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3 11:09:18

물리학

물리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물리'''{{{#!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물리(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물리(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물리(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그 외 다양한 정보}}}에 대한 내용은 [[물리학 관련 정보]]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물리학 관련 정보#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물리학 관련 정보#|]]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음이의어: }}}[[물리(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물리(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물리(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그 외 다양한 정보: }}}[[물리학 관련 정보]]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물리학 관련 정보#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물리학 관련 정보#|]]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초등·중등교육 과학과의 한 영역}}}에 대한 내용은 [[과학과/물리학]]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과학과/물리학#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과학과/물리학#|]]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2025년부터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학생 기준으로 적용되는 과학 교과 중 동명의 과목}}}에 대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물리학]]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물리학#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물리학#|]]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초등·중등교육 과학과의 한 영역: }}}[[과학과/물리학]]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과학과/물리학#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과학과/물리학#|]]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2025년부터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학생 기준으로 적용되는 과학 교과 중 동명의 과목: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물리학]]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물리학#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물리학#|]]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과학의 범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nopad> 좁은 의미 [[자연과학|
자연과학
]] 물리학 · 화학 · 생물학 · 천문학 · 지구과학(지질학 · 해양학 · 대기과학)
<nopad> 넓은 의미 [[형식과학|
형식과학
]] 논리학 · 수학 · 시스템 과학 · 이론 컴퓨터 과학 · 통계학
[[응용과학|
응용과학
]] 간호학 · 거대과학 · 건축학 · 공학 · 농학 · 임학 · 수산학 · 수의학 · 약학 · 의학 · 치의학 · 동양의학(한의학, 중의학)1
[[사회과학|
사회과학
]] 사회학 · 정치학(행정학 · 정책학) · 경제학 · 교육학 · 심리학 · 군사학 · 미디어학 · 법학 · 경영학 · 사회복지학 · 인류학 · 지리학 · 지역학 · 테크노사이언스
비과학 [[인문학|
인문학2
]] 언어: 언어학3 / 예술: 문학 · 미술사학 · 음악사학 / 역사: 사학4 · 과학사학 · 고고학4 / 사상: 철학 · 종교학4 · 신학5
변경지대의 과학
비학문 병적 과학 · 쓰레기 과학 · 유사과학(대체의학) · 반과학
1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유사과학의 일종인 대체의학으로 분류하나, 한국, 중국, 북한, 대만 4개국에는 독립된 한의학부가 존재하여 의학사에 준하는 학위를 부여한다.
}}}}}}}}} ||

자연과학의 일반적 분류
물상과학
Physical Science
생명과학
Biological Science
물리학
Physics
화학
Chemistry
천문학
Astronomy
지구과학
Earth Science
생물학
Biology

1. 개요2. 이미지3. 어원
3.1. physics3.2. 물리학
4. 본질과 목적
4.1. 과학철학적 설명4.2. 보편지식 체계4.3. 궁극적 목표
5. 분류
5.1. 이론물리학과 실험물리학5.2. 이론체계에 따른 분류5.3. 연구 대상에 따른 분류5.4. 고전물리학과 현대물리학5.5. 기초물리학과 응용물리학
6. 역사
6.1. 자연학(목적론적 자연관)6.2. 기계론적 자연관6.3. 뉴턴역학6.4. 고전역학6.5. 상대성이론6.6. 양자역학6.7. 현대물리학
7. 다른 학문들과의 관계
7.1. 수학7.2. 화학7.3. 천문학7.4. 사회과학7.5. 그 외
8. 교육과정
8.1. 초·중·고등교육8.2. 수험과목8.3. 대학 학부과정(물리학과)8.4. 국내 연구현황 및 오해
9. 대중적인 인식10. 편견 및 고정관념11. 물리학자12. 여담13. 둘러보기

1. 개요

물리학(, physics)은 자연의 근본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물질, , 운동, 에너지, , 전자기, , 입자, 파동, 시간, 공간 등의 개념을 다룬다.

자연 현상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지만, 그 이면에는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보편적인 법칙이 존재한다. 물리학은 이러한 자연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고, 그 법칙을 바탕으로 자연 현상을 합법칙적이고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문이다. 여기서 '설명'은 단순히 이미 알려진 현상을 해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아직 관측되지 않은 현상을 이론적으로 예측하고, 이를 관찰이나 실험을 통해 검증하는 활동까지 포함된다.[1]

이처럼 물리학은 자연의 보편법칙을 탐구하는 자연과학으로서 다른 과학공학 학문들의 밑바탕이 되는 기초 학문이라 할 수 있다.

2. 이미지

파일:진자의운동.gif
단진자
파일:핵연소.gif
파일:기본전기회로.gif
핵분열 전기회로
파일:물리수식칠판.gif
상대성 이론

3. 어원

3.1. physics

물리학을 뜻하는 영단어 physics는 자연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φύσις(physis, 퓌시스)에서 기원했다. 고대 그리스에서 자연계의 사물을 이론적으로 취급하는 학문을 '자연학(physika)'이라고 불렀고 이는 물리학의 기원이 되었다. 퓌시스는 본성, 혹은 자연을 뜻하는데 이를 라틴어로 옮기면 natura, 영어로 옮기면 nature가 된다.

자연학을 형이상학과 분리한 인물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꼽히곤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의 철학을 제1철학과 제2철학으로 나누고 자연학을 제2철학으로 분류했다. 후세의 학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제1철학에 해당하는 내용들을 모아서 자연학 다음에 배치하고는 형이상학(metaphysics)이란 이름을 붙였다. 즉, 아리스토텔레스와 그 후대 학자들은 자연 현상의 원리를 탐구하는 physics와, 존재의 본질과 실체(substance)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다루는 metaphysics를 명확히 구분하였다.

물리학은 직접적으로 형이상학을 탐구하지는 않지만, 이론물리학 차원에서는 형이상학적 전제와 긴밀히 접하는 지점이 존재한다. 특수 형이상학에 속하는 신, 영혼, 자유의지 등은 물리학을 비롯한 자연과학의 연구 범주에서 제외되지만, 존재 자체에 대한 정의와 탐구는 이론물리학과 과학철학의 접점에서 긴밀히 논의되기도 한다. 비슷하게 수학 역시 자기 자신을 대상으로 삼는 형식적 분석, 즉 메타수학(metamathematics)이라는 분과를 포함하며, 이는 형이상학과는 성격이 다르지만 '상위 층위의 고찰'이라는 점에서 조어 방식의 유사성이 있다.

즉, 일반 형이상학은 물리학과의 경계가 상당히 흐려지는 지점이 존재한다. 양자역학의 등장 이후, 일반 형이상학적 개념에 의존했던 이론들을 어떻게 물리학으로 정합적이게 해석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과학철학적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과학적 실재론 문서를 참고할 것.

3.2. 물리학

'물리학'이라는 단어는 한자로 '', '',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는 학문'을 의미한다. 물(物)은 일반적으로 '사물', '만물', '대상' 등을 의미하며, 자연물뿐 아니라 추상적인 '현상'까지 포함하는 의미로도 쓰인다. 리(理)는 '다스릴 리' 또는 '이치 리'로 읽히며, 기본적으로는 '이치', '조리', '법칙', '질서', '조화' 등을 뜻한다. '다스릴 리'라는 독음은 존재하지만, 여기서는 사물에 내재된 질서나 원리를 가리키므로, '이치'라고 풀이하는 것이 정확하다. 학(學)은 '배움', '탐구', '학문' 등의 의미를 지닌다.

서양 과학이 도입되던 청나라 말기, 중국에서는 물리학을 '격치학(格致學)' 또는 '격물학(格物學)'이라 불렀다. 이는 성리학의 핵심 개념인 '격물치지'(格物致知)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여 앎에 이른다'는 뜻을 지닌다. 반면 '물리'(物理)라는 단어 자체는 훨씬 이전부터 보다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초나라의 갈관이 쓴 <갈관자>의 '왕부편'에서는 '물리'를 '만물의 진리' 또는 '세상의 이치'라는 의미로 사용했으며, 오나라의 양천(楊惕)이 저술한 <물리론>(物理論) 또한 유사한 맥락에서 제목을 붙인 것으로 보인다. 명나라청나라 시기의 학자 방이지는 인문학자연과학을 포함한 여러 학문 분야를 소개한 백과전서적 저술 <물리소식>(物理小識)을 남기기도 했다.

현대적 의미의 '물리학'이라는 용어는 일본이 서양의 'physics'를 한자어로 번역하며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후 대한제국 말기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한국에도 이 표현이 유입되었다.

4. 본질과 목적

4.1. 과학철학적 설명

과학은 본질적으로 철학적이다. 이론은 해석의 산물이다.
노먼 캠벨[2], Physics: The Elements, 1920.
물리학의 목표는 경험을 가능한 한 단순한 사유 체계로 환원하는 것이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Ideas and Opinions, 1954.
자연의 근본 구조에 대한 이론은 인식의 구조에 대한 이론과 분리될 수 없다.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Physics and Philosophy, 1958.
물리학에 대한 정의는 시대와 철학적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다. 특히 과학철학에서는 물리학을 단순한 자연 현상의 기술로 보지 않고, 보다 깊은 인식론적·존재론적 함의를 지닌 학문으로 간주한다. 학파마다 입장에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과학철학계에서 말하는 물리학은 공통적으로 '경험적 관찰과 수학적 형식화를 바탕으로 자연계의 보편적 법칙을 탐구하는 학문인 동시에, 인간이 세계를 인식하고 이론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에 대한 철학적 반성을 수반하는 활동'으로 이해된다.

물리학은 감각 경험을 통해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일정한 패턴을 추출하고, 그것을 수학적 언어로 정식화함으로써 자연 현상의 설명과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과학철학은 이러한 정식화가 단순한 기술이나 도구적 유용성에 그치지 않으며, 세계에 대한 ontological claim(존재론적 주장)을 내포한다는 점을 주목한다. 즉, 물리학 이론은 단순히 '유용한 계산 도구'가 아니라, 현실에 존재하는 어떤 구조나 질서를 반영하고 있다는 실재론적 해석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비판적 검토는 과학철학의 핵심 영역 중 하나다.

특히 20세기 이후 양자역학상대성 이론의 등장은 물리학을 존재론적 전제를 내포하고 형이상학적 논의와 깊이 연결되는 학문 영역으로 확장시켰다. 예를 들어, 상대성 이론은 시간과 공간을 절대적이고 독립된 실체로 받아들이던 인간 인식의 전통적 틀에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였으며, 이는 시간과 공간을 통합한 '시공간'이라는 개념의 도입으로 이어졌다. 또한, 양자역학의 해석 문제는 물리학적 이론이 현실을 어떻게 반영하는지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제기하며, '측정', '관측자', '실재' 등의 개념을 철학적으로 재해석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물리학은 '세계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라는 존재론적 질문, '인간은 세계를 어떻게 인식할 수 있는가'라는 인식론적 질문, '과학 이론은 진리를 진술하는가'라는 진리 이론의 질문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실재론적 관점은 단순히 물리학 이론이 현실을 반영한다고 주장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이론물리학의 전개 과정 자체가 인간 인식의 구조와 한계를 탐구하는 활동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물리학은 곧 인식론적 사유의 장으로 확장된다. 예컨대, 실험을 통해 관찰할 수 없는 미시적 존재(예: 전자, 장, 양자상태)에 대해 정합적인 수학 모델을 구성하고, 그것이 예측과 설명을 가능하게 한다는 사실은 단순한 도구적 성과를 넘어, 우리가 어떻게 세계를 인식하고 그 인식을 이론으로 구조화하는가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내포한다. 따라서 이론물리학은 대상 세계에 대한 기술일 뿐 아니라, 그 세계를 이해하려는 인간 정신의 구조와 한계에 대한 자기 성찰적 탐구이기도 하며, 과학철학은 이 지점에서 물리학과 가장 밀접하게 교차하게 된다.

과학철학은 또한 물리학의 이론 구성 방식, 예측과 설명의 관계, 법칙 개념의 성격, 이론 간의 환원 가능성, 그리고 이론 선택의 기준(예: 단순성, 정합성, 예측력 등)에 대해서도 깊이 있는 분석을 시도한다. 즉, 이러한 탐구들은 물리학이 단순히 실험과 수학에 의존하는 기술적 활동을 넘어서, 인간 사유의 가장 근본적인 층위에서 현실을 해명하려는 철학적 작업임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과학철학계에서는 물리학을 단순히 자연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도구적 학문으로 보지 않으며, 세계의 구조와 인간 인식의 본질에 대한 성찰·분석을 포함한 이론적 체계이자, 자연과 존재, 그리고 이론들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는 철학적 사유의 장으로 간주한다.
So many people today—and even professional scientists—seem to me like somebody who has seen thousands of trees but has never seen a forest. A knowledge of the historic and philosophical background gives that kind of independence from prejudices of his generation from which most scientists are suffering. This independence created by philosophical insight is—in my opinion—the mark of distinction between a mere artisan or specialist and a real seeker after truth.
오늘날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심지어 전문 과학자들조차), 나에게는 수천 그루의 나무는 보았지만 숲은 한 번도 본 적 없는 사람처럼 보입니다. 역사적이고 철학적인 배경에 대한 이해는,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겪고 있는 시대적 편견에서 벗어날 수 있는 일종의 독립성을 제공합니다. 제 생각에, 이러한 철학적 통찰이 만들어내는 독립성은 단순한 기술자나 전문인과 진정한 진리 탐구자를 구분짓는 특징입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과학철학자 Robert Thornton에게 보낸 편지에서 발췌.
이처럼 근대 이후의 물리학은 경험과 수학의 틀을 넘어, 세계와 인간 인식의 접점을 탐구하는 철학적인 작업의 일환으로 진화해왔다. 따라서 물리학을 단순한 '자연계의 법칙 기술'로만 환원하는 것은 그 본래의 인식론적 깊이를 간과하는 해석이라 할 수 있다.

4.2. 보편지식 체계

물리학은 모든 자연 현상을 그 탐구 대상으로 삼는다. 가령 생명 현상도 물리학의 탐구 대상이다. 그런데 특정한 범위의 자연 현상에 대해서는 그것만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학문이 별도로 존재한다. 생물학, 화학, 지구과학, 천문학이 그것이다. 그러면 물리학과 다른 자연과학이 같은 자연 현상을 탐구할 때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 예를 들어 물리학이 생명 현상을 탐구할 때는 생물학이 생명 현상을 탐구할 때와 어떤 점에서 다를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다른 자연과학과 대비할 때 물리학의 차별성은 보편지식을 추구한다는데 있다.'이다. 이에 대해 물리학자 최무영[3]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과학적 사고의 마지막 요소는, 단편적 지식들을 '하나의 합리적인 체계'로 설명하려고 시도한다는 겁니다. 특정지식은 개별 과학적 사실(scientific fact)들을 말하는데 이들을 묶어서 보편지식 체계를 만들어내려고 시도합니다. 보편지식을 간단하게 이론(theory)이라고 하지요. 사과가 땅으로 떨어지는 현상이나 계절이 돌아오고, 밀물과 썰물이 생기는 것은 하나하나가 과학적 사실이고 특정지식입니다. 그런 것들을 얼핏 보면 서로 관계가 없어 보이지만 하나의 보편적 체계로 묶을 수가 있습니다. 그게 뭘까요? 뉴턴의 '중력의 법칙'입니다. (이른바 만유인력이라는 용어보다는 중력이라는 용어가 적절합니다.)

과학에서는 이렇게 아무 관련이 없어 보이는 여러 지식들을 묶어서 하나의 체계로 만들어내려 노력합니다. 이러한 경향이 물리학에서 가장 두드러지며, 이로써 물리학은 다른 자연과학과 구분 되지요. 물리학은 바로 보편지식 체계를 추구하는 학문이고, 다른 자연과학은 대부분 특정지식을 추구하는 학문입니다.

생물학이나 천문학, 지구과학 등 특정지식을 추구하는 자연과학은 현상과학이라고 부르는 반면, 보편지식을 추구하는 물리학은 이론과학이지요. 요즘 생겨난 천체물리(astrophysics), 화학물리(chemical physics), 지구물리(geophysics), 생물물리(biophysics; biological physics) 같은 것들은 각 과학 분야의 특정지식들을 보편적 체계로 이해해보려는 시도라 할 수 있습니다.
<최무영의 과학이야기>- 과학적 사고란
위 인용문에서 설명되어 있듯이 과학의 핵심적 사유 방식은 개별적인 현상이나 사실들을 고립된 지식으로 머물게 하지 않고, 그것들을 하나의 보편적인 이론 체계로 통합하려는 데 있다. 이러한 통합적 사고는 특히 물리학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사과가 떨어지는 현상, 조수 간만의 차, 행성의 운동처럼 겉보기에는 전혀 관련 없어 보이는 현상들을 하나의 원리(예컨대 위 인용문에서는 뉴턴의 중력 법칙)로 설명하려는 시도는 물리학이 지향하는 바를 잘 보여준다.

이러한 체계화의 지향은 물리학이 '보편지식(이론)'을 추구하는 학문임을 보여준다. 이는 주로 생물학, 지구과학, 천문학처럼 자연 현상을 기술하고 분류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특정지식 중심(현상과학)'의 분야들과 구별되는 물리학만의 중요한 특징이다. 오늘날 등장한 화학물리학, 지구물리학, 생물물리학 등의 융합 분야는[4], 이러한 특정지식 기반의 자연과학들을 물리학의 이론적 틀 안에서 보편적 법칙으로 재해석하려는 시도라 볼 수 있으며, 이는 물리학이 모든 자연과학의 이론적 프레임워크가 될 수 있는 근거를 보여준다.

물론 물리학이 이렇게 자연현상 전체를 넘나든다는 것이 물리학이 다른 자연과학보다 우월하거나 그 자체로 더 '높은' 학문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생물학은 생명체의 복잡성과 조직을, 화학은 분자 및 화학반응의 특수한 규칙성을, 지구과학은 행성계의 환경과 지질 구조를, 천문학은 우주의 대규모 구조를 탐구하는 고유의 대상과 방법론을 갖춘 정립된 학문들이다. 이들 각 학문은 자연의 특정 층위를 중심으로 발달해왔으며, 물리학과 마찬가지로 정교한 이론체계와 실험적 검증을 축적해왔다.

그러나 물리학은 이들 학문들이 성립하고 작동하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는 가장 근원적인 자연과학으로 기능해왔음은 부정할 수 없다. 가령 질량, 에너지, 전자기력, 파동, 입자, 시공간 구조와 같은 개념들은 물리학을 통해 정립되었으며, 이는 생물학적 현상, 화학적 반응, 천문학적 관측 등 다양한 자연현상을 설명하는 공통 기반이 되었다. 실제로 많은 자연과학은 물리학의 원리 위에서 수립된 응용 이론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물리학의 중요한 특징은 자연현상을 가능한 한 최소한의 법칙과 수학적 구조로 통합하고자 하는 데 있다. 상술되어 있듯이 아이작 뉴턴중력 법칙은 사과가 땅에 떨어지는 일상적 사건과 행성의 공전 운동, 해수의 조석 현상 등 서로 다른 현상을 단일한 보편 법칙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이론적 통합성과 수학적 표현력은 물리학을 단순한 기술의 학문이 아니라, 자연의 근본 구조를 추상화하고 해석하는 근원적 사유체계로 만든다.

한편 20세기의 대표적 물리학자이자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어니스트 러더퍼드는 아래와 같은 유명한 말을 남겼다.
All science is either physics or stamp collecting.
자연과학은 물리학이거나 아니면 우표수집이다.
어니스트 러더퍼드의 어록.
어니스트 러더퍼드의 위 발언은 물리학만이 가장 근원적인 보편적 지식 체계를 구축할 수 있으며, 그 외의 과학은 주로 자료를 수집하고 현상을 기술하는 데 머무른다는 인식을 반영한다.[5] 이러한 발언의 저변에는 이론적 통합 없이 관찰된 현상을 분류하고 서술하는 수준에 그치는 과학은 본질적으로 현상론에 머문다는 입장이 깔려 있다.

물리학자 폴 디랙이 남긴 다음의 말 또한 물리학이 추구하는 보편지식적 성격을 잘 함축하고 있다.
Oppenheimer, they tell me you are writing poetry. I do not see how a man can work on the frontiers of physics and write poetry at the same time. They are in opposition. In science you want to say something that nobody knew before, in words which everyone can understand.
오펜하이머, 당신이 시를 쓴다고 들었습니다. 나는 어떻게 한 사람이 물리학의 최전선을 연구하면서 동시에 시를 쓸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두 분야는 서로 상반됩니다. 과학에서는, 이전에는 아무도 몰랐던 것을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말하려고 합니다.
폴 디랙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와의 대화에서 남긴 어록.
이 말은 물리학자 폴 디랙의 철학을 잘 보여준다. 과학은 보편 언어를 통해 진리를 드러내려는 시도이며, 개인의 내면이나 감정에 기대는 문학·시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문학이 모두가 이해하지 못해도 괜찮은 진술이라면, 과학은 모두가 이해할 수 있어야만 의미가 있는 진술이라는 것이다. 즉 디랙의 이 말에는 물리학이 다른 모든 과학이 인류 보편의 언어로 해석되도록 하는 이론적 틀과 표현 체계를 제공하는, 가장 근본적인 학문이라는 인식이 반영되어 있다. 여기서 '인류 보편의 언어'란 수학뿐 아니라, 물리학의 공리적 기반과 방법론을 아우르는 보편적 논리 체계 전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물리학은 단지 하나의 자연과학 분야로만 볼 수 없으며, 다른 자연과학을 뒷받침하고 구조화하는 이론적 토대이자, 수학과 함께 과학의 가장 근본적인 기둥으로 간주된다. 그 깊이와 보편성은 단지 특정 현상을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자연 전체의 원리를 통합하는 일관된 이론 체계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독자적인 위상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물리학은 자연과학의 일부이자 동시에, 자연과학 전체를 관통하는 보편적 설명체계를 구축하려는 학문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물리학이 갖는 철학적 깊이와 이론적 추상성의 기반이 되며, 다른 과학들과의 구분점이자 접점이기도 하다.

4.3. 궁극적 목표

물리학은 자연 현상을 일으키는 실체를 물질의 운동으로 상정한다. 그리고 이 물질들이 운동 중에 서로 충돌하거나 상호작용하면서 다양한 자연 현상이 나타난다고 본다. 상기했듯이, 물리학은 이러한 물질의 운동을 자연 현상의 근본 원리로 삼아, 자연 전체를 통합적으로 설명하려는 보편적 학문이다.

이러한 보편성 지향은 특정 범주의 현상에 집중하는 다른 자연과학들과의 차별성을 보여주는 지점이다. 생물학이나 화학, 지구과학이 자연의 특정 층위에 집중하는 반면, 물리학은 가능한 한 가장 넓은 범위의 자연 현상, 나아가 모든 자연 현상에 적용될 수 있는 보편 법칙을 찾으려는 경향을 가진다. 그리고 이렇게 발견된 운동의 보편 법칙을 '역학'이라 부른다.

따라서 물리학(보다 정확히는 이론물리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미시 세계에서부터 거시 세계까지 적용 가능한 통일된 법칙을 정립하는 것'이다. 이 목표는 통일장 이론 혹은 모든 것의 이론이라고 불리며, 알베르트 아인슈타인도 생애 말기에 이 연구에 몰두한 바 있다. 해당 주제로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다른 이론들을 모두 포괄하는 완전한 형태의 이론은 발견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일상적인 크기와 속도의 세계는 뉴턴의 운동 법칙고전역학으로 충분히 설명된다. 하지만 아주 작은 세계(예: 원자, 분자, 입자 등)에서는 양자역학이 필요하며, 빛의 속도에 근접하는 빠른 세계나, 중력이 매우 강하게 작용하는 거대한 세계(예: 은하, 우주)에서는 특수 상대성 이론일반 상대성 이론이 각각 적용된다. 물론 양자역학이나 상대성 이론이 일상 세계에서 무용하다는 뜻은 아니다. 다만, 양자역학을 일상적인 조건에 적용하면 고전역학과 사실상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며, 상대성 이론 역시 일상적인 속도와 중력 환경에서는 그 수정 효과가 극히 미미하기 때문에, 고전역학이 근사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문제는 다음과 같은 복합적인 조건이 등장할 때이다. 예를 들어, 작고 빠른 세계(예: 전자기장 내에서 움직이는 전자의 양자역학)에서는 양자역학과 특수 상대성 이론을 결합한 상대론적 양자역학이 필요하다. 또한 작지만 중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세계(예: 블랙홀 내부나 빅뱅 직후의 우주와 같은 경우)에서는 양자역학과 일반 상대성 이론을 통합한 양자중력 이론이 요구되지만, 아직 완성된 형태의 이론은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로서는 초끈 이론, 고리양자중력이론과 같은 후보 이론들이 제시되어 있으나, 실험적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물리학계 내에서도 활발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결국 이러한 복잡한 조건의 세계들을 하나의 통합적 체계로 일관되게 설명하는 것이야말로, 물리학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목표다.

5. 분류

5.1. 이론물리학과 실험물리학

물리학 연구는 ①보편 법칙[6]을 세우고(귀납 추론), ② 그 법칙을 이용하여 이미 관측되어 알려져 있는 자연 현상을 설명하거나(연역 추론), ③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현상을 예측하며(연역 추론), ④그 예측을 실험이나 관찰을 통해 검증(귀납 추론)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전에는 물리학자라면 이 모든 활동을 다 하였다. 하지만 물리학이 발전하면서 물리학 이론에 쓰이는 수학이 매우 고도화 되었고, 실험 장비의 기술적 복잡성 등 실험과 관련된 지식이 고도로 복잡해졌다. 따라서 한 명의 물리학자가 이 모든 것을 다 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졌고, 역할 분화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에 현재는 실험과 관계된 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실험물리학자와 이론과 관계된 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이론물리학자로 구분된다.

이 중 ①, ②, ③은 이론물리학(theoretical physics), ④는 실험물리학(experimental physics)에 속한다. 다만 이러한 구분은 역할의 전문화를 의미할 뿐, 완전한 분리를 뜻하지는 않는다. 가령 ②는 현실에선 실험물리학자들도 자주 수행한다. 즉 실험물리학자가 실험이나 관찰을 하다가 어떤 현상을 발견했는데, 그 현상에 대한 이론적 설명을 이론물리학자에게 맡기는 게 아니라 스스로 하는 경우도 많다. 실험물리학자는 단순히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술자가 아니라, 물리적 해석과 이론 발전에 능동적으로 기여하는 연구자이다. 반대로 이론물리학자 역시 실험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직접 제시하기도 한다. 이처럼 현대 물리학은 이론과 실험이 분업적으로 구분되면서도 상호보완적으로 긴밀히 협력하는 구조로 발전해왔다.

역사적으로 이러한 협업의 대표적인 사례는 아이작 뉴턴헨리 캐번디시의 작업에서 볼 수 있다. 뉴턴은 지구 질량을 포함한 만유인력의 법칙을 이론적으로 정식화했고, 약 100년 후 캐번디시는 비틀림 저울 실험을 통해 실제 지구 질량 값을 도출함으로써 이를 실험적으로 입증했다. 현대의 사례로는 앙리 푸앵카레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 이론과, 이에 대한 검출을 목적으로 설계된 LIGO 프로젝트와 힉스 보손 발견(CERN)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이론물리학의 예측이 실험물리학의 정교한 검증을 통해 확인된 대표적인 성취로 평가된다.

5.2. 이론체계에 따른 분류

물리학의 이론적 체계는 일반적으로 동역학(dynamics), 통계역학(statistical mechanics), 그리고 장이론(field theory)이라는 세 가지 중심 틀로 구분된다. 이들은 서로 독립적인 체계가 아니라, 상호 연관된 구조 속에서 물리학 전반을 구성하며, 이론물리학의 발전은 이 세 축의 통합과 확장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7]
1. 동역학 (Dynamics)
동역학은 시간에 따른 물리적 상태의 변화를 기술하는 가장 기초적인 이론 체계로, 입자(particle)의 운동을 중심으로 자연현상을 설명한다. 대표적으로는 17세기 아이작 뉴턴이 정립한 고전역학(classical mechanics)이 있으며, 이후 20세기에는 미시세계의 확률적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양자역학(quantum mechanics)이 등장하였다.
시공간에 대한 전제가 다름에 따라, 각각은 다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고전역학 (Classical Mechanics)
    • 비상대론적 고전역학: 뉴턴적 시공간 개념을 전제로 함
    • 상대론적 고전역학: 특수상대성 이론에 따른 시공간 개념을 반영
  • 양자역학 (Quantum Mechanics)
    • 비상대론적 양자역학: 슈뢰딩거 방정식을 기반으로 한 표준적 양자이론
    • 상대론적 양자역학: 디랙 방정식, 클라인-고든 방정식 등, 상대론을 반영한 양자이론
2. 통계역학 (Statistical Mechanics)
통계역학은 동역학 이론에 확률적 해석을 도입하여, 다수의 입자계의 평균적·거시적 거동을 기술하는 이론이다. 엔트로피, 온도, 압력 등 열역학적 개념을 미시적 수준에서 재해석할 수 있게 해주며, 이로부터 유도된 응용 분야는 통계물리(statistical physics)라고 불린다.
통계역학은 고전역학 또는 양자역학 위에 세울 수 있으나, 보다 근본적인 수준에서는 양자역학에 기초하는 것이 이론적 일관성을 갖는다. 대표적으로는:
  • 고전통계역학 (classical statistical mechanics): 볼츠만·깁스 통계
  • 양자통계역학 (quantum statistical mechanics): 페르미-디랙 분포, 보스-아인슈타인 분포 등
3. 장이론 (Field Theory)
장이론은 입자 대신에 공간 전체에 연속적으로 퍼져 있는 물리량, 즉 '장(field)'을 물리현상의 기본 단위로 상정하여 이론을 구성한다. 전자기장, 중력장, 힉스장 등은 모두 장이론의 대상이며, 이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고전장이론 (Classical Field Theory): 맥스웰 방정식, 뉴턴 중력장 등
  • 양자장이론 (Quantum Field Theory, QFT): 장의 양자화를 통해 입자와 장을 통합적으로 기술하는 이론. 표준 모형(Standard Model)은 QFT의 대표적 응용이다. 또한 끈 이론(String Theory) 역시 이론물리학의 체계 분류 중에서는 "장이론"에 가장 핵심적으로 속하는 이론이다. 다만, 이는 일반적인 양자장이론을 초월한 고차원적·초대칭적·중력을 포함하는 이론으로, 양자중력의 후보 이론이자, 모든 힘과 입자를 통합하려는 시도로 간주된다.
장이론은 수학적으로 통계역학과 구조적 유사성이 있으며, 통계장론(statistical field theory)에서는 이 둘의 경계가 융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동역학은 입자의 운동을, 통계역학은 다입자계의 평균적 행동을, 장이론은 연속적인 장의 동역학을 각각 다루되, 이들은 모두 물리현상의 보편적 원리를 설명하려는 물리학의 중심 축을 이룬다. 현대 이론물리학은 이 세 체계를 통합하여, 미시와 거시, 국소성과 비국소성, 입자성과 장 개념을 아우르는 보다 근본적인 이론을 구축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5.3. 연구 대상에 따른 분류

물리학은 자연 현상을 일으키는 실체를 물질(matter)이라 상정하며, 이 물질을 구성하는 단위와 그 상호작용을 다양한 계층적 수준에서 분석한다. 그리고 어떤 스케일에서의 구성 단위를 중심으로 탐구하느냐에 따라, 물리학은 다음과 같이 세부적으로 분류된다.[8]
1. 입자 수준
* 입자물리학 (Particle Physics): 가장 근본적인 수준에서 물질과 힘을 구성하는 기본입자들을 연구하는 분야. 쿼크, 렙톤, 게이지 보손, 힉스 보손 등이 대상이다. 표준 모형(Standard Model)과 같은 이론은 이 분야의 핵심이다. 고에너지 물리(high-energy physics)라고도 불린다.
* 핵물리학 (Nuclear Physics): 기본입자보다 한 단계 상위의 구조인 원자핵을 구성하는 양성자중성자, 그리고 그 상호작용을 다룬다. 핵력, 핵붕괴, 핵반응 등을 다루며, 원자력 발전, 핵융합 연구, 방사선 의학과도 연결된다.
2. 원자 및 분자 수준
* 원자물리학 및 분자물리학 (Atomic and Molecular Physics): 원자핵 주위를 도는 전자들과 그 에너지 준위, 전자 궤도 간 전이, 스펙트럼 현상, 원자 간 결합과 분자 구조 등을 연구한다. 광학, 양자광학, 레이저 물리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광학 (Optics): 고전광학은 빛의 반사, 굴절, 간섭, 회절 등의 현상을 다루며, 현대광학은 양자광학, 광자공학, 레이저 물리학 등으로 확장되어 원자·분자 물리와 결합한다.
3. 응집된 물질의 집합 수준
* 응집물질물리학 (Condensed Matter Physics): 우리가 감각기관을 통해 경험하는 물질은, 원자나 분자가 수없이 많이 모여 형성된 집합체이다. 이러한 물질을 응집물질(condensed matter)이라고 하며, 이를 연구하는 분야를 응집물질물리학(condensed matter physics)이라 부른다. 고전적인 고체물리학, 액체물리학부터, 반도체, 초전도체, 강자성체, 양자물질 등 다양한 현상이 포함된다. 현대 물리학에서 가장 방대한 연구 영역을 차지하며, 나노과학, 전자공학, 재료과학과도 밀접하다.
* 유체물리학 (Fluid Physics): 액체나 기체처럼 연속적으로 변형되는 물질인 유체(fluid)의 거동을 다룬다. 점성, 난류, 유동, 대류, 항력 등의 개념이 중심이 되며, 천체물리학, 기후과학, 공학역학 등과 연결된다.
* 플라스마물리학 (Plasma Physics): 고온 상태에서 원자 내 전자가 떨어져 나가 생성된 이온과 자유전자들의 집합 상태인 플라스마를 다룬다. 이는 '제4의 물질 상태'로 불리며, 핵융합, 우주물리, 반도체 공정 등에서 중요하다.
4. 타 자연과학과 융합돼 있는 분야
* 화학물리학 (Chemical Physics): 화학은 주로 분자 수준의 현상을 다룬다. 따라서 화학물리학은 분자물리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분자의 구조, 결합, 반응 메커니즘을 물리학적 원리와 계산을 통해 해석하는 분야. 분자궤도함수, 반응속도론, 양자화학 계산 등을 포함하며, 화학과 물리학의 경계에 존재한다.
* 생물물리학 (Biophysics): 생명체는 기본적으로 많은 수의 단백질 같은 분자들로 이뤄져 있으므로 생물물리학은 당연히 응집물질물리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생명 현상을 물리학적으로 해석하는 분야로서 단백질의 구조변화, 세포 내 에너지 이동, DNA의 열역학적 안정성 등을 다루며, 주로 통계물리학, 유체역학, 양자역학을 도구로 사용한다.
* 천체물리학 (Astrophysics):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물리적 대상(별, 행성, 은하, 블랙홀 등)의 생성·진화·구조·운동을 물리학 법칙으로 설명하는 분야. 천체물리학은 우주를 다루는데 그 안에는 기본입자, 원자핵, 원자와 분자, 그리고 별이나 은하 등 응집물질도 있다. 따라서 천체물리학은 입자물리부터 응집물질물리까지 전체의 종합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 지구물리학 (Geophysics): 지구 내부와 외부의 물리적 과정을 다룬다. 지구물리학은 많은 경우에 분자와 응집물질물리에 가깝다.지진파, 자기장, 중력장, 대기와 해양의 유체역학, 그리고 플레이트 운동 등도 포함되며, 지질학, 기후과학, 환경과학과 연계된다.
5. 기타
* 양자정보 및 양자컴퓨팅 (Quantum Information & Computing): 정보를 물리량으로 정의하고, 양자역학의 성질(얽힘, 중첩 등)을 활용하여 계산, 암호화, 통신 문제를 새롭게 접근하는 분야. 큐비트, 양자 얽힘, 양자 터널링 등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 컴퓨테이셔널 물리학 (Computational Physics): 실험이나 수학적 해석이 어려운 복잡한 물리계에 대해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수치 해석을 통해 연구하는 분야. 기후 모델링, 유체역학, 분자동역학, 양자계산 등에서 활용된다.
* 우주론 (Cosmology): 우주의 기원, 진화, 구조, 미래에 관한 이론을 다루며, 양자장론, 일반상대론, 암흑물질·에너지 등과 깊이 연결된다.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복사, 인플레이션 이론 등이 주요 주제다.

이상에서 보듯이 물리학은 가장 작고 복합적인 미시 세계(기본입자, 양자 상태, 분자, 세포 등)부터 가장 거대하고 추상적인 거시 세계(별, 은하, 에너지, 장, 우주 전체)까지를 포괄하는 드문 학문이다. 이처럼 전 우주적 스케일에서 작동하는 통일된 법칙을 추구하고, 모든 현상을 수학적 언어로 정식화하려는 물리학의 성격은, 단지 자연과학의 한 분야에 그치지 않고 다른 모든 학문 분야의 이론적 프레임워크로서도 기능하게 만든다. 물리학은 존재론적 구조와 인식론적 전제를 동시에 내포하는 이론 체계로서, 생물학·화학은 물론 심리학·사회학, 심지어 언어학과 철학적 탐구에도 중요한 기반을 제공한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물리학은 '자연의 근본 법칙'을 탐구하는 학문이자, 다른 모든 학문이 자신을 정립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이고 근원적인 인식 도구로 간주된다.

5.4. 고전물리학과 현대물리학

물리학은 크게 고전물리학(classical physics)과 현대물리학(modern physics)으로 구분된다. 고전물리학은 17세기 뉴턴의 고전역학을 기점으로 정립되기 시작하여, 19세기 말까지 발전한 전자기학, 열역학, 광학, 파동론 등을 포함한다. 이 시기의 물리학은 결정론적 세계관과 연속적인 공간과 시간, 그리고 측정 가능한 물리량의 정확한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물질과 에너지, 운동과 힘에 관한 보편 법칙을 정립하려는 시도였다. 고전물리학은 일상적인 조건, 즉 낮은 속도, 큰 질량, 작은 에너지 스케일에서는 매우 정교하고 강력한 설명력을 발휘하며, 현대에 이르러서도 여전히 대부분의 기술과 공학의 기초가 된다.

반면 현대물리학은 20세기 초 상대성 이론양자역학의 도입을 기점으로 시작된다. 이 새로운 물리학은 고전물리학이 설명하지 못했던 고속, 고밀도, 고에너지, 초소형 세계의 현상들, 예를 들어 광속에 근접한 입자의 운동, 전자의 이중성, 불확정성, 핵 반응, 미세한 에너지 준위 변화 등을 다루기 위해 등장하였다. 현대물리학은 시간과 공간의 상대성, 입자의 파동성, 측정의 비결정성, 확률적 기술, 에너지와 질량의 동등성 등의 개념을 포함하며, 기존의 고전적 직관을 넘어서는 세계관을 제시한다. 현대물리학은 이후 양자장론, 표준 모형, 우주론, 고체물리학 등으로 확장되며, 물질의 근본 구조와 우주의 기원에 대한 탐구로 나아가고 있다.

5.5. 기초물리학과 응용물리학

기초물리학(fundamental physics)은 자연계의 보편적인 법칙과 근본 원리를 탐구하는 물리학의 이론적 분야이다. 주된 목적은 자연 현상을 지배하는 가장 기본적인 개념과 수학적 구조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현상을 정합적이고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고전역학, 전자기학, 열역학, 양자역학, 상대성 이론, 장이론, 통계역학 등은 모두 기초물리학의 대표적인 분야로, 상기한 이론물리학과 실험물리학을 포괄하는 물리학 내부의 기초과학 영역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기초물리학은 응용 가능성과 무관하게 이론의 정합성과 보편성 자체를 중심으로 전개되며, 이론의 수준에서 미지의 현상을 예측하거나, 기존 이론의 한계를 극복하며 이를 실험적으로 증명하는 시도를 포함한다. 예컨데 중력파, 힉스 보손, 블랙홀 열복사 등은 이론적으로 먼저 예측된 후 실험적으로 검증된 대표적인 사례이다.

응용물리학(applied physics)은 기초물리학에서 정립된 원리와 이론을 실용적 맥락에서 응용하고, 현실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는 물리학의 실천적 분야이다. 공학, 재료과학, 의학, 생명과학, 정보과학 등 다양한 분야와 융합되어 연구되며, 사실상 공학같은 응용과학의 일환으로 간주되는 것에 가깝다.

응용물리학은 반도체 소자, 나노기술, 광학 및 레이저 기술, 에너지 시스템, 진단 영상, 양자정보처리 등 다양한 기술 영역에 기여하며, 실험적 방법론과 기술적 개발이 중심이 된다. 대표적인 응용 분야로는 전자공학, 고체물리학, 광학, 의학물리학, 양자컴퓨팅 등이 있다.

다만 기초물리학과 응용물리학은 서로 뚜렷하게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연속적인 스펙트럼으로 존재하며, 많은 경우 두 영역이 중첩된다. 기초이론에서 파생된 개념이 수십 년 후 응용으로 이어지기도 하며, 실용적 요구로부터 새로운 이론이 유도되기도 한다. 이러한 흐름은 비단 물리학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다른 자연과학 분야들도 마찬가지로 기초 연구와 응용 연구가 긴밀하게 맞물려 발전해왔다. 실제로 현대의 주요 과학기술은 대부분 이 '기초'와 '응용'이라는 두 영역의 유기적인 상호작용 속에서 탄생하고 진화하고 있다.

나아가 현대에는 물리학과 공학이 밀접하게 연결되는 것을 넘어, 화학물리학, 생물물리학, 지구물리학과 같은 분과에서는 물리학의 이론과 방법론을 바탕으로 다른 기초과학들을 보다 정합적이고 일관된 체계로 통합하려는 흐름도 두드러진다. 이러한 융합적 흐름 속에서는 기초물리학과 응용물리학이 모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이론적 기반과 실용적 응용이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한다.

기초물리학은 타 분야에 정합성과 이론적 통일성을 제공하고, 응용물리학은 이를 다른 분야의 실제 기술이나 현상 분석에 연결함으로써 융합 과학의 실질적인 진전을 이끈다.이러한 경향은 학문 간 경계를 허물고, 자연 현상에 대한 설명력을 높이기 위한 물리학 중심의 융합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6.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물리학/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물리학/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물리학/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현대적 의미의 물리학은 19세기 중엽에 이르러 운동, 빛, 소리, 전기, 자기, 열, 물질의 물리적 성질 등 여러 오래된 과학 분야를 종합하여 하나의 체계로 형성되었다. 근대 이전의 과학은 지금처럼 세분되지 않았으며, 이른바 자연학(퓌시케)이라는 이름 아래 자연에 관한 모든 현상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학문이었다.

17세기 과학혁명 이후, 자연에 대한 탐구는 고대부터 근대 초까지 이르는 자연철학이라는 포괄적 전통에서 점차 수학화되고 실험 중심의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 아이작 뉴턴, 로버트 훅, 하위헌스 등의 과학자들은 자연 현상을 수학적으로 정식화하고, 반복 가능한 실험을 통해 이를 검증하는 방법론을 정립하며, 이론과 실험을 통합하는 근대 과학의 틀을 세웠다.

이 과정에서 운동, 빛, 음향, 열, 전기, 자기, 물질의 물리적 성질 등을 다루는 여러 학문적 흐름이 발전하였고, 18세기~19세기 초에 이르러 이러한 분야들이 점차 하나의 통합된 학문 체계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19세기 중반에 이르러서는 이들을 묶는 개념으로서 물리학(physics)이라는 용어가 일반화되었으며, 전자기학의 발전과 더불어 고전 물리학의 핵심 영역들이 정립되었다.

또한, 1840년에는 윌리엄 휘웰(William Whewell)이 'physicist(물리학자)'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함으로써, 자연철학자에서 분리된 새로운 전문 직능으로서의 물리학자의 정체성이 자리 잡기 시작했다. 이후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양자역학과 상대성 이론, 통계역학 등의 발전을 통해 현대 물리학의 틀이 형성되었다.

6.1. 자연학(목적론적 자연관)

인류는 오래전부터 자신들이 살고 있는 세계, 곧 자연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을 품어왔다. "만물은 무엇으로 이루어졌는가?", "자연 현상은 왜, 어떻게 일어나는가?"와 같은 질문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다양한 사유 전통 속에서 반복되어 왔다. 고대 도교는 세계를 '도(道)'라는 원리로 설명하였고, 힌두교는 윤회와 '업(業)'의 개념을 통해 자연과 인간 존재의 반복성을 해석했다. 이집트 문명은 태양, 나일강, 사자(死者)의 땅과 같은 자연적 요소에 신성을 부여하며 세계를 이해하려 했다.

이중에서, 고대 그리스에서는 자연을 단순히 외부에서 관찰되는 대상이 아니라, 신들의 작용과 상호작용이 구체화된 세계로 이해하였다. 즉, 바람, 번개, 강, 태양과 같은 자연 요소들은 각각 특정한 신과 연결되어 있었고, 이 신들은 인간처럼 의지와 성격을 지닌 개별적 존재로서 서로 관계성을 맺는 존재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단순한 신앙을 넘어서, 자연 현상 간의 관계 구조를 기술하려는 시도, 즉 '현상-관계의 통합적 사고'의 기원으로 이어졌고, 이것이 곧 '자연철학'이라는 서구 특유의 철학적·합리적 사유의 출발점이 되었다.

특히 고대 그리스의 자연철학자들은 신화를 넘어서 이러한 관계들을 논리적 언어와 개념적 체계로 설명하려는 시도를 통해, 자연을 구성하는 근본 요소들과 그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시작했다. 이는 훗날 물리학에서의 상호작용(힘) 개념이나, 화학에서의 결합, 반응 메커니즘과 같은 사유의 뿌리라고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물리학과 화학이 근대의 원자론에 이르기 전까지 한동안은 꽤 다른 방향으로 발달하긴 했지만, 자연 현상을 관계적으로 바라보는 자연철학적 인식은 두 학문 모두의 공통된 철학적 뿌리라 할 수 있다.

즉, 근대 과학의 사유 기반이 된 자연철학은 그 뿌리를 고대 그리스의 자연학(퓌시케)에 두고 있다. 자연학은 신화적 설명에서 벗어나, 자연 세계의 원리와 구조를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설명하려는 최초의 시도였으며, 탈레스, 아낙시만드로스, 데모크리토스, 아리스토텔레스 등 고대 철학자들의 사유를 통해 발전했다. 이들은 만물을 이루는 근본 요소, 운동의 원인, 변화의 법칙 등을 탐구하며, 자연에 내재된 질서와 이치를 찾으려 했다.

자연학의 가장 큰 특징은 목적론적 자연관에 기초한다는 점이다. 이는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과 운동이 고유한 목적(텔로스)을 지니며, 변화는 그 목적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이라는 관점이다. 특히 이 흐름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인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현상을 설명할 때 형상인·질료인·작용인·목적인이라는 네 가지 인과론을 사용했는데, 이 중 목적인(teleological cause)은 자연학이 단순히 현상을 기술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현상이 왜 그러한 방향으로 존재해야 하는지를 설명하려는 철학적 성격을 지녔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목적론은 생명현상뿐 아니라 무생물 세계에도 적용되었으며, 이는 자연을 의미 있는 질서와 방향성을 지닌 전체로 바라보는 고대적 사유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물리학에 따르면, 물체는 외부에서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스스로 운동을 지속하지 못하고 결국 정지하며, 모든 물질은 그 안에 내재된 고유한 목적에 따라 움직여 정해진 종착지에 이른다고 보았다. 천체는 완전한 영역으로 간주되었고, 그 운동은 시작도 끝도 없는 영원한 원운동이 자연스러운 상태로 여겨졌다.

이와 같은 관점은 오늘날 기준에서는 틀린 설명이지만, 그 당대에는 마찰력이나 공기 저항, 또한 특히 관성에 대한 개념이 없었기에 당대의 목적론적 세계관에서는 상당히 정합적인 논리적 설득력을 갖춘 이론이었다. 이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관은 후대에 일시적으로 잊히기도 했으나, 중세를 지나면서 스콜라 철학을 통해 복원되어 르네상스 이전까지 유럽 자연철학의 주류적 세계관으로 자리잡았다.

비록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관이 근대 과학과는 여러 면에서 충돌하지만, 그의 사유 체계와 방법론은 후대 과학자들에게 많은 아이디어를 제공하였다. 그는 자연 현상을 설명함에 있어 논리적 구조화, 원인에 대한 체계적 분류(형상인, 질료인, 작용인, 목적인), 그리고 실재에 대한 철학적 정의를 통해 사변에 머물던 자연 탐구를 이론적 체계로 끌어올렸다.

이러한 분석적 접근은 비록 실험적 방법론이나 수학적 정량화는 부족했지만, 후세의 과학자들이 '자연에는 근거가 있다'는 가정 하에 인과를 찾고 논리를 구성하는 방식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예컨대, 아이작 뉴턴은 아리스토텔레스와 반대되는 입장을 취하면서도, 물리 세계를 일관된 원리로 설명할 수 있다는 철학적 확신은 일정 부분 아리스토텔레스적 유산에서 기원한 것이며, 르네 데카르트, 라이프니츠 등도 그 체계적 사고와 개념 분류에서 영향을 받았다.

즉, 아리스토텔레스는 근대 과학자들이 비판하고 극복해야 했던 대상이면서도, 동시에 그들이 과학의 토대를 쌓기 위해 의존한 철학적·논리학적 원천이었다고 볼 수 있다.

6.2. 기계론적 자연관

르네상스 이후,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초, 최초로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으로서 관성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이 시기의 대표적인 사상가인 르네 데카르트갈릴레오 갈릴레이는, 기존의 아리스토텔레스 물리학에서 벗어나 운동과 힘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이 두 학자는 고대 자연철학과 근대 과학 사이의 전환점을 이룬 대표적인 사상가들이며, 이들은 자연에 대한 인식을 형이상학적·목적론적 설명에서 수학적·기계론적 해석으로 이끌었다.

데카르트는 물체가 외부로부터 방해를 받지 않으면 직선 경로로 계속 움직인다고 보았으며, 이는 "천체 운동이 본질적으로 원운동이 아니라 직선 운동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초기 관성 개념에 대한 해석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데카르트는 여전히 천체의 원운동을 설명하기 위해 새로운 가설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는 이 운동이 어떤 외부의 힘에 의해 유지된다고 생각했지만, 그 힘이 '안쪽으로 잡아당기는 힘(구심력)'이라는 개념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대신 그는 우주 공간이 '에테르(ether)'라는 미세한 물질로 가득 차 있으며, 이 에테르가 만들어내는 소용돌이(vortex) 운동에 의해 행성들이 원운동을 한다고 보았다. 이 가설은 후에 뉴턴의 중력 개념이 등장하면서 대체되지만, 당시로서는 기존 자연철학을 극복하려는 초기 근대 과학의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반면,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데카르트처럼 순전히 사고실험에만 의존하지 않고, 실제 실험 결과와 수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자연의 법칙을 탐구하였다. 그는 실험과 관찰을 통해 진자의 주기는 진폭의 크기와 무관하게 일정하다는 사실을 밝혀냈으며[9], 이러한 반복성과 수학적 패턴 속에서 물리 법칙의 보편성을 추론하고자 했다. 또한, 그는 무한히 미끄러운 평면이라는 이상화된 상황을 상정하여, 마찰이 없는 조건에서는 물체가 외부 힘 없이도 지속적으로 운동하며, 오히려 운동을 멈추게 하려면 힘이 가해져야 한다는 관성을 개념적으로 정식화해냈다. 이는 훗날 아이작 뉴턴이 '운동 제1법칙'으로 명문화한 '관성의 법칙'의 선구적 형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갈릴레이 역시 운동에 대한 해석에서 고대적 요소를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했다. 그는 직선 운동이 자연 상태의 운동이라는 인식을 가지면서도, 우주 전체의 질서와 조화는 결국 원운동을 통해 성립한다는 관점을 유지했고, 직선운동도 궁극적으로는 원운동으로 환원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점은 아리스토텔레스적 자연철학의 우주론적 잔재가 갈릴레이의 사유 속에도 여전히 남아 있었음을 보여준다.

6.3. 뉴턴역학

그리고 아이작 뉴턴이 나타났다. 그는 지상에 흩어져 있는 물리학 지식의 파편들을 모아 세 가지 법칙을 만들었다. 뉴턴은 지금까지의 모든 관찰 결과들이 이 세 가지 법칙을 만족한다는 사실을 깨달았고, 이를 프린키피아 세 권에 담았다. 그의 방법을 이용하면 물체의 초기 조건을 아는 경우 그 후 물체가 어떻게 운동할 것인지를 알아낼 수 있다. 하지만 단점이 하나 있는데, 물체가 왜 그렇게 운동하는지를 모른다는 사실이다. 뉴턴 자신도 이를 인정했으며, 그는 물체가 왜 이렇게 운동하는지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고 단지 이렇게 계산하면 결과가 실제와 정확하게 일치한다는 것을 보였다. 이렇게 고전역학이 탄생하였으며 뉴턴 이전에 철학의 한 부분이었던 물리학을 뉴턴 이후에는 수학을 언어로 사용하며 인간이 이를 쉽게 다룰 수 있게 했다. 그러나 이 수학의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문제는 쉽게 풀 수 있다.

6.4. 고전역학

뉴턴이 고전역학을 시작해서 마무리 짓고, 광학을 개발했다. 이는 곧 자연을 탐구하는 모든 학문과 계몽사조에까지 거대한 영향을 미쳤다. 곧 많은 철학 분야에서 뉴턴주의를 지향, 뉴턴의 방법론을 시도해 보기 시작했으며, 심지어는 다른 과학분야들 역시 뉴턴의 계량적 사조에 큰 영향을 받았다. 그 뒤로 열역학이라는, 뚜렷이 고전 역학과 다른 신묘한 분야가 개발되기 시작했고, '칼로릭 이론'이라는 틀린 이론을 통해 시행착오를 겪은 뒤 카르노의 원리 등을 시작으로 에서도 제대로 된 물리학적 고찰이 이어지기 시작했다. 이는 열역학 제1법칙과 열역학 제2법칙을 통해 정량적인 열역학 개념을 완성해 나갔다. 고전역학이라는 수학분야, 광학이라는 실험분야와 함께 열역학이라는 또 하나의 물리학 분야가 탄생한 것이다.

열역학이 탄생한 뒤는 물리학에는 당시만 해도 다른 학문으로 취급받았던 두 가지 다른 분야가 탄생했다. 하나는 고전역학으로 완전한 수학화가 이루어져 연구가 끝나가던 수학분야. 또 하나는 열, 빛, 자기, 전기 같은 산만한 지식에 대한 단편적인 실험을 통한 학문이었으며, 그마저도 실험과학이라고 부르기 애처로운 수준이었다고 한다. 전혀 달라 보였던 두 학문은 수학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하나라는 인식을 가지게 되었으며, 특히 에너지라는, '본질적으로 같은 의미'라는 생각을 할 수 있게 만들어준 개념이 큰 역할을 했다고 한다. 전자기학 역시 맥스웰이 전자기학을 확립하며 물리학계는 침체기를 맞았다. 더 이상 딱히 할 게 없다! 지구상의 모든 연상 가능한 경우에 대하여 지금까지 발전되온 법칙들을 쓰면 돌의 충돌부터 지구의 공전까지 설명되지 않는 것이 없다. 19세기의 물리학자였던 앨버트 마이컬슨은 "이제 물리학자들이 할 일은 소수점 아래 자리를 늘리는 것입니다"라는 말을 남겼다. 인간은 드디어 자연을 발아래에 둔 것인가? 하지만 얼마 안 가 지상 최강의 정모가 열렸고, 물리학은 헬게이트를 맞이하게 된다.

6.5. 상대성이론

그리고 19세기 프로이센.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은 끝났지만 아직도 과학기술의 주도권은 프랑스에게 있었다. 그러나 알자스 로렌도 먹었겠다, 독일 제국의 황제는 철강산업을 포함한 모든 산업기강을 발전시키려고 했다. 그가 과학자들에게 가장 처음 명한 것은 "저 망할 용광로의 온도를 어떻게 재는가?"에 대한 답. 물리학자들이 내놓은 대답은 쉬웠다. 온도계를 못 넣는다고? 그럼 스펙트럼을 측정하면 되지. 이 대답과 함께 과학자들은 흑체가 내놓는 스펙트럼과 온도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한다.

문제는 흑체에서 시작되었다. 흑체가 방출하는 빛을 파장에 대하여 줄세우면, 고전물리학에 따르면 파장이 짧아질수록 그 양이 무한대로 치솟아야 한다. 이건 애초에 결론 자체가 비현실적인 데다[10], 실제 실험값은 파장이 길 때는 잘 맞지만, 짧을 때는 오히려 더 0에 근접해간다! 물리학의 모토가 무엇인가? "틀리다고 증명될 때까지 잠정적으로 옳다고 믿는다." 이제 그 믿음을 깨야 할 때가 온 것이었다.

막스 플랑크는 이 현상을 양자라는 개념의 도입으로 설명해냈다. 에너지가 양자화 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그래프를 그려보니 실험결과와 일치했다. 근데 뭐? 에너지가 연속적이지 않다고? 플랑크 자신도 그 결과를 인정하지 못했다고 한다.

한편, 맥스웰은 자신이 정리해서 발표한 4개 방정식으로부터 빈 공간에서의 전자기 유도에 의한 결과물이 파동이고, 그 속도가 [math(1/\sqrt{\epsilon_0 \mu_0})] 로써 알려진 빛의 속도와 일치한다는 것을 알게 되고, 빛의 본질이 전자기파라는 것을 밝혀낸다. 또한, 하위헌스를 비롯한 과학자들은 빛이 회절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으며, 빛은 파동이라고 믿게 된다. 그런데, 아인슈타인이 광전효과에 관한 논문을 제출함으로써 빛이 입자라는 사실을 입증해냈다. 그 뒤에 이어지는 수많은 물리학자들의 밤샘연구를 딛고 결국 빛은 파동성과 입자성을 동시에 지닌다는 사실로서 인정이 된다.

이 파동성을 지니기 때문에 그 당시 이론으로는 분명 우주는 진공이 아니라 다른 물질로 채워져 있어야만 했다. 따라서 지구의 자전/공전방향을 생각했을 때 빛의 속도는 측정하는 방향에 따라 분명 차이가 날 것이라고 생각했다.[11] 이를 생각한 것이 마이컬슨과 몰리였고, 유명한 뮤츠의 실험[12]을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했지만, 결국 빛의 속도가 항상 일정한 것으로 보아 지구와 태양 사이는 진공이고, 에테르가 없다는 결론을 얻는다.[13] 이때, 아인슈타인은 이 실험 결과를 통해 새로운 해석을 하게 되는데, 이것이 특수상대성 이론의 시발점이다. 아인슈타인은 '빛의 속도는 진공에서 어느 관성계에서나 c다', "물리법칙은 모든 관성계에서 동일하다"라는 두 가지 가정을 통하여 특수상대성 이론을 발표한다. 또 이를 발전시켜 '중력질량관성질량이 같지 않은 예외가 하나도 없으니 우리 그냥 같다고 보자'라는 가정으로 일반상대성 이론을 발표한다. 자세한 내용은 상대성 이론 참조.

6.6. 양자역학

후에, 루이 드 브로이는 "어 그러면 입자도 파동이겠네?" 하고(물론 식 유도도 하고 논문도 썼다.) 입자의 파동성을 제안한다.[14] 그리고 실제로 전자도 회절무늬가 생겼다. 결국 물질은 분자, 이온이 무극성분자와 이온결합 사이의 어떠한 상태이듯이 입자와 파동 사이의 어떠한 상태라고 결론짓게 된다. 특히 입자 중에서 질량이 작은 전자는 파동의 성질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보어는 이 사실을 이용하여 '전자의 각운동량이 양자화되어 있다(또는 정상파조건을 만족해 에너지 손실이 없다)'라는 가정을 바탕으로 수소원자의 선스펙트럼을 정확하게 설명해낸다. 특별히 유도해낸 결과가 아니라 '이렇게 될 것이다'라는 가정에서 출발하여 얻은 실험적 결과다.

에르빈 슈뢰딩거는 드브로이의 의견에 따라 전자를 파동으로 다루어 파동함수라는 새로운 함수를 도입, 파동함수를 구하는 방정식을 유도해냈다.[15] 이것이 슈뢰딩거 방정식이다. 그러나 슈뢰딩거의 의도와는 다르게 이 파동함수가 의미하는 것이 있었다. 막스 보른은 파동함수를 확률함수라고 새로운 해석을 하였고, 파동함수가 각각의 에너지 상태에 존재하는 전자가 있을 수 있는 확률밀도함수를 의미한다고 생각하였다. 그 후 파동함수의 절댓값의 제곱(참고로 파동함수는 복소수다.)이 입자가 그 위치에 존재할 확률밀도함수라는 코펜하겐 해석을 받아들였고, 운동량연산자와 위치연산자를 들이대는 순서에 따라('측정하는 순서에 따라'로써 해석이 가능하다.) 결과가 달라지는 것을 보고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불확정성 원리가 발표되었다.[16] 그 후에 폴 디랙이 특수상대론과 양자역학을 결합해 디랙 방정식을 만들었다. 하이젠베르그의 행렬을 이용한 해석법[17]과 슈뢰딩거의 파동함수를 이용한 해석법을 정리하여 양자역학이라는 이론으로 정리됐다.

6.7. 현대물리학

현대물리학은 소립자와 그 소립자 간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표준 모형과 중력을 상대론적으로 기술하는 일반 상대성 이론이 토대를 구성하고 있다. 표준 모형은 상대론적 양자장론으로 기술되는데 미시적인 현상을 다루는 데 효과적이나 중력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18] 일반상대론은 양자역학적이지 않은 고전적인 이론으로 거시적인 중력현상을 잘 설명하여 작게는 GPS 위성 신호의 중력편이에서부터 크게는 우주론에까지 응용된다.

물리학자들은 두 토대를 따로 적용하거나 제한적인 조건에서 적당히 결합하는 것으로 아주 잘 맞는 결과들을 얻어왔다. 그러나 이 둘을 동시에 제대로 적용하는 방법, 즉 양자역학적인 중력이론인 양자중력이론은 아직 없다. 따라서 이 둘을 동시에 제대로 적용해야하는 블랙홀의 특이점이나 우주론에서 거론되는 빅뱅 직후의 우주 같은 극단적인 고에너지 미시현상들은 아직 제대로 연구 할 수가 없다. 양자중력 이론의 부재는 물리학의 최종 목표인 "하나의 이론체계로 최대한 많은 것을 설명하는 것"에 이르는 길목에 자리한 거대한 장애물이라 할 수 있다.

쉽게 생각 할 수 있는 접근 방법은 중력을 잘 알려진 양자장론의 체계로 기술하는 것인데 이를 시도하면 재규격화가 불가능한 이론이라 현재로선 이 이론을 이용하여 의미있는 값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물리학자들은 다른 방법을 시도해왔다. 이 시도들 중 비교적 잘 알려진 것이 초끈 이론이니 루프 양자 중력 이론이니 하는 것들이다. 양자중력 문제외에도 암흑 물질이나 암흑에너지에 대한 이론을 찾는 것 역시 현대 물리학의 주요 과제다. 또한, 천문학에는 물리학이 설명하지 못하는 미스테리가 남아있으며, 암흑물질이나 암흑에너지의 발견을 비롯하여, 코로나 문제 같이 아직 완전히 풀리지 않은 문제가 산재해 있다.

한편 이처럼 아직 확립되지 않은 새로운 이론을 연구를 하는 건 전체 물리학자들 중에서는 소수이고, 다수의 물리학자들은 이미 확립된 이론을 이용해 알려진(혹은 관측된) 현상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새로운 현상을 예측 및 발견하는 연구를 한다. 그런데 이건 지극히 자연스러운 모습이다. 과학철학자이자 물리학 박사인 토마스 쿤이 얘기했듯이, 원래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과학자 사회에 어떤 패러다임[19]이 정착된 이후에는 그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각종 문제를 푸는 활동[20]에 종사하는 사람들이지,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으려는 사람들이 아니다. 다만 문제풀이 활동 중, 기존 패러다임으로는 도저히 풀리지 않는 현상이 발견됐을 때[21], 비로소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으려는 소수의 사람들[22]이 등장하고, 그 시도가 성공하면 소위 과학혁명(패러다임 시프트)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물리학자들 대부분이 새로운 이론(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드는 연구보다는 기존 이론(현재의 패러다임)을 가지고 각종 현상을 예측 및 설명하는 연구에 종사하는 것은 토마스 쿤의 설명에 의하면 지극히 자연스러운 모습이다.

현대에 와서는 물리학의 방법론이나 물리학적 사고방식이 전통적인 자연과학이 아닌 분야에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미시와 거시영역 중간에 걸쳐있고 많은 입자를 통계적으로 다루며 이전의 열역학을 확장한 분야인 통계역학에서 나온 엔트로피 개념이 정보이론에 연결되며 빅 데이터 프로세싱이나 네트워크 구성, 파일 압축이론 등에도 사용된다. 이런 걸 제외하더라도 현재 양자역학의 표준 해석이 확률론적이기 때문에 직접은 아니더라도 연관될 수밖에 없다.

어떻게 보면 아이러니하지만 세계에 대한 이해 방식으로서의 물리학은 형이상학(존재론)적 질문의 토대가 된다. 이론 자체가 갖는 의미에 대해서도 탐구가 필요하며, 이 부분은 과학철학이지만 일부 물리학 전공 교수들은 부전공으로 이쪽을 파기도 한다. 양자역학의 그 말할 수 없는 모호함과 이것이 가져오는 현실의 의미에 대한 혼란은 철학적으로도 아주 좋은 연구 주제가 된다.

7. 다른 학문들과의 관계

7.1. 수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물리학-수학 관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물리학-수학 관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물리학-수학 관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그래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그래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그래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벡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벡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벡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물리학과 수학의 관계는 물리학이 수학을 도구로 응용하는 수준을 넘어, 서로의 언어와 개념 체계를 본질적으로 공유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고전물리학에서는 수학이 자연 현상을 기술하는 표현 수단으로 사용되었지만, 현대물리학에서는 이보다 훨씬 더 밀접한 관계가 형성되었다. 특히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 이후, 복잡한 수학적 구조 없이 물리학 이론을 정식화하거나 이해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었으며, 물리학자들은 고차원 기하학, 위상수학, 군론, 함수해석학 등과 같은 고도화된 수학 이론을 바탕으로 자신의 사유를 이론적으로 구조화한다. 반대로, 수학의 여러 순수 분야 역시 물리학 이론에서 유래한 개념들로부터 깊은 영감을 받아 왔으며, 이는 수학의 근본적인 사유 범주를 확장시키거나 전혀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크게 기여해 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대의 이론물리학자와 수학자는 사실상 동일한 언어로 사유하며, 두 분야는 실질적으로 분리되지 않는 하나의 인식 체계를 공유한다고 볼 수 있다.

7.2. 화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자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원자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원자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물리학과 화학은 근대 과학의 발전 과정에서 긴밀히 얽혀 왔으며, 특히 원자론의 정립 이후에는 거의 분리 불가능한 관계로 발전해왔다. 본래 화학은 실험 중심의 경험과학으로 출발했으며, 물질의 조성, 반응, 변화를 관찰하고 체계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반면 물리학은 보다 근본적인 자연 법칙과 힘의 원리를 수학적으로 정식화하는 이론 중심의 학문이었다. 이 둘은 한때 명확히 다른 학문으로 인식되었으나, 19세기 말~20세기 초에 이르러 상황은 근본적으로 바뀌게 된다.

가장 결정적인 전환점은 원자론의 정립이다. 존 돌턴이 현대적 원자론을 제안한 이후, 모든 물질이 원자로 이루어졌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화학은 더 이상 물질의 성질만을 경험적으로 분류하는 학문이 아니라, 그 미시 구조와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이론과 연동되어야 하는 과학이 되었다. 그리고 그 '원자'라는 개념을 가장 근본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할 수 있는 도구는 물리학이었다. 이후 맥스웰, 볼츠만, 플랑크, 보어, 하이젠베르크, 슈뢰딩거, 파울리, 디랙 등 물리학자들이 원자 내부 구조와 전자의 운동, 에너지 준위, 결합과 반응의 양자적 메커니즘을 밝혀냄으로써, 화학의 기초는 점차 물리학의 수학적 언어와 이론 체계 속으로 편입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통합의 흐름 속에서 탄생한 것이 바로 물리화학(physical chemistry)이다. 물리화학은 화학 반응의 속도, 평형, 열역학, 분광학, 양자역학적 해석 등을 다루며, 본질적으로는 물리학의 방법과 수학적 도구를 화학 현상에 적용하는 분야다. 더 나아가, 양자화학(quantum chemistry)은 분자 오비탈 이론과 같은 전자 구조 이론을 통해, 화학 결합과 반응성을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 현대 화학의 핵심적인 수많은 이론, 예컨대 분자동역학, 밀도범함수 이론(DFT), 반응 경로 해석은 모두 물리학에서 유래한 개념과 수학적 형식을 전제로 한다.

물론 화학에는 여전히 고유한 방법론과 시각이 존재한다. 특히 합성화학, 분석화학, 유기화학, 생화학 등은 물리학으로 환원되지 않는 창의적 조합과 실험 기술, 현상적 분류가 중심이 되는 영역이다. 그러나 화학이 그 이론적 기반을 보다 깊이 파고들수록, 그 종착지는 결국 물리화학,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물리학과 접합하게 된다.

결국 두 학문은 각기 다른 관점과 기술을 가지고 출발했지만, 현대 과학에서는 서로를 보완하며 이론과 실험, 근본 원리와 응용 기술의 다리를 놓는 동반자가 되었다. 물리학이 화학에 이론적 골격과 정량적 도구를 제공한다면, 화학은 물리학이 예측한 개념들을 실질적 물질 세계에서 검증하고 응용하는 실험적 토대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7.3. 천문학

물리학과 천문학은 역사적으로 깊이 얽혀 있으며, 오늘날에도 긴밀하게 상호 융합된 학문 영역으로 여겨진다. 고대에는 하늘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예측하는 활동이 자연 현상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의 토대였으며, 이는 곧 천문학이 자연철학의 일부로 간주되던 시절이었다. 그러나 근대 이후 물리학의 정립과 함께, 천문학은 점차 관측 중심의 기술적 학문에서 물리 법칙을 적용하는 과학적 학문으로 변모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물리학과 천문학은 서로 분화되면서도 동시에 통합되어 갔다.

아이작 뉴턴의 고전역학과 만유인력 법칙은 행성의 운동, 조석(밀물과 썰물), 혜성의 궤도 등을 설명하며 천문학에 물리학적 해석틀을 부여했다. 케플러의 법칙이 기술적으로 정리한 행성 운동을, 뉴턴은 중력과 운동의 법칙을 통해 원인과 원리로 해석한 것이다. 이 시점부터 천문학은 단순히 천체의 위치를 기록하는 기술이 아니라, 자연 법칙을 우주에 적용하는 과학으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20세기 들어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이 등장하면서, 천문학은 더욱 깊이 있는 이론적 분석을 필요로 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천체물리학(astrophysics)이라는 통합 분과가 형성되었다. 천체물리학은 물리학의 다양한 하위 이론(열역학, 전자기학, 양자역학, 핵물리학, 상대성 이론 등)을 사용하여 항성의 내부 구조, 은하의 형성, 우주의 진화 같은 주제를 다룬다. 예컨대 별의 에너지 생성 메커니즘은 양자역학적 터널링과 핵융합 반응에 의해 설명되며, 블랙홀의 구조는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해 해석된다.

현대 천문학은 단순 관측을 넘어 정량적 측정, 수학적 모델링,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을 포함하며, 물리학의 연구 방법론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 특히 천체의 질량, 속도, 조성 등은 분광학과 도플러 효과 같은 물리학적 기법으로 분석되며,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CMB) 같은 관측은 열역학과 양자장론, 우주론적 인플레이션 이론 등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천문학 역시 물리학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우주 공간은 극한의 조건(초고온, 초고압, 초고속, 극미량의 밀도 등)을 제공하기 때문에, 실험실에서 구현할 수 없는 물리 조건을 자연 실험실로 삼아 물리학 이론의 검증에 활용된다. 예를 들어, 중력파의 검출은 일반 상대성 이론의 정밀한 검증이며,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 문제는 입자물리학과 우주론의 경계를 다시 설정하게 만들고 있다. 오늘날 천문학과 물리학은 다음과 같은 접점에서 융합된다:
  • 천체물리학 (Astrophysics): 우주의 구조와 천체의 물리적 성질 연구
  • 우주론 (Cosmology): 우주의 기원과 진화, 암흑물질·암흑에너지 등 근본 문제
  • 우주입자물리 (Astroparticle Physics): 중성미자, 우주선, 감마선 폭발 등
  • 중력파 천문학: 시공간의 진동을 통한 물리 법칙 검증
  • 계산천체물리학: 시뮬레이션을 통한 천체·우주 모델링

즉, 천문학은 '하늘을 관측하는 기술'에 머물지 않으며, 그것은 물리학의 이론을 우주에 적용하는 가장 거대한 실험장이며, 물리학은 천문학을 통해 인간 인식의 경계를 우주적 규모로 확장시켜왔다. 결론적으로, 물리학이 천문학의 뼈대를 제공하고, 천문학은 물리학의 가설을 검증하는 우주적 실험실로 기능하며, 두 학문은 하나의 거대한 인식 구조 속에서 상호보완적으로 진화해왔다고 볼 수 있다.

7.4. 사회과학

물리학은 자연현상의 보편적 법칙을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전통적으로는 자연과학의 중심에 위치해왔지만, 그 영향력은 자연계에 국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물리학은 일반인들의 인식과는 다르게 굉장히 의외로, 사회과학을 포함한 광범위한 학문 영역에 중요한 이론적 기반과 분석 도구를 제공해왔다. 특히 20세기 이후 수학적 형식화와 체계적인 모형 구축을 통해 현상 일반을 구조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가 학제 간에 확산되면서, 물리학의 사유 방식은 사회과학의 분석 방법론에도 깊숙이 스며들었다.

대표적인 예는 통계물리학에서 비롯된 개념들이 사회학, 경제학, 심리학 등으로 확장된 경우다. 많은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이 집단 수준에서 새로운 패턴과 질서를 만들어내는 현상은 물리학적으로는 열역학적 거시상태로 설명되며, 사회과학에서는 군중 행동, 시장 균형, 여론 형성 등과 연결된다. 실제로 사회 물리학(sociophysics)이나 경제 물리학(econophysics)이라는 새로운 하위 학문들이 등장하게 된 배경에는, 물리학적 모델이 복잡한 사회적 시스템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인식이 있다.

또한 이론물리학의 추상적 모델링과 수리적 분석 능력은 사회과학에서 다루기 어려운 복잡계(complex system) 문제를 체계화하는 데 큰 기여를 한다. 네트워크 이론, 게임 이론, 정보이론, 동역학 시스템 이론 등은 모두 물리학과 사회과학이 만나는 대표적인 접점으로, 오늘날에는 SNS 확산, 금융시장 붕괴, 정치적 양극화, 도시 성장 패턴 등을 분석하는 데에도 물리학적 접근이 실제로 활용된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물리학이 단지 분석 도구로서만이 아니라, 현상을 해석하는 철학적 프레임과 인식론적 전제까지 사회과학에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이다. 예컨대 뉴턴적 세계관은 사회계의 기계론적 모델(사회계는 일정한 법칙에 따라 작동한다는 전제)을, 양자역학의 불확정성과 관측 문제는 해석의 다원성과 행위자의 개입을 강조하는 사회 이론들에 간접적 영향을 주었다. 심지어 토머스 쿤의 '패러다임 전환' 개념이나, 시스템 이론, 자기조직화 개념 역시 물리학적 기원을 지니며 사회학적 이론화에 차용되었다.

요컨대, 물리학은 단지 물질 세계에 국한된 탐구가 아니다. 물리학은 모든 복잡하고 상호작용적인 구조를 분석하고 설명하는 보편적 틀로서 기능하며, 사회과학에서도 이론적 구조화, 수학적 모델링, 인과적 사고의 기초를 제공해왔다. 더 나아가, 이러한 물리학적 분석 틀은 사회과학 내부에서 다른 자연과학의 해석 방식을 받아들이고 통합하는 이론적 기반이 되기도 한다.

예컨대 사회학의 구조적 상호작용 모델을 물리학의 복잡계 이론과 시스템 이론을 통해 추상화한 뒤, 그 위에 화학의 반응 메커니즘을 접목하면, 개인이나 집단 간의 결합력, 활성화 에너지, 반응 속도와 같은 개념을 사회적 관계망의 형성과 해체, 긴장의 누적과 폭발 같은 현상과 연결하여 수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단순한 네트워크 이론을 넘어, 사회적 변화의 동역학적 조건과 임계점을 더욱 정교하게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이 프레임워크 위에 생물학의 진화론적 사고와 적응 메커니즘을 적용하면, 사회 제도, 문화 규범, 집단 전략의 장기적 변화 양상을 설명하는 데 응용될 수 있다. 사회적 구조나 가치 체계가 환경적 압력 하에서 적응·선택되고, 비효율적인 구조는 도태된다는 진화적 메커니즘은, 생물학적 모델이 사회 이론에 실질적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뿐만이 아니다. 무엇보다도 심리학적 분석의 확장과 체계화에 있어, 물리학적 틀(프레임워크)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개인의 인지, 감정, 행동을 미시적으로 다루는 심리학은 물리학에서 차용한 동역학, 정보이론, 확률 해석 등을 통해 더 정량적이고 예측 가능한 모델로 나아갈 수 있으며, 특히 군중심리, 여론 동학, 정체성 형성 과정 등을 분석할 때 물리 기반의 집단 행동 모델과 결합함으로써 통합적 접근이 가능해진다.

요컨대, 물리학적 사유는 단지 사회 현상 자체를 분석하는 도구에 그치지 않고, 사회학을 중심으로 다양한 과학적 분석 프레임(화학, 생물학, 심리학)을 유기적으로 통합하고 확장하는 이론적 플랫폼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는 사회과학이 단편적 기술을 넘어, 복잡한 인간 세계를 설명하는 '거시-미시 통합 이론 체계'로 나아가기 위한 기초가 된다. 오늘날 학제 간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물리학은 사회과학의 철학적 깊이와 기술적 정밀성 모두를 확장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는 학문으로 재해석되고 있는 셈이다.

7.5. 그 외

  • 지구과학: 응용적 성향이 강한 지구과학 특성상 물리학에서 배우는 내용들이 똑같이 나올 수 있다.
  • 생물학: 물리학과 생물학을 융합한 생물물리학과 양자생물학, 그리고 이를 공학적으로 응용한 의학물리학이 있다.

8. 교육과정

보통 고등학교 2학년 때부터 이공계생이 전문적으로 배우기 시작하는데 수학과의 연관성이 상당하다. 그래서 수포자들은 당연히 피를 본다.[23] 물포자 문제가 있는데 물포자와 비슷한 말로 물안개(새끼야)를 외치는 학생들도 많이 나오고, 일부 선생들에겐 '제물포', 즉 (쟤) 때문에 기란 별명이 많이 붙는다고. 고등학교, 대학교에서 물리학-수학 관계가 어떤지는 해당 문서 참조바람. 이 두 과목은 연관성이 매우 깊지만 바라보는 관점은 약간 다른데, 수학은 특정 개념을 기반으로 문제들을 논리적으로 해결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물리는 보통 수학을 이용해 만물의 자연현상과 이치를 탐구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공과대학에 입학한 학생들도 물리학을 공부하게 된다. 기계공학, 토목공학, 전기공학공학의 모든 영역들도 물리학을 가장 기반으로 깔고 있기 때문이다. 화학공학도 언뜻 보면 화학 위주일 것 같지만 오히려 열역학, 유체역학 등 물리학이 더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요새 뜨고 있다는 나노공학[24] 역시 깊게 들어가면 물리학을 만나게 된다. 즉 웬만한 공과대학에 들어간 것 자체가 물리학과 운명공동체가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물리학을 학부에서 전공한 사람은 대부분의 공학 계통 대학원에서 대환영을 받으며, 심지어 사회과학으로 분류되어 있는 경제학 계열에서도 환영한다. 물론 실력이 그저 그렇다면 빛 좋은 개살구가 되겠지만.

현대 이론물리는 복잡하면서도 난해한 이론들에 대한 이해가 기반인만큼, 상당히 학업 난이도가 높아서 어느 정도 똑똑한 학생들이 선택하는데도 불구하고 중간에 포기하는 학생들이 생각보다 많이 생긴다. 하지만 전세계 대부분의 대학에서 매우 복잡한 이론물리 과목들은 보통 필수과목이 아닌 선택과목으로 정해 놓고 있다. 필수과목은 주로 고전역학, 전자기학, 양자역학, 및 통계역학과 고급물리실험 정도이다.

국내에서 주관하는 물리학 관련 시험엔 한국물리올림피아드, 물리인증제 등이 있다.

8.1. 초·중·고등교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과학과/물리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과학과/물리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과학과/물리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2. 수험과목

8.3. 대학 학부과정(물리학과)


그리고 대부분의 물리학과에는 4학기에 걸친 실험물리 과목이 포함되어 있다.

8.4. 국내 연구현황 및 오해

물리학 관련 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하는 과학도들을 위해 국내 연구현황을 서술하자면, 국내 물리학계에서는 응집물질 물리학반도체 물리학 분야에 종사하는 연구자들이 비교적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이러한 분야들이 산업적 응용성이 크고, 특히 대형 반도체 기업이 많은 한국의 산업 구조상 관련 분야에서의 취업이 굉장히 용이하다는 점과도 맞물려 있다. 반면, 표준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초끈 이론이나 루프 양자 중력 이론 등의 고에너지 이론물리학 분야에 종사하는 연구자들도 적지 않게 존재하며, 이들은 대학이나 고등과학원 같은 연구기관에서 활발히 활동 중이다.

물리학에 대한 이해가 깊지 않은 사람들 사이에서는 초끈 이론이나 루프 양자 중력 이론, 우주론, 암흑 물질, 암흑에너지와 같은 거시적이고 이론적인 분야들이 더 '대단해 보이고' 흥미롭다고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반면, 응집물질 물리학, 생물물리학, 광학 등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응용 분야로 오해받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큰 착각이다. 예를 들어, 고온 초전도체의 메커니즘은 아직 완전히 이론적으로 설명되지 않았고, 유체역학에서의 난류 현상처럼 카오스 이론을 필요로 하는 복잡계 문제들도 여전히 물리학계의 난제로 남아 있다.

이론물리학 중에서도 초끈 이론이나 루프 양자 중력 이론은 수학적·개념적으로 극도로 고난이도인 분야로 꼽히며, 분명히 학문적으로 높은 노력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는 다른 분야가 쉽다는 의미가 아니다. 응집물질 물리학이나 반도체 물리학 역시 4대 역학에 대한 대학원 수준의 깊은 이해를 필요로 하며, 각 분야마다 고유한 이론적·실험적 난이도를 지닌다. 결국 물리학이라는 학문 자체가 전반적으로 매우 고난도의 사고와 수학적 능력을 요구하는 체계라 할 수 있다.

즉, '이론물리학은 지적으로 고등하고, 응용물리학은 단순하다'는 인식은 사실에 기반하지 않은 편견이다. 실제로 이론물리학은 기초 개념과 수학적 구조를 깊이 파고드는 사고력을 요구하지만, 응용물리학 또한 실험 설계, 기술적 구현, 복잡한 현상의 모델링과 같은 고도의 지적 노동이 필수적'''이다. 또한 응용물리학에서 축적된 데이터와 현상은 이론물리학의 발전에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하며, 반대로 이론적 예측은 새로운 응용기술의 방향을 제시하기도 한다. 이처럼 두 영역은 본질적으로 상호보완적이며, 어느 한쪽이 더 '고등'하거나 '실용적'이라고 단정짓는 것은 물리학 전체의 구조와 철학을 오해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응용물리학은 실용적이지만 단순하고, 이론물리학은 이상적이지만 비현실적이다'라는 이분법적 구분도 현실을 왜곡한 관점이다. 이론물리학도 결코 현실과 동떨어진 '비상업적' 학문만은 아니다. 양자역학, 통계역학, 전자기학 같은 이론물리의 핵심 개념들은 현대 정보통신, 반도체, 나노기술, 양자컴퓨팅 등 고부가가치 산업의 기초가 된다. 실제로 양자장론의 수학적 틀은 고에너지 입자물리학뿐 아니라 응집물질계의 위상 물질 연구에도 활용되며, 이는 차세대 전자소자의 핵심 기술로 이어지고 있다. 심지어 초끈 이론에서 개발된 복잡한 수학적 기법들이 금융공학이나 암호학, 심지어 머신러닝의 수학적 모델에도 응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이론물리학은 당장의 실용성을 넘어서, 장기적으로는 기술혁신과 산업 발전의 원천이 될 수 있는 고도의 투자 대상이다.

최근에는 이론물리학과 응용물리학 모두에서 '위상물질'이라는 신흥 분야가 주목받고 있다. 이는 기존의 전자구조 이론과 위상수학을 결합한 새로운 응집물질 개념으로, 특히 양자컴퓨터가 지닌 오류 취약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처럼 물리학의 각 세부 분야는 고유의 이론적 깊이와 잠재적 응용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며, 단순한 우열 구분보다는 각자의 방향성과 기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9. 대중적인 인식

보통 나무토막이나 구슬 같은 장치들이 충돌하고 떨어지는 이미지전기회로, 자석으로 실험하는 학문이라는 인식이 있다. 아예 무엇을 다루는지조차 모르는 사람도 적지 않은데, 물리학은 에너지, 시간, 공간, 장(場) 등을 시각적으로 개념화할 수 있는 직관적인 개념이 아닌 머리 속으로 추상적인 개념을 많이 다루기 때문이다.[27] 또한 자연과학 중 가장 기초부터, 그리고 가장 많이 수식을 다루므로 수학같다는 이미지가 있다. 이른바 [math(v)][math(=)][math(frac st)],[28] [math(F=ma)], [math(E=mc^2)] 공식 정도는 알고 있는 일반인이 적지 않다.

학문의 일반적인 기초는 고전역학, 열역학, 전자기학, 상대성 이론, 양자역학 등이 있다. 대중매체(SF 영화 등)의 영향 때문인지, 위와 같은 기초적인 분야보다 정작 초끈 이론, 우주론 같은 세부 분야를 주로 연상하는 편이다. 다만, 화학자나 생물학자는 널리 알려지지 않는 반면 물리학자에 대해서는 나름의 인지도를 갖추고 있다. 아이작 뉴턴,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마리 퀴리, 스티븐 호킹, 리처드 파인만[29] 등이 그 예다.

물리학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크게 매우 똑똑한 학생들이 공부하는 학문이라는 인식과, 약간 반대로 엉뚱하고 괴짜스러운 사람들이 하는 학문이라는 인식이 충돌하는 편이다. 사실 알고 보면 둘 다 그렇게 틀린 말은 아니다.

10. 편견 및 고정관념

#!if this['this'] == null
'''이 문서는'''
#!if this['this'] != null
'''이 문단은'''
#!if 토론주소2 == null
''' [[https://namu.wiki/thread/OvertMuddyFluffyTable|토론]]을 통해 '편견 및 고정관념/과학' 문서의 기여 내용을 관련 문서로 이동시키고 삭제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if 토론주소2 != null
'''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5px;"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https://namu.wiki/thread/OvertMuddyFluffyTable|토론]] - '편견 및 고정관념/과학' 문서의 기여 내용을 관련 문서로 이동시키고 삭제하기'''
----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
----
{{{#!if 토론주소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
----
}}}{{{#!if 토론주소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
----
}}}{{{#!if 토론주소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
----
}}}{{{#!if 토론주소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6'''
----
}}}{{{#!if 토론주소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7'''
----
}}}{{{#!if 토론주소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8'''
----
}}}{{{#!if 토론주소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9'''
----
}}}{{{#!if 토론주소1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0'''
----
}}}{{{#!if 토론주소1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1'''
----
}}}{{{#!if 토론주소1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2'''
----
}}}{{{#!if 토론주소1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3'''
----
}}}{{{#!if 토론주소1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4'''
----
}}}{{{#!if 토론주소1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5'''
----
}}}{{{#!if 토론주소1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6'''
----
}}}{{{#!if 토론주소1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7'''
----
}}}{{{#!if 토론주소1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8'''
----
}}}{{{#!if 토론주소1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9'''
----
}}}{{{#!if 토론주소2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0'''
----
}}}{{{#!if 토론주소2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1'''
----
}}}{{{#!if 토론주소2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2'''
----
}}}{{{#!if 토론주소2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3'''
----
}}}{{{#!if 토론주소2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4'''
----
}}}{{{#!if 토론주소2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5'''
----
}}}{{{#!if 토론주소2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6'''
----
}}}{{{#!if 토론주소2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7'''
----
}}}{{{#!if 토론주소2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8'''
----
}}}{{{#!if 토론주소2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9'''
----
}}}{{{#!if 토론주소3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0'''
----
}}}{{{#!if 토론주소3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1'''
----
}}}{{{#!if 토론주소3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2'''
----
}}}{{{#!if 토론주소3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3'''
----
}}}{{{#!if 토론주소3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4'''
----
}}}{{{#!if 토론주소3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5'''
----
}}}{{{#!if 토론주소3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6'''
----
}}}{{{#!if 토론주소3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7'''
----
}}}{{{#!if 토론주소3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8'''
----
}}}{{{#!if 토론주소3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9'''
----
}}}{{{#!if 토론주소4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0'''
----
}}}{{{#!if 토론주소4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1'''
----
}}}{{{#!if 토론주소4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2'''
----
}}}{{{#!if 토론주소4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3'''
----
}}}{{{#!if 토론주소4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4'''
----
}}}{{{#!if 토론주소4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5'''
----
}}}{{{#!if 토론주소4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6'''
----
}}}{{{#!if 토론주소4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7'''
----
}}}{{{#!if 토론주소4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8'''
----
}}}{{{#!if 토론주소4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9'''
----
}}}{{{#!if 토론주소5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0'''
----
}}}||}}}}}}}}}


  • 무거운 물체가 더 빨리 떨어진다?
    무거운 물체라고 꼭 빨리 떨어지진 않는다. 낙하산은 14kg쯤 되지만 1kg짜리 납덩이가 더 빨리 떨어지고, 거의 같은 무게 / 밀도인 풍선이 바람 넣었을 때와 안 넣었을 때 떨어지는 속도가 차이난다. 공기저항은 무게가 아니라 형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 기반의 세계관에서는 무게와 떨어지는 속도가 비례하는데, 물론 실제와 크게 다르다. 이 가설은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증명하기 전까지는 정설로 되어 있었다. 단, 피사의 사탑 실험을 실제로 행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실제로 행한건 소수의 발명자이기도 한 네덜란드시몬 스테빈이었다.) 수학적으로 설명하자면, 공기 저항에 의한 힘은 [math(F_D\, =\, \tfrac12\, \rho\, v^2\, C_d\, A)] 이다. 여기서 위의 값들은 순서대로 유체(여기서는 공기)의 밀도, 속도, 항력 계수, 그리고 표면적의 넓이이다. 항력 계수는 떨어지는 물체의 형태, 표면적은 공기에 맞닿는 넓이 (즉 크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어떤 물질이 떨어지는 속도는 물체의 질량과는 관련이 없다. 여담으로, 해당 항을 넣은 2차원 포물선 운동은 연립 비선형 미분방정식 이기 때문에 컴퓨터를 이용해서 풀어야 한다.
  • 타코마 다리는 공진현상으로 인해 무너졌다?
    해당 문서 참고. 공진과는 전혀 상관없는 이유로 무너졌다.
  • 속도는 벡터량이므로 방향의 개념을 포함하지 않고 속도라는 말을 사용하면 틀린 것이다?
    일상 언어인 속도와 속력은 차이점이 없다. 속도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의 정의는 '1. 물체가 나아가거나 일이 진행되는 빠르기.' '2.물리물체의 단위 시간 내에서의 위치 변화. 크기와 방향이 있으며, 크기는 단위 시간에 지나간 거리와 같고, 방향은 경로의 접선과 일치한다.' 이다. 1번 뜻에 방향의 개념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물리학 용어 속도는 그 아래, 물리학에서의 정의로 따로 나와있다. 그러니까 괜히 "인생은 속도가 아닌 방향이다" 라는 말에 "속도엔 방향이 포함되어 있다" 라고 반박하지 말자.
  • 엘리베이터가 올라갈 때는 체중계의 눈금이 증가하고, 내려갈 때는 떨어진다?
    관성력은 속도가 아닌 가속도에 관계한다. 위로 가속될 때[30] 눈금이 증가하고, 반대의 경우에 떨어진다. 등속으로 올라가는 도중에는 거의 변화가 없다.[31] 교과서에서도 서술이 부정확했던, 대표적 착각. 위에서 말하듯 관성력은 가속도와 관계 있으므로, 정확히는 엘리베이터가 올라가기 '시작할 때'나 내려오다 '멈췄을 때' 눈금이 잠시 증가했다 돌아오고, 내려가기 '시작할 때'나 올라가다 '멈췄을 때' 눈금이 잠시 떨어졌다 돌아온다. 출발하기 전이나 완전히 정지한 후, 등속도로 운동(올라가던 내려가던 상관 없이)하는 중에는 거의 바뀌지 않는다.
  • 레이저 무기를 발사하면 모두가 그 눈부신 직선형의 빛의 궤적을 목격할 수 있다? 또는, 긴 직선형의 불빛이 탄환처럼 이쪽에서 저쪽으로 빠르게 날아가는 모습을 목격할 수 있다?
    사실은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실제로 개발 중인 레이저 무기의 시연 영상을 보더라도 아무런 빛이 없어서 발사를 언제 하는 건가 싶은데 어느 순간 목표물에 불이 붙어있는 허무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레이저는 빛이고, 우리가 빛을 본다는 것은 그 빛이 우리 눈으로 들어왔다는 것인데, 레이저가 중간에 산란되지 않는 한 제3자가 그 지나가는 빛의 '빛'을 볼 수는 없다. 만일 빛이 보였다면 그것은 곧 당신이 그 레이저 무기의 표적이 되었다는 뜻이고 그걸 다시 말하자면...[32] 아무튼 이런 이유로 많은 창작물들이 "레이저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레이저는 아니고 약간 다른 에너지 무기다" 같은 식의 설정들을 덧붙이고 있다.
    마찬가지로 스타워즈에서도 설정에 밝지 않은 사람들은 각종 개인화기들이 발사한 붉은 불빛이 날아가는 걸 보며 레이저라고 착각하기도 하는데, 실제로 레이저는 빛이기 때문에 1초만에 지구를 7.5바퀴 돌 수 있는 속도로 날아간다. 어지간한 현대 총기의 탄환 수준의 속도로 날아가는 시점에서 이미 빛은 절대로 아니다. 그리고 애초에 스타워즈의 그 무기는 블라스터이지 레이저가 아니다.
  • 양자역학은 세상에 답이 정해진 문제가 없으며 인간의 의지가 결론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과학자들이 제일 싫어하는 과학의 인문학적 오용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양자역학에선 어디까지나 특정한 물리적 상황을 예측함에 있어 하나의 고정된 해가 없을 뿐 주어진 조건에 알맞는 해에 해당하는 확률 분포를 구할 수 있다. 쉽게 말해 당신이 옆에 보이는 벽에 머리를 세게 들이박는다고 쳤을 때, 고전역학은 "무조건 당신의 머리에 혹이 생긴다"고 답을 내려 준다면, 양자역학은 "당신의 머리에 혹이 생길 확률이 99.999...9%이고 뚫고 투과할 확률이 0.000...1%"라고 역시 답을 내려 준다. 그리고 저런 거시적인 레벨이라면 양자역학의 해는 오차 범위 내에서 고전역학의 해를 따라가게 되며, 설사 그렇지 않다 하더라도 그건 당신의 '의지'와는 무관하다. 자세한 내용은 양자역학 문서 참조.
  • 우주에는 중력이 없다?
    말이 안되는 소리다. 중력의 영향력이 더 강하고 훨씬 약하고의 차이일 뿐 어느 곳에서든 중력은 존재한다. 무거운 천체 위에 있을수록 더 중력이 강하게 작용한다. 사실 어떤 물체든 만유인력, 중력은 존재한다. 다만 인간이 아무리 물체를 크게 만들어봐야 무게가 소행성에 비해서도 매우 적기 때문에 사람이 직접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수준만 아닐 뿐이다.
    구체적으로는 중력의 세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우주공간에 물질이 하나라도 존재하는 이상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중력의 영향은 0에 수렴하게 될 뿐 결코 0은 될 수 없다.
  • 높은 전압은 위험하다?
    일반적으로 고전압이라는 말이 흔하게 쓰이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많이 오해하고있는 통념이다. 실제로 사람을 죽이는 것은 전류지, 전압이 아니다.
    일상적으로 같은 뜻인 '전위' 대신 '전압'이라는 단어를 더 많이 쓰다 보니 '전압 = 전기적 압력'으로 오해할 수 있는데, 전압은 정확히 전위 = '전기적 위치'를 의미한다.
    전압(정확히는 전압차)은 중력으로 비유하자면 폭포의 높낮이와 같은데, 아무리 높은 폭포에서 떨어졌어도, 물 한방울이 몸에 떨어졌다는 이유로 사람이 크게 다치지 않는 반면, 엄청난 양의 물을 폭포에서 흘려보내면 사람이 떠내려가 크게 다치거나 죽을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다. 여기서 '물 한 방울'을 '전하'로, 전체적인 물의 흐름을 전류로 바꾸면 좋은 비유가 성립한다.
    아무리 높은 폭포라도 가뭄이 들어 물이 흐르지 않으면 전혀 위험하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로, 아무리 전압차가 커도 인체에 흐르는 전하가 없으면 전혀 위협이 되지 않는다.
    '전압' 자체가 위험한 것은 아님을 극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는 다음과 같다. 일상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정전기의 경우 전압차가 수천 볼트에 달하지만, 실제로 이동하는 전하량(전류)이 많지 않아 잠깐 따끔하고 마는 반면, 이보다 전압이 5배 정도 낮은 220V 콘센트에 감전되면 엄청난 양의 전류가 몸을 관통하므로 사망할 수 있다.
  • 빛도 질량이 존재한다?
    '광자'로 표현되는 빛 자체는 힉스장과 상호작용하지 않는, 질량 0의 입자다. 따라서 정지질량이 0이다.
    이 문제의 경우 질량을 어떻게 재느냐에 따라 참/거짓이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기본 입자의 질량이라 하면 정지질량을 의미하므로 거짓이다.
    그러나 질량이 0인 입자라 해도 에너지와 운동량은 가질 수 있으며, 일반상대론에 따르면 마치 질량을 가진 것처럼 행동할 수는 있다. (질량-에너지 동등성에 의해)[33]
  • 반입자는 질량이 마이너스다?
    입자와 반입자는 질량은 같다. 다만 입자를 구성하는 쿼크가 반쿼크로 구성되어있다. 예를 들면 가장 흔한 입자중에 하나인 양성자는 up쿼크 2개, down쿼크 1개로 이루어져 있어서 2/3, 2/3, -1/3을 모두 더해서 +1전하를 가지지만, 반양성자는 반 up쿼크 2개, 반 down쿼크 1개로 이루어져 있어서 -2/3, -2/3, 1/3을 모두 더해서 -1전하를 가진다. 중성자는 up쿼크 1개, down쿼크 2개로 이루어져 있어서 2/3, -1/3, -1/3을 모두 더해서 0 전하를 가지지만, 반중성자는 반 up쿼크 1개, 반 down쿼크 2개로 이루어져 있어서 -2/3, 1/3, 1/3을 모두 더해서 역시나 0 전하가 된다. -1 전하를 가지는 전자는 경입자라 쿼크로 구성되어 있지 않으며 반입자는 +1 전하를 가지는 양전자다.
  • 레이저로 강철을 잘라낼 수 있다?
    당연히 가능하다. 실제로도 kW 출력급 고출력 레이저는 세라믹이나 금속를 절삭하는 용도로 산업에서 이용된다. 다만 레이저 광선이 아무리 햇빛과는 비교가 안되게 강해도 금속을 자를 정도가 되는 출력을 얻는 것은 까다롭고 어려운 기술이다. 높은 평균 출력을 내기위한 공진기 부분을 포함한 기계 자체의 크기도 많이 커지고, 또 레이저 광선을 0.5mm가 안되는 좁은 직경으로, 사용하는 레이저 파장에 맞는 렌즈나 거울을 이용해 집속시켜야 된다. 단지 가공이 정밀하다는 큰 장점이 있을뿐 가격도 워낙 비싸서 톱과 연마기를 이용한 보수적인 가공법보다 다른 면에서는 더 나은점이 없다.
  • 속력 = 속도이다?
    물리학적으로도 비슷한 개념이긴 하나, 엄밀히 따지자면 다른 개념이다. 우선 속력의 정의는 '단위 시간 동안 이동한 거리'이다. 반면 속도는 '단위 시간 동안 위치의 변화'이다. 이동 거리는 스칼라이고 변위는 벡터이므로 속력과 속도는 각각 다른 물리량으로 분류된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편견 및 고정관념/과학|편견 및 고정관념/과학]]}}}{{{#!if external != "o"
[[편견 및 고정관념/과학]]}}}}}}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편견 및 고정관념/과학?uuid=b2d87a5e-167f-47a4-b236-73f23575ec4f|r576]]}}}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편견 및 고정관념/과학?uuid=b2d87a5e-167f-47a4-b236-73f23575ec4f#s-6|6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편견 및 고정관념/과학?from=576|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편견 및 고정관념/과학|편견 및 고정관념/과학]]}}}{{{#!if external != "o"
[[편견 및 고정관념/과학]]}}}}}}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편견 및 고정관념/과학?uuid=b2d87a5e-167f-47a4-b236-73f23575ec4f|r576]]}}}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편견 및 고정관념/과학?uuid=b2d87a5e-167f-47a4-b236-73f23575ec4f#s-6|6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편견 및 고정관념/과학?from=576|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11. 물리학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물리학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물리학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물리학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여담

  • 우스갯소리로 어떤 분야에서 거의 항상 들어맞는 것을 물리학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예로 DTD, 사스날이 있다.
  • 네이버 지식iN에 kokospice가 물리학 분야에서 유사과학에 기초한 답변을 단다. 수학을 배제한 자신의 세계관에서 살고 있으니 일단 조심하고 보자.
  • 물리학 용어가 수학 용어에 비해 간지난다는 유머가 있다.
  • 물리학에서 계산 노가다를 줄이기 위해 각종 가정을 붙이는 일이 많다 보니 관련 농담이 있다. 보통 가축으로 흔히 볼 수 있는 이나 가 이 농담의 주인공이다. 농담의 요는 현실에서는 동물들이 복잡한 모양을 지니고 그 재질도 다양하고 계속 움직이고 성장/노화하는 등 변수가 매우 많지만 이론 속 물리학의 세계에서는 그런 복잡한 것은 다 치우고 가장 간단한 도형인 로 가정한 이후 이론을 만든다는 것. 사실 당연한 것이, 일단 가장 원인이 되는 변수만 고정시켜서 도출한 일반 공식이 있어야 이후 다른 추가적인 변수가 덕지덕지 붙은 특수해도 구할 수 있다.[34]
    레너드 호프스태터: 어떤 농부가 자기 닭이 알을 안 낳아서 물리학자를 불렀대. 그런데 물리학자가 말하기를: "해결책이 있지만, 오직 진공상태의 구형 닭에게만 효과가 있을 테요."


    "A farmer has some chickens who don't lay any eggs. The farmer calls a physicist to help. The physicist does some calculation and says "I have a solution but it only works for spherical chickens in a vacuum!"



  • "Physics is like sex: sure, it may give some practical results, but that's not why we do it."(물리학은 성관계와 같다: 분명, 몇 가지 유용한 결과를 줄 수 있지만, 그것이 우리가 그것을 하는 이유는 아니다.)라는 개드립이 있다. 물리학은 공학과 달리 당장의 필요에 의해서만 연구되는 게 아니라 과학자 개인의 관심사에 따라 발전하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 리처드 파인만이 한 말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출처는 불분명하다.

13. 둘러보기

<bgcolor=#614a0a> 고전역학
Classical Mechanic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614a0a><colcolor=#fff> 기본 개념 텐서(스칼라 · 벡터) · 모멘트 · 위치 · 거리(변위 · 이동거리) · 시간 · 공간 · 질량(질량중심) · 속력(속도 · 가속도) · 운동(운동량) · · 합력 · 뉴턴의 운동법칙 · (일률) · 에너지(퍼텐셜 에너지 · 운동 에너지) · 보존력 · 운동량 보존의 법칙 · 에너지 보존 법칙 · 질량 보존 법칙 · 운동 방정식
동역학 관성 좌표계 · 비관성 좌표계(관성력) · 항력(수직항력 · 마찰력) · 등속직선운동 · 등가속도 운동 · 자유 낙하 · 포물선 운동 · 원운동(구심력 · 원심력 · 등속 원운동) · 전향력 · 운동학 · 질점의 운동역학 · 입자계의 운동역학 · 운동 방정식
정역학 강체 역학 정적 평형 · 블록 쌓기 문제 · 강체 · 응력(/응용) · 충돌 · 충격량 · 각속도(각가속도) · 각운동량(각운동량 보존 법칙 · 떨어지는 고양이 문제) · 토크(비틀림) · 관성 모멘트 · 관성 텐서 · 우력 · 반력 · 탄성력(후크 법칙 · 탄성의 한계) · 구성방정식 · 장동 · 소성 · 고체역학
천체 역학 중심력 · 만유인력의 법칙 · 이체문제(케플러의 법칙) · 기조력 · 삼체문제(라그랑주점) · 궤도역학 · 수정 뉴턴 역학 · 비리얼 정리
진동 파동 각진동수 · 진동수 · 주기 · 파장 · 파수 · 스넬의 법칙 · 전반사 · 하위헌스 원리 · 페르마의 원리 · 간섭 · 회절 · 조화 진동자 · 산란 · 진동학 · 파동방정식 · 막의 진동 · 정상파 · 결합된 진동 · 도플러 효과 · 음향학
해석 역학 일반화 좌표계(자유도) · 변분법{오일러 방정식(벨트라미 항등식)} · 라그랑주 역학(해밀턴의 원리 · 라그랑지안 · 작용) · 해밀턴 역학(해밀토니안 · 푸아송 괄호 · 정준 변환 · 해밀턴-야코비 방정식 · 위상 공간) · 뇌터 정리 · 르장드르 변환 · 고전장론
응용 및 기타 문서 기계공학(기계공학 둘러보기) · 건축학(건축공학 · 구조역학) · 토목공학 ·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탄도학(탄도 계수) · 자이로스코프 · 공명 · 운동 방정식 · 진자(단진자) · 사이클로이드 }}}}}}}}}

유체역학
Fluid Mechanics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D98BA><colcolor=#fff> 유체와 힘 유체 · 뉴턴 유체 · 비뉴턴 유체(멱법칙 유체 · 오스트발트-드 웰 관계식 · 허쉘-버클리 유체 · 리-아이링 이론) · 압력 · 부력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 항력 (수직항력 · 스토크스 법칙) · 응력(응용) · 양력 · 표면장력 · · 밀도 · 기체 법칙 (이상 기체 법칙) · 달랑베르의 역설
유체동역학 유동 (압축성 · 탄성 · 점성/점성계수) · 난류 및 층류 · 레이놀즈 수송 정리 (체적 검사)
무차원수 마하 수 · 레이놀즈 수 · 프란틀 수 · 레일리 수 · 그라스호프 수 · 슈미트 수 · 네버러 수 · 프루드 수
방정식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 연속 방정식 · 오일러 방정식 · 구성 방정식 · 베르누이 방정식 · 파스칼의 원리 · 브라운 운동 방정식 · 하겐-푸아죄유 법칙 · 글래드스톤-데일 방정식
응용 및 현상 날씨 · 모세관 현상 · 마그누스 효과 · 케이 효과 · 카르만 효과 · 코안더 효과 · 사이펀의 원리 · 대류 현상 · 슬립 스트림 · 최대동압점 · 스탈링 방정식 · 벤추리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라이덴프로스트 효과
유체역학 연구 전산유체역학(CFD) · 풍동 실험 · 차원분석 }}}}}}}}}

'''열역학·통계역학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e71><colcolor=#fff> 기본 개념 열역학 법칙{열역학 제1법칙(열역학 과정) · 열역학 제2법칙(엔트로피)} · 질량 보존 법칙 · 에너지 · 물질 · 온도(절대영도) · 압력 · (비열 · 열용량) · (일률) · (반응계 · 고립계 · 닫힌계) · · 밀도 · 기체 법칙{보일 법칙 · 샤를 법칙 · 게이뤼삭 법칙 · 아보가드로 법칙 · 이상 기체 법칙(이상 기체)} · 기체 분자 운동론
통계역학 앙상블 · 분배함수 · 양자 통계역학 · 볼츠만 분포 · 맥스웰-볼츠만 분포 · 페르미-디랙 분포 · 보스-아인슈타인 분포 · 페르미온 응집 · 보스-아인슈타인 응집 · 복잡계(카오스 이론) · 흑체복사 · 브라운 운동 · 역온도 · 위상 공간 · 조머펠트 전개
열역학 퍼텐셜 내부 에너지 · 엔탈피 · 자유 에너지(헬름홀츠 자유 에너지 · 깁스 자유 에너지) · 란다우 퍼텐셜 · 르장드르 변환
응용 및 현상 현상 가역성 · 화학 퍼텐셜 · 상전이 · 열전달{전도(열전도율 · 전도체) · 대류 · 복사} · 판데르발스 힘 · 열처리 · 열량(칼로리) · 네른스트 식 · 음발광 · 물리화학 둘러보기
열기관 내연기관 · 외연기관 · 열효율(엑서지) · 열교환기(히트펌프) · 카르노 기관 · 영구기관 · 열전 소자
관련 문서 화학 둘러보기 · 스털링 근사 · 전자친화도 · 이온화 에너지 · 응집물질물리학 · 고체물리학 · 기계공학 · 화학공학 · 정보이론 · 맥스웰의 악마 · 볼츠만 두뇌 · 에르고딕 가설 · 브라질너트 효과 }}}}}}}}}

전자기학
Electromagnetism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기초 개념
<colbgcolor=#009><colcolor=#fff> 관련 수학 이론 · 디랙 델타 함수 · 연속 방정식 · 분리 벡터
전기 · 자기 개념 전자기력(자기력) · 전자기 유도(패러데이 법칙) · 맥스웰 방정식 · 전자기파 · 포인팅 벡터 · 전자기학의 경계치 문제 · 전자기파 방사
정전기학 전하 · 전기장 · 전기 변위장 · 전기 퍼텐셜 · 가우스 법칙 · 전기 쌍극자 모멘트 · 유전율 · 대전현상 · 정전용량 · 시정수 · 정전기 방전
정자기학 자성 · 자기장 · 자기장 세기 · 자기 퍼텐셜 · 자기 쌍극자 모멘트 · 로런츠 힘 · 홀 효과 · 비오-사바르 법칙 · 앙페르 법칙 · 투자율
구현체 자석(전자석 · 영구 자석) · 발전기 · 전동기
회로이론 · 전자회로 개념 회로 기호도 · 전류 · 전압 · 전기 저항(비저항 · 도전율) · 전력(전력량) · 직류 · 교류 · 키르히호프의 법칙 · 중첩의 원리 · 삼상
소자 수동소자: 직류회로(휘트스톤 브리지) · RLC회로(커패시터 · 인덕터 · 레지스터) · 변압기
능동소자: 전원 · 다이오드 · 진공관 · 트랜지스터 · 연산 증폭기
응용 및 심화개념
관련 학문 상대론적 전자기학 · 양자 전기역학 · 응집물질물리학 · 고체물리학 · 전자공학 · 전기공학 · 제어공학 · 물리화학 · 광학 · 컴퓨터 과학(컴퓨터공학) · 신경과학(뇌과학)
토픽 이론 광자 · 게이지 장(역장 · 장이론) · 물질파(광전효과) · 다중극 전개 · 맥스웰 변형 텐서 · 비리얼 정리
음향 앰프(파워앰프 · 프리앰프 · 인티앰프 · 진공관 앰프) · 데시벨 · 네퍼 · 음압 · 잔향
반 데르 발스 힘(분산력) · 복사 · 전도(전도체 · 열전 효과) · 초전도체 · 네른스트 식
광학 광도(루멘 · 휘도 · 조도 · 럭스) · 굴절(굴절률 · 페르마의 원리) · 스넬의 법칙 · 산란 · 회절(회절 격자) · 전반사 · 수차(색수차) · 편광 · 뉴턴 원무늬 · 분광학 · 스펙트럼 · 렌즈(얇은 렌즈 방정식 · 두꺼운 렌즈) · 프리즘 · 거울(구면 거울 방정식) · 행렬광학 · (색의 종류 · RGB · 무채색 · 유채색)
전산 논리 연산 · 논리 회로 · 오토마타(프로그래밍 언어) · 임베디드 · 컴퓨터 그래픽스(랜더링) · 폴리곤 · 헥스 코드
생물 생체신호(생체전기 · BCI) · 신경계(막전위 · 활동전위 · 능동수송 · 분극 · 흥분 전도 · 원추세포 · 간상세포) · 신호전달 · 자극(생리학)(베버의 법칙 · 역치) · 감각(시각 · 청각 · 후각 · 미각 · 촉각)
기타 방사선 · 반도체 · 전기음성도 · 와전류 · 방전 · 자극 · 표피효과 · 동축 케이블 · 진폭 변조 · 주파수 변조 · 메타물질 · (지구자기장) · 체렌코프 현상 · 음발광
관련 문서
물리학 관련 정보 · 틀:전기전자공학 · 전기·전자 관련 정보 · 틀:이론 컴퓨터 과학 · 틀:컴퓨터공학 }}}}}}}}}

상대성 이론
Theory of Relativity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2A1A5B> 특수 상대성 이론 일반 상대성 이론
<colcolor=#00a0de><colbgcolor=#2A1A5B> 배경 특수 상대성 이론/역사
맥스웰 방정식 · 마이컬슨-몰리 실험
일반 상대성 이론/역사
기초 가설 상대성 원리 · 광속 불변의 원리 등가 원리(중력 · 관성력)
이론 체계 시공간(세계선 · 고유 시간 · 고유 길이 · 민코프스키 다이어그램 · 아인슈타인 표기법) · 미분기하학(리만 다양체) · 일반 상대성 이론의 기초 수학
로런츠 변환(로런츠 인자) · 로런츠 군 아인슈타인 방정식 · 힐베르트 작용
(슈바르츠실트 계량 · 라이스너-노르드스트룀 계량 · 커 계량/커-뉴먼 계량)
현상 동시성의 상대성 · 시간 지연 · 길이 수축 · 질량-에너지 등가원리 · 상대론적 효과(도플러) 중력 렌즈 효과 · 중력파 · 적색편이
응용 및 심화 기본 상호작용 · 상대론적 역학 · 상대론적 전자기학 · 양자 전기역학 · 천체물리학(천문학 둘러보기) · 통일장 이론 · 루프 양자 중력 이론 · 타임 패러독스 · 중력 자성
쌍둥이 역설 · 막대와 헛간 역설 · 아광속 · 초광속 · 타키온 중력자 · 블랙홀(블랙홀 둘러보기 · 사건의 지평선 · 중력 특이점 · 양자블랙홀) · 우주론(허블-르메트르 법칙 · 프리드만 방정식) · 우주 상수 }}}}}}}}}}}}

[[양자역학|
양자역학
Quantum Mechanic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c70039><colcolor=#fff> 배경 흑체복사 · 이중슬릿 실험 · 광전효과 · 콤프턴 산란 · 보어의 원자 모형 · 물질파 · 데이비슨-저머 실험 · 불확정성 원리 · 슈테른-게를라흐 실험 · 프랑크-헤르츠 실험
이론 체계 '''
체계
''': 플랑크 상수(플랑크 단위계) · 공리 · 슈뢰딩거 방정식 · 파동함수 · 연산자(해밀토니언 · 선운동량 · 각운동량) · 스핀(스피너) · 파울리 배타 원리
'''''' 코펜하겐 해석(보어-아인슈타인 논쟁) · 숨은 변수 이론(EPR 역설 · 벨의 부등식 · 광자 상자) · 다세계 해석 · 앙상블 해석 · 서울 해석
'''
묘사
''' 묘사(슈뢰딩거 묘사 · 하이젠베르크 묘사 · 디랙 묘사) · 행렬역학
연관 학문 천체물리학(천문학 틀 · 우주론 · 양자블랙홀 · 중력 특이점) · 핵물리학 틀(원자력 공학 틀) · 응집물질물리학 틀 · 컴퓨터 과학 틀(양자컴퓨터 · 양자정보과학) · 통계역학 틀 · 양자화학(물리화학 틀) · 입자물리학(입자물리학 틀)
현상 · 응용 양자요동 · 양자 얽힘 · 양자 터널링 · 퍼텐셜 우물 · 양자 조화 진동자 · 오비탈 · 수소 원자 모형 · 쌓음 원리 · 훈트 규칙 · 섭동(스핀 - 궤도 결합 · 제이만 효과 · 슈타르크 효과 · 헬만-파인만 정리) · 선택 규칙 · 변분 원리 · WKB 근사법 · 시간 결정 · 보스-아인슈타인 응집 · 솔리톤 · 카시미르 효과 · 아하로노프-봄 효과 · 블랙홀 정보 역설 · 양자점 · 하트리-포크 방법 · 밀도범함수 이론 · 준위 · 양자장론(양자전기역학 · 양자색역학) · 뤼드베리 방정식 · 체렌코프 현상
기타 군론 · 기본 입자 · 대칭성 · 비리얼 정리 · 리만 가설 · 매듭이론 · 밀도행렬 · 물질 · 방사선(반감기) · 라플라스의 악마 · 슈뢰딩거의 고양이(위그너의 친구)
문헌 교재 · 분류:물리학술지 }}}}}}}}}

핵물리학
Nuclear Physics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1012e><colcolor=#fff> 기반 양자역학(양자장론) · 상대성 이론(질량-에너지 동등성) · 통계역학 · 통계학 · 미분방정식
원자핵 구조 강입자(양성자 · 중성자 · 쿼크) · 전자 · 표준모형
모형 및 정식화 보어의 원자모형 · 파인만 다이어그램(전파인자) · 핵반응 수율 공식 · 수소 원자 모형
현상 안정성의 섬 · 방사선 · 핵붕괴(알파 붕괴 · 베타 붕괴 · 감마 붕괴 · 반감기) · 오비탈 · 쌓음 원리 · 훈트 규칙 · 섭동(스핀 - 궤도 결합 · 제이만 효과 · 슈타르크 효과) · 동위원소 · 결합 에너지 · 핵분열(임계질량) · 핵융합 · 핵력 · 핵합성(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
응용 원자력공학(원자력 공학 둘러보기 · 원자력 발전) · 핵무기(핵개발) · 방사선의학 }}}}}}}}}

[[입자물리학|'''입자물리학
{{{#!wiki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display: inline"
]]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3100c> 기반 양자역학 · 상대성 이론 · 통계역학 · 전자기학 · 고전역학
이론 <colbgcolor=#83100c> 체계 양자장론(비상대론적 양자장론) · 양자 전기역학 · 루프 양자 중력 이론 · 게이지 이론 · 양자색역학 · 초끈이론(M이론 · F이론) · 위상양자장론 · 통일장 이론 · 모든 것의 이론
형식 클라인-고든 방정식 · 디랙 방정식 · 1차 양자화 · 이차양자화 · 전파인자 · 산란행렬 · 경로적분(응용 · 고리 적분) · 고스트 · 파인만 다이어그램 · 재규격화(조절 · 재규격화군) · 위상 공간(SU(3)) · 대칭성(자발 대칭 깨짐 · 초대칭 · CP 대칭 깨짐) · 섭동(다이슨 급수) · 등각변환(등각장론)
실험 기구 입자가속기(사이클로트론 · 싱크로트론 · 테바트론 · SLAC · ILC · LHC · PETRA · HERA · RAON(중이온가속기)) · 카미오칸데 · LIGO · 입자검출기(ATLAS · CMS · ALICE · LHCb · PLUTO · UA1 · UA2)
모형 기본 입자(둘러보기) · 강입자(둘러보기) · 페르미온(둘러보기) · 보손(둘러보기) · 프리온 · 색전하 · 맛깔 · 아이소스핀 · 표준 모형 · 반물질 · 기묘체 · 타키온 · 뉴트로늄 · 기묘한 물질 · 암흑 물질 · 암흑에너지
연관 학문 천체물리학(천문학 틀 · 우주론 · 양자블랙홀 · 중력 특이점) · 핵물리학(원자력 공학 틀) · 응집물질물리학 틀 · 컴퓨터 과학 틀(양자컴퓨터 · 양자정보과학) · 통계역학 틀
현상 · 응용 기본 상호 작용(둘러보기) · 인플레이션 우주론 · 다섯 번째 상호 작용 · 양자진공(진공기댓값) · 플랑크 단위계(플랑크 질량 · 플랑크 길이 · 플랑크 시간 · 플랑크 온도) · 양자요동 · 쌍생성 · 쌍소멸 · 방사선 · 미세 구조 상수 · 블랙홀 정보 역설 · 특이점
기타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 · 군론 · 리만 가설 · 매듭이론 · 물질 · (반감기) · 대수위상학 · 대수기하학 · 교재 · SU(3)
관련 문헌 양자장론/교재 · 분류:물리학술지 }}}}}}}}}

'''고체물리학·응집물질물리학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56666><colcolor=#fff> 기반 전자기학 · 양자역학(양자장론 · 이차양자화) · 통계역학 · 미분방정식 · 위상수학(매듭이론)
결정학 고체 · 결정 · 결정 격자(브라베 격자) · 군론(점군 · 공간군) · 역격자(브릴루앙 영역) · 구조 인자 · 결함 · 준결정 · 시간 결정
에너지띠 이론 결정 운동량 · 페르미-디랙 분포 · 자유 전자 모형(드루드-조머펠트 모형) · 드루드 모형 · 분산 관계 · 원자가띠 · 전도띠 · 띠틈 · 페르미 준위 · 페르미 면 · 꽉묶음 모형 · 밀도범함수 이론 · 도체 · 절연체 · 반도체(양공 · 도핑)
자성 강자성(이징 모형) · 반자성 · 상자성 · 반강자성 · 준강자성 · 홀 효과 · 앤더슨 불순물 모형(콘도 효과) · 초전도체(쿠퍼쌍 · 조지프슨 효과 · BCS 이론 · 보스-아인슈타인 응집 · 마이스너 효과)
강상 관계 상전이(모트 전이) · 페르미 액체 이론 · 초유동체 · 준입자(양공 · 엑시톤 · 포논 · 마그논 · 플라즈몬 · 폴라리톤 · 폴라론 · 솔리톤 · 스커미온) · 선형 응답 이론(쿠보 공식 · 요동-흩어지기 정리) · 평균장 이론 · 그린 함수 · 스펙트럼 함수 · 파인만 다이어그램
위상 물리학 위상부도체(그래핀) · 기하학적 위상 · 양자 홀 효과 · 마요라나 페르미온(마요라나 영준위 상태)
실험 및 장비 전자 현미경(SEM · TEM · STM · AFM) · XRD · 분광학(NMR · 라만 분광법) · 방사광 가속기
문헌 분류:물리학술지 }}}}}}}}}

실험물리학 · 거대과학
Experimental Physics · Big Science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223360> 기반 체계양자역학(양자장론) · 전자기학 · 열역학 · 통계역학 · 상대성 이론 · 고전역학 · 유체역학
활용 핵물리학 · 입자물리학 · 전자공학 · 컴퓨터공학 · 원자력공학 · 항공우주공학
실험 캐번디시의 '지구 무게 측정' 실험 · 뉴턴의 '결정적 실험' · 마이컬슨-몰리 실험 · 음극선 실험 · 밀리컨의 기름방울실험 · 슈테른-게를라흐 실험 · 이중슬릿 실험 · 입자 충격 실험 · 방사선 회절 실험 · 하펠-키팅 실험
기구 및 측정 가이거 계수기 · 거품상자 · 계산기(컴퓨터) · 분광기 · 자기공명장치(NMR) · 안개상자
물리 상수 · 차원분석
거대과학 핵개발 · 핵융합 · 레이저 · 입자가속기 · 중성미자 검출기 · 우주개발 · 우주 탐사 · 우주 망원경 · 전파 망원경 · 슈퍼컴퓨터 ·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가속기 <colbgcolor=#223360> 분류 고주파 가속기 · 레이저 가속기 · 정전 가속기 · 이온가속기 · 중성입자 가속기 · 전자가속기 · 벨 실험
선형 SLAC · ILC
원형 사이클로트론 · LHC · 테바트론
검출 ATLAS · CMS · ALICE · LHCb
중성미자 검출 카미오칸데 · 아이스큐브
핵융합 ITER · KSTAR · EAST
우주탐사 거대 망원경 거대 마젤란 망원경 · TMT · ELT
우주 망원경 허블 우주 망원경 ·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 LUVOIR · 낸시 그레이스 로먼 우주 망원경
유인 우주탐사
범지구 위성 항법 시스템 GPS · 글로나스 · KPS · 갈릴레오
중력파 검출 LIGO · KAGRA · Virgo
기타 물리화학
}}}}}}}}} ||
[1] 예컨대, 상대성 이론은 당시 알려지지 않았던 중력파의 존재를 이론적으로 예측했고, 이는 이후 실험을 통해 실제로 확인되었다.[2] 영국의 물리학자이자 과학철학자[3]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이자 과학사학자[4] 반면, 천체물리학은 태생부터 물리학의 한 분과로서 존재했다.[5] 정작 러더퍼드 본인은 노벨화학상(위 발언에 따르자면 "노벨 우표수집상")을 수상했으며, 이에 대해 스스로도 불편함을 느꼈다고 전해진다.[6] 예: 뉴턴의 운동법칙(고전역학), 양자역학, 상대성 이론 등[7] 이하 서술의 기본 출처는 물리학자 최무영 교수의 글 물리학의 범위로서, 최무영 교수는 물리학의 분류를 '연구대상에 따른 분류'와 '연구방법(보편적 이론체계)에 따른 분류'의 두 가지 기준으로 설명하였고, 본 문단은 그 중 후자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해당 출처를 참고 바람.[8] 이하 서술의 기본 출처는 물리학자 최무영 교수의 글 물리학의 범위로서, 최무영 교수는 물리학의 분류를 '연구대상에 따른 분류'와 '연구방법(보편적 이론체계)에 따른 분류'의 두 가지 기준으로 설명하였고, 본 문단은 그 중 전자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해당 출처를 참고 바람.[9] 실제로는 진폭이 작을 때에만 근사적으로 일정하다.[10] 이 말은 즉 일상적인 온도의 흑체에서 적은 양의 적외선, 좀 더 많은 양의 가시광선, 아주 많은 자외선, 당장 사람을 태워죽일 만큼 많은 X선이 뿜어져 나올 거라는 뜻이다. 물론 실제와 다르다.[11] 강에서 배가 이동하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 배가 물이 흐르는 방향과 같은 방향이면 빠르게 이동할 것이고, 반대라면 천천히 이동하는 것과 같이 에테르의 흐름에 따라 분명히 차이가 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12] 마이컬슨 간섭계를 이용해 회절무늬 개수의 차이를 통해 빛의 파장을 계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빛이 파동이므로 빛의 속도를 계산 할 수 있다.[13] 정확하게는 마이컬슨 몰리는 에테르가 있다고 믿었지만 예상치인 sin 그래프에 비해서 실험값은 너무 다르게 나와서 이상하다는 결론을 내렸다.[14] 드브로이는 당시 귀족이었는데, 그 당시 귀족들은 돈은 많고 할 일이 없어 수학과 물리를 취미생활로 즐겼다. 많은 과학자들이 드브로이의 입자의 파동설이 현대 물리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엄청난 발견이 아닌 언젠가는 발견되었을 만한 것이라는 부분에 동의한다.[15] 슈뢰딩거 방정식의 파동함수를 이용하면 파동함수를 푸리에변환을 통해 공간함수와 파동함수 차원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해석이 용이해진다.[16] 이를 보고 아인슈타인은 "신은 주사위 놀음을 하지 않는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슈뢰딩거 역시 이 의견에 반대했는데, 결과적으로는 현대물리를 설명하는 데 굉장히 중요한 이론이 되었다.[17] 사실 우리가 알고 있는 슈뢰딩거의 해석법이 나올 당시 하이젠베르그도 독자적으로 행렬을 통하여 파동함수를 기술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한창 논쟁이 됐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두 가지 해석법은 방법만 다를 뿐 같은 내용이라는 게 밝혀지면서 논란이 종결됐다. 양자역학 입문 시에는 비교적 익숙한 수학적 테크닉으로 슈뢰딩거 방정식을 이용하지만, 스핀 등의 물리량은 슈뢰딩거의 방법으로 표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하이젠베르그의 행렬을 이용한 해석법도 반드시 필요하다.[18] 중력을 고전적 혹은 준고전적으로 포함하는 것은 가능하다. 호킹 복사 참조.[19] 정확한 설명은 아니지만, 대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면 '근본 틀' 또는 '근본 이론'이라고 생각하면 된다.[20] 즉, 패러다임을 이용해 알려진 현상을 설명하고, 새로운 현상을 예측하는 활동을 말한다. 토마스 쿤은 이를 퍼즐풀이(puzzle-solving)이라고 했다.[21] 예컨대 고전역학(이것도 패러다임이다)으로는 수성의 근일점 이동 현상을 도저히 설명할 수 없었다.[22] 예컨대 상대성 이론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아인슈타인[23] 다만 고등학교 수준의 물리에서는 물리학 용어들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고 이 용어들이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관되어서 자연 현상을 현상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24] 미세한 세계를 다루는 이 "나노공학"이라는 분야는 사실 새롭게 나타난 하나의 독립된 분야가 아닌, 분야를 초월한 일종의 학문적 트렌드라 봐도 무방하다. 그 근거로 나노 관련 연구실을 물리, 화학, 재료, 기계, 전자 등의 수많은 학과에서 볼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25] 학교에 따라 3학년 과정으로 편성하는 경우도 있으며, 2~3학년에 걸쳐서 편성하기도 한다. (예: 2학년 2학기~3학년 1학기)[26] 수준 문제로 재료공학과, 전자공학과 2학년 전공에서 현대물리학이 개설된 경우도 있다.[27] 다만 개념이 추상적인 것과는 별개로, 관찰은 직관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당연히 그럴 수 밖에 없는 게 물리학이라는 학문 자체가 관측이 가능한 것들로 이루어져있기 때문.[28] 여담으로 이것은 정확히 말하자면 평균 속력이다. 그냥 속력의 경우 미분이라는 고등 수학의 개념을 빌려야 한다.[29] 이쪽은 본래 유명했지만 유튜브가 활성화되면서 더욱 유명해졌다.[30] 즉, 아래로 감속될 때.[31] 고도가 높아지고 있으므로 중력이 약간 감소하긴 하겠지만…[32] 다만 출력이 엄청난 가시광선이라면 대기중일 때 한해서 궤적이 보일 수 있다. 물론 그 경우 표적에서 나는 빛이 너무 밝아 궤적이 안보일 가능성이 있다...[33] 정확히, '모든 입자'는 [math(\displaystyle E = \sqrt{\left(m_0c^2\right)+\left(pc\right)^2})] 만큼의 에너지를 가지며, 정지질량([math(m_0)])이 0인 입자는 이 식에서 [math(m_0c^2)] 항이 0이 되므로 [math(E = pc = hf)] 만큼의 에너지를 지닌다.[34] 여기서 더 나아가 이상기체 속이나 진공 상태에서만 적용된다던가, 아니면 강체흑체 소라던가, 부피가 0인 소에만 적용된다던가 하는 농담이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