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10:14:56

맨체스터 대학교


파일:로고_manchester_university__white.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 정보
역사학과 및 연구소
(경영대학)
학위과정 및 전공대학 생활캠퍼스
(세계유산)
VUMUMIST
졸업생 / 기타
출신 인물
(분류)
재직 인물
(분류)
맨체스터학파튜링 테스트맨체스터 베이비아틀라스
산하 기관 및 제공 서비스
출판부국립 그래핀 연구소이노베이션 팩토리
}}}}}}}}} ||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맨체스터 대학교

Universitas Mancuniensis

파일:로고_manchester_university.svg

대학 정보
<colbgcolor=#6b2c91><colcolor=white> 모토 <colbgcolor=#6b2c91><colcolor=white> 라틴어 {{{#6b2c91,#ffcc33 'Cognitio, Sapientia, Humanitas'}}}
영어 Knowledge, Wisdom, Humanity
한국어 지식, 지혜, 인류애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분류 공립대학
개교 1824년 ([age(1824-04-07)]주년)
소재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잉글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잉글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맨체스터
(Oxford Rd, Manchester M13 9PL, UK)
재단 규모 13억 6,500만 파운드 (2023/24)
발전기금 2억 4,000만 파운드 (2024)
총장[1] 나지르 아프잘 OBE
(Nazir Afzal)
부총장[2] 던컨 아이비슨 FAHA FRSN
(Duncan Ivison)
재학생 학부 30,905명 (2021/22)
대학원 15,505명 (2021/22)
교직원 교원 5,280명 (2021/22)
직원 5,700명 (2021/22)
교색[3]
Manchester Purple (#660099)

Manchester Yellow (#FFCC33)
언어별 명칭
{{{#000,#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6b2c91><colcolor=white> 라틴어 <colbgcolor=white,#1f2023> Universitas Mancuniensis
웨일스어 Prifysgol Manceinion
프랑스어 Université de Manchester
독일어 Universität Manchester
스페인어 Universidad de Mánchester
네덜란드어 Universiteit van Manchester
이탈리아어 Università di Manchester
폴란드어 Uniwersytet Manchesterski
그리스어 Πανεπιστήμιο του Μάντσεστερ
아랍어 جامعة مانشستر
일본어 マンチェスター大学
중국어 曼彻斯特大学
}}}}}}}}}}}} ||
링크
{{{#000,#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6b2c91><colcolor=white> 웹사이트 파일:맨체스터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공식 홈페이지
소셜 미디어 <colbgcolor=white,#1f2023>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페이스북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인스타그램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트위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튜브
파일:LinkedIn 아이콘.svg 링크드인
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 사운드클라우드
파일:플리커 아이콘.svg 플리커
대학 언론 파일:맨체스터 대학교 대학 신문.png
총학생회 파일:맨체스터대학교학생회로고.png


한인회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기타 파일:issuu 아이콘.png issuu
파일:더 탭 - 맨체스터 대학교 로고.png
}}}}}}}}}}}} ||
위치
<rowcolor=#fff> ▲ 휘트워스 빌딩
1. 개요2. 역사3. 평가4. 상징
4.1. 문장4.2. 로고
5. 통계6. 학과 및 연구소7. 학사 제도
7.1. 학기7.2. 학위과정 및 전공7.3. 학비7.4. 파트너십 대학
8. 캠퍼스 및 부속시설
8.1. 구획8.2. 도서관8.3. 박물관8.4. 출판부8.5. 의료기관8.6. 스포츠 센터8.7. 조드렐 뱅크 천문대
9. 생활 및 문화
9.1. 총학생회9.2. 스포츠9.3. 대학 정기전
10. 관련 인물11. 여담12. 관련 문서13. 둘러보기

1. 개요

Cognitio, Sapientia, Humanitas
지식, 지혜, 인류애
맨체스터 대학교(The University of Manchester, UoM)는 영국 잉글랜드 맨체스터에 위치한 연구중심 종합대학으로 세계 최상위권 명문 대학이다.

산업 혁명을 발판 삼아 다방면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한 만큼 그 영향력이 장대하다. QS 세계 대학 랭킹 기준 세계 32위, 유럽 8위, 영국 6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영국의 대표 연구중심 대학 그룹 러셀 그룹의 창립 회원이기도 하다. 2025년 기준 26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는데, 이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에 이어 영국에서 네 번째로 많은 수이다. 우선 맨체스터 대학교는 영국에서 학부생 지원자 수가 가장 많은 대학[4]중 하나이자 영국에서 다섯 번째로 재단 규모가 큰 대학[5]인 동시에 일곱 번째로 가장 많이 기부금을 확보하고 있는 대학[6]이다. 뿐만 아니라 2010년 대학발전센터의 우수 랭킹 조사에서 모든 학부가 최우수(Excellent) 등급 판정을 받은 단 4개의 대학[7] 중 하나이고, Research Excellence Framework에서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옥스퍼드 대학교에 이어 영국에서 세 번째로 연구 역량이 우수한 대학으로 평가받고 있다.

영국 공업의 심장인 맨체스터에 세워져 산업 혁명에 기여한 역사로 인해 공학경영학경제학 계열의 평판이 매우 우수하다. 원자의 핵을 분열시켜 원자력을 이용하는 실험이 세계 최초로 본교에서 실행되었고, 기억과 재생이 가능한 최초의 프로그램 내장형 컴퓨터인 맨체스터 베이비와 세계 최초의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현대적 슈퍼컴퓨터아틀라스가 개발되었으며, 기계에 지능이 있는지를 판별하는 시험인 튜링 테스트가 고안되었다. 그리고 본교 경영대학인 얼라이언스 맨체스터 비즈니스 스쿨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저지 비즈니스 스쿨과 옥스퍼드 대학교 사이드 비즈니스 스쿨보다도 먼저 설립된 영국 최초의 경영대학으로 인문사회계 및 이공계와의 다학제적 연구에 특화되어 있다. 특히 국제경영, 경영전략, 공급망관리, 기술경영, 기술정책, 그리고 마케팅 분야에서는 최고의 권위를 인정받는 연구 및 교육 기관 중 하나로 꼽히며, QS 기준 석사 과정은 세계 대학 순위 20위권에, 박사 과정은 세계 순위 1위에 오를 정도로 저명하다. 아울러 19세기 말 자유무역을 제창해 근대 자유 무역의 기틀을 마련한 맨체스터학파를 태동시켰고, 경제학에 이른바 한계혁명을 가져온 한계학파가 이론적 기틀을 다졌던 교육기관들 중 하나였다. 이처럼 공학, 경영학, 경제학이 유명하지만 그 외에도 건축학, 인류학, 역사학, 미술사학, 연극영화학, 의학 계열 등도 명성이 높다.

영국의 명문 사립 고등학교인 퍼블릭 스쿨[8] 출신 학생이 상당히 많다. 영국에서 Public School은 한국의 사립학교를 의미하고, State School이 한국의 공립학교에 대응된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맨체스터 대학교/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맨체스터 대학교/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맨체스터 대학교/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평가

아래는 다양한 세계 대학평가 기관들의 대학 순위에서 맨체스터 대학교의 순위 변동을 나타낸 표이다. 이중 가장 많이 인용되는 QS 기준에 따르면 전 세계에 분포한 약 1,900개의 대학 중에서 평균 세계 상위 30위권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가 있다. 각 기관의 평가 기준에 관한 내용은 각 문서 참고.
맨체스터 대학교 세계 대학 순위
<colbgcolor=#6b2c91><colcolor=#fff> 연도 QS THE ARWU
2018 34위 54위 34위
2019 29위 57위 33위
2020 27위 55위 36위
2021 27위 51위 35위
2022 27위 50위 38위
2023 28위 54위 41위
2024 32위 51위 52위
2025 34위 53위 n/a

아래는 세계 대학평가 기관들의 유럽 내 대학 순위에서 맨체스터 대학교의 순위 변동을 나타낸 표이다. 평가 기관마다 다르지만 QS 기준에 따르면 통상 유럽 상위 10위권에 꾸준히 안착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맨체스터 대학교 유럽 대학 순위
<colbgcolor=#6b2c91><colcolor=#fff> 연도 QS THE ARWU
2018 9위 15위 8위
2019 8위 16위 8위
2020 8위 16위 9위
2021 8위 15위 9위
2022 8위 16위 8위
2023 9위 16위 11위
2024 8위 16위 15위
2025 10위 16위 n/a

아래는 세계 대학평가 기관들의 영국 내 대학 순위에서 맨체스터 대학교의 순위 변동을 나타낸 표이다. 평가 기관마다 다르지만 QS 기준에 따르면 통상 영국 상위 6위에 꾸준히 안착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맨체스터 대학교 영국 대학 순위
<colbgcolor=#6b2c91><colcolor=#fff> 연도 QS THE ARWU
2018 7위 8위 6위
2019 6위 8위 6위
2020 6위 8위 5위
2021 6위 8위 5위
2022 6위 8위 6위
2023 6위 8위 6위
2024 6위 8위 6위
2025 6위 8위 n/a

4. 상징

4.1. 문장


파일:상징_manchester_university.svg

▲ 맨체스터 대학교의 문장
맨체스터 대학교의 문장은 본교의 전신인 맨체스터 과학기술대학교와 맨체스터 빅토리아 대학교의 각 문장을 합친 것이다. 벌 문양은 옛 맨체스터 과학기술대학교의 문장에서, 하늘색 바탕에 성벽 위로 태양이 떠오르는 방패는 옛 맨체스터 빅토리아 대학교의 문장에서 따온 것이다. 자세한 정보는 맨체스터 대학교 문장 소개 페이지 참고.

4.2. 로고


파일:로고_manchester_university.svg

▲ 맨체스터 대학교의 로고
특유의 서체로 상단에는 "MANCHESTER 1824"와 하단에는 "The University of Manchester"가 쓰여 있다. 특히, MANCHESTER에서 EST가 살짝 다르게 표기되어 있고 그 밑에 개교년인 1824가 있어 EST 1824[9]라는 의미를 나타낸다는 점이 특징이다.

5. 통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맨체스터 대학교/통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맨체스터 대학교/통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맨체스터 대학교/통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학과 및 연구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맨체스터 대학교/학과 및 연구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맨체스터 대학교/학과 및 연구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맨체스터 대학교/학과 및 연구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학사 제도

7.1. 학기

<rowcolor=white> 학기 학기 명칭 기간
<colbgcolor=#6b2c91><colcolor=white> 1학기 Semester A 9월 말~1월 말
크리스마스 방학
(12월 중순~1월 중순)
2학기 Semester B 1월 말~6월 초
부활절 방학
(4월 중순~4월 말)
1년 2학기제로 운영된다. 학기는 Semester로 호칭한다. 각 학기당 약 4개월이 넘는 기간이지만 모두 전공에 따라 정규 학기 이외의 기간(즉, 방학 기간)에도 수업과 시험을 진행할 수 있다.

1년에 약 7개월이 학기 기간이고 나머지 5개월 정도가 방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름 방학이 4개월에 달할 정도로 길기 때문에 학생들은 충분히 휴식을 취하거나 아르바이트 및 인턴 활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1학기인 Semester A가 끝나고 며칠 뒤에 바로 2학기인 Semester B가 시작되는 집중적인 시간 배치로 인해 상당한 학업량이 요구된다. 그래서 각 학기마다 크리스마스 방학, 부활절 방학과 같은 막간 방학이 껴 있다.

7.2. 학위과정 및 전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맨체스터 대학교/학위과정 및 전공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맨체스터 대학교/학위과정 및 전공#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맨체스터 대학교/학위과정 및 전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3. 학비

영국이 유럽연합을 탈퇴(브렉시트)를 하기 전까지는 (1) 영국인, 영국 영주권이 있는 외국인, 유럽연합 소속 국가 국적 소지자(UK and EU rate), (2) 유럽연합에 속하지 않는 국가 국적 소지자(non-EU international rate)로 구분하여 학비(등록금)을 책정하였다. 이는 맨체스터 대학교유럽연합(EU)으로부터 많은 재정지원을 받아왔기 때문에 환원 차원에서 영국 국적이 아니더라도 유럽연합(EU) 국가 소속 국적자에게는 영국인과 똑같이 대우한 것이다.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 이후에는 (1) 영국인 및 아일랜드인[10] 영국 영주권이 있는 외국인(UK rate), (2) 외국인(international rate)으로 구분하여 학비(등록금)을 책정하였다. 영국인 판단 조건은 다음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 영국 시민권 또는 영국 영주권 소유자 (예 : 영국 영주권이 있는 한국인)
  • 대학에 입학하기 직전, 9월 1일 기준 영국, 아일랜드, 영국 해외 영토 및 왕실령에서 3년 이상 살았을 것

외국인에게도 영국인과 동일한 금액의 학비(등록금)를 부과하는 것은 영국 정부 자문기구인 "UK Council for International Student Affairs (UKCISA)"의 규정에 근거하며 시행되며, UKCISA에서는 매년마다 규정 변동 사항 및 예외 사례를 공식 홈페이지[11]에 게시하고 있다.

학부 기준으로 2024/25년 영국인은 다른 모든 영국의 대학들과 마찬가지로 1년에 9,250파운드[12]로 전체적으로 동일하고, 유학생은 인문 및 일부 사회과학 계열은 약 26,000파운드[13], 경제·경영을 포함한 대부분의 사회과학 계열은 약 30,000파운드[14], 이공학 계열은 약 35,000파운드[15]으로 책정되었다. 다만, 학비는 전공마다 상이한 편이다.

7.4. 파트너십 대학

맨체스터 대학교는 세계 각국의 주요 대학들과 함께 교환학생 및 복수학위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주요 대학 리스트는 아래와 같다. 자세한 정보와 전체적인 대학 리스트는 맨체스터 대학교 파트너 대학 소개 페이지 참고.

8. 캠퍼스 및 부속시설

<nopad> 파일:UOMCampusmap.jpg
▲ 캠퍼스 지도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맨체스터 대학교 캠퍼스 소개 영상
}}}}}}}}} ||
맨체스터 대학교 캠퍼스 사진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OldQuad.jpg
휘트워스 홀
파일:SackvilleStreetBuilding.jpg
색빌 스트리트 빌딩
파일:JohnRylandsLibrary.jpg
존 라일랜즈 연구기관 및 도서관
파일:SamuelAlexanderBuilding.jpg
새뮤얼 알렉산더 빌딩
파일:AMBS.jpg
얼라이언스 맨체스터 비즈니스 스쿨
파일:ArthurLewisBuilding.jpg
아서 루이스 빌딩
파일:UniversityPlace.jpg
유니버시티 플레이스
파일:AlanTuringBuilding.jpg
앨런 튜링 빌딩
파일:NationalGrapheneInstitute.jpg
국립 그래핀 연구소
파일:HenryRoyceInstitute.jpg
헨리 로이스 연구소
파일:OneCentralPark.jpg
원 센트럴 파크
}}}}}}}}} ||
맨체스터 대학교의 주요 부지는 다양한 시설들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을 한데로 묶어 흔히 캠퍼스라고 일컫지만, 엄밀히 따지면 보편적으로 알고 있는 캠퍼스 형태는 아니다. 맨체스터 대학교 자체가 맨체스터 도시와 공존하며 발전해 왔기 때문에 대학교와 도심지가 섞여 있다. 즉, 도심 곳곳에 캠퍼스가 넓게 퍼져 있기 때문에, 캠퍼스 투어를 하게 되면 자연스레 맨체스터 도시 투어를 할 수밖에 없다.

대학 부지의 총 면적은 약 82만 평(2.7km²)으로 한국에서 가장 넓은 대학 캠퍼스인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16]보다 약 1.43배 넓고,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동의 전체 면적[17]보다 조금 더 넓다. 총 229채의 건물을 소유하고 있고 그중 30채 이상이 문화재로 등재된 시설이며 3,600곳의 자동차 주차 구역과 2,700곳의 자전거 주차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빅토리아 시대에 지어진 고풍스러운 건물부터 현대식 건물까지 있기 때문에 도시와 캠퍼스를 돌아다니다 보면 근대부터 현대까지의 영국의 역사적 흐름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다.

맨체스터 대학교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지도를 확인하면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8.1. 구획

파일:MECD.jpg
▲ 낸시 로스웰 빌딩
맨체스터 대학교의 캠퍼스는 대략 장화 모양의 영역을 점유하고 있다. 발 부분에 해당하는 구역은 북쪽 캠퍼스(North Campus) 또는 색빌 스트리트 캠퍼스(Sackville Street Campus)라고 불리며 과거 맨체스터 과학기술대학교의 캠퍼스였다. 목 부분에 해당하는 구역은 남쪽 캠퍼스(South Campus) 또는 옥스퍼드 로드 캠퍼스(Oxford Road Campus)라고 불리며 과거 맨체스터 빅토리아 대학교의 캠퍼스였다. 캠퍼스 이름은 정식 명칭이 아니지만, 학생들과 교수들 사이에서 널리 통용되고 있다.

기숙사는 총 19곳이 있다. 이중 5곳은 색빌 스트리트 캠퍼스와 옥스퍼드 로드 캠퍼스에 위치해 있고, 7곳은 팔로우필드 캠퍼스(Fallowfield Campus)에, 나머지 7곳은 빅토리아 파크 캠퍼스(Victoria Park Campus)에 있다. 각각 7곳의 기숙사 건물을 소유하고 있는 이 두 캠퍼스는 학생들이 머무는 주거 중심 구역이다.

이외에도 맨체스터 도심을 벗어난 근교 지역에도 다른 대학 건물들이 있다. 예를 들어 체셔에 위치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조드렐 뱅크 천문대(Jodrell Bank Observatory)와 모스턴에 있는 원 센트럴 파크(One Central Park)가 있다.

탄탄한 자본력을 가진 대학답게 맨체스터 대학교는 2004년 약 6억 파운드[18]를 투자해 대규모 신축 및 리모델링 계획을 실행했다. 이로써 9채의 대형 건물이 신축되었고, 4채의 기존 건물이 리모델링 및 이전되었다. 이후 대학 측은 추가로 약 10억 파운드[19]를 투자해 새로운 캠퍼스를 건설하는 계획을 착수했다.

8.2. 도서관

<nopad> 파일:맨체스터대학교_에디데이비스도서관.jpg
▲ 에디 데이비스 도서관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맨체스터 대학교 도서관 소개 영상
}}}}}}}}} ||
맨체스터 대학교 도서관은 영국에서 가장 규모가 큰 非법적 예탁 도서관이자 옥스퍼드 대학교케임브리지 대학교에 이어 세 번째로 큰 학술 도서관이다. 또한 영국에서 가장 많은 전자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도서관이기도 하다. 총 10개의 도서관, 연구 기관, 교육 센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400만 개의 서적과 전자 지식 재산 자원들을 보유하고 있다.
  • 중심 도서관(Main Library)
  • 앨런 길버트 학습공유기관(Alan Gilbert Learning Commons)
  • 예술 고고학 도서관(Art and Archaeology Site Library)
  • 브래딕 도서관(Braddick Library)
  • 레너건 도서관(Lenagan Library)
  • 스토퍼드 도서관(Stopford Library)
  • AIU RACE 센터(AIU RACE Centre)
  • 학술영어대학센터(University Centre for Academic English)
  • 에디 데이비스 도서관(Eddie Davies Library)
  • 존 라일랜즈 연구기관 및 도서관(John Rylands Research Institute and Library)

맨체스터 대학교의 전신 대학 중 하나인 오언스 칼리지가 1851년에 설립한 콥든 하우스 도서관으로부터 역사가 출발한다. 1904년 맨체스터 빅토리아 대학교 도서관으로 전환되었으며, 1972년에 존 라일랜즈 도서관과 합병이 되어 점차 규모를 늘려나가기 시작했다. 이후 맨체스터 빅토리아 대학교가 맨체스터 과학기술대학교와 통합을 함으로써 각 대학의 도서관도 자연스레 통합되었고, 맨체스터 대학교 도서관이라는 통일된 명칭으로 변경되어 현재의 도서관이 되었다.

맨체스터 대학교 도서관은 영국 정부에서 지정한 5곳의 국립 연구 도서관 중 하나이며, 잉글랜드 북부 지역에서는 유일한 국립 연구 도서관이다. 현재 북서부 학술 도서관 콘소시엄(NoWAL)과 영국 연구 도서관 콘소시엄(RLUK)의 정식 구성원이다.

8.3. 박물관

파일:TheWhitworth.jpg
▲ 휘트워스 미술관
맨체스터 대학교는 4곳의 박물관 및 미술관을 운영하고 있다. 맨체스터 박물관(Manchester Museum)은 450만 점의 화석, 채집 표본, 유물 및 예술 작품 등을 소장하고 있고, 휘트워스 미술관(The Whitworth Art Gallery)은 바실리 칸딘스키, 에드바르트 뭉크, 윌리엄 블레이크, 조지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 파블로 피카소, 프랜시스 베이컨 등 6만 점의 근현대 위주의 미술 작품들을 소장하고 있다. 그 외에 의술의 역사와 그에 관련된 유물들을 전시하는 의학 보건 박물관(Museum of Medicine and Health), 과거 레스터 남작 가문이 소유했던 미술 작품을 전시하는 태블리 하우스 컬렉션(The Tabley House Collection)도 있다.

8.4. 출판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맨체스터 대학교 출판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맨체스터 대학교 출판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맨체스터 대학교 출판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5. 의료기관

<nopad> 파일:왕립맨체스터아동병원.jpg
▲ 맨체스터 로열 인퍼머리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맨체스터 대학교 NHS 신탁 재단 소개 영상
}}}}}}}}} ||
맨체스터 대학교의 병원은 본교가 영국의 국영 의료 서비스 공기업인 NHS와 함께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는 맨체스터 대학교 NHS 신탁 재단(Manchester University NHS Foundation Trust) 산하에 있다. 해당 신탁 재단은 영국에서 가장 규모가 큰 의료기관 운영 단체로 총 평균 약 75만 명의 환자에게 진료 및 치료를 진행하고 280만 명의 시민들에게 다양한 전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그레이터 맨체스터를 포함한 잉글랜드 북부 의료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고 있다. 또한 맨체스터 대학교의 의과대학, 치의과대학, 그리고 간호대학 소속 학생들의 실습 공간이자 의사 및 연구진들의 임상 연구 장소로도 활용되고 있다.
  • 맨체스터 왕립병원(Manchester Royal Infirmary)
  • 맨체스터 왕립안과병원(Manchester Royal Eye Hospital)
  • 왕립 맨체스터 아동병원(Royal Manchester Children's Hospital)
  • 세인트 메리 병원(Saint Mary's Hospital)
  • 맨체스터 대학 치과병원(University Dental Hospital of Manchester)
  • 위던쇼 병원(Wythenshawe Hospital)
  • 노스맨체스터 종합병원(North Manchester General Hospital)
  • 트래퍼드 종합병원(Trafford General Hospital)
  • 위딩턴 지역병원(Withington Community Hospital)
  • 올트링엄 병원(Altrincham Hospital)

8.6. 스포츠 센터

파일:ManchesterAquaticsCentre.png
▲ 맨체스터 아쿠아틱스 센터
맨체스터 대학교에서는 3곳의 스포츠 센터가 갖춰져 있다. 아미티지 스포츠 센터(Armitage Sports Centre)는 영국 대학에서 보유하고 있는 전천후 야외 운동장 중 가장 넓은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곳으로 축구, 배드민턴, 럭비, 크리켓, 스쿼시, 넷볼, 탁구, 농구 등을 할 수 있는 경기장과 피트니스 클럽이 구비되어 있다. 서그든 스포츠 센터(Sugden Sports Centre)는 다양한 운동 기구들이 설비된 대형 피트니스 클럽이고, 맨체스터 아쿠아틱스 센터(Manchester Aquatics Centre)는 대형 실내 수영장 및 워터파크로서 커먼웰스 게임과 같은 국제적인 수영 경기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일부 시설은 학생뿐만 아니라 맨체스터 시민들도 멤버십에 가입하면 이용할 수 있으며, 학생 한정으로는 특별 할인을 받을 수 있다.

8.7. 조드렐 뱅크 천문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C8102E> 문화유산
1986년

더럼 성과 대성당
Durham Castle and Cathedral
1986년

아이언브리지 계곡
Ironbridge Gorge
1986년

스터들리 왕립 공원과 파운틴스 수도원 유적
Studley Royal Park including
the Ruins of Fountains Abbey
1986년

스톤헨지와 에이브베리 거석 유적
Stonehenge, Avebury and Associated Sites
1986년

귀네드의 에드워드 1세 시대 성곽군
Castles and Town Walls of
King Edward in Gwynedd
1987년

블레넘 궁전
Blenheim Palace
1987년

웨스트민스터 궁전,
웨스트민스터 사원과 성 마거릿 성당
Palace of Westminster and
Westminster Abbey including
Saint Margaret’s Church
1987년

바스
City of Bath
1987년

로마 제국 국경
Frontiers of the Roman Empire
1988년

런던 탑
Tower of London
1988년

캔터베리 대성당,
성 어거스틴 수도원 및 성 마틴 성당
Canterbury Cathedral,
St Augustine's Abbey,
and St Martin's Church
1995년

에든버러 구시가지와 신시가지
Old and New Towns of Edinburgh
1997년

그리니치 해양유산지구
Maritime Greenwich
1999년

오크니 제도 신석기 유적
Heart of Neolithic Orkney
2000년

버뮤다의 세인트 조지 역사 도시와 방어물
Historic Town of St George and
Related Fortifications, Bermuda
2000년

블래나번 산업 경관
Blaenavon Industrial Landscape
2001년

뉴 래너크
New Lanark
2001년

솔테어
Saltaire
2001년

더웬트 계곡 방적 공장
Derwent Valley Mills
2003년

큐 왕립 식물원
Royal Botanic Gardens, Kew
2004년

리버풀
: 해양 무역 도시

Liverpool – Maritime Mercantile City
2006년

콘월과 서부 데번 광산 경관
Cornwall and West Devon Mining Landscape
2009년

폰트치실트 다리와 운하
Pontcysyllte Aqueduct and Canal
2015년

포스 교
The Forth Bridge
2016년

고램 동굴군
Gorham's Cave Complex
2017년

영국 레이크 디스트릭트
The English Lake District
2019년

조드렐 뱅크 천문대
Jodrell Bank Observatory
2021년

유럽의 거대 온천 도시들
The Great Spa Towns of Europe
2021년

웨일스 북서부의 슬레이트 광산 경관
The Slate Landscape of Northwest Wales
2024년

그레이스힐, 모라비아 교회 정착지
Gracehill, Moravian Church Settlements
자연유산
1986년

자이언츠 코즈웨이와 해안
Giant's Causeway and Causeway Coast
1988년

헨더슨 섬
Henderson Island
1995년

고프 섬과 이낵세시블 섬
Gough and Inaccessible Islands
2001

도싯과 동부 데번 해안
Dorset and East Devon Coast
2024

플로우 컨트리
The Flow Country
복합유산
1986년

세인트 킬다 군도
St Kilda
}}} }}}}}} ||


파일:LovellTelescope.jpg
▲ 조드렐 뱅크 천문대
맨체스터 대학교 산하 조드렐 뱅크 천체물리학 센터가 사용하고 있는 천문대로 1945년 당시 본교에 재직하던 천문학자 버나드 로벨 경이 설립했다. 현재 조드렐 뱅크 천문대는 소행성, 퀘이사, 펄사 등을 연구하는 데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조드렐 뱅크 천문대의 주요 망원경인 러벨 망원경은 76m의 지름을 가지고 있으며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조종 가능 전파망원경이다.

9. 생활 및 문화

9.1. 총학생회

<nopad> 파일:맨체스터대학교총학생회건물.jpg
▲ 맨체스터 대학교 총학생회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맨체스터 대학교 총학생회 소개 영상
}}}}}}}}} ||
맨체스터 대학교 총학생회는 현재 영국에서 가장 규모가 큰 총학생회 중 하나이며 약칭은 UMSU이다. 총학생회 건물은 옥스퍼드 로드에 위치해 있다. 일반적인 총학생회와는 달리, 총학생회장이라는 개념은 없고 8명의 대표 임원들에 의해 공동 운영된다. 대학 언론 맨큐니언(Mancunion)과 대학 라디오 방송국 퓨즈 FM(Fuse FM)을 소유하고 있다.

한국 대학의 동아리연합회 역할도 맡고 있는 총학생회는 다양한 국가 및 종교 모임들을 관리하고 있다. 아무래도 전 세계 약 160개국에서 온 학생들이 재학 중이다 보니 이러한 문화적인 커뮤니티가 잘 발달되어 있다. 그중 한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인 학생회 MUKSS가 존재하며 매년 K-POP 클럽, 한국 문화 축제 등을 유치하는 등 활발히 활동 중이다.

9.2. 스포츠

총학생회를 통해 운영되는 여느 학생 동아리들과는 달리 맨체스터 대학교의 스포츠 동아리들은 대학교 자체 체육 연맹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

본교에는 80곳이 넘는 헬스 및 피트니스 교실이 있고 3,000명 이상의 학생들이 44개의 스포츠 동아리에 소속되어 있다. 동아리 종류는 다양한데 대표적으로 배드민턴, 라크로스, 코프볼, 피구, 필드 하키, 럭비 유니온, 럭비 리그, 축구, 농구, 펜싱, 넷볼, 스쿼시, 크리켓 등이 있다. 그중 28개의 동아리는 리버풀 대학교, 리즈 대학교와의 대학 정기전인 크리스티 컵에 출전한다.

9.3. 대학 정기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교 정기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교 정기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학교 정기전#리버풀 - 맨체스터 - 리즈 정기전(Christie Championships)|리버풀 - 맨체스터 - 리즈 정기전(Christie Championship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886년부터 시작되어 [age(1886-01-01)]주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대학교 정기전으로 옥스퍼드 대학교케임브리지 대학교Varsity Match 다음으로 잉글랜드에서 오래된 대학 정기전이다. 맨체스터 대학교와 나머지 두 학교 간의 관계는 옥스퍼드 대학교와 케임브리지 대학교나 연세대학교고려대학교 같은 치열한 학문 라이벌 관계는 아니지만 오랜 시간 동안 교류 목적의 스포츠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이런 관계는 런던에서 London Varsity Series를 개최하고 있는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킹스 칼리지 런던 그리고 현재는 명맥이 끊긴 수도전을 개최했던 서울대학교한양대학교 사이의 관계와 매우 유사하다.

10. 관련 인물

10.1.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맨체스터 대학교/출신 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맨체스터 대학교/출신 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맨체스터 대학교/출신 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표 동문
파일:프랜스시 톰슨_맨체스터.jpg
파일:Joseph John Thomson.jpg
파일: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_맨체스터.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enry_Moseley.jpg
파일:Arthur_Stanley_Eddington.jpg
파일:James_Chadwick_맨체스터.jpg
프랜시스 톰슨 조지프 존 톰슨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헨리 귄
제프리스 모즐리
아서 스탠리 에딩턴 제임스 채드윅
파일:1000026977.jpg
파일:노먼 포스터_맨체스터_01.jpg
파일:존 폴라니_맨체스터.jpg
파일:제임스 러브 록.jpg
파일:마이클 스미스(화학자)_맨체스터.jpg
파일:President_Higgins's_visit_FINIRISH_BATT_HQ,_Lebanon_(cropped).jpg
로버트 로빈슨 노먼 포스터 존 찰스 폴라니 제임스 러브록 마이클 스미스 마이클 D. 히긴스
파일:Terence Burns_맨체스터.jpg
파일:Simon H. Johnson.jpg
파일:테오 치 힌_맨체스터.jpg
파일:브라이언 콕스(물리학자)_맨체스터.jpg
파일:베네딕트 컴버배치_맨체스터.jpg
파일:토비 존스_맨체스터.jpg
테렌스 번스 사이먼 존슨 테오 치 히엔 브라이언 콕스 베네딕트 컴버배치 토비 존스

10.2. 재직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맨체스터 대학교/재직 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맨체스터 대학교/재직 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맨체스터 대학교/재직 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유명 교수 및 연구원
파일:Sir_Ernest_Rutherford_LCCN2014716719_-_restoration1.jpg
파일:Hans_Bethe.jpg
파일:Melvin_Calvin_1960s.jpg
파일:1000001778.jpg
파일:Konstantin_Novoselov_portrait.jpg
파일:Sirandregeim.jpg
어니스트 러더퍼드 한스 베테 멜빈 캘빈 앨런 튜링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안드레 가임

10.3. 노벨상 수상자

개교 이래 다수의 노벨상 수상자들을 배출했으며, 아래의 명단은 Our Nobel Prize winners를 참고하였다.
성명 관계 업적
어니스트 러더퍼드 교수 1908년 노벨화학상 수상. 알파입자 산란실험으로 유명.
아서 하든 석사 1929년 노벨화학상 수상. 당의 발효와 이 반응에 관여하는 효소작용에 대한 연구.
월터 노먼 호어스 학사 1937년에 노벨화학상 수상. 탄수화물 및 비타민 C에 관한 연구.
조르주 드 헤베시 연구원 1943년 노벨화학상 수상. 동위원소 추적자 기술을 개발에 대한 공로.
로버트 로빈슨 학사, 박사 1947년 노벨화학상 수상. 알칼로이드를 연구한 공로.
알렉산더 R. 토드 교수 1957년 노벨화학상 수상. 뉴클레오타이드류와 그 보조 효소에 관한 연구.
멜빈 캘빈 연구원 1961년 노벨화학상 수상. 식물이 물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유기물을 합성하는 과정을 규명.
존 찰스 폴라니 학사, 박사 1986년 노벨화학상 수상. 화학 반응 요소 과정의 동역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
마이클 스미스 학사, 박사 1993년 노벨화학상 수상. 돌연변이유도 기술을 개발한 공로.
성명 관계 업적
조지프 존 톰슨 학사[20] 1906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전자, 동위원소의 발견과 질량 분석계의 발명으로 유명.
윌리엄 브래그 교수 1915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빛의 회절, 반사에 관한 물리 법칙인 브래그 법칙으로 유명.
닐스 보어 연구원 1922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원자의 구조에 대한 가설(보어 모델)로 유명.
찰스 톰슨 리스 윌슨 학사 192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방사능 관측 장치 안개 상자 발명으로 유명.
제임스 채드윅 학사/석사 1935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중성자의 발견.
패트릭 블래킷 교수 1948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우주선 그리고 고지자기학분야에서의 업적으로 유명.
존 콕크로프트 학사 1951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가속입자에 의한 원자핵의 변환 연구.
한스 베테 전임강사 196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별의 에너지 발생에 대한 연구.
네빌 모트 전임강사 197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비결정성 고체에서 나타나는 전자의 반응에 대한 연구.
안드레 가임 교수 2010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그래핀 연구.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교수 2010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그래핀 연구.
성명 관계 업적
아치볼드 비비언 힐 교수 1922년 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 생물 물리학의 창시자. 근육 내부의 열 발생에 관한 연구.
존 설스턴 교수 2002년 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 세포자살(細胞自殺) 유전자를 규명한 공로.
성명 관계 업적
존 힉스 교수 1972년 노벨경제학상 수상. 미시경제학의 소비자 이론과 거시경제학의 IS-LM 모형으로 유명.
아서 루이스 전임강사 1979년 노벨경제학상 수상. 평화상을 제외한 부문에서 노벨상을 받은 최초의 흑인.
조셉 스티글리츠 연구원 2001년 노벨경제학상 수상. 비대칭정보 하의 시장에 대한 분석이라는 업적으로 유명.
사이먼 존슨 석사 2024년 노벨경제학상 수상. 국가간 빈부격차와 관련해 사회 제도의 중요성을 입증하며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 공로.

11. 여담

  • 2013년까지 8년 동안 맨체스터 대학교는 BBC2 퀴즈 프로그램 대학 챌린지에서 4번이나 우승을 차지했는데, 이는 옥스퍼드 대학교와 동점이며 가장 많은 수의 시리즈 우승이다.

12. 관련 문서

13. 둘러보기

파일:맨체스터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맨체스터 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잉글랜드 국장.svg 노스웨스트 잉글랜드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BPP 대학교 랭커스터 대학교 리버풀 대학교 리버풀 열대 의학 학교 리버풀 존 무어스 대학교
리버풀 호프 대학교 맨체스터 대학교 맨체스터 메트로폴리탄 대학교 법 대학교 볼튼 대학교
샐퍼드 대학교 센트럴 랭커셔 대학교 엣지 힐 대학교 체스터 대학교 컴브리아 대학교
영국의 대학 }}}}}}}}}

파일:잉글랜드 국장.svg
잉글랜드의 붉은 벽돌 대학
Red Brick Universities of England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1900년 1903년 1903년 1904년 1905년
[[버밍엄 대학교|
파일:8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Birmingham.svg.png
]]
[[리버풀 대학교|
파일:421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Liverpool.svg.png
]]
[[맨체스터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Manchester.svg.png
]]
[[리즈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Leeds.svg.png
]]
[[셰필드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Sheffield.svg.png
]]
버밍엄
University of Birmingham
리버풀
University of Liverpool
맨체스터
University of Manchester
리즈
University of Leeds
셰필드
University of Sheffield
1909년 1926년 1948년 1963년
[[브리스톨 대학교|
파일:브리스톨 대학교 쉴드.png
]]
[[레딩 대학교|
파일:1200px-University_of_Reading_shield.svg.png
]]
[[노팅엄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Nottingham.svg.png
]]
[[뉴캐슬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Newcastle.svg.png
]]
브리스톨
University of Bristol
레딩
University of Reading
노팅엄
University of Nottingham
뉴캐슬
Newcastle University
고대 대학 · 판유리 대학
}}}}}}}}} ||

파일:러셀 그룹 로고.sv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소속 대학
1096년 1209년 1451년 1583년 1824년 1826년
[[옥스퍼드 대학교|
파일:옥스퍼드 대학교 문장.svg
]]
[[케임브리지 대학교|
파일:케임브리지 대학교 문장.svg
]]
[[글래스고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Glasgow.svg.png
]]
[[에든버러 대학교|
파일:에든버러 대학교 문장_shield.png
]]
[[맨체스터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Manchester.svg.png
]]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파일: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문장.svg
]]
옥스퍼드
University of Oxford
케임브리지
University of Cambridge
글래스고
Oilthigh Ghlaschu
에든버러
Oilthigh Dhùn Èideann
맨체스터
University of Manchester
유니버시티 칼리지
University College London
1829년 1832년 1845년 1883년 1887년 1895년
[[킹스 칼리지 런던|
파일:493px-Shield_of_King's_College_London.svg.png
]]
[[더럼 대학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urham_shield.png
]]
[[퀸스 대학교 벨파스트|
파일:퀸스 대학교 벨파스트 로고.svg
]]
[[카디프 대학교|
파일:8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Cardiff.svg.png
]]
[[퀸 메리 런던 대학교|]]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파일:런던 정치경제대학교 Shield_배경제거.png
]]
킹스 칼리지
King's College London
더럼
Durham University
벨파스트
Ollscoil na Banríona
카디프
Prifysgol Caerdydd
퀸 메리
Queen Mary
런던 정경대
London School of Economics
1900년 1903년 1904년 1905년 1907년 1909년
[[버밍엄 대학교|
파일:8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Birmingham.svg.png
]]
[[리버풀 대학교|
파일:421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Liverpool.svg.png
]]
[[리즈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Leeds.svg.png
]]
[[셰필드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Sheffield.svg.png
]]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파일:1200px-Shield_of_Imperial_College_London.svg.png
]]
[[브리스톨 대학교|
파일:브리스톨 대학교 쉴드.png
]]
버밍엄
University of Birmingham
리버풀
University of Liverpool
리즈
University of Leeds
셰필드
University of Sheffield
임페리얼 칼리지
Imperial College London
브리스톨
University of Bristol
1948년 1952년 1955년 1963년 1963년 1965년
[[노팅엄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Nottingham.svg.png
]]
[[사우스햄튼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Southampton.svg.png
]]
[[엑시터 대학교|
파일:Arms_of_the_University_of_Exeter.svg
]]
[[요크 대학교(영국)|
파일:요크 대학교 Shield_배경제거.png
]]
[[뉴캐슬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Newcastle.svg.png
]]
[[워릭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Warwick.svg.png
]]
노팅엄
University of Nottingham
사우스햄튼
University of Southampton
엑시터
University of Exeter
요크
University of York
뉴캐슬
Newcastle University
워릭
University of Warwick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C8102E> 문화유산
1986년

더럼 성과 대성당
Durham Castle and Cathedral
1986년

아이언브리지 계곡
Ironbridge Gorge
1986년

스터들리 왕립 공원과 파운틴스 수도원 유적
Studley Royal Park including
the Ruins of Fountains Abbey
1986년

스톤헨지와 에이브베리 거석 유적
Stonehenge, Avebury and Associated Sites
1986년

귀네드의 에드워드 1세 시대 성곽군
Castles and Town Walls of
King Edward in Gwynedd
1987년

블레넘 궁전
Blenheim Palace
1987년

웨스트민스터 궁전,
웨스트민스터 사원과 성 마거릿 성당
Palace of Westminster and
Westminster Abbey including
Saint Margaret’s Church
1987년

바스
City of Bath
1987년

로마 제국 국경
Frontiers of the Roman Empire
1988년

런던 탑
Tower of London
1988년

캔터베리 대성당,
성 어거스틴 수도원 및 성 마틴 성당
Canterbury Cathedral,
St Augustine's Abbey,
and St Martin's Church
1995년

에든버러 구시가지와 신시가지
Old and New Towns of Edinburgh
1997년

그리니치 해양유산지구
Maritime Greenwich
1999년

오크니 제도 신석기 유적
Heart of Neolithic Orkney
2000년

버뮤다의 세인트 조지 역사 도시와 방어물
Historic Town of St George and
Related Fortifications, Bermuda
2000년

블래나번 산업 경관
Blaenavon Industrial Landscape
2001년

뉴 래너크
New Lanark
2001년

솔테어
Saltaire
2001년

더웬트 계곡 방적 공장
Derwent Valley Mills
2003년

큐 왕립 식물원
Royal Botanic Gardens, Kew
2004년

리버풀
: 해양 무역 도시

Liverpool – Maritime Mercantile City
2006년

콘월과 서부 데번 광산 경관
Cornwall and West Devon Mining Landscape
2009년

폰트치실트 다리와 운하
Pontcysyllte Aqueduct and Canal
2015년

포스 교
The Forth Bridge
2016년

고램 동굴군
Gorham's Cave Complex
2017년

영국 레이크 디스트릭트
The English Lake District
2019년

조드렐 뱅크 천문대
Jodrell Bank Observatory
2021년

유럽의 거대 온천 도시들
The Great Spa Towns of Europe
2021년

웨일스 북서부의 슬레이트 광산 경관
The Slate Landscape of Northwest Wales
2024년

그레이스힐, 모라비아 교회 정착지
Gracehill, Moravian Church Settlements
자연유산
1986년

자이언츠 코즈웨이와 해안
Giant's Causeway and Causeway Coast
1988년

헨더슨 섬
Henderson Island
1995년

고프 섬과 이낵세시블 섬
Gough and Inaccessible Islands
2001

도싯과 동부 데번 해안
Dorset and East Devon Coast
2024

플로우 컨트리
The Flow Country
복합유산
1986년

세인트 킬다 군도
St Kilda
}}} }}}}}} ||


{{{#!wiki style="margin: -8px;"<tablebgcolor=white><tablebordercolor=white>
파일:N8-Master-Logo-JPG.jpg

N8 (북잉글랜드 8개 대학) 연구 파트너십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더럼 대학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urham_shield.png
]]
[[랭커스터 대학교|
파일:Lancaster_University_shield.svg.png
]]
[[리즈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Leeds.svg.png
]]
[[리버풀 대학교|
파일:421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Liverpool.svg.png
]]
더럼
Durham University
랭커스터
Lancaster University
리즈
University of Leeds
리버풀
University of Liverpool
[[맨체스터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Manchester.svg.png
]]
[[뉴캐슬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Newcastle.svg.png
]]
[[셰필드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Sheffield.svg.png
]]
[[요크 대학교(영국)|
파일:요크 대학교 Shield_배경제거.png
]]
맨체스터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뉴캐슬
Newcastle University
셰필드
University of Sheffield
요크
University of York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틀 바로가기
}}}}}}}}}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
파일:ICAM.png
ICAM 연구 파트너십:
A partnership between bp and selected globally leading universities
}}}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소속 대학
파일:맨체스터 대학교 Transparent 로고.png 파일:케임브리지 대학교 로고.svg 파일:University_of_Illinois_at_Urbana-Champaign_Wordmark.svg 파일:imperial-college-london-logo-white-black.png
맨체스터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틀 바로가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fff, #fff)"
{{{#!wiki style="margin: -8px;"
<tablebgcolor=white><tablebordercolor=white>
파일:UKARC로고.png
UKARC: 영국 항공 우주 연구 콘소시엄
The UK’s top university aerospace research capabilities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1a0d5, #7fbee0, #7fbee0, #7fbee0, #7fbee0, #51a0d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브리스톨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파일:케임브리지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파일:크랜필드 대학교 로고 2.png
파일: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아이콘 (New).png
브리스톨 케임브리지 크랜필드 임페리얼
파일:맨체스터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파일:노팅엄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퀸스 대학교 벨파스트 원형 아이콘.png
파일:셰필드 대학교 아이콘.jpg
맨체스터 노팅엄 벨파스트 셰필드
파일:사우스햄튼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파일:스트래스클라이드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사우스햄튼 스트래스클라이드 스완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틀 바로가기
}}}}}}}}}}}}}}} ||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D3D8E, #7D3D8E, #7D3D8E, #7D3D8E, #7D3D8E)"
{{{#!wiki style="margin: -8px;"
<tablebgcolor=#7D3D8E><tablebordercolor=#7D3D8E>
파일:UK-China Humanities Association 로고.png
영국-중국 인문학 연구 연합 (UKCHA)
UK - China Humanities Alliance
}}}}}}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UKCHA 관련 정보 

* UK - China Humanities Alliance (이하 UKCHA)는 양국의 인문학 연구 및 교육 협력을 촉진시키기 위해 지난 2016년 설립됐다.
* 본 연구 연합의 영국 측 책임 기관(UK lead university)은 엑시터 대학교이며 중국 측 책임 기관(China lead university)은 칭화대학이다.
* 본 연구 연합의 창립 회원에 대한 정보는 이곳을, 2018년 확대 개편된 이후의 현재 회원에 대한 정보는 이곳을 참고하기 바란다.
파일:Arms_of_the_University_of_Exeter.svg
파일:옥스퍼드 대학교 문장.svg
파일:케임브리지 대학교 문장.svg
파일: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문장.svg
파일:493px-Shield_of_King's_College_London.svg.png
엑시터
University of Exeter
옥스퍼드
University of Oxford
케임브리지
University of Cambridge
유니버시티 칼리지
University College London
킹스 칼리지
King's College London
파일:SOAS 로고 배경제거.png
파일:1200px-University_of_Reading_shield.svg.png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Manchester.svg.png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Warwick.svg.png
파일:800px-Shield_of_Loughborough_University.svg.png
동양·아프리카학 대학
SOAS
레딩
University of Reading
맨체스터
University of Manchester
워릭
University of Warwick
러프버러
Loughborough University
파일:칭화대학 로고.svg
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파일:1200px-Fudan_University_Logo.svg.png
파일:우한대학교 로고_배경제거.png
파일:북경외국어대학 문장_배경제거.png
칭화대학
清华大学
북경대학
北京大学
복단대학
復旦大学
우한대학
武汉大学
북경외대
北京外国語大学
파일:홍콩중문대학 로고.svg
홍콩중문대학
香港中文大學
상해외대
上海外国語大学
}}}}}}}}}}}} ||

파일:대학 연구 협회 로고.svg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px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북동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지역 사립대학 공립대학
뉴잉글랜드
<colbgcolor=#f5f5f5,#191919> 메인 없음
뉴햄프셔 없음
버몬트 없음
매사추세츠 파일:1024px-Northeastern_University_seal.svg.png 노스이스턴 대학교 · 파일:MIT 원형 아이콘.png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 파일:보스턴 대학교 아이콘.jpg 보스턴 대학교 · 파일:터프츠 대학교 로고.png 터프츠 대학교 · 파일:하버드 대학교 아이콘.png 하버드 대학교 없음
로드아일랜드 파일:브라운 대학교 원형 아이콘 (Brown Background).png 브라운 대학교 없음
코네티컷 파일:예일 대학교 미니 아이콘.png 예일 대학교 없음
중부 대서양
뉴욕 파일:1024px-University_of_Rochester_seal.svg.png 로체스터 대학교 · 파일:Rockefeller University Seal.png 록펠러 대학교 · 파일:시라큐스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시라큐스 대학교 · 파일:컬럼비아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컬럼비아 대학교 · 파일:코넬 대학교 문장.svg 코넬 대학교 파일:SUNY 버팔로 아이콘.png 버팔로 대학교 · 파일:Stony_Brook_University_seal.svg 스토니브룩 대학교
뉴저지 파일:프린스턴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프린스턴 대학교 파일:럿거스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럿거스 대학교
펜실베이니아 파일:CMU 원형 아이콘.png 카네기 멜런 대학교 · 파일: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아이콘.png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파일: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아이콘 원형 아이콘.png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 파일:피츠버그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피츠버그 대학교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남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지역 사립대학 공립대학
남부 대서양
<colbgcolor=#f5f5f5,#191919> 델라웨어 없음
메릴랜드 파일:JHU 아이콘.png 존스 홉킨스 대학교 파일:University_of_Maryland_seal.svg 메릴랜드 대학교
워싱턴 D.C. 없음
버지니아 없음 파일:버지니아 대학교 문장.svg 버지니아 대학교 · 파일:Virginia_Tech_seal.svg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 파일:윌리엄 & 메리 대학교 아이콘.png 윌리엄 & 메리 대학교
웨스트버지니아 없음
노스캐롤라이나 파일:듀크 대학교 아이콘.png 듀크 대학교 파일:UNC 채플힐 아이콘.png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사우스캐롤라이나 없음 파일:University of South Carolina Seal.png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조지아 없음 파일:Georgia_Tech_seal.svg 조지아 공과대학교
플로리다 없음 파일:플로리다 대학교 심볼.svg 플로리다 대학교 · 파일:Florida State University Seal.png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동남 중앙
켄터키 없음 파일:University_of_Kentucky_seal.svg 켄터키 대학교
테네시 파일:밴더빌트 대학교 아이콘.png 밴더빌트 대학교 파일:Seal_of_the_University_of_Tennessee.svg 테네시 대학교
앨라배마 없음 파일:University_of_Alabama_seal.svg 앨라배마 대학교
미시시피 없음 파일:University_of_Mississippi_seal.svg 미시시피 대학교
서남 중앙
아칸소 없음
루이지애나 파일:툴레인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툴레인 대학교 파일:Louisiana-State-University-LSU-Seal.png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
오클라호마 없음 파일:오클라호마 대학교 로고.svg 오클라호마 대학교
텍사스 파일:라이스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라이스 대학교 · 파일:Southern_Methodist_University_seal.png 서던 메소디스트 대학교 파일:노스 텍사스 대학교 로고.png 노스 텍사스 대학교 · 파일:Texas_A&M_University_seal.svg 텍사스 A&M 대학교 · 파일:Texas_Tech_University_seal.svg 텍사스 공과대학교 · 파일: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아이콘.png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 파일:UT Dallas 문장.png 텍사스 대학교 댈러스 · 파일: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Seal.png 텍사스 대학교 알링턴 · 파일:University_of_Houston_seal.svg 휴스턴 대학교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중서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지역 사립대학 공립대학
동북 중앙
<colbgcolor=#f5f5f5,#191919> 미시간 없음 파일:미시간 대학교 아이콘.png 미시간 대학교 · 파일:미시간 주립대학교 대학교.png 미시간 주립대학교 · 파일:Wayne_State_University_seal.svg 웨인 주립대학교
오하이오 파일:CWRU 아이콘.png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 파일:OSU 아이콘.png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 파일:university_of_cincinnati.png신시내티 대학교
인디애나 파일:노트르담 대학교 문장.svg 노터데임 대학교 파일:인디애나 대학교 문장.svg 인디애나 대학교 · 파일:Purdue_University_seal_(Gold).svg 퍼듀 대학교
위스콘신 없음 파일:UW–매디슨 아이콘.png 위스콘신 대학교/매디슨 캠퍼스
일리노이 파일:노스웨스턴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노스웨스턴 대학교 · 파일:시카고 대학교 아이콘.png 시카고 대학교 · 파일: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Seal.png 일리노이 공과대학교 파일:Northern Illinois University Seal.png 노던 일리노이 대학교 · 파일:UIUC 아이콘.png 일리노이 대학교 · 파일:University_of_Illinois_at_Chicago_circle_logo.svg.png 일리노이 대학교 시카고
서북 중앙
미네소타 없음 파일:미네소타 대학교 트윈 시티 캠퍼스 아이콘.png 미네소타 대학교
아이오와 없음 파일:University_of_Iowa_seal.svg 아이오와 대학교 · 파일:Iowa_State_University_seal.svg 아이오와 주립대학교
미주리 파일: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 문장.svg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 없음
노스다코타 없음
사우스다코타 없음 파일:SouthDakotaMines-SocialMediaAvatar-White_(002).png 사우스다코타 광산공과대학
네브래스카 없음 파일:University_of_Nebraska_seal.svg 네브래스카 대학교 링컨
캔자스 없음 파일:Kansas_State_University_seal.svg 캔자스 주립대학교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서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지역 사립대학 공립대학
산악
<colbgcolor=#f5f5f5,#191919> 몬태나 없음
와이오밍 없음
아이다호 없음
콜로라도 없음 파일:CU 볼더 아이콘.png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 파일:Colorado_State_University_seal.svg.png 콜로라도 주립대학교
뉴멕시코 없음 파일:뉴멕시코 대학교 로고.png 뉴멕시코 대학교 · 파일:New Mexico State University seal.png 뉴멕시코 주립대학교
유타 없음
애리조나 없음 파일:애리조나 대학교 아이콘.png 애리조나 대학교 · 파일:애리조나 주립대학교 아이콘.png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네바다 없음
태평양
워싱턴 없음 파일:워싱턴 대학교 아이콘.png 워싱턴 대학교
오리건 없음 파일:오리건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오리건 대학교
캘리포니아 파일:스탠퍼드 대학교 아이콘.png 스탠퍼드 대학교 · 파일:Caltech 아이콘.png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파일:UC Davis 아이콘.png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 · 파일: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 아이콘.png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 파일:UC 리버사이드 아이콘.png 캘리포니아 대학교 리버사이드 · 파일: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캠퍼스 아이콘.png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파일: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 캠퍼스 아이콘.png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 · 파일:UC 샌디에이고 아이콘.png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 파일: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캠퍼스 아이콘.png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알래스카 없음
하와이 없음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미국 외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지역 사립대학 공립대학
유럽
<colbgcolor=#f5f5f5,#191919> 영국 없음 파일:리버풀 대학교 SNS 로고.png 리버풀 대학교 · 파일:맨체스터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맨체스터 대학교 · 파일:UCL 사각형 아이콘.png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 파일:에든버러 대학교 문장.png 에든버러 대학교
이탈리아 없음 파일:University_of_Pisa.svg.png 피사 대학교
동아시아
일본 파일:와세다대학 문장.svg 와세다대학 없음
}}}}}}}}}}}} ||

[1] Chancellor. 영국 대학의 명목상 수장. 대학 운영에 관한 실질적인 권한은 부총장(Vice-Chancellor and President)에게 있다.[2] Vice-Chancellor and President. 대학의 실질적 수장.[3] Colour Palette 참고[4] 평균 약 92,000명의 학부생 지원자를 받는다. UCAS Undergraduate End of Cycle Data Resources 참고.[5] Ranked: The unis making billions of pounds a year 참고.[6] List of universities in the United Kingdom by endowment 참고.[7] 옥스퍼드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맨체스터 대학교, 브리스톨 대학교[8] 사립학교임에도 'Private'이 아닌 'Public'으로 불리는 이유는 퍼블릭 스쿨들이 탄생하던 16세기 이후, 종교나 직업 등에 따라 제한하지 않고 학생을 받던 것이나, 일반적인 사립학교들과 달리 개인 소유주의 이익에 따라 운영되지 않고 공적인 지원을 받아 운영되던 것 때문에 '공공 학교'라는 뜻의 Public School이 되었다고 한다. 이외에 본래 귀족/신사 가문이 미성년 자녀의 교육을 위해 가정교사를 고용해 개설하던 사설 학당과 달리 여러 상류층 가문의 자제들이 모여서 함께 수업을 받는 공설 학당이라는 설도 있고, 또 다른 설로는 성공회 신학교들이 예비 신학생이 아닌 일반 평신도 학생들도 받아주기 시작한 것에서 유래했다고 한다.[9] Established in 1824, '1824년에 설립'이라는 뜻.[10] 아일랜드가 EU 회원국이기에 의외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아일랜드와 영국간에는 특별 협정이 존재해서 아일랜드인이 영국에서 장기체류시 별다른 비자없이 영국인과 동등하게 세금을 내고 사회보장을 받을 수 있으며 또한 영국국적 취득이 매우 쉽고 빠르다. (이는 영국인이 아일랜드에 거주시 마찬가지이다). 두 나라간에는 Common Travel Area라고 해서 거주이전의 자유와 자본 및 노동시장간의 이동의 자유가 있다.[11] https://www.ukcisa.org.uk/[12] 한화 약 1,700만 원[13] 한화 약 5,000만 원[14] 한화 약 5,700만 원[15] 한화 약 6,600만 원[16] 약 57만 평(1.88km²)[17] 약 81만 4,000평(2.69km²)[18] 한화 약 9,200억 원에 해당한다.[19] 한화 약 1조 5,200억 원에 해당한다.[20] 졸업은 하지 않았으며, 후에 케임브리지 대학교로 옮겨 1880년 학사 취득.[21] These are the UK universities producing the most millionaires 참고.[22] https://studee.com/media/mps-and-their-degrees-media 참고.[23] https://www.manchester.ac.uk/study/international/study-abroad-programmes/non-eu/partner-univers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