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Research university연구형 대학(硏究型大學) 또는 연구중심대학(硏究重心大學)은 연구를 주목적으로 하는 대학을 의미한다. 교수와 학생들이 연구에 함께 참여하는 과정에서 교육이 이뤄지는 게 특징이다. 연구를 통해 교수와 학생이 성장하고 새로운 지식의 창출로 이어져 혁신의 원천이 된다. 이와 대비되는 개념으로는 리버럴 아츠 칼리지가 있다.
2. 역사
연구형 대학 모델은 19세기 독일에서 확립됐다. 베를린 대학교를 시작으로 신학, 법률 등 교양교육에 머물던 고전적 대학은 새로운 연구자를 육성하고 미래의 지식을 창안하는 공간으로 거듭났다. 이 모델은 미국, 일본 등으로 전파되며 현대에 이르렀다.연구형 대학(Research university)이라는 용어는 1973년 미국 카네기재단의 대학분류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카네기재단은 대학 간의 경쟁을 촉진하고 학생의 대학 선택에 도움을 주기 위해 3년 마다 '대학분류'를 제공한다고 발표하였다. 그 후, 연구형 대학이란 용어가 정책적으로 만들어지고 통용되고 있다.
3. 특징
선진국 연구형 대학의 특징으로는 5가지가 있다.- 1. 연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대학은 부설연구소를 많이 보유하며, 교수는 겸임하고, 전임직 연구원이 배치되며, 대학원생들은 여기서 학위논문을 쓴다.
- 2. 연구를 윤리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사회적 신뢰를 높인다. IRB, IACUC가 엄격하게 작동되며, 이해의 충돌(CoI)을 관리하는 전담조직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학과 내부에 세부 전공별로 여러 명의 교수가 배치되어 동료심사가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대학의 대형화가 불가피하다.
- 3. 대학원생 중심의 대학운영이 가능하다. 교원의 학부생에 대한 강의와 지도부담을 줄이고, 연구와 대학원생 지도에 집중할 수 있는 체제이다. 지원인력규모가 교수단보다 훨씬 크다.
- 4. 대학재정이 풍부하다. 그래서 많은 전문지원인력을 보유가 가능하다.
- 5.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영어강의가 많다.
4. 연합·협의회 목록
연구형 대학 연합·협의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