti Pank (에스토니아 중앙은행) 수석자문위원이자, 타르투 대학교 교수. 에스토니아 과학한림원 정회원
레아 다닐손-예르그
Lea Danilson-Järg
학사 前 에스토니아 법무부 장관이자, Pere Sihtkapital의 회장 (Chairman)
레오 위르겐손
Leo Jürgenson
학사 에스토니아를 대표하는 토목공학자. 에스토니아 과학한림원 정회원이자, 탈린 내 과학인들의 학술단체였던 탈린 과학자의 집 공동 설립자
레인 오차손
Rein Otsason
스페치알
리스트
박사 Eesti Pank (에스토니아 중앙은행) 총재이자, Eesti Krediidipank[105]의 창업자 겸 회장 (President)
레인 카아레페레
Rein Kaarepere
스페치알
리스트
박사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내각의장 (Chairman). Tartu Kommertspank의 공동 창업자 겸 CEO이자, Hansabank[106]의 공동 창업자
렘비트 칼류베
Lembit Kaljuvee
스페치알
리스트
Eesti Põlevkivi[107]Eesti Hoiupank 이사회 의장 (Chairman)
로베르트 키트
Robert Kitt
학사 석사 박사 SwedbankCEO이자, UtilitasCEO. 前 에스토니아 상공회의소 이사회 멤버이자, 토마스 헨드릭 일베스 대통령 직속 자문위원회 멤버
리보 시니야르프
Riivo Sinijärv
석사 前 에스토니아 외무부 장관
리스토 마에오츠
Risto Mäeots
석사 Magnetic GroupCEO이자, Estonian Aviation Cluster의 이사회 의장 (Chairman)
리처드 요나스
Richard Joonas
스페치알
리스트
에스토니아를 대표하는 유혈암 화학자. 前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석유 및 가스 산업 과학기술협회 회장 (Chairman)
린나르 비크
Linnar Viik
스페치알
리스트
PoCo의 창업자이자, Eesti Loto 이사회 의장 (Chairman)
마렉 헬름
Marek Helm
석사 前 에스토니아 조세 및 관세 위원회 사무국장이자, GScanCEO
마르텐 로스
Märten Ross
학사 Eesti Pank (에스토니아 중앙은행) 부총재
마르트 누트
Mart Nutt
박사 에스토니아의 학자이자, 정치인. Eesti Vabaõhumuuseum 관장, 에스토니아 외교부 사무국 및 부서장, Jaan Tõnisson Institute 연구소장 역임
마르트 민
Mart Min
스페치알
리스트
정밀 임피던스 측정 기술과 바이오센서 전자회로 설계 분야의 선구자로 의료 및 산업용 센서 시스템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킨 업적으로 유명한 에스토니아의 전자공학자. 에스토니아 과학한림원 정회원이자, 탈린 공과대학교 교수
마르트 폼
Mart Poom
학사[중퇴] 에스토니아의 축구 선수(골키퍼) 출신 축구코치. 더비 카운티 FC와 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함
마리오 카다스틱
Mario Kadastik
학사 석사 박사 에스토니아의 과학자이자, 정치인. Eesti Noorte Teaduste Akadeemia의 회장 (President). 에스토니아 과학한림원 정회원이자, CERN 이사회 멤버
마티 메오스
Mati Meos
스페치알
리스트
Eesti Lennundusmuuseum의 설립자이자, 前 이사 (Director)
마티 바르만
Mati Vaarmann
스페치알
리스트
前 주핀란드, 체코,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대사
마티 폼
Mati Poom
스페치알
리스트
Eesti OrienteerumisliitCEO
메리 크루스마
Maarja Kruusmaa
학사 석사 에스토니아를 대표하는 수중로봇 과학자. 탈린 공과대학교 교수이자, 에스토니아 과학한림원 정회원
미하일 코르브
Mihhail Korb
학사 석사 에스토니아의 정치인. 前 에스토니아 공공행정부 장관
발데크 쿨바흐
Valdek Kulbach
스페치알
리스트
박사 탈린타르투에 상징적 구조물을 많이 남긴 에스토니아를 대표하는 구조공학자. 前 탈린 공과대학교 교수이자, 에스토니아 과학한림원 정회원
발도 칼름
Valdo Kalm
스페치알
리스트
Telia EestiCEO이자, Port of Tallinn 이사회 의장 (Chairman) 겸 CEO
베이노 레이나르트
Väino Reinart
스페치알
리스트
前 주미국, 캐나다, 멕시코, 유럽연합 에스토니아 대사
베이노 칼도야
Väino Kaldoja
스페치알
리스트
Silberauto의 창업자 겸 CEO이자, Auve Tech의 창업자. Eesti Energia의 이사회 의장 (Chairman)
베이코 세프
Veiko Sepp
학사 석사 에릭슨CEO
보리스 탐
Boris Tamm
스페치알
리스트
에스토니아를 대표하는 사이버네틱스 전문가. 에스토니아의 독립 회복과 주권 선언문 채택에 중요한 역할을 함. 에스토니아 과학한림원 정회원이자, 前 탈린 공과대학교 총장 (Rector)
블라디미르 비크만
Vladimir Beekman
스페치알
리스트
에스토니아의 작가 겸 번역가. 前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작가협회장 (Chairman)
빌야르 로오르
Viljar Loor
스페치알
리스트
에스토니아 역사상 최고의 배구선수. 유럽선수권 5회, 세계선수권 2회 우승자이자, 1980 모스크바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에스토니아 적십자 훈장 수훈자
산도르 리이베
Sandor Liive
학사 석사 Eesti EnergiaCEO이자, Gridio의 공동 창업자 겸 CEO
스벤 세스터
Sven Sester
학사 前 에스토니아 재무부 장관
스벤 위르겐손
Sven Jürgenson
스페치알
리스트
前 주UN 에스토니아 대표부 대사, NATO 북대서양 이사회 에스토니아 상임 대표, UNICEF 집행 이사 역임
시리에 포티세프
Sirje Potisepp
스페치알
리스트
Estonian Food Industry AssociationCEO
심 발마르 키슬러
Siim Valmar Kiisler
스페치알
리스트
前 에스토니아 환경부, 지역개발부 장관
아구 아르나
Agu Aarna
학사 석사 에스토니아의 유혈암 화학자. 에스토니아 과학한림원 정회원이자, 前 탈린 공과대학교 총장 (Rector)
아두 루카스
Aadu Luukas
스페치알
리스트
AS Pakterminal의 공동 설립자이자, 초대 회장 (Chairman)
아두 아비크
Aadu Aavik
스페치알
리스트
에스토니아의 토목공학자이자, 기업인. 前 EKE Ehitus의 대표이사 (Peadirektor)
아르노 퀴트
Arno Kütt
학사 에스토니아의 기업인. Cleveron AS의 공동 창업자이자, 이사회 의장 (Chairman)
아르보 발톤
Arvo Valton
스페치알
리스트
에스토니아를 대표하는 소설가. 에스토니아 국민훈장, 백성훈장 수훈자. 타르투 대학교 인문학 교수
아르비 함부르크
Arvi Hamburg
학사 석사 박사 에스토니아의 에너지 엔지니어. 에스토니아 과학한림원 정회원이자, 에너지 위원회 의장 (Chairman)
아르토 아스
Arto Aas
학사 前 에스토니아 공공행정부 장관. 前 Riigi Kinnisvara AS 회장 (Chairman)이자, Eesti Tööandjate KeskliitCEO
아이바르 폴라크
Aivar Pohlak
스페치알
리스트
前 에스토니아 축구협회 회장
아흐토 불다스
Ahto Buldas
학사 석사 박사 키리스 시그니처 인프라 (KSI) 개발 및 구축을 주도한 에스토니아의 컴퓨터 과학자. Guardtime의 공동 창업자 겸 수석 과학자이자, 탈린 공과대학교 교수
안네 베스키
Anne Veski
스페치알
리스트
에스토니아를 대표하는 대중 가수. 에스토니아 백성훈장, 탈린 공로훈장 수훈자
안드레스 안벨트
Andres Anvelt
석사 前 에스토니아 내무부 장관이자, 중앙형사경찰국장
안드레스 알리크메
Andres Allikmäe
학사 석사 Harju ElekterCEO
안드레스 요에사르
Andres Jõesaar
학사 석사 Eesti Rahvusringhäälingu 이사회 의장 (Chairman)
안드레스 키발리크
Andres Keevallik
스페치알
리스트
박사 SEB Pank의 부회장 (Vice-President)이자, 국방부 연구위원회 위원장 (Chairman). 前 탈린 공과대학교 총장 (Rector)
안츠 실드
Ants Sild
박사 Baltic Computer SystemsCEO
알베르트 노라크
Albert Norak
스페치알
리스트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재무부 장관이자, 탈린시 인민위원회 집행위원회 위원장 (Chairman)
야누스 탐키비
Jaanus Tamkivi
스페치알
리스트
前 에스토니아 환경부 장관. 前 쿠레사레 시장이자, Saaremaa Vallavolikogu 의장 (Chairman)
야크 레이만
Jaak Leimann
학사 석사 前 에스토니아 경제부 장관
야크 여에뤼트
Jaak Jõerüüt
스페치알
리스트
前 주UN 에스토니아 대표부 대사이자, 에스토니아 국방부 장관
에르키 라수케
Erkki Raasuke
학사 Luminor GroupCEO이자, Skeleton TechnologiesCFO
에르키 카로
Erkki Karo
박사 에스토니아의 사회과학자. 탈린 공과대학교 교수이자, 테노폴 이사회 의장 (Chairman)
에르키 켈도
Erkki Keldo
석사 에스토니아의 정치인. 前 에스토니아 경제산업부 장관
에리카 뇌바
Erika Nõva
학사 에스토니아 최초의 여성 건축가
에리카 키르푸
Erika Kirpu
학사 에스토니아의 펜싱 선수. 2020 도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에이키 네스토르
Eiki Nestor
스페치알
리스트
前 에스토니아 사회부장관, 사회민주당 대표이자, 국회의장
엔 베테마
Enn Vetemaa
스페치알
리스트
에스토니아 모더니즘 단편 소설의 거장. 에스토니아 백성훈장 수훈자
엔 퉁구
Enn Tõugu
스페치알
리스트
박사 에스토니아 최초의 미니컴퓨터 STEM의 설계자. 에스토니아 과학한림원 정회원이자, 前 스웨덴 왕립 공과대학교, 탈린 공과대학교 교수
엔델 리프마
Endel Lippmaa
스페치알
리스트
박사 에스토니아 국립 화학물리학 및 생물물리학 연구소 (KBFI)의 설립자이자, 과학위원회 의장. 에스토니아 과학한림원 정회원이자, 20세기 에스토니아의 위대한 인물 100인 중 한 명
엔델 팔라
Endel Palla
스페치알
리스트
Harju Elekter 그룹CEO이자, 이사회 의장 (Chairman)
올가 소트니크
Olga Sõtnik
학사 석사 The Cultural Diversity Department의 부서장이자, The UN Refugee Agency의 정부 연락 담당관
올라리 탈
Olari Taal
스페치알
리스트
前 에스토니아 내무부 장관이자, Riigireformi SA의 공동 설립자
올라프 아르나
Olav Aarna
스페치알
리스트
박사 탈린 공과대학교, 에스토니아 비즈니스 스쿨 총장 (Rector). 에스토니아 과학한림원 정회원이자, Cybernetica 이사회 의장 (Chairman)
우노 아바
Uno Aava
스페치알
리스트
에스토니아의 레이싱 드라이버이자, 기업인. 前 Autoettevõtete LiitCEO
울로 야크소
Ülo Jaaksoo
스페치알
리스트
박사 에스토니아의 컴퓨터 과학자. 前 CyberneticaCEO 겸 이사회 의장 (Chairman). 에스토니아 과학한림원 정회원
울로 울루오츠
Ülo Uluots
스페치알
리스트
에스토니아 제2공화국 초대 국방부장관. 제8대 에스토니아 총리 위리 울루오츠의 동생
위리 라타스
Jüri Ratas
학사 석사 前 탈린시장이자, 에스토니아 제18대 총리
위리 머이스
Jüri Mõis
스페치알
리스트
前 탈린시장 이자, Hansabank[109]의 공동 창업자
위리 엥겔브레히트
Jüri Engelbrecht
스페치알
리스트
박사 에스토니아 과학한림원장 (President)이자, 에스토니아 우수성 센터 이사회 의장 (Chairman)
유리 에스
Yuri Ess
석사 박사 에스토니아의 교통 전문가이자, 기업인. LiikluslabCEO
이리나 엠브리히
Irina Embrich
학사 에스토니아의 펜싱 선수. 2020 도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이보 프리돌린
Ivo Fridolin
학사 석사 에스토니아의 생물공학자. Optofluid TechnologiesCTO이자, 탈린 공과대학교 교수
인나르 리이브
Innar Liiv
학사 석사 박사 “패턴 탐지와 매트릭스 재배열 방법”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기법 연구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에스토니아의 정보학자. 에스토니아 과학한림원 정회원이자, 탈린 공과대학교 교수
인드렉 토메
Indrek Toome
스페치알
리스트
에스토니아 사회주의 연방 각료회의 의장 (Chairman)
인드렉 네이벨트
Indrek Neivelt
스페치알
리스트
HansabankCEO이자, RespirayCEO 겸 이사회 의장 (Chairman)
카트린 시스카
Katrin Siska
학사 바닐라 닌자의 멤버
칼레브 칼레메츠
Kalev Kallemets
학사 박사 Fermi EnergiaCEO 겸 이사회 의장 (Chairman)
칼레브 칼로
Kalev Kallo
스페치알
리스트
前 에스토니아 도로통신부 장관이자, 에스토니아 복싱연맹 회장 (President)
크리스텔 크루스튀크
Kristel Kruustük
학사 Testlio의 설립자, CEO 겸 이사회 의장 (Chairman)
크리스틴 마루스테
Kristjan Maruste
학사 석사 ÄIKE의 창업자이자, 前 CEO. Ampler Bikes의 前 CEO이자, 現 이사회 의장 (Chairman)
타르모 누오프
Tarmo Noop
스페치알
리스트
에스토니아의 경영인. A. Le CoqCEO, Olvi 이사회 이사, Eesti Pandipakend 이사회 의장 (Chairman) 역임
타르모 우스타루
Tarmo Uustalu
학사 석사 에스토니아의 컴퓨터 공학자. 계산 논리와 범주론적 프로그래밍 언어 이론의 세계적 권위자로, 탈린 공과대학교 교수이자, 사이버네틱스 연구소장. 에스토니아 과학한림원 정회원
타베트 힌리쿠스
Taavet Hinrikus
학사[중퇴] 핀테크 기업 Wise의 공동 창업자 겸 회장 (Chairman)
타비 코트카
Taavi Kotka
석사 에스토니아 정부의 前 최고정보책임자 (CIO) 겸 e-Residency 프로그램 리더이자, KOOS.io의 창업자 겸 CEO
토니스 팔츠
Tõnis Palts
스페치알
리스트
前 에스토니아 재무부 장관이자, 탈린시장
토마스 루만
Toomas Luman
스페치알
리스트
Nordecon의 창업자 겸 회장 (Chairman). 前 에스토니아 상공회의소 회장 (President)
토마스 서메라
Toomas Sõmera
스페치알
리스트
前 에스토니아 정보통신부 장관이자, Eesti Telekomi[111] 이사회 의장 (Chairman)
토이보 아누스
Toivo Annus
학사 석사 에스토니아의 공학자. 스카이프 공동 창업자
토이보 유르겐손
Toivo Jurgenson
스페치알
리스트
前 에스토니아 경제부 장관이자, 도로 및 통신부 장관
트린 헤르트만
Triin Hertmann
학사 Grünfin의 공동 창업자이자, Wise의 前 COO
티트 베히
Tiit Vähi
스페치알
리스트
에스토니아 제11대 총리
티트 소크
Tiit Sokk
스페치알
리스트
[중퇴]
유럽 농구 역사상 최고의 포인트 가드 중 한 명 이자, 에스토니아 역사상 가장 위대한 농구 선수. 1988 서울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프리트 로후마
Priit Rohumaa
학사 석사 Viru Keemia GruppCEO이자, Ekspress Grupp 이사회 의장 (Chairman)
프리트 카세살루
Priit Kasesalu
학사 스카이프 공동 개발자 및 창업자이자, 스카이로드, Kazaa의 공동 개발자
하디 메이바움
Hardi Meybaum
학사 석사 GrabCAD의 창업자 겸 CEO
하리 루미
Harri Lumi
스페치알
리스트
前 탈린시장이자,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건설부 장관. 탈린 구시가지 (Old Town)의 UNESCO 세계유산 등재를 이끈 장본인
한네스 탐야르브
Hannes Tamjärv
스페치알
리스트
Rocca Al Mare School의 설립자이자, KODEA의 창업자
한노 오잘로
Hanno Ojalo
스페치알
리스트
Eesti Akadeemiline Sõjaajaloo Selts 회장 (Chairman)
한도 수터
Hando Sutter
스페치알
리스트
Eesti Energia 이사회 의장 (Chairman)이자, Eesti Tööandjate KeskliitCEO
헤이티 할
Heiti Hääl
스페치알
리스트
Alexela Logistics 이사회 의장 (Chairman)
헨릭 홀롤레이
Henrik Hololei
스페치알
리스트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이동성 및 교통 담당 집행위원장
}}} ||

6.2. 교원


==# 여담 #==
  • 국가공인 공학계열 플래그십 대학인 만큼 각종 기술 시연회나 지식 산업 관련 포럼에 고위 공직자들의 참석이 빈번한 편이다.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탈린 공과대학교 고위 공직자 방문 관련 예시
{{{#black,#black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bgcolor=white,#1f2023> 파일:Ajupuu (2009).png
에스토니아 대통령 토마스 헨드릭 일베스
새 대학 도서관 개관식에서 (2009)
파일:Peeter Langovits_Andrus Ansip.png
에스토니아 총리 안드루스 안시프
Rootsi Äriauhind 2010[113] 에서 (2010)
파일:461987790_8755934511104021_775963609271553584_n.jpg
에스토니아 총리 티트 베히
미래 물류 신기술 포럼에서 (2012)
파일:TTÜ 100th Anniversary_Prime Minister Jüri Ratas Speech.png
에스토니아 총리 위리 라타스
대학 설립 100주년 기념식에서 (2018)
파일:Tiit Landi inauguratsioon.jpg
에스토니아 대통령 케르스티 칼률라이드
탈린 공과대학교 총장 임명식에서 (2020)
파일:Peaminister ja akadeemik_Cropped.jpg
에스토니아 총리 카야 칼라스
친환경 기술 시연회에서 (2022)
파일:President Alar Karis TalTechis-10.jpg
에스토니아 대통령 알라르 카리스
도시과학 및 혁신 포럼에서 (2023)
파일:Hints Palu Michal.jpg
에스토니아 총리 크리스텐 미할
기후변화 위기 대책 포럼에서 (2023)
파일:53628326822_c0a0dadf9c_k.jpg
우크라이나 총리 데니스 시미할
사이버 보안과 전쟁 포럼에서 (2024)
파일:54752278469_2853292a6c_k-1.png
에스토니아 대통령 알라르 카리스
탈린 공과대학교 총장 임명식에서 (2025)
파일:Alar_Karis_TalTech_IT_teaduskond.jpg
에스토니아 대통령 알라르 카리스
탈린 공과대학교 인공지능 포럼에서 (2025)
}}}}}}}}}}}} ||
  • 탈린에 위치한 NATO 사이버방위센터[114]와 사이버 보안 및 방어에 관한 공동 연구와 박사급 인재 양성 교육을 촉진시키기 위한 전방위적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일례로 탈린 공과대학교는 사이버방위센터에서 NATO군을 대상으로 매년 4월 실시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사이버 방어 훈련인 Locked Shields에 공식적으로 참여하는 유일한 고등교육기관이다.
  • 입학보다 졸업이 까다로운 대학이다. 2021년 기준 정해진 시간내에 졸업[115]하는 학생들은 전체의 52%, 2022년 기준 47%로 에스토니아 대학들 중 제일 낮은 수치다. 여담으로 중퇴를 포함한 전체 제적률은 (2022년 기준) 24%다.
  • 타르투 대학교와 더불어 에스토니아에서 유이하게 연구중심대학 (Research-based university)인 동시에 기업가적 대학 (Entrepreneurial university)이라 평가받는다. 에스토니아 내 그 어떤 교육기관이나 국책연구기관도 상기한 두 대학의 R&D 특허 출원 수에 미치지 못한다. 단순히 에스토니아를 넘어 발트 3국의 그 어느 기관도 상기한 두 대학을 (질적인 측면에서나 양적인 측면에서) 넘어서는 연구기관은 없다.[116]
  • 박사과정을 포함한 탈린 공과대학교의 모든 연구원들은 유럽 내 최고 수준의 슈퍼컴퓨터LUMI에 대한 접근권이 주어진다.[118]
  • robotex International은 지난 2001년 탈린 공과대학교에서 만들어진 유럽 최대 규모의 로봇 축제다. 현재도 robotex의 대회 조직 및 운영 위원회는 탈린 공과대학교의 메인 캠퍼스에 위치하고 있다.
  • 에스토니아 최대의 게임 개발자 이벤트인 TalTech GameCamp는 지난 2023년부터 탈린 공과대학교의 MEKTORY에서 연 2회 개최되고 있다.
  • 탈린 공과대학교는 탈린시가 주도하는 무스타매에 (Mustamäe) 지역 현대화 종합 프로젝트인 SOFTacademy의 공식 파트너다. 프로젝트의 핵심 이니셔티브 중 "혁신적 재건축 모델 개발"과 "지속 가능한 도시 재생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 2018년 말, 설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L&CoHensley Partners에 리브랜딩 (Rebranding)을 의뢰하였다. 이에 2019년 대학의 약칭을 기존의 TTÜ[119]와 TUT[120]에서 현재의 TalTech으로 통합 및 변경할 것을 제안하였다. 다만 대학의 역사와 뿌리를 중시하거나 에스토니아어 기반 명칭에 자부심이 있는 재학생 및 졸업생 일수록 대학의 리브랜딩을 탐탁치 않게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121] 결과적으로 TUT는 사라졌지만 기존의 에스토니아어 기반 약칭인 TTÜTalTech과 함께 지금도 공식적으로 쓰이고 있다.

==#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black>
파일:AIRE_tyvitekst_EST_must_taust_1920x1080px.jpg
파일:AIRE_Logo.png
}}} ||
{{{#!wiki style="padding: -5px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자금 제공 기관
파일:MAJANDUS- JA KOMMUNIKATSIOONI-MINISTEERIUM_White Logo.png      파일:EN_Co-fundedbytheEU_RGB_WHITE Outline.png


협력 기관
파일:EDIH-logo.png      파일:Enterprise Europe Network (EE)_Logo.png      파일:Sparkup Tartu Teaduspark_Transparent Logo.png      파일:Tehnopol white logo.png

파일:IMECC_Logo.png      파일:ouUl1P59.png     파일:Tartu-logo-white_RGB.png     파일:Eesti Kaubandus-Tööstuskoda_Logo.png

파일:eesti infotehnoloogia ja telekommunikatsiooni liit _logo.png      파일:Enterprise Estonia_Logo.png      파일:Eesti Masinatööstuse Liit_Logo.png

참여 고등교육기관
정회원
파일:kompaktlogo_eng_sinine-1024x264.png 파일:TalTech-Logo.png 파일:EMY_LOGO_HOR_RGB_EST_ROHELINE.png
타르투 대학교
Tartu Ülikool
탈린 공과대학교
Tallinna Tehnikaülikool
에스토니아 생명과학대학교
Eesti Maaülikool
준회원
파일:Universität_Tallinn_Logo.svg.png
탈린 대학교
Tallinna Ülikool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 틀 바로가기
}}}}}}}}}}}}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023c66>
EXAI
에스토니아 AI 우수성 센터
}}} ||
{{{#!wiki style="padding: -5px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자금 제공 및 협력 기관

파일:Haridus- Ja Teadusministeerium_Transparent Logo.png

참여 연구 기관
파일:kompaktlogo_eng_sinine-1024x264.png 파일:TalTech-Logo.png 파일:Cybernetica_logo_color_RGB-1920x448.png
타르투 대학교
Tartu Ülikool
탈린 공과대학교
Tallinna Tehnikaülikool
사이버네티카
CYBERNETICA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틀 바로가기
}}}}}}}}}}}}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7e004a>
ETAIS
에스토니아 과학 컴퓨팅 기반 시설 협회
파일:ETAIS_Logo_01.png
}}} ||
{{{#!wiki style="padding: -5px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자금 제공 및 협력 기관

파일:Haridus- Ja Teadusministeerium_Transparent Logo.png      파일:European Regional Development Fund_Logo White.png

HPC 센터 소재지
{{{#black,#black {{{#!folding [ 지도 펼치기 ]
소속 연구 기관
파일:pealogo_est_valge.png 파일:TalTech_logo_Transparent.png 파일:kbfi_peamine_logo_eesti_valge.png
타르투 대학교
Tartu Ülikool
탈린 공과대학교
Tallinna Tehnikaülikool
국립 화학물리학 및 생물물리학 연구소
Keemilise ja Bioloogilise Füüsika Instituut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틀 바로가기
}}}}}}}}}}}} ||
[1] 現 비루마 칼리지[2] 메인 캠퍼스 소재지 기준.[3] Prof. Tiit Land.
Rector's Office 참고.
[4] 대학 자체적으로 Open University of TalTech이라는 개방대학을 운영 중이다. 당연한 얘기지만 개방대학 재학생들은 탈린 공과대학교 재학생 총원에 포함되지 않는다.[5] 에스토니아어: Juulius Tipikas
관련 링크 - Igavene üliõpilane Juulius
[6] 대학 메인 채널[7] 코딩 교육 채널[8] NATO CCDCOE and TalTech Will Strengthen Cooperation[9] L&Co. - TalTech University[10] TTÜ is among the world's top 50 technology universities 참고.[11] 영문 기반 약칭[12] 에스토니아어 기반 약칭[13] TalTech expected to contribute more to Estonia's economic growth
Ambitious dreams come true at TalTech
산·학·관·연 상호연계 탄탄 ‘비즈니스 친화 성공모델’ 참고.
[14] 첫 입학생들은 시험을 거쳐 선별된 120명이었다.
Tallinna Tehnikum 1918-1936 참고.
[15] TalTech student body celebrated 100th anniversary 참고.
현재도 매년 10월 1일, 학생회 창단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린다.
[16] Fotolugu: Tallinna tehnikaülikooli raamatukogu läbi 100 tegevusaasta 참고.
여담으로 구 러시아-발트해 조선소 본관은 현재 탈린 공과대학교의 에스토니아 해양 아카데미로 활용되고 있다.
[17] Oma koha otsimise lugu
Tallinna Tehnikum (1920–1936)
Esimene juubel: 1986. aastal möödus 50 aastat Tallinna Tehnikainstituudi asutamisest 참고.
[18] 이 법령 이전엔 에스토니아에서 타르투 대학교와 "대학"으로서의 동등한 법적 권리와 사회적 권위를 가지는 고등교육기관은 없었다. 즉 에스토니아 고등교육의 중심은 타르투였고 신생국가였던 에스토니아 입장에선 국가 고등교육의 균등한 발전을 위해 수도 탈린에도 타르투 대학교와 비슷한 권위를 갖는 고등교육기관이 필요했다.[19] 물론 현재도 자타공인 에스토니아의 대표 대학은 타르투 대학교다. 대한민국 기준으로 예를 들자면, 타르투 대학교가 서울대학교, 탈린 공과대학교가 카이스트의 지위를 점유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20] 실제로 Tallinna Tehnikum 시절 1기 재학생 120명 중 5년 이내에 졸업한 학생들의 수는 13명으로 졸업률은 10.8%에 불과했다.

교육 제도 개편으로 인해 설립 초기때 만큼 극단적이진 않지만, 현재도 탈린 공과대학교는 입학보다 졸업이 까다로운 대학이다.
[21] TTÜ 100 | Põnevaid fakte ja fotosid ülikooli 100-aastasest ajaloost 참고.[22] 1989년 7월 21일에 이르러 강제로 변경됐던 탈린 공과대학교 (Tallinna Tehnikaülikool)란 교명을 다시 되찾게 된다.[23] Oma koha otsimise lugu
Suurnäitus „Kampus 60. Tallinna Tehnikaülikool Mustamäe luidetel“ 참고.
[24] Our Story 참고.[25] Pilguheit Tallinna Tehnikaülikooli 1996 참고.[26] TTÜ is among the world's top 50 technology universities 참고.[27] TalTech - SMART 참고.[28] Erasmus Policy Statement (EPS) of TalTech 참고.[EKKA] Estonian Quality Agency for Education (EKKA) 인증 교육기관[EUR‑ACE] 유럽 고품질 공학 프로그램 인증 (European Accredited Engineer, 이하 EUR‑ACE) 교육기관[APEL/RPL] Accreditation of Prior and Experiential Learning (APEL) /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 (RPL) 인정 교육기관[ISO/IEC]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 17025 국제기준 인증 실험센터 보유 교육기관[2017년–합병] 前 에스토니아 정보기술대학 (Eesti Infotehnoloogia Kolledž) 합병에 의한 재개편[CISCO] 발트 3국 유일의 공식 Cisco Networking Academy[EKKA] Estonian Quality Agency for Education (EKKA) 인증 교육기관[EUR‑ACE] 유럽 고품질 공학 프로그램 인증 (European Accredited Engineer, 이하 EUR‑ACE) 교육기관[APEL/RPL] Accreditation of Prior and Experiential Learning (APEL) /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 (RPL) 인정 교육기관[IGIP] International Society for Engineering Pedagogy (IGIP)의 공식 인증 센터 (Accredited Training Centre) 운영 교육기관[ISO/IEC]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 17025 국제기준 인증 실험센터 보유 교육기관[미래도시  공동연구원] 핀란드 알토 대학교와 상호 협력 및 공동연구 진행[EU  Science  Hub] EU Energy Efficiency Directive에 의거한 EU Joint Research Centre[EVS‑EN  ISO/IEC]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 17025 국제기준 인증 실험센터 보유 교육기관[ISO/IEC]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 17025 국제기준 인증 실험센터 보유 교육기관[ISO/IEC]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 17025 국제기준 인증 실험센터 보유 교육기관[ISO/IEC]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 17025 국제기준 인증 실험센터 보유 교육기관[EN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 9606/15614 국제기준 인증 실험센터 보유 교육기관[본교外] 공과대학 부속 단과대학[1999년–개교] [본교外] 공과대학 부속 단과대학[2005년–개교] [본교外] 공과대학 부속 단과대학[2000년–합병] 前 코흐틀라얘르베 일반 공학부[EVS‑EN ISO/IEC]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 17025 국제기준 인증 실험센터[부존자원 산학협력 연구원] [ING-PAED  IGIP] 발트 3국 유일의 International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IGIP) 인증 공학교육센터[EKKA] Estonian Quality Agency for Education (EKKA) 인증 교육기관[EUR‑ACE] 유럽 고품질 공학 프로그램 인증 (European Accredited Engineer, 이하 EUR‑ACE) 교육기관[APEL/RPL] Accreditation of Prior and Experiential Learning (APEL) /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 (RPL) 인정 교육기관[ISO/IEC]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 17025 국제기준 인증 실험센터 보유 교육기관[ISO/IEC]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 17025 국제기준 인증 실험센터 보유 교육기관[IAG]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oanalysts (IAG) 벤치마킹 프로그램 제공 교육기관[E-Course] E-Course Quality Mark 인증 교육기관[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9001 – Quality Management System (QMS) 국제기준 인증 교육기관[Bioceb] European Master in Biological and Chemical Engineering for a Sustainable Bioeconomy (Bioceb) 석사과정 제공 교육기관[INNOCHEMBIO] Innovative Chemistry and Biotechnology for a Sustainable Future (INNOCHEMBIO) 박사과정 제공 교육기관[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9001:2015 – Quality Management System (QMS) 국제기준 인증 교육기관[EAK–L257] Eesti Akrediteerimiskeskus (EAK) 인증 연구기관[2008년–재개편] 1941년 개교한 기존의 탈린공과대학교 경영대학과 Rahvusvaheline Ülikool Audentes (IUA)의 합병으로 인한 확대 및 재개편[EKKA] Estonian Quality Agency for Education (EKKA) 인증 교육기관[EFMD] European Foundation for Management Development (EFMD) 인증 교육기관[BSIS] Business School Impact System (BSIS) 인증 교육기관[APEL/RPL] Accreditation of Prior and Experiential Learning (APEL) /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 (RPL) 인정 교육기관[법  산학협력  연구원] NJORD Law Firm과 상호 협력 및 공동연구 진행[특수목적] 본교外 단과대학[2014년–합병] [EKKA] Estonian Quality Agency for Education (EKKA) 인증 교육기관[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9001:2015 – Quality Management System (QMS) 국제기준 인증 교육기관[APEL/RPL] Accreditation of Prior and Experiential Learning (APEL) /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 (RPL) 인정 교육기관[NI] The Nautical Institute (NI) 인증 교육기관[STCW] Standards of Training, Certification and Watchkeeping for Seafarers (STCW) 커리큘럼 준수 및 제공 교육기관[DPCA] The Nautical Institute (NI)에 의한 인증 – Dynamic Positioning Centre Accreditation (DPCA) 교육 및 훈련센터[82] TalTech – SMART Mission Statement[83] Smart city concept at TTÜ campus 참고.[84] What is a smart city? The Estonian vision for new models of smart city
TalTech announces up to €3M infunding for cities addressing urban challenges
FinEst Centre for Smart Cities
Self-driving shuttle – ISEAUTO
5G-OCN
Ambitious dreams come true at TalTech 참고.
[85] 탈린 공과대학교 최초의 도서관은 1919년에 설립됐다.
Tallinna Tehnikaülikooli Raamatukogu 100
Fotolugu: Tallinna tehnikaülikooli raamatukogu läbi 100 tegevusaasta 참고.
[86] 한글 위키피디아
영문 위키피디아
[87] Visit Tallinn – Innovation and Business Centre MEKTORY[88] MEKTORY는 Modern Estonian Knowledge Transfer Organization foR You의 약자이다.[89] 이 전부터 대학 자체적으로 창업지원 프로그램은 존재해 왔으나 좀 더 체계적으로 발전시켜 1998년에 공식 출범시킨 것이며, 현재의 MEKTORY 빌딩은 건물 내부 리모델링을 거쳐 지난 2013년 개장하였다.[90] MEKTORY 관련기사
15분만에 창업·법인세 0…전세계 스타트업 빨아들인 에스토니아
이재정 교육감, 에스토니아 끝으로 북유럽 교육 시스템 탐방 마무리
나라 전체가 블록체인 실험실…벤처투자도 비트코인으로
선진한국 최대 걸림돌 `사회적 자본`…"에스토니아 규제 혁명에서 배워라"
제주지역혁신플랫폼, ‘북유럽 창업기관 탐방 및 벤치마킹’ 성료
[91] TalTech - Provision of startup services 참고.[92] 삼성 디지털 아카데미 사진[93] Tehnopol – About Us[94] 에스토니아어: Teadus- ja ärilinnak Tehnopol
영어: Tehnopol Science and Business Park
Tallinn Science Park Tehnopol이라고도 불린다.
홈페이지
[95] 테노폴 사이언스 비즈니스 파크 재단의 전신[96] 2011년 5월, Microsoft에서 85억달러에 인수했다.[97] 내무부 IT 개발 센터 (에스토니아어: Siseministeeriumi infotehnoloogia- ja arenduskeskus, SMIT)는 주로 경찰 및 국경수비대, 에스토니아 구조위원회, 에스토니아 긴급 대응 센터, 에스토니아 안보과학원에 ICT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무부 산하 에스토니아 정부기관으로, 에스토니아에서 가장 큰 정부 산하기관이다.[98] 국립 화학물리학 및 생물물리학 연구소 (에스토니아어: Keemilise ja Bioloogilise Füüsika Instituut, 이하 KBFI | 영어: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Physics and Biophysics, 이하 NICPB)[99] 탈린 공과대학교가 펀드 설립을 주도한 메인 파트너라는 뜻이지 탈린 공과대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만 프로토트론에 지원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 에스토니아에 거주하고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기회의 문은 열려있다.[100] TalTech and Tehnopol promenade 참고.[영문] Särghaua Earth Science Centre[102] 탈린 공과대학교가 소수정예 인재양성 기조를 공식적으로 폐지하고, 입학 희망자들에게 그 문호를 넓힌 시기는 무스타매에 (Mustamäe)로 메인 캠퍼스를 옮긴 1960년대 중반 부터다.

또한 탈린 공과대학교가 국제학생들을 받기 시작한건 소련에서 독립한 이후, 소련 공산당의 강압에 의해 수용될 수 밖에 없었던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벗어나 탈린 공과대학교 본연의 교육 철학 및 연구 역량 복구 노력이 한창이던 1990년대 중반부터다.
[103] 에스토니아의 재독립 후 (1991년 8월 20일), 학위 체계 전환기 (1991년 – 1994년)에 소련 고등고육 학위 체계에서 벗어나 대학 설립 당시의 학위 체계인 서구식 고등교육 학위 체계 (학사–석사–박사)로 돌아갔다. 이 학위 체계 전환기에 스페치알리스트 학위는 선별적으로 수여되었다.[중퇴] 1940년 부친의 강권에 의하여 공학을 전공하기 위해 입학하나, 이듬해 발발한 레닌그라드 공방전에 참전하며 학업을 중단한다.[105] 現 Coop Pank[106] 現 Swedbank[107] 現 Eesti Energia[중퇴] 1990년 입학하여 경영학을 전공했으나, 1991년 축구에 전념하기로 결정하며 자퇴한다.[109] 現 Swedbank[중퇴] 1999년 입학하여 컴퓨터공학을 전공했으며, 2003년까지 수학했으나 끝내 자퇴했다.[111] 現 Telia Eesti[중퇴] 1983년부터 1984년까지 경영학 전공[113] 탈린 공과대학교에서 개최[114] Cooperative Cyber Defence Centre Of Excellence, 이하 CCDCOE[115] 예를 들어 학사 3년, 즉 European Credit Transfer and Accumulation System (ECTS) 180점 취득 기준.[116] Intellectual property statistical country profile 2023 - Estonia
Innovation, product development and patents at universities
Some Issues Regarding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and Intellectual Property
Top 10 inventions developed in the Estonian universities 참고.
[117] HPC IN ESTONIA 참고.[118] From second half-year onwards, TalTech researchers will be able to use the LUMI supercomputer 참고.[119] 에스토니아어 기반 약칭
Tallinna Tehnikaülikool
[120] 영어 기반 약칭
Tallinn University of Technology
[121] Public appeal: The abbreviation TalTech is not suitable for Tallinn University of Technology
Tere tulemast tagasi, Tallinna Tehnikaülikool, goodbye, TalTech! 참고.
[122] Tallinn University of Technology also refuses to admit Russian and Belarusian youth
TalTech restricts access to university for Russian and Belarusian citizens in the new academic year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