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87FC3, #187FC3, #187FC3, #187FC3)" {{{#!wiki style="margin: -7px;" | <tablebgcolor=#187FC3><tablebordercolor=#187FC3>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187FC3> [ruby(東 京 大 学, ruby=とうきょう だい がく)] 도쿄대학 The University of Tokyo | |||
| |||
대학 정보 | |||
<colcolor=#fff> 모토 | <colbgcolor=#187FC3><colcolor=#fff> 일본어 | 志ある卓越。 | |
한국어 | 뜻있는 탁월함 | ||
영어 | Discover Excellence. | ||
설립 연도 | 1877년 4월 12일 ([age(1877-04-12)]주년)[1] | ||
국가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
소재 | 혼고(本郷) 지구 캠퍼스 도쿄도 분쿄구 혼고, 야요이 코마바(駒場) 지구 캠퍼스 도쿄도 메구로구 코마바 카시와(柏) 지구 캠퍼스 치바현 카시와시 카시와노하 | ||
분류 | 국립대학 | ||
총장 | 후지이 테루오(藤井 輝夫) | ||
재학생 | 학부 | 13,962명 (2022년) | |
대학원 | 14,171명 (2022년) | ||
직원 | 교직원 | 8,188명 (2022년) | |
행정직원 | 2,947명 (2022년) | ||
상징 | 마스코트 | 이치코 (Ichiko) | |
색상 | 담청 (淡青) [2] | ||
링크 | 웹사이트 | 공식 홈페이지 | |
SNS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혼고 캠퍼스 | |||
고마바 캠퍼스 | |||
가시와 캠퍼스 |
도쿄대학 소개 영상 |
[clearfix]
1. 개요
도쿄대학은 도쿄도 분쿄구[3]에 본부를 둔 일본의 국립대학이다. 약칭은 토다이([ruby(東大, ruby=とうだい)])[4]이며 한국에서는 한국 한자음으로 동경대(東京大), 혹은 도쿄대라고 부른다.[5] 영문 이름 The University of Tokyo[6]의 약칭은 'UTokyo'.일본의 첫 번째 제국대학으로 국내 790여 개 대학 중 국가별 최고(最古) 고등교육기관이며 일본에서 학생 및 교원 수가 제일 많은 국립대학이다. 또한 가장 많은 한국인 유학생이 박사 학위를 받은 대학 중 하나이자[7] 대한민국의 대학교에 재직 중인 교수를 가장 많이 배출한 해외 대학이기도 하다.[8]
아시아의 대표적인 연구 대학 중 하나로서 20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으며[9] 5명의 프리츠커상 수상자[10], 3명의 필즈상 / 울프상(수학) 수상자[11], 5명의 우주비행사, 19명의 일본국 내각총리대신[12] 및 1명의 대한민국 국무총리[13] 등을 배출했다.
2. 역사
도쿄대학의 전신인 도쿄의학교 본관.[14] | |
제1고등학교 | 도쿄고등학교 |
- 1684년: 에도 막부가 천체운행 및 역법 연구기관인 천문방(天文方, 텐몬가타) 설치.
- 1790년: 유시마 성당(湯島聖堂)[15] 내에 학문소(學問所)[16] 설립.
- 1797년: 학문소가 유시마 성당에서 분리되어 막부 직할로 편입.
- 1811년: 천문방의 산하 기관으로 양서의 번역 및 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만서화해어용(蛮書和解御用, 반쇼와게고요) 설치.
- 1855년: 만서화해어용을 확충하여 난학과 양학 등을 가르치는 양학소(洋学所)를 개교.
- 1856년: 안세이 대지진으로 소실된 양학소 교사를 재건하여 번서조소(蕃書調所)로 개칭.
- 1861년: 막부 직할의 서양의학교육기관인 의학소(醫學所)를 창설.
- 1862년: 번서조소를 양서조소(洋書調所)로 개칭.
- 1863년: 양서조소를 개성소(開成所)로 개조.
- 1868년: 의학소, 학문소, 개성소가 메이지 정부 산하로 편입, 각각 6월, 8월, 9월에 의학교(醫學校), 창평학교(昌平學校), 개성학교(開成學校)로 개칭.
- 1869년: 창평학교, 개성학교, 의학교 3개교를 대학교(大學校)로 통합. 창평학교를 본교(本校)로, 개성학교와 의학교를 분국(分局)으로 하여 운영.[17]
- 1870년: 대학교를 대학(大學)으로 개칭, 본교를 대학본교(大學本校), 개성학교 분국을 대학남교(大學南校), 의학교 분국을 대학동교(大學東校)로 개칭. 같은 해 화학·한학파와 난학·양학파의 갈등 사이에서 양학파의 승리로 화학·한학파의 입지가 대폭 약화되어 대학본교가 무기한 휴교,[18] 결국 대학교의 유명무실화로 대학남교와 대학동교 독립.
- 1871년: 대학교 폐지, 문부성 발족. 대학남교와 대학동교를 문부성 산하로 편입함과 동시에 각각의 이름을 남교(南校)와 동교(東校)로 개칭.
- 1872년: 학제 배포, 남구를 제일대학구 제일번중학교(第一大學區第一番中學校)로, 동교를 제일대학구 의학교(第一大學區醫學校)로 개칭.
- 1873년: 제일대학구 제일번중학교를 전문학교로 전환, 제일대학구 카이세이학교(第一大學區開成學校)로 개칭.
- 1874년: 제일대학구 카이세이학교를 도쿄카이세이학교(東京開成學校)로, 제일대학구 의학교를 도쿄의학교(東京醫學校)로 개칭. 도쿄카이세이의 전문과와 보통과를 각각 본과와 예과로 개편.
- 1877년: 도쿄카이세이학교를 카이세이대학교로 승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발생. 이로 인해 도쿄카이세이학교 본과와 도쿄의학교 본과가 합병되어 일본 최초의 대학으로서[19][20] 도쿄대학[21]이 설립[22].
- 1878년: 학사 학위 수여권이 부여됨[23].
- 1880년: 학사연구과[24] 설치.
- 1881년: 구 도쿄카이세이학교의 후신인 법학부, 이학부, 문학부와 구 도쿄의학교의 후신인 의학부가 대학 기구 개편으로 하나의 총장을[25] 갖추게 되어, 두 학교 간의 느슨한 연합체에서 하나의 학교로 완전히 통합.
- 1882년: 구 도쿄카이세이학교의 예과와 구 도쿄의학교의 예과를 통합, 하나의 통합된 예비문(대학예과) 시스템을 갖추게 됨.
- 1885년: 도쿄법학교 통합. 도쿄대학 예비문[26] 분리.
- 1886년: 공부대학교[27] 통합. 제국대학령의 반포에 의해 제국대학으로 개편.[28]
- 1890년: 도쿄농림학교[29] 통합.
- 1897년: 전국 각지에 제국대학이 설립됨에 따라 도쿄제국대학으로 개칭[30].
- 1906년: 첫 외국인 유학생 입학.
- 1947년: 제국대학령의 폐지로 도쿄대학으로 개칭.
- 1949년: 제1고등학교와 도쿄고등학교(고등과)[31]를 통합[32], 신제 도쿄대학으로 전환. 제1고등학교 자리에 코마바 캠퍼스를 조성.
- 1991년: 대학원 중점화(大学院重点化)를 개시.
- 1999년: 카시와 캠퍼스를 조성. 여러 연구소를 여기로 이전.
- 2004년: 국립대학의 법인화로 국립대학법인 도쿄대학이 됨.
- 2007년: 개교 130주년
- 2024년: 개교 150주년 CI 발표
3. 교가
도쿄대학의 노래 오직 하나(ただ[ruby(一つ, ruby=ひとつ)]) | 도쿄대학운동회가 넓은 하늘과([ruby(大, ruby=おお)][ruby(空, ruby=ぞら)]と) | ||||||
{{{#187fc3 {{{#!folding 노래 가사 [ 보기 / 접기 ] | 오직 하나(ただ[ruby(一つ, ruby=ひとつ)]) | 넓은 하늘과([ruby(大, ruby=おお)][ruby(空, ruby=ぞら)]と) | |||||
일본어 | 한국어 | 일본어 | 한국어 | ||||
1절 ただ一つ旗かげ高し いまかがやける[ruby(深空, ruby=みそら)]の光 [ruby(天寵, ruby=てんちょう)]を負える子ら 友よ友 ここなる丘に 東大の旗立てり 伝統の旗 東大の光 たたえたたえん たたえたたえん 2절 ただ一つ歌ごえ高し いまなりわたる[ruby(疾風, ruby=はやて)]の力 双眼の[ruby(澄, ruby=す)]める子ら 友よ友 ここなる[ruby(杜, ruby=もり)]に 東大の歌湧けり 伝統の歌東大の力 たたえたたえん たたえたたえん | 1절 오직 하나, 깃발은 높이 지금 빛나는 깊은 하늘의 광채 천총을 떠받치는 이들이여 벗이여 벗 여기 이 언덕에 도쿄대의 깃발을 세웠도다 전통의 깃발 도쿄대의 빛 찬미 찬미하자 찬미 찬미하자 2절 오직 하나, 노래소리는 크게 지금 울려퍼지는 질풍의 힘 두 눈이 맑은 이들이여 벗이여 벗 여기 이 숲에 도쿄대의 노래를 울렸도다 전통의 노래 도쿄대의 힘 찬미 찬미하자 찬미 찬미하자 | 1절 大空と[ruby(澄, ruby=す)]みわたる淡青 [ruby(厳, ruby=げん)]たり我が旗高く開かん 仰げよ[ruby(梢, ruby=こずえ)]を[ruby(銀杏, ruby=いちょう)]のこの道 [ruby(蘊奥, ruby=うんのう)]の窮理応じて更に 人格の[ruby(陶冶, ruby=とうや)]ここに薫る 栄光の学府[ruby(巍巍, ruby=ぎぎ)]たり赤門 我が赤門高く開かん 2절 大空と新しき淡青 冴えたり我が旗風と光らん 楽しめ季節を思慮あれこの道 文明の[ruby(証, ruby=しるし)]自由と常に [ruby(甚深, ruby=じんしん)]の調和ここに明る 精神の学府満ちたり赤門 我が赤門風と光らん 3절 大空と揺り動く淡青 生きたり我が旗雲と[ruby(興, ruby=おこ)]らん 羽ばたけ搏力どよめよこの道 青春の笑い[ruby(爆, ruby=はじ)]けてすでに [ruby(健腕, ruby=けんわん)]の誇りここに躍る 堂々の学府[ruby(鏗, ruby=こう)]たり赤門 我が赤門雲と興らん | 1절 넓은 하늘과 맑게 갠 담청 엄숙히 우리의 깃발 높이 펼치리라 올려보라 나뭇가지를 은행나무의 이 길 온오[33]의 궁리만큼이나 인격의 도야 또한 이곳에 감돈다 영광의 학부 당당히 솟은 아카몬 우리의 아카몬 높이 열리리 2절 넓은 하늘과 새로 밝은 담청 맑은 우리의 깃발 바람과 빛나리 즐겨라 계절을 사려있어라 이 길에 문명의 발자취 늘 자유와 함께 심오한 조화 이곳에서 빛난다 정신[34]의 학부로 가득찬 아카몬 우리의 아카몬 바람과 함께 빛나리 3절 넓은 하늘과 요동치는 담청 살아있는 우리 깃발 구름과 일어서리 날개 펼치는 박력 울려퍼져라 이 길에 청춘의 웃음 이미 만개하여 건완[35]의 긍지와 이곳에서 춤춘다 당당한 학부 울려퍼지는 아카몬 우리의 아카몬 구름과 일어서리 |
정식으로 정해진 교가는 없지만, 사실상 위 2개의 노래가 교가 취급을 받는다. 입학식 및 졸업식에서도 제창된다.
}}}}}} ||
4. 조직
도쿄대학의 학부, 연구과, 연구소의 로고 |
{{{#!folding [ 펼쳐 보기 / 접기 ] 전체 학부 리스트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87fc3> |
도쿄대학의 학부 (10개) |
- 법학부
- 제1류[36] (법학종합 코스)
- 제2류 (법률프로페션 코스)
- 제3류 (정치 코스)
- 교양학부
- 교육학부
- 종합교육과학과
- 기초교육학 코스
- 비교교육사회학 코스
- 교육심리학 코스
- 학교교육학 코스
- 교육행정학 코스
- 신체교육학 코스
- 공학부
- 사회기반학과
- 설계기술전략 코스 (사회기반학A)
- 정책계획 코스 (사회기반학B)
- 국제프로젝트 코스 (사회기반학C)
- 건축학과
- 도시공학과
- 도시환경공학 코스
- 도시계획 코스
- 기계공학과 (기계공학A)
- 기계정보공학과 (기계공학B)
- 정밀공학과
- 항공우주공학과
- 항공우주시스템학 코스
- 항공우주추진학 코스
- 전자정보공학과 (전자・정보계A)
- 전기전자공학과 (전자・정보계B)
- 물리공학과
- 계수공학과
- 수리정보공학 코스
- 시스템정보공학 코스
- 재료공학과
- 바이오재료 코스 (재료공학A)
- 재료환경기반 코스 (재료공학B)
- 정보나노재료 코스 (재료공학C)
- 응용화학과
- 화학시스템공학과
- 화학생명공학과
- 시스템창성학과
- 환경에너지시스템(E&E) 코스 (시스템창성A)
- 시스템디자인매니지먼트(SDM) 코스 (시스템창성B)
- 지능사회시스템(PSI) 코스 (시스템창성C)
- 약학부
- 약학과 (6년제 과정)
- 약 과학과
- 의학부
- 의학과 (6년제 과정)
- 간호학과 (보건학 및 간호학 전공)
}}}||
{{{#!folding [ 펼쳐 보기 / 접기 ] 전체 대학원 리스트 | |
도쿄대학의 대학원 (15개) |
- 인문사회계 연구과
- 기초문화 연구 전공
- 일본문화 연구 전공
- 아시아문화 연구 전공
- 구미문화 연구 전공
- 사회문화 연구 전공
- 문화자원학 연구 전공
- 한국조선문화 연구 전공
- 교육학 연구과
- 종합 교육과학 전공
- 기초교육학 전수
- 기초교육학 코스
- 교육 사회과학 전수
- 비교 교육 사회학 코스
- 생애학습 기반 경영 코스
- 대학 경영・정책 코스
- 심신 발달과학 전수
- 교육 심리학 코스
- 임상 심리학 코스
- 신체 교육학 코스
- 학교교육 고도화 전공
- 교직 개발 코스
- 교육내용 개발 코스
- 학교 개발 정책 코스
- 법학정치학 연구과
- 종합 법정 전공
- 법조 양성 전공 (법과대학원) (전문직 학위 과정)
- 경제학 연구과
- 경제이론 전공
- 현대경제 전공
- 경영 전공
- 경제사 전공
- 금융 시스템 전공
- 종합문화 연구과[39]
- 언어정보과학 전공
- 초역문화과학 전공
- 지역문화연구 전공
- 국제사회과학 전공
- 광역과학 전공
- 생명환경과학계
- 상관기초과학계
- 광역시스템과학계
- 이학계 연구과
- 물리학 전공
- 천문학 전공
- 지구행성과학 전공
- 화학 전공
- 생물과학 전공
- 공학계 연구과
- 사회기반학 전공
- 건축학 전공
- 도시공학 전공
- 도시계획 코스
- 도시 환경공학 코스
- 도시 지속재생학 코스 (석사)
- 기계공학 전공
- 정밀공학 전공
- 항공우주공학 전공
- 전기계 공학 전공
- 전기전자공학 코스
- 융합 정보학 코스
- 물리공학 전공
- 시스템 창성학 전공
- 재료공학 전공
- 응용화학 전공
- 화학시스템 공학 전공
- 화학 생명공학 전공
- 첨단학제 공학 전공 (박사)
- 원자력 국제 전공
- 바이오 엔지니어링 전공
- 기술 경영 전략학 전공
- 원자력 전공 (전문직 학위 과정)
- 농학생명과학 연구과
- 생산환경 생물학 전공
- 응용 생명화학 전공
- 응용 생명공학 전공
- 산림과학 전공
- 수권 생물 과학 전공
- 농업자원 경제학 전공
- 생물 · 환경공학 전공
- 생물 재료과학 전공
- 농학 국제 전공
- 생물권 시스템학 전공
- 응용 동물과학 전공
- 수의학 전공 (4년제 박사 과정)
- 의학계 연구과
- 분자세포 생물학 전공 (4년제 박사 과정)
- 기능생물학 전공 (4년제 박사 과정)
- 병인 · 병리학 전공 (4년제 박사 과정)
- 생체 물리 의학 전공 (4년제 박사 과정)
- 뇌신경 의학 전공 (4년제 박사 과정)
- 사회의학 전공 (4년제 박사 과정)
- 내과학 전공 (4년제 박사 과정)
- 생식 · 발달 · 노화 의학 전공 (4년제 박사 과정)
- 외과학 전공 (4년제 박사 과정)
- 건강 과학 · 간호학 전공
- 국제 보건학 전공
- 의과학 전공 (석사 과정)
- 공공 건강 의학 전공 (보건 대학원) (전문직 학위 과정)
- 약학계 연구과
- 약 과학 전공
- 약학 전공 (4년제 박사 과정)
- 수리과학 연구과
- 수리과학 전공
- 수리대수학 대강좌
- 기초해석학 대강좌
- 대역기하학 대강좌
- 수리구조론 대강좌
- 수리해석학 대강좌
- 이산수리학 대강좌
- 신영역창성과학 연구과
- 기반과학 연구계
- 물질계 전공
- 첨단에너지 공학 전공
- 복잡 이공학 전공
- 생명과학 연구계
- 첨단 생명과학 전공
- 메디컬 게놈 전공
- 정보 생명과학 전공
- 환경학 연구계
- 자연 환경학 전공
- 해양기술 환경학 전공
- 환경 시스템학 전공
- 인간 환경학 전공
- 사회문화 환경학 전공
- 국제 협력학 전공
- 정보이공학계 연구과
- 컴퓨터과학 전공
- 수리 정보학 전공
- 시스템 정보학 전공
- 전자 정보학 전공
- 지능기계 정보학 전공
- 창조 정보학 전공
- 정보학환 · 학제정보학부
- 정보학환
- 학제정보학권
- 사회정보학권
- 학제정보학부
- 학제정보학 전공
- 문화・인간 정보학 코스
- 사회 정보학 코스
- 첨단 표현 정보학 코스
- 종합 분석 정보학 코스
- 아시아 정보사회 코스
- 생물 통계 정보학 코스
- 정보학환 교육부
- 공공정책 대학원 (공공정책학 연계 연구부 · 교육부)
- 공공정책학 연계 연구부
- 공공정책학 교육부
- 공공정책학 전공 (공공정책 대학원) (전문직 학위 과정)
- 법 정책 코스
- 공공관리 코스
- 국제 공공정책 코스
- 경제 정책 코스
- 국제프로그램 코스
- 캠퍼스 아시아 코스
}}}||
학부(学部)의 경우, 6개 학류로 모집[40]해서 입학 후 전기(前期)교양학부에 소속되며, 2년의 전기(前期) 과정을 이수한다. 이후 교양학부를 포함한 10개 학부로 나뉘어 2년(다만, 의학부 의학과 및 농학부 수의학전공, 약학부 약학과는 4년)의 후기(後期) 과정을 이수한다.
본 전공학부 및 학과로 진학하는 것은 3학년이지만, 입학 시점에서는 전공이 정해지지 않고, 어떤 전공으로 진학할지는 2학년 봄학기 종료 후에 지원하게 되며, 전기교양학부의 성적순으로 우선순위를 가진다. 2학년 가을학기에 해당 학과 진학 내정자를 대상으로 반출과목[41][42]이 개설되며 비로소 전공 수업이 시작된다.
실질적으로 전공 수업 및 실습을 진행하는 것은 2학년 가을학기~3학년까지 3학기 정도로, 배울 게 많은 전공이라면 이 기간 안에 상당히 바빠진다. 4학년은 수업을 듣기도 하지만, 연구실에서 연구를 진행하며 졸업논문을 작성하는 게 메인이다. 물론 졸업논문 이외에도 취업이나 대학원 입시 등으로 바쁘다.
후기 과정은 학부마다 독립성이 상당히 강하며, 모든 경우에 위의 설명이 적용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법학부는 학과를 두지 않고 코스를 두는 반면, 문학부는 학과 내부에서도 세부 전수(専修) 과정이 따로 있다.[43] 또한 다른 학부들은 수업당 취득 단위가 2단위인데, 공학부는 수업당 취득 단위가 1.5단위이다. 2011년도까지는 학부마다 수업 시작 시간조차 달랐다. 2012년도에는 일부 학부가 수업 시작 및 시간을 통일했지만, 2015년도부터 학부별로 학기제가 달라져 수업 시간의 통일도 의미를 잃게 되었다.
대학원 연구과(研究科) 석사, 박사[44]의 경우, 문과・이과로 나뉘어 공통 내용의 시험을 치르는 학사와는 달리, 입시 절차 및 입시 수험 과목이 연구과에 따라 전부 다르다. 다만 의외로 다른 연구과와의 연계는 강한 편으로, 윤강(輪講) 등을 통해 다른 연구과와 같이 발표회 등을 빈번히 진행하기도 한다. 물론 대학원 특성상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예를 들어 생명과학 분야라면 종합문화연구과[45], 이학계연구과[46], 공학계연구과[47], 농학생명과학연구과[48], 의학계연구과[49], 신영역창성과학연구과[50]에서 모두 다루고 있는 등, 상세 연구만 조금씩 다른 공통된 주제를 여러 연구과에서 하고 있기에 당연지사라고 볼 수 있다. #
학석사 융합과정을 2027년 개설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 미국을 벤치마킹하여 5년만에 학사 및 석사 취득이 가능하다고 한다. #
5. 입시
5.1. 학부
|
|
|
|
|
|
|
|
|
- 입학 계열별 구분[66]
- 문과 1류 - 법학부
- 문과 2류 - 경제학부
- 문과 3류 - 문학부/교육학부/교양학부
- 이과 1류 - 공학부/이학부/약학부/농학부 (수학, 물리학 중심)
- 이과 2류 - 공학부/이학부/약학부/농학부 (화학, 생물학 중심)
- 이과 3류 - 의학부
- 타 대학들과는 다르게 학부, 학과 단위로 신입생을 모집하지 않고, 위와 같이 6개 계열로 나눠서 교양학부로 일괄 모집한다. 모든 학부생은 2학년까지 교양학부에 소속된다. 위 구분은 해당 류에서 주로 진학하는 학부. 해당 류에 할당된 그 학부의 정원이 압도적으로 많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법학을 전공하고 싶다면 문과1류에 입학하여 법학부에 진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문과1류에는 법학부에 진학 가능한 정원이 아주 많이 할당되어 있으므로, 법학부에 가고 싶다면 학점 최하위가 아닌 이상 진학할 수 있다. 반대로 따지면 문과1류라도 학점 최하위권은 법학부에 가고 싶어도 못 간다. 다만 예외적으로 이과3류는 학점 하위권 학생들에게 면접을 따로 실시하는 등 표면적인 절차를 거치지만 떨어진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기에 원한다면 의학부 의학과로의 진학이 사실상 확정이다. 이과3류의 전원이 의학부 진학이 가능할 정도로 널널한 티오를 배정받기 때문이다. 물론, 이과3류로 입학해 놓고서는 다른 공부가 하고 싶다고 일부러 의학과가 아닌 다른 학부로 진학하는 학생도 존재한다.
- 전통적으로 문과계열에서는 문과1류의 편차치가 제일 높고[67] 그 다음에 문과2류, 문과3류 순서로 위치한다. 이과계열에서는 이과3류의 편차치가 압도적으로 높으며, 이과1류가 이과2류보다 근소하게 높은 편차치를 보인다. 드래곤 사쿠라에서는 무조건 도쿄대를 가라면서도 “이과3류에 붙는 놈들은 외계인들이야!”라며 아예 쳐다도 보지 말라는 대사가 나올 정도. 2015년도까지 존재했던 문이과 융합형 일반입시 후기모집에서도 해당 전형 합격자는 문과1류부터 이과2류까지 자유롭게 진학할 수 있었으나 이과3류만은 진학 불가였을만큼 격이 다른 취급이다. 도쿄대의 다른 과류에 입학해 놓고 이과3류로 가겠다고 반수하는 사람도 있다. 철록회(鉄緑会)라는 입시 학원이 이과3류 진학으로 유명하다고 방송국에서 학원을 특집 방송으로 다룬적이 있다.
- 다만, 대한민국과 비교하면, 일본의 의대 선호 현상은 상대적으로 덜한 편이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도 의학부는 최상위권 학생들이 진학하는 이미지이지만, 엄밀히 따지면 도쿄대 이과1류(공학부/이학부)나, 2류(농학부)보다 들어가기 어렵다고 단언할 수 있는 곳은 일본 전국에서 손에 꼽는다. 물론 종신고용으로 대표되는 일본의 비교적 안정적인 고용환경과, 의사와 같은 전문직이 아니더라도 일류기업 연구직에 들어갈 수 있는 학생들은 열심히 일하면 전문직 부럽지 않게 벌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68]
- 입학자 3명 중 2명(60~70%대) 정도가 현역 합격생이라고 한다. 그런데 정작 현역 합격자의 비율은 여섯 개 모집단위 중 이과3류에서 가장 높다. 최근 2021년 기준으로도 이과3류는 현역 비율이 83.7%로, 다른 류를 압도한다. # 전형적인 될놈될, 야잘잘의 논리가 적용된다고 볼 수 있다.
- 도쿄대학 부속 중학교 및 고등학교가 있다. 대학 진학이 목표인 다른 대학 부속중고교와는 다르게, 여기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학적인 관찰이 주 목표이다.[69]
- 도쿄대학 학부의 성비는 8:2 정도[71]이다. 당연하지만, 그나마 있는 여학생들도 문과계열이 대부분이며 안 그래도 남초가 심한 이과계열은 더욱 심각하다. 일부 학과는 그야말로 한두 명 있을까 말까한 수준.[72] 어떻게든 여성 비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도쿄대는 2017년도부터 자택에서 통학하지 않는 여학생에 대해서 집세 보조금을 지급해주는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학교 추천형 선발 입시에서도 남녀 성비차를 맞추기 위해 각 학교에서 남녀 1명씩만 추천을 받는다고 한다.
- 2021년도 기준, 도쿄대학 학부 일반입시 수험자 8,651명 중 3,086명이 합격했다. 참고로 일본 국립대학 입시의 경우, 복수 지원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수험자 수에 허수가 없다.[73] 도쿄대학 학부 경쟁율(배율)은 홈페이지 참조.
5.2. 대학원
- 한국과 같이 전기모집과 후기모집(재모집)으로 나뉘고 입학은 10월 혹은 4월 입학 중에 고를 수 있다.[74] 응시료는 30,000엔.[75] 다만 서류의 배송료, 입금 수수료, 토플 수험료, 입학시험 교통비 등은 별도로 든다.
- 입시 절차 및 입시 수험 과목은 연구과에 따라 전부 다르므로 해당 연구과 사이트에 접속하여 절차를 확인하는 것이 필수이다. 대부분의 연구과의 비슷한 내용만 간단히 서술하자면 다음과 같다.
- 일부 연구과에서는 유학생 특별 입시 전형을 실시하고 있어, 일반입시보다 비교적 쉽게 원하는 연구실에 배속받을 수 있다.[79] 하지만, 외국 국적일지라도 일본의 고등학교, 혹은 일본의 대학을 졸업했다면 유학생 전형은 이용할 수 없다.
- 외국대학 출신의 대학원 진학자들은 연구생이라는 신분으로 입학 전에 먼저 반년~1년 정도 연구실에 소속되어 공부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대학원 입학 전에 연구실 분위기에 익숙해지고 연구방법론이나 연구를 위한 일본어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다. 또한 대학원 입학을 위해서는 필기 시험을 쳐야 하기 때문에 그 시험의 족보(기출문제)를 받고 시험 공부를 하는 기간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 이공계의 경우에도 이 ‘연구생’을 거치는 경우가 많다. 일본 대학 이공계의 경우 학부 3학년 중반부터나 늦어도 4학년때부터는 개별 연구실[80]에 소속되어 졸업논문을 위한 실험을 진행한다. 그래서 일본에서 이공계 학부를 나오면 그 전공에 대해 전반적인 지식은 학부생 레벨일지라도, 학부생활 중 1년 가까이 연구실에 틀어박혀서 한 분야에 관한 연구만 했으므로,[81] 해당 전공에 대한 연구 수행 능력 만큼은 한국의 석사 학위에 비견하는 레벨을 가지고 석사 과정에 진학한다. 그러나 외국대학 학부 출신인 경우 이 과정을 거치지 않은 경우도 많기 때문에[82] 연구생을 거치는 것을 권장되곤 한다.
- 박사 과정에 진학하는 외국대학 출신자도 마찬가지로 입학하기 전에 반년~1년 간 연구생으로 연구실에 소속되어 해당 연구를 맛보거나 관련 내용 등을 공부하면서 입학 준비를 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으며, 그 과정에서 지도교수가 자질이 없다고 판단하면 박사 과정 진학을 거절당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83]
- 공학계연구과, 정보이공학계연구과, 신영역창성과학연구과 등 주로 이공계열 연구과의 경우, 도쿄대학 직속의 연구실이 아닌, 이화학연구소, JAXA[84], 물질·재료 연구기구 등의 여러 제휴 연구기관 및 연구소의 연구실에서 연구하여 학위를 취득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연구실 별로도 다른 연구과와 이어져 있는 경우가 많아서 같은 연구실이라도 여러 연구과 소속으로 입학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85]
- 도쿄대학 이학부의 경우 석사 진학률이 무려 92.7%으로, 일본에서 가장 높다. 사실 도쿄대뿐만 아니라 일본의 특이한 점은 이공계라면 거의 대부분 석사에 진학한다는 점이다. 참고 링크를 보면, 구제국대학 수준의 이과는 대학원 진학률이 80~90% 정도에, 특히 공대의 경우 일본 25위권 밖의 대학도 석사 진학률이 무려 65%가 넘어간다. 그 이유는 일본의 대기업은 석사 학위 이상의 이공계 학생을 상당히 선호하기 때문으로, 이 때문에 최상위권 대학의 석사 대학원은 심지어 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 재수를 하는 경우도 상당수 있다고 한다. 반면, 문과 계열은 대학원 진학률이 반대로 한국보다도 낮은데, 이는 문과는 대학원을 졸업해도 기업에서 그다지 인정해 주지 않는 사회적 풍조가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일본 전체로 따지자면 박사학위 취득자 비율은 선진국 치고는 낮은 편이다.
- 2023년도 기준 도쿄대학 대학원 입시의 경우, 석사는 6,934명 중 3,241명이 합격했고, 박사는 1,791명 중 1,289명이 합격, 이전 수치로는 전문대학원은 891명 중 330명이 합격한 수준이다.[86]
- 학비는 모든 연구과 공통으로 석사는 연간 535,800엔(약 491만원)이고,[87] 박사는 조금 더 저렴한 520,800엔(약 480만원). 다만 법과대학원은 804,000엔으로 유일하게 다른 과보다 비싼 편.[88]
6. 캠퍼스
자세한 내용은 도쿄대학/캠퍼스 문서 참고하십시오.도쿄대학의 상징, 아카몬(赤門). 1827년 건축. |
- 코마바 지구 캠퍼스
- 코마바 I 캠퍼스
- 코마바 II 캠퍼스
- 코마바 III 캠퍼스
- 혼고 지구 캠퍼스
- 혼고 캠퍼스
- 아사노 캠퍼스
- 야요이 캠퍼스
- 카시와 지구 캠퍼스
- 카시와 캠퍼스
- 카시와 II 캠퍼스
- 카시와노하에키마에 캠퍼스
- 시로카네다이 캠퍼스
- 나카노 캠퍼스
- 코이시카와 캠퍼스
- 타나시 캠퍼스
- 케미가와 캠퍼스
- 토카이무라 캠퍼스
- 미타카 캠퍼스
일단 학부를 입학하면 모든 학생들은 코마바 캠퍼스에 위치한 교양학부에 소속되어서 2년간 다니다가, 2학년 겨울학기부터는 전공과목을 들을 수 있는 혼고 캠퍼스로 이동하게 되고[94], 4학년부터는 카시와 캠퍼스, 혼고 캠퍼스, 코마바 캠퍼스 등에 소속되어 있는 연구실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졸업논문을 작성한다. 대학원에 진학하는 경우는 마찬가지로 여러 캠퍼스에 분산되어 있는 연구실, 혹은 여러 부속 연구소에 소속되어 전문적인 연구를 진행한다. 다만 도쿄대학의 캠퍼스 내에 위치한 연구실이나 연구소가 아닌, 물질·재료 연구기구,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이화학연구소 등의 제휴 연구기구 및 연구소에 소속되는 경우도 있다.[95]
7. 국제 교류
8. 출신 인물
자세한 내용은 도쿄대학/출신 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9. 작품에서의 도쿄대학
- 한국에 도쿄대학의 유명세를 일려 준 것은 역시 만화 동경대학 이야기. 일본 사회에서의 동경대학의 위치를 전해 주고 있다.
- GO! 히로미 GO!가 도쿄대학을 배경으로 하는 캠퍼스물 순정만화다.
- 2000년대말 들어 유명한 것은 드래곤 사쿠라(한국명: 꼴찌! 동경대 가다!). 만화 및 드라마 드래곤 사쿠라에서 변호사의 목표는 학생들을 도쿄대에 보내는 일이다. 여기서는 동경대학이 여타 대학보다 입학하기 쉽다는 등의 이야기도 나온다. 물론 그냥 쉽다는 것이 아니라 입시 문제의 패턴이 정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 대비를 해야할지가 타 대학보다 명확하다는 이야기이다.[97] 공부, 특히 정해진 패턴의 반복학습에 꾸준히 집중할 수 있는 사람이 유리하단 의미.
- 러브히나에서는 작품 주요 떡밥으로 작용한다. 주인공 케이타로가 여자친구와 함께 가기로 약속한 대학교. 주인공들의 목표가 도쿄대학 입학이며, 그 이유는 어린 시절 “사랑하는 사람과 도쿄대학에 가면 행복해 진다”는 말을 들었기 때문이다. 참고로 마지막 에피소드 종료후 나온 에필로그에 따르면 이들이 거주지인 히나타장은 거주 중인 모든 인물들이 도쿄대에 입학하며 히나타장은 목욕만 하면 도쿄대에 입학하는 장소로 알려지게 된 듯하다.
- 데스노트의 주인공 야가미 라이토가 센터시험 만점[98]을 받고 입학했다. 범죄자가 등장하는 만화에 실제 대학 이름을 쓰기는 좀 그랬는지 이름은 토오대학(東応大学)으로 살짝 변경되었다. L도 같이 입학했지만 키라 의혹이 있는 라이토에게 접근하기 위해서만 입학했기 때문에 얼마 후에 그만뒀다. 동 작가의 작품인 바쿠만에서도 아오키 유리코와 이와세 아이코가 재학중인 것으로 나온다.
- 이 대학의 건물을 모티브로 한 건지는 모르지만 단간론파 시리즈에 등장하는 키보가미네 학원의 모습이 야스다 강당과 엄청나게 비슷하게 생겼다.
- 크로스로드 :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Z회 CM 및 이를 원작으로 하는 동명의 소설에 등장. 주인공인 쿠라하시 미호와 타카무라 쇼타가 도쿄대학 문과1류에 지원해 대학별고사를 치른다. 작중 직접 언급되지는 않으며, 그 유명한 '적갈색 시계탑'이 비춰지거나 언급된다.
- 키테레츠 대백과 : 박호구가 7수를[99] 한 끝에 도쿄대학에 결국 합격한다.[100]
- 고독한 미식가의 2권, 8화에서 도쿄대학 혼고캠퍼스를 방문하는 내용이 나온다.
- 오자마녀 도레미(라이트 노벨)에서 마키하타야마 하나가 도쿄대 의대에 진학하는 것으로 나온다.
- 일본 드라마 SP(SP 警視庁警備部警護課第四係) : 관료 양성소라 불리는 도쿄대학 법학부 출신의 국가 공무원 1종 시험 합격 캐리어 관료들이 뭉친 사조직(법학부 시절에 정치경제연구 서클이었던 조직) "웅상회(雄翔会)" 가 최종보스격 빌런 집단으로 등장한다.[101]
- 치하야후루의 현 명인 스오 히사시와 호쿠오 학원의 전 주장이었던 스도 아키히토가 다니는 대학이다. 주인공들이 3학년이 된 현 시점에서 스오 명인은 4번의 유급 끝에 졸업, 스도는 2학년에 재학 중이다. 작중 도쿄대 카루타부의 연습장은 분쿄구의 시라야마 회관인데, 스도가 일부러 이 사실을 전해주지 않아 치하야와 타이치가 도쿄대 캠퍼스에 잘못 갔을 때 야스다 강당의 모습이 잠깐 나온다.
10. 사건 사고
- 1923년 관동 대지진 때 혼고 캠퍼스의 종합도서관이 무너졌는데, 당시 이 도서관에 소장 중이던 조선왕조실록 오대산록이 소실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도쿄대와 얽힌 가장 험한 기억은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의 수난이다. 조선이 실록, 의궤 등 각종 기록물을 보관하기 위해 운용한 외사고(外史庫) 4곳(정족산, 적상산, 태백산, 오대산) 중 하나인 오대산사고본 실록이 1913년 3월 일본으로 무단 유출된 게 시작이었다. 도쿄제대에 있던 실록은 1923년 간토대지진 때 발생한 화재로 대부분 불탔다. 당시 대출 중이던 74권이 겨우 화를 면했는데 이 중 27권은 1932년 경성제대로 옮겨졌다. 하지만 47권(성종실록 9권, 중종실록 30권, 선조실록 8권)은 도쿄제대에 남았다. 도쿄대에 실록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한 환수운동이 전개됐다. 불법유출이 명백하다는 점을 근거로 소송까지 불사하겠다는 압박에 도쿄대는 2006년 서울대에 ‘기증’을 결정했다. 일본 지성의 대표임을 자부하는 도쿄대가 문화재 약탈의 거점임을 인정하기는 싫었을 것이다. 우리는 일단 되돌려 놓는 게 중요하다고 판단한 게 아닌가 싶다. #
- 일본 학생 운동이 한창이던 1960년대, 특히 도쿄대에서는 1968~69년에 분쟁(東大紛争)이 절정이었는데, 야스다 강당에서 공성전이 펼쳐는 등 심각한 상황 때문에 1969년도 입시가 중지되고 말았다. 최상위권 수험생들은 어쩔 수 없이 다른 대학을 지원했고, 도쿄대 아니면 안 된다는 수험생은 재수를 해야만 했다.
- 2011년 도쿄대학 혼고캠퍼스에서 자전거의 안장을 빼고 그 자리에 대신 브로콜리를 끼워 놓는 장난이 있었다. 범인 세 명은 검거된 뒤 일상(만화) 23화를 패러디했다고 진술했다.[102] 여기서 재미있는 일이 있었는데, 안장을 훔쳐서 팔거나 버리지 않고 자전거의 바구니에 넣거나 근처 박스나 모아놨다. 이유는 이렇게 하면 절도죄가 아닌 기물 파손에 그치기 때문이란다. 브로콜리로 탈피한 안장도 안전하고 직접 브로콜리를 뽑아 안장을 다시 끼우는 수고만 빼면 딱히 피해를 입은 게 아니기 때문에 범인은 훈방조치되었다.
- 2017년에 도쿄대생 노구치 시로(野口 志朗)와 모 여자 대학생 모리타 유노(森田由乃, 1996)가 일본 예능에 출연했다. 도쿄대생은 그 여대생의 내면을 알고 싶다고 했고, 2019년 12월에 여대생은 전 농림대신 5선의원과 스폰서 관계를 맺은 일로 신문 기사에 오르는 불명예를 얻고 만다. 이렇게 노구치 시로가 재조명되었다.
- 2022년 1월 15일 나고야 도카이고등학교[103]에서 온 고교 2학년생 1명이 인근 지하철역에서 나무 조각에 불을 붙이고 도주한 뒤, 입학시험이 열린 도쿄대학 야오이캠퍼스 입구에서 70대 직원 1명과 수험생 2명을 찌른 사건이 발생했다. 일본 정부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전국의 대입 시험장에 경비 강화를 요청했다. #1#2
11. 기타
- 국제적인 종합 평가로는 2024년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 전세계 28위, 2023년 ARWU에서 27위, 2024년 THE 세계 대학 랭킹에서 29위, 2023년 CWUR 세계 대학 랭킹에서 13위를 기록하고 있다. 학술 연구 성과를 평가하는 지표인 네이처 인덱스에선 2023년 15위를 기록했다.[104]
- 출신 인물에 대한 국제적인 평가의 경우, 포브스와 뉴욕 타임스가 공동조사한 ‘미국의 기업이 선호하는 대학’에서 10위, 세계 고용선호대학 평가 GEURS 세계 대학 랭킹에서는 2019년 7위, 2020년 6위, 2021년 6위, 2022년 7위 등을 차지하고 있다.
- 도쿄대학은 일본의 슈퍼글로벌대학으로 지정되어 있어서 도쿄대학의 학부/연구과를 졸업하면 일본 고도인재 외국인 대상 포인트 우대제도 신청 시 가산점 10점을 받을 수 있다. 즉, 해당대학 졸업시 어지간하면 요건 점수 70점을 바로 채우게 되어 있어서 일본 영주권이 빠른 시간으로 나온다.
- 동대제국주의(東大帝國主義)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특히 일본 정재관계에서는 오랜 세월 누적된 차이로 완전히 도쿄대가 선두다. 중퇴자 2명[105]을 제외하면, 지금까지 17명의 총리대신[106]을 배출하여 총리를 가장 많이 배출한 대학이다. 하지만 2000년대 전후로 도쿄대학 출신은 하토야마 유키오밖에 없다. 즉, 도쿄대의 학벌권력이라는 건 관료적 권력 구조의 실무진을 도쿄대 출신 네트워크가 지배한다는 의미에 가깝다. 실제로 업무에 정통해야만 하는 사무차관이라거나, 그 이하 각 국장, 과장 등에 이르기까지 관료조직은 대부분 도쿄대 출신자의 손에 장악된 상태라는 것이다.[107] 실제로 초선 국회의원들을 모아 놓고 관료들이 공부를 시켜 실무를 파악시키는 관행이 있을 정도. 어차피 일본은 관료 지배 국가라는 소리를 들을 만큼 관료의 힘이 센 나라고, 일본 대기업들도 결국은 관료 조직과 크게 다를 바 없는 조직 구성이다. 엄밀히 말하면 처음부터 그런 목적으로 만들어진 대학이 당시의 제국대학으로, 도쿄대학은 그 중에서도 최초이기에 그저 목적에 충실한 것뿐이다. 하지만 실상 관료의 이미지를 만든 건 도쿄대학 법학부 출신들이고(#), 문학부 같은 경우는 전통적으로 학구파적 성향이 강하고 관료적 풍토에서 벗어난 모습을 보인다. 일본의 근대 문학가들 중 상당수가 도쿄대학 출신인 점을 생각해 보자. 역사학의 경우 도쿄대는 마르크스주의 사관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 가끔 가다 도쿄대학에 2번째로 입학하는 부모도 있다고 한다. 2012년에는 아들의 입시 응원을 위해 같이 공부하던 어머니만 합격하는 일이 벌어졌다.[108]
- 도쿄대학의 야구부는 소속 리그인 동경6대학리그에서 만년 꼴찌를 자랑한다. 리그의 다른 대학과는 달리 유일한 국립대학이라 체육특기생 제도가 없고 애초에 공부만 하던 학생들이라 덕분에 소속 팀들 중 유일하게 우승 경력이 없다.이렇게 만년 꼴찌를 자랑하는 야구부답게 94연패, 40시즌 연속 최하위 등등의 온갖 막장 기록도 보유 중이다.[109][110] 이렇게 극악의 약체인 야구부인지라 현재까지 일본프로야구에 데뷔한 선수는 6명뿐이고,[111] 그마저도 눈에 띄는 활약을 한 선수는 아무도 없었다.
- 5월병이라는 개념이 만들어진 곳이기도 하다. 최초의 5월병의 의미는 그야말로 약 20년의 인생을 갈아 넣다시피 하여 꿈에 그리던 도쿄대에 진학한 학생들이 정작 도쿄대에 입학하고 난 후 봄철의 나른함을 겪고서 슬슬 더워질 기미가 보이며 햇빛이 비추는 시간이 길어지는 5월쯤이 되어 “도쿄대에 들어와서 좋긴 한데 이제는 기쁜 감정도 사라지고 나에게 도쿄대는 일상이 되었는데 이젠 또 뭘 해야 하지?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하지?” 같이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는 상태가 되어 버려 극도의 우울감이나 무기력증에 빠져 버리는 증상을 말했었다. 이렇게 5월병이 유행처럼 쓰이다 개념 자체가 좀 더 확장이 되어 봄철에 입사한 신입사원들이 첫 장기휴일인 5월의 골든 위크를 거치고 난 후에 극단적인 우울감과 무기력증에 빠져서 업무능력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심하면 무단 결근 및 사표를 내는 일까지 벌어지는 상황에도 쓰이게 되었다. 여기서 한단계 더 발전해서 5월이 되면 이런저런 이유로 마음이 싱숭생숭한 감정을 느끼는 것과 그런 사람들 자체를 5월병이라고 하는 듯 하다. #
- 도쿄대학의 캠퍼스들에는 각각 연못이 있다. 혼고 캠퍼스의 중앙에 있는 연못은 나츠메 소세키의 소설 '산시로(三四郎)'가 출판된 이후에 '산시로 이케(三四郎池, 삼사랑지)'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 연못의 이름을 따, 코마바 캠퍼스의 연못은 '이치니로 이케(一二郎池, 일이랑지)', 카시와 캠퍼스의 연못은 '고로쿠로 이케(五六郎池, 오육랑지)'가 되었다.
- 입학식은 일본 무도관에서 치른다. 2020년도에는 무도관이 2020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리뉴얼하는 바람에 그 대신 국기관에서 치를 예정이었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아예 취소되어 버렸다. 졸업식은 언제나 야스다 강당에서 한다.
- 도쿄대 2024학년도 신입생은 총 3,126명으로 남학생은 2,480명, 여학생은 646명인데 여성 신입생 비율은 23%로 역대 제일 높은 기록이지만, 20%대에 그친다. 도쿄대의 후지지 총장은 도쿄대 입학의 성별에 큰 편차가 있다고 편차는 인문학보다 과학에서 훨씬 더 크다면서 도쿄대가 여성을 비롯한 다양한 학생을 유치하는 대학인지, 다양한 학생을 환영하는 환경이 준비됐는지 질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1] 전신기관은 1684년에 설립된 텐몬가타(天文方)[2] 연 2회 발행되는 학내 홍보지의 명칭이기도 하다.[3] 분쿄(文京, 학문의 수도)라는 이름 탄생에도 영향을 주었다. 대학 캠퍼스는 분쿄구(혼고캠퍼스) 이외에도 메구로구(코마바캠퍼스), 카시와시(카시와캠퍼스) 등에 분산되어 있다. 참고로 비용 지출로 유명한 토끼팀 홈구장인 도쿄 돔도 여기에 있다.[4] 동대[5] 국립국어원 맞춤법 규정상 모두 다 옳은 표현이다. #[6] 구(舊) 제국대학 중 유일하게 이름이 XX University의 형태가 아니다. 다만 도쿄제국대학 시절의 영어 명칭은 Tokyo Imperial University였다.[7] 기사 참고. 도쿄대 한국인 학생회에 의하면 도쿄대학은 해외 대학 중 가장 많은 한국인 박사를 배출한 대학이다. 한국연구재단 기준으로 1,161명.[8] (2017년 12월 집계, 재직 중인 정교수의 박사학위 기준) 해외대 1위 도쿄대학: 406명[9] 1. 가와바타 야스나리, 2. 가지타 다카아키, 3. 고시바 마사토시, 4. 난부 요이치로, 5. 네기시 에이이치, 6. 도모나가 신이치로, 7. 레오니트 후르비치, 8. 마나베 슈쿠로, 9. 볼프강 파울, 10. 사토 에이사쿠, 11. 앤서니 레깃, 12. 에사키 레오나, 13. 오무라 사토시, 14. 오스미 요시노리, 15. 오에 겐자부로, 16. 유카와 히데키, 17. 제라르 무루, 18. 찰스 하드 타운스, 19. 혼조 다스쿠, 20. 해리 마코위츠. 이렇게 세계 일반적으로 카운트하는 방법인 동문·연구원·교직원 수 합산 기준으로는 20명이며, 이는 정교수 1명, 조교수 1명, 객원연구원 1명, 객원강사 1명, 객원교수 4명, 학·석·박사 학위를 취득한 동문 12명으로 이루어져 있다.[10] 단게 겐조, 마키 후미히코, 이토 토요오, 이소자키 아라타, 야마모토 리켄 등.[11] 고다이라 구니히코, 사토 미키오, 이토 기요시 등.[12] 1. 하토야마 유키오 - 제 93대 / 2. 미야자와 기이치 - 제 78대 / 3. 나카소네 야스히로 - 제 71~73대 / 4. 후쿠다 다케오 - 제 67대 / 5. 사토 에이사쿠 - 제 61~63대 / 6. 키시 노부스케 - 제 56, 57대 / 7. 코노에 후미마로 - 제 34, 38, 39대 / 8. 아시다 히토시 - 제 47대 / 9. 카타야마 테츠 - 제 46대 / 10. 하토야마 이치로 - 제 52~54대 / 11. 요시다 시게루 - 제 45, 48~51대 / 12. 히로타 고키 - 제 32대 / 13. 시데하라 기주로 - 제 44대 / 14. 하마구치 오사치 - 제 27대 / 15. 히라누마 기이치로 - 제 35대 / 16. 와카츠키 레이지로 - 제 25, 28대 / 17. 카토 타카아키 - 제 24대 / 18. 하라 타카시 - 제 19대 / 19. 사이온지 긴모치 - 제 12, 14대 순. 도쿄대학의 전신 학교 출신 및 중퇴자 포함.[13] 김상협 #[14] 도쿄대학 코이시카와 캠퍼스에 위치. 현재는 종합연구박물관 코이시카와(小石川) 분관으로 사용되고 있다.[15] 천주교의 성당이 아니라 공자를 모시는 서원이다.[16] 쇼헤이자카(昌平坂) 언덕 부근에 세워졌기 때문에, 해당 지역에 있는 서당이라는 뜻으로 창평횡(昌平黌)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렸다.[17] 훗날 도쿄로 이전하는 일본육군사관학교의 전신인 교토의 병학교(兵學校)와도 통합하여 분국으로 운영할 예정이 있었으나 대학교의 이른 폐지로 무산되었다.[18] 이후 창평횡 계열은 30여 년이 지난 1903년에야 카이세이 중학교 · 고등학교의 야학으로 재설립되어 재단법인 창평재단으로 겨우 그 명맥이 이어지게 되며, 현재는 후쿠시마현 이와키시에 학교법인 창평횡이라는 이름으로 동일본국제대학, 이와키단기대학, 부속유치원과 중고등학교를 운영하고 있다.[19] 여기서 말하는 대학은 제도상의 진짜 대학(大學)을 말한다. 강습소, 의숙, 학원, 전문학교 등을 전신으로 한다며 수백년의 역사가 있다고 주장하는 곳은 얼마든지 있지만, 실제 대학으로 인가받은 교육기관은 도쿄대학이 최초이다. 동양 최초의 제도적인 대학이기도 하다.[20] 다만 학사 학위는 1876년에 설립된 삿포로농학교(現 홋카이도대학)가 일본 최초로 부여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제도적인 고등교육기관은 이쪽이 먼저라는 의견도 있다. 1886년에 제국대학령이 반포되기 전까지 학사 학위를 부여할 수 있는 고등교육기관은 구제 도쿄대학, 공부성의 공부대학교, 개척사의 삿포로농학교, 농상무성의 코마바농학교, 사법성의 법학교 밖에 없었다.[21] 제도 상으로는 이때의 도쿄대학이 구제 도쿄대학, 현재의 도쿄대학이 신제 도쿄대학으로 구별된다. 사실 신제 도쿄대학은 1949년부터이지만, 도쿄대학으로의 개칭은 1947년인지라 이름이 겹치는 시기가 생기는고로 1947년부터를 신제 도쿄대학으로 부른다.[22] 교원양성소와 같은 성격을 지녀 대부분의 졸업생이 교사가 됐기에 실질적으로는 사범학교와 같은 성격이었다.[23] 법학사, 문학사, 이학사, 의학사, 제약사.[24] 대학원에 해당[25] 그 전까지는 의학부는 총장이 따로 있었다.[26] 1886년에 제1고등중학교가 됨.[27] 공부성 소속의 학교. 현재의 공학부.[28] 일본 제국 최초의 제국대학.[29] 농상무성 소속의 학교. 농상무성의 재정난으로 인해 코마바농학교와 도쿄산림학교가 통합되어 설립되었다. 현재의 농학부.[30] 제국대학령을 근거로 1897년 교토제국대학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도호쿠제국대학, 규슈제국대학, 홋카이도제국대학, 경성제국대학, 다이호쿠제국대학, 오사카제국대학, 나고야제국대학이 설립되었다.[31] (구제)도쿄고등학교는 구제중학교+구제고등학교를 통합한 7년제 학교로 일반적인 5+3에 비해 제국대학 진학까지 1년의 수업연한을 줄일 수 있었다. 졸업생의 80%는 도쿄대학에 진학할 정도로 명문교였다.[32] 일본 제국의 경우 11년의 소학교-구제중학교를 마친 후 제국대학에 입학하려면 3년제 구제고등학교를 거쳐야 했다. 독일식으로 대학 예과에 해당한다고 보면 된다. 패전 후 중학교를 6년제로 바꾼 뒤 49년 중학교를 신제중학교-신제고등학교로 바꾸면서 이름이 동일했던 구제고등학교 다수는 근처의 대학에 흡수 통합되었다.[33] 蘊奧, 깊이 숙고하여 끊임없이 학문을 쌓는 것[34] 이곳에서 말하는 정신(精神)은 영어의 'Mind'와는 구분할 필요가 있다. 정신이라는 단어는 본래 정교하다는 의미의 '정'(精)과 기운을 의미하는 '신'(神)이라는 두 글자를 합성한 번역어로, 원문은 이러한 본래 뜻에 충실하고 있다. 따라서 여기서 말하는 '정신의 학부'란 '생각이 깊고 진지한 이들의 배움터' 정도로 이해하는 것이 옳다.[35] 튼튼한 팔뚝. 한문에서 이러한 표현은 학문과 기예에 두루 출중한 수재(문무양도, 文武兩道)를 일컫는 말이다.[36] 입시 구분의 ~류 와는 전혀 관계 없다.[37] 교양학부는 전기교양학부와 후기교양학부로 나눠진다. 입학한 동경대의 신입생들은 1학년부터 2학년 여름학기까지 1년 반 동안 모든 학생들은 교양학부에 속한다. 학과 구분 없이 학류 구분으로 이과 1류, 2류, 3류, 문과 1류, 2류, 3류로 구분을 한다. 2년 동안 교양학부에서 교육을 받은 후 성적에 따라서 전공을 지망해서 선택할 수 있는 진학선택제도가 있다.[112] 이론상 성적이 좋으면 이과 3류가 아니어도, 심지어 문과여도 의학부에 갈 수 있지만, 미리 생명과학(2단위) 수업을 듣고 여타 다른 과목에서 거의 만점에 가까운 성적을 거둬야 하며, 이럴 바에는 차라리 문과가 아닌 이과 3류 입학으로 의학부를 가는 게 더 쉽다.(이과 1류에서는 한두명, 2류는 상위 2% 정도의 성적을 받으면 의학부에 진학할 수 있다.) 법학부는 비교적 정원이 많기 때문에 문과 2류/3류에서 상위 10% 안에 드는 좋은 성적을 받으면 진학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문과 1류에서 법학부가 아닌 다른 학과로 진학하는 학생들도 쉽게 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아즈마 히로키가 있다.[38] 후기교양과정은 2학년 겨울학기~4학년까지의 전공으로써 교양학부 소속의 학생들을 일컫는 말이다.[39] 한자 総合를 그대로 한국 한자음으로 읽어 총합문화 연구과라고 하기도 한다.[40] 따라서, 예를 들어 도쿄대 의대에 입학했다는 표현은 사실 잘못된 것이고, 절대다수가 의학부로 진학하는 도쿄대 이과3류로 입학했다는 게 정확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41] 持ち出し授業. 주로 코마바 캠퍼스에서 열리지만 해당 전공의 학부로 인계=반출되는 과목이기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법학부는 양이 많아 2학년 봄학기부터 법학수업을 시작하기도 한다. 어차피 대다수 문과1류 학생들이 법학부로 진학하기 때문에...[42] 이것도 한국의 의예과에 비유하자면, 연세대 의대 등에서는 본과 학습내용이 많아 예과 2학년 때부터 본격적으로 의학 수업을 시작하는 소위 본과 0학년 과목이라는 게 있는데, 여기에 빗댈 수 있겠다.[43] 전수 과정은 미국 대학의 마이너 전공이라고 생각하면 된다.[44] 도쿄대학 대학원은 기본적으로 연구과(研究科)로 구성되어 있지만, 정보학환 · 학제정보학부는 학부(学府)로, 공공정책대학원은 부(部)로 조직되어 있다. 학위를 받을 수 있는 조직이라는 점은 다름이 없다.[45] 광역과학전공 생명환경과학계[46] 생물과학 전공[47] 화학생명공학전공[48] 응용생명공학전공[49] 기능생물학전공[50] 생명과학연구계 첨단생명과학전공[51] 이때 한국의 정시에서 그렇듯이 선택과목 간의 난이도 차이로 인한 득점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본고사 성적의 득점 조정이 있다.[52] 문과의 경우 수학과목의 배점이 타과목보다 낮지만, 도쿄대에 합격한 학생들은 영어 국어 그리고 사회 두 과목에서 보통 60%~70%정도의 점수를 득점은 하지만 저 4과목에서 그 이상의 점수를 올리기가 매우 힘들기 때문에 수학에서 갈리는 경우가 많다.[53] 이것도 케바케로 2019년에는 1번부터 치환해야 풀리는 정적분이 나왔고, 수열은 5번 문제로 나왔는데 꼬리문제 3번의 극한 문제가 도쿄대 최근 문제 중 최고난도를 찍어 버렸다.[54] 이것 역시 케바케로, 최근에 도쿄대 문제의 난이도가 살짝 낮아졌던 2017, 2018년 당시에는 이과 1, 2류도 완답해야 합격할 수 있다는 말이 나왔다. 그리고 2019년의 경우 5,6번이 막장인 관계로 이과3류의 경우도 문제 하나는 포기하더라도 가능성이 있다는 말도 나왔다.[55] 단 2023학년도 수능 체제 이후 수험자 기준으로는 기하와 벡터가 선택과목이므로 정사영을 배우지 않아 손도 못 대는 문제가 하나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최근 도쿄대 수학은 6번이 보통 기하문제로 나오므로)[56] 이것도 정석에 있긴 하지만 수능에서는 직접적인 증명이 없기에 크게 중요하지 않다.[57] 하위권으로 갈수록 물리 선택자 비율이 줄고, 생물 선택자 비율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58] 적합자가 없다고 판단될 경우 100명 모두 뽑지 않는다. 2017년도의 경우 71명만 합격했다.[59] 나루히토 덴노의 남동생인 후미히토 친왕의 2녀 1남 중 셋째. 자세한 것은 히사히토 항목 참조.[60] 2015년 입학자는 2명에 불과했다.[61] 문과/이과 수험생 모두 EJU 초고득점(기술 제외 총합 750 이상)과 토플 고득점(iBT 100점 이상) 정도의 성적을 획득하는 것이 권장된다.[62] 입학 때 문과3류 또는 이과2류에 배속된다.[63] 그러나 학교 밖에서의 매끄러운 일상생활을 위해서는 당연히 어느 정도의 일본어 실력을 보유하는 것이 좋다.[64] 최소 토플 iBT 100점 이상이나 아이엘츠 7.0 이상의 점수를 제출하는 것이 추천된다.[65] 참고 링크에 따르면 졸업생 15명 중 9명은 국내외 대학원에 진학, 1명은 모국의 전문직대학원에 진학, 2명은 일본에서 취업, 3명은 모국에서 취업 준비 중이거나 취업했다고 한다.[66] 여기서 ~류는 한자로 쓰면 類(무리 류)로, 서열을 뜻하는 流가 아니다.[67] 변호사, 고급공무원의 직업선호도가 과거에 비해 시들해진 탓에 따라, 문과1류와 법학부의 위상도 과거만큼 독보적이진 못하다. 시대 변화에 따라 문과 내에선 교양학부 후기교양과정 내에서도 국제관계론 코스 같은 경우 현재 법학부만큼 인기 전공이 되었다.[68] 예를 들어 오사카에 위치한 전자기기 제조회사인 키엔스는 평균 연봉이 2억5천만원에 달하고 반도체장비회사인 도쿄일렉트론이나, 로봇 제조사인 화낙 등도 평균 억대 연봉을 받을 수 있다. 이나모리 가즈오 회장의 서적으로 대한민국에서도 잘 알려진 교세라 역시 많이 알려져 있다.#[69] 쌍둥이를 입학시킨 후에 성장 발달을 기록해 본다거나.[70] 25년 4월부터 학비가 인상[71] 2014년 입학식 총장연설에선 매년 여성 비율이 2할을 넘지 못하며, 2014년도 입학생 기준으로는 16%이라는 내용이 있었다. 2021년 기준으로는 21.1%로 점점 올라가고 있다.[72] 여학생이 적은 것은 도쿄대의 특수성 때문이 아니라, 도쿄를 지망하는 고등학교에 남학교가 많이 포진해 있기 때문이다.[73] 원래 도쿄대학을 비롯한 국립대학은 전기(前期)와 후기(後期) 전형 각각 1곳의 대학 밖에 지원할 수 없기 때문에, 수험자 수에 허수가 없다. 게다가 도쿄대학은 후기 전형을 폐지해서 전기 전형 밖에 남지 않았기에, 일본의 도쿄대학 수험생들은 1년에 도쿄대학 딱 한 곳의 대학 밖에 전기 지원을 못한다. 그래서 애초에 합격할 확률이 상당히 높지 않은 이상, 지원하는 것 조차 어려운 상황. 자세한 내용은 편차치 문서 참조.[74] 일부 연구과/전공은 전기모집, 후기모집에 관계없이 4월에 입학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후기가 없고 전기만 존재하는 경우도 많다.[75] 2021년도 입학생 선발의 경우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응시료가 10,000엔으로 내려갔다. 왜냐하면 온라인 시험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현장에 와서 토플 ITP를 볼 수 없고 무조건 IBT 등의 어학시험 비용을 사비로 지불해서 제출해야 하기 때문에 미리 그 금액 공제해 준 셈. 이 2021년도 입시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급락한 취업시장 때문에 석사로 학생들이 몰려서 경쟁률이 올라간 건 둘째 치더라도, 서류전형 과정에서 많은 지원자들을 걸러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시험볼 때 한번에 많은 사람을 감시하기 힘든 온라인 시험의 특성 상 당연하다면 당연한 것.[76] 어학시험 점수를 제출하지 않는 연구과는 외국어과목을 따로 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일본대학 출신은 영어나 각 학과에서 지정한 외국어를 선택하여 응시하고 외국대학 출신의 경우는 일본어 시험를 보는 경우도 있다.(문과)[77] 예를 들어 전기 전자 계열의 경우, 공업수학, 전자회로, 양자역학, 열역학, 전자기학, 유체역학, 물성공학, 광공학, 통계학, 제어공학 등의 과목 중에 3~5개 선택. 한 과목은 3~5개의 문제 정도로 이루어져 있다. 학과에 따라서는 시험이 아닌 전공 관련 소논문을 작성하는 경우도 있고, 학부성적 최우수자는 입학 시험이 면제되는 경우도 있다. 경제학연구과의 경우 일부 전공은 입학 시험이 면제다. 대신 해당 전공을 선택한 1차 합격자는 바로 면접으로 넘어간다.[78] 학과에 따라서는 프레젠테이션을 준비해서 발표하는 경우도 있다.[79] 연구실 배속 정원의 정원외로 분류되어 배정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 물론 정원이 많이 몰리면 1지망 연구실에 못들어가는 경우도 존재한다.[80] 한 학부에는 2~10개 정도의 학과가 있고, 한 학과에 5~10개 정도의 전공이 있고 그 전공에는 10~20개 정도의 연구실이 부속되어 있다. 즉, 꽤나 다양한 주제 중 선택하여 심화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81] 졸업논문을 위한 연구를 제외하고도, 평소 학과공통 실험 같은 것을 다 합치면 어쩌면 한국의 석사보다 실험 기간만큼은 더 길지도 모른다.[82] 특히 한국의 경우 학부연구생을 경험하는 학생은 소수이고, 게다가 졸업논문을 자격증 등으로 대체하는 학교가 늘었기 때문에 대학에서의 연구에 대한 기본 개념도 가지고 있지 않은 학부생들이 굉장히 많다.[83] 물론 큰 문제 없이 열심히 공부하면 대부분 입학 시험까지는 볼 수 있게 해 준다.[84] JAXA의 전신 중 하나가 도쿄대학 우주과학연구소이기도 하다. 현재는 문부과학성 소관의 국가 조직이 되었다.[85] 예를 들어 한 연구실을 신영역창성과학연구과로도 공학계연구과로도 입학할 수 있거나, 정보이공학계연구과로도 공학계연구과로도 입학 할 수 있는 등 여러방법이 있다.[86] 참고로 도쿄대학을 비롯한 국립대학은 본고사 수험비 + 토플 수험비, 교통비 등을 감안하면 수험비만 100만원 가까이 드는 것은 물론, 학부와는 달리 대학원을 가야겠다는 열망을 가진 지원자들만 지원하기 때문에 허수가 없는 편이다. 게다가 시험 일정이 다른 대학들과 거의 겹치기에 여러곳을 지망하는 것은 어려운 편이다. 대학원 경쟁율(배율) 상세 내용은 홈페이지 참조.[87] 단, 29년 4월 입학자부터는 642,960엔[88] 물론 학비 감면 및 면제 제도가 있고 장학금도 나름 후한 편이므로 더 저렴하게 다닐 방법은 많다.[89] 도쿄대는 그나마 역사가 오래된 국립대학이기 때문에 넓은 캠퍼스를 확보하는 게 가능했지만, 사립대학의 경우에는 땅값의 압박 때문에 그냥 좁은 부지에 높은 빌딩 하나를 세워놓고는 캠퍼스라고 우기는 경우도 흔하다. 심지어 일본 최대 규모의 대학인 니혼대학의 경우, 대학 캠퍼스만 무려 21개가 존재한다.[90] 본부 기능을 하며, 분쿄구에 위치. 혼고 캠퍼스, 야요이 캠퍼스, 아사노 캠퍼스를 합쳐서 혼고 지구 캠퍼스로 부른다.[91] 메구로구에 위치. 코마바 제1캠퍼스, 코마바 제2캠퍼스, 코마바 제3캠퍼스를 합쳐서 코마바 캠퍼스라고 부른다.[92] 카시와시에 위치. 카시와 캠퍼스, 카시와II 캠퍼스, 카시와노하에키마에 캠퍼스를 합쳐서 카시와 지구 캠퍼스라고 한다.[93] 교토대학 역시 이와 비슷하게 요시다 캠퍼스, 우지 캠퍼스, 카츠라 캠퍼스, 이 3곳의 거점이 환상의 트라이앵글을 이루고 있다.[94] 다만 교양학부와 이학부 수학과 학생들은 혼고로 이동하지 않고 코마바에서 4년간 다니게 된다.[95] 따라서 자신의 소속 연구실에 따라 수업을 듣는 캠퍼스와 실제 연구실이 있는 곳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업을 듣기 위해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기도 한다. 물론 최근에는 코로나 등의 영향으로 온라인 수업이 많아져서 이런 불편은 크게 줄었다.[96] 한국과학기술원 공과대학과 도쿄대학 신영역창성과학연구과의 부국(部局)간 교환 유학이 가능하다.[97] 즉 '심플'이지 '이지'가 아니다.[98] 류자키와 함께 공동 만점이었다. 실제로는 데스노트가 완결된 후에도 한참이나 지나 2018년 입시 통계(즉 2017년 센터 시험)에서 센터시험 역사상 첫 만점자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리고 2020년에 센터시험이 폐지되고 대학입학공통테스트로 대체되면서 기록상의 처음이자 마지막 만점자다.[99] 그 유명한 삿포로를 안동시라고 번역한 에피소드에서는 홋카이도대학에도 지원했었지만 안타깝게 여기도 불합격했다.[100] 한국판에서는 한국대학교라고 번역되었다.[101] 국가 공무원 1종 시험 합격 후 자신들이 배정받은 정부기관(경시청, 방위성 등)에서의 지위를 이용해 경시청 시큐리티 폴리스 내부의 내통자 경찰관들이나 전직 자위관 등의 병력들을 포섭 및 동원하여 쿠데타를 벌이려 하고, 시큐리티 폴리스 4과 소속인 주인공이 이 쿠데타를 저지하는 것이 SP 시리즈 극장판 겸 완결편인 "혁명편" 의 메인 스토리.[102] 참고로 일상(만화)의 애니메이션판 23화는 2011년 9월 3일에 방영했다. 그리고 사건은 9월 9일에 발생했는데, 10월 14일에 누군가가 모방범죄를 시도했다.[103] 편차치 75의 일본 주부지방고.[104] 2021년 기준 네이처 인덱스의 세부적인 순위는 물리학 2위, 화학 7위, 지구&환경 21위, 생명과학 28위에 해당. 물리학 분야는 2020년 ARWU(세계 대학 학술 평가) 기준으로도 세계 3위를 기록했다.[105] 하라 다카시, 고노에 후미마로[106] 사이온지 긴모치 - 가토 다카아키 - 와카쓰키 레이지로 - 하마구치 오사치 - 히로타 고키 - 히라누마 기이치로 - 시데하라 기주로 - 요시다 시게루 - 가타야마 데쓰 - 아시다 히토시 - 하토야마 이치로 - 기시 노부스케 - 사토 에이사쿠 - 후쿠다 다케오 - 나카소네 야스히로 - 미야자와 기이치 - 하토야마 유키오.[107] 예를 들어 재무성의 전신인 대장성의 최고위관료 사무차관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단 3명만이 비 도쿄대 법학부 출신이었다. 그리고 그 3명중 1명은 도쿄대 경제학부.[108] 아들이 수험생이 되자 함께 공부하여 어머니는 도쿄대에 합격했지만 아들은 떨어졌다고 한다. 관련 글[109] 자세한 기록들은 다음을 참조. 야구부 공식 사이트 내 기록, 일본 위키백과 도쿄대 야구부 항목, 리그 공식 사이트 내 기록[110] 참고로 94연패를 끊기 위해, 야구를 잘 하는 고등학생들을 감독이 무료로 도쿄대 입시 공부를 시켜(...) 전력을 보충해 끊었다고 한다.[111] 가장 최근은 2017년, 법학부 재학 중인 투수 미야다이 코다이(宮台康平)가 드래프트를 신청,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에 7순위로 지명되어 화제가 되었다. 미야다이는 야쿠르트로 트레이드되고 2022년 시즌후 은퇴를 선언해서 5년만에 프로 생활을 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