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30 19:46:20

루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뜻의 루멘}}}에 대한 내용은 [[루멘(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루멘(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루멘(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뜻의 루멘: }}}[[루멘(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루멘(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루멘(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전자기학
Electromagnetism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기초 개념
<colbgcolor=#009><colcolor=#fff> 관련 수학 이론 · 디랙 델타 함수 · 연속 방정식 · 분리 벡터
전기 · 자기 개념 전자기력(자기력) · 전자기 유도(패러데이 법칙) · 맥스웰 방정식 · 전자기파 · 포인팅 벡터 · 전자기학의 경계치 문제 · 전자기파 방사
정전기학 전하 · 전기장 · 전기 변위장 · 전기 퍼텐셜 · 가우스 법칙 · 전기 쌍극자 모멘트 · 유전율 · 대전현상 · 정전용량 · 시정수 · 정전기 방전
정자기학 자성 · 자기장 · 자기장 세기 · 자기 퍼텐셜 · 자기 쌍극자 모멘트 · 로런츠 힘 · 홀 효과 · 비오-사바르 법칙 · 앙페르 법칙 · 투자율
구현체 자석(전자석 · 영구 자석) · 발전기 · 전동기
회로이론 · 전자회로 개념 회로 기호도 · 전류 · 전압 · 전기 저항(비저항 · 도전율) · 전력(전력량) · 직류 · 교류 · 키르히호프의 법칙 · 중첩의 원리 · 삼상
소자 수동소자: 직류회로(휘트스톤 브리지) · RLC회로(커패시터 · 인덕터 · 레지스터) · 변압기
능동소자: 전원 · 다이오드 · 진공관 · 트랜지스터 · 연산 증폭기
응용 및 심화개념
관련 학문 상대론적 전자기학 · 양자 전기역학 · 응집물질물리학 · 고체물리학 · 전자공학 · 전기공학 · 제어공학 · 물리화학 · 광학 · 컴퓨터 과학(컴퓨터공학) · 신경과학(뇌과학)
토픽 이론 광자 · 게이지 장(역장 · 장이론) · 물질파(광전효과) · 다중극 전개 · 맥스웰 변형 텐서 · 비리얼 정리
음향 앰프(파워앰프 · 프리앰프 · 인티앰프 · 진공관 앰프) · 데시벨 · 네퍼 · 음압 · 잔향
반 데르 발스 힘(분산력) · 복사 · 전도(전도체 · 열전 효과) · 초전도체 · 네른스트 식
광학 광도(루멘 · 휘도 · 조도 · 럭스) · 굴절(굴절률 · 페르마의 원리) · 스넬의 법칙 · 산란 · 회절(회절 격자) · 전반사 · 수차(색수차) · 편광 · 뉴턴 원무늬 · 분광학 · 스펙트럼 · 렌즈(얇은 렌즈 방정식 · 두꺼운 렌즈) · 프리즘 · 거울(구면 거울 방정식) · 행렬광학 · (색의 종류 · RGB · 무채색 · 유채색)
전산 논리 연산 · 논리 회로 · 오토마타(프로그래밍 언어) · 임베디드 · 컴퓨터 그래픽스(랜더링) · 폴리곤 · 헥스 코드
생물 생체신호(생체전기 · BCI) · 신경계(막전위 · 활동전위 · 능동수송 · 분극 · 흥분 전도 · 원추세포 · 간상세포) · 신호전달 · 자극(생리학)(베버의 법칙 · 역치) · 감각(시각 · 청각 · 후각 · 미각 · 촉각)
기타 방사선 · 반도체 · 전기음성도 · 와전류 · 방전 · 자극 · 표피효과 · 동축 케이블 · 진폭 변조 · 주파수 변조 · 메타물질 · (지구자기장) · 체렌코프 현상 · 음발광
관련 문서
물리학 관련 정보 · 틀:전기전자공학 · 전기·전자 관련 정보 · 틀:이론 컴퓨터 과학 · 틀:컴퓨터공학 }}}}}}}}}

1. 개요2. 특징3. 안시 루멘 (ANSI lumen)4. 개구율5. 기타

1. 개요

루멘(lumen)은 광선속을 나타내는 SI 단위다. 여기서 광선속은 쉽게 말해, "광원이 내보내는 의 양" 정도라 할 수 있다.

Luminous flux를 번역한 한자 표현인 광선속(光線)은 "빛줄기 묶음"의 뜻이다. 광량(光量)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lumen은 라틴어로 빛이라는 뜻이다. 기호로는 lm을 쓴다.

루멘은 SI 기본 단위인 칸델라(cd)에서 유도된 단위이며,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lm = 1 cd·sr
(sr은 스테라디안. 일종의 입체 각도)

관찰자 주위 전방과 같은 공 모양은 4π의 스테라디안(입체각)에 해당하므로, 1 칸델라의 촛불이 사방으로 빛을 비출 경우(촛몸은 투명하다고 가정) 광선속은 1 cd × 4π 루멘이 된다.

2. 특징

루멘은 칸델라에서 유도된 단위이므로 칸델라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에 실제로 보이는 밝기에 의한 가중치가 반영이 된다. 그러므로 눈에 잘 안 보이는 자외선, 적외선 근처의 빛은 에너지 강도에 비해 루멘 값이 낮게 나오고, 눈이 가장 잘 반응하는 녹색 빛은 에너지 강도에 비해 루멘 값이 높다.

칸델라 및 칸델라에서 유도된 루멘, 럭스의 좀 더 자세한 관계는 칸델라 항목 참고.

3. 안시 루멘 (ANSI lumen)

아류작(?)으로 안시 루멘 (ANSI lumen)이라고 있다. 정식 단위는 아니고, 마케팅적인 표현. 빔 프로젝터 등에서 밝기를 나타내는 용어다. 밝기 자체로는 표준적인 루멘과 다를 것이 없다. 그런데 왜 굳이 "안시(ANSI)"라는 단어를 붙였느냐 하면...

미국 표준 협회(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라는 곳이 있다. 기술 관련한 이것 저것에 대해 표준을 세우는 곳인데, 빔 프로젝터의 밝기를 측정하는 절차에도 역시 기준을 세워놨다. 예를 들어 측정실의 온도는 몇 도로 맞출 것이며, 영역은 몇등분해서 측정해야 하며... 등등을 정해 놓은 것이다. 그 기준대로 측정하지 않아도 누가 잡아가는 것은 아니지만, 이 절차대로 하면 좀더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어서 업계에서는 많이 따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절차로 나온 밝기 값(당연히 루멘 값)에 "안시 루멘"이라 덧붙여서 안시 기준을 따라 측정했음을 강조하는 것이다.

니트는 빛의 양을 다른 정의로 측정하는 단위이지만 같은 상황에서 대략적으로 1 ANSI 루멘은 0.29 니트의 값을 가진다.

흔히들 뒤의 루멘을 떼어 버리고 그냥 "안시"라고도 하는데, 틀린 용법. 안시만 쓰면 그냥 미 표준협회란 뜻이 된다. 차라리 앞의 안시를 떼고 루멘이라고만 쓰는 것이 맞는 용법이다.

4. 개구율

Aperture ratio /

디스플레이 한정으로 개구율이라는 용어를 쓰기도 하는데, 픽셀 하나가 내는 루멘 값을 뜻한다. 개구율이 높을수록 해당 픽셀이 같은 에너지로 더 밝은 색을 낼 수 있다.

5. 기타

EU에서는 전구 등의 조명 기구의 밝기를 와트가 아닌 루멘 단위로 표기하도록 2010년부터 법제화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구나 형광등의 소모 전력량(와트)만 표기하고 정작 밝기(루멘)는 표기하지 않아 실제로 얼마나 밝은지는 전구 간에 비교하기 어렵다. 다만 값이 비싼 LED 전구에서는 루멘도 같이 표기되는 추세.

사실 밝기만 표기되어서는 조명 기구가 얼마나 효율적인지는 직감하기 어렵다. 본격적으로 에너지 효율을 따지자면 발광효율(luminous efficacy)이란 기준을 쓴다. 투입된 기준 에너지에 대해 내보내는 빛의 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단위는 lumen/watt. 그리고 발광 효율의 최대값이라 생각되는 683 lm/W에 대한 비율(luminous efficiency)로 효율을 표기하기도 한다. 즉 광원의 발광 효율을 683 lm/W로 나눈 값을 표시하는 것이며, 흔히 %로 표시된다. 발광효율이 나쁜 조명기구는 밝지도 않으면서 에너지만 처묵처묵한다. 촛불이 효율면에서 바닥권으로 0.04%(!!) 정도 밖에 안된다. 백열전구도 효율이 나빠서 2% 정도에 머문다. 최상위권은 아무래도 LED...인데, 의외로 형광등과 엄청난 차이가 나는 건 아니다. LED 특정 제품에서 이룬 최고 수치가 22.69%인데[1], 이건 부품상태에서 내는 효율이고 전원기구를 포함한 완제품 전구로 조립했을 때는 아니다. 필립스 11와트 230v LED제품이 20.3%로 제일 높은 편이고 이는 튜브형 형광등의 최고치 15.63%와 엄청난 격차가 있는 건 아니다. LED는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현재 조명용으로 나오는 제품은 Color Rendering Index 가 80을 넘어가는게 상당하며 효율도 대단히 높아졌다. 200 lm/W까지도 나오는 저압 나트륨등이 효율은 가장 좋아서 예전엔 터널, 도로등의 가로등으로서 사용되었으나, 주황빛에 가까운 노란 단색광만 나오다 보니 현재는 LED조명이나 메탈할라이드 등으로 사용하거나 교체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는 서울반도체에서 210 lm/W(30.74%)나 되는 무시무시한 제품을 양산중이다.

대표적인 조명기구들의 광선속(Luminous flux)은 다음과 같다. 물론, 제조사별로 그리고 제품별로 다르니 참고만 할 것. 괄호안에는 효율 (lm/W)
  • 60 W 백열전구 - 870 lm
  • 100 W 백열전구 - 1,750 lm
  • 25 W 콤팩트 형광등 - 1,275 lm (55 lm /W)
  • 40 W 형광등 - 2,800 lm
  • 촛불 - 13 lm
  • 석유조명등 - 100 lm
  • 소형 LED 플래시 라이트 60-100 lm
  • 1W 백색 LED - ~180 lm[2]
  • 12V 55W 자동차 전조등용 H7 할로겐 전구 - 1,500 lm
  • 127 W 저압 나트륨등 - 25,000 lm
  • 400 W 메탈할라이드등 - 40,000 lm

[1] LG Innotek의 고효율 제품 LEMWS51R80GZ** 기준, 포워드 전압 2.89 V 전류 65 mA 소비전력 0.187 W 에서 29 lm으로 155 lm/W이다[2] 어느 회사의 어느라인업이냐에 따라서 효율이 매우 다양하게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