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4 02:17:35

전기통신대학

덴노메이센(電農名繊)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電 :전기통신대학 農 :도쿄농공대학 名 :나고야공업대학 繊 :교토공예섬유대학
※ 둘러보기: 틀:일본의 국립대학
}}}}}}}}} ||
[ruby(電気通信大学, ruby=でんきつうしんだいがく)]
전기통신대학

The University of Electro-Communications
파일:전기통신대학 로고.png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분류<colbgcolor=#F5F5F5,#222><colcolor=#005baa,#F5F5F5>국립
창립1918년
대학 설치 1949년
현 총장 타노 슌이치(田野 俊一)[1]
소재도쿄도 조후시 조후가오카
재학생 수학부생 3,761명(2024년)[2]
대학원생 1,113명(2024년)
교직원 수632명
교표파일:전통대 교표.jpg [3]
마스코트파일:전통대 마스코트.png
웹 사이트전기통신대학 홈페이지
위치
<nopad>

1. 개요2. 역사
2.1. 연혁
3. 조직
3.1. 학역 (학부)3.2. 대학원
4. 출신 인물5. 기타6. 둘러보기

1. 개요

파일:전통대 입구.jpg
▲ 전기통신대학 정문
▲ 전기통신대학 소개 영상
일본 도쿄도 쵸후시에 본부를 둔 명문 4년제 국립대학이다. 약칭은 덴츠다이(電通大) 또는 UEC이다. 일본의 공학계 특화 국립대학인 덴노메이센 중 하나이며, 통신분야 한정으로 연구비가 구제국대학 다음 위치한 상위권 대학이다. 2022년 기준 일본 400대 유명기업[4]취업률 7위에 위치하며[5], 취업부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있다.

학부와 대학원은 각각 한개 뿐이다. 대학 이름에는 전기 / 통신만이 들어가 있지만, 기계/물리/화학생명 등의 여러 전공이 존재한다.

일본 영주비자 신청시 일본 출입국재류관리청으로부터 '고도 전문직 1호(특별 고도 인재)'[6] 자격부여 대상 대학으로 지정되어, 2014년 법무성령 제37호 이하 '고도전문직성령' 제1조 제1항 특별가산항 규정[7]에 기초하여 학부/연구과를 졸업하고 일본 고도인재 외국인 대상 포인트 우대제도 신청 시 가산점 10점을 받을 수 있다.

2. 역사

2.1. 연혁

  • 1918년 12월 8일 사단법인 전신 협회 관리 무선전신강습소를 창설(도쿄시 아자부구 이이쿠라초)
  • 1949년 5월 31일 국립학교 설치법 시행으로 전기통신대학 설치[8]
  • 1954년 4월 1일 전기통신학부에 전기통신연구시설 설치
  • 1959년 4월 1일 전기통신학부 개편(전자공학과 증설, 전기통신전공과를 설치, 통신경영학전공을 설치)
  • 1968년 12월 12일 스가헤라 우주전파 관측소를 개소
  • 1973년 4월 1일 전기통신학부에 정보수리공학과를 증설
  • 1980년 1월 1일 정보처리센터 설치
  • 1994년 4월 1일 대학원 정보 시스템학 연구과에 정보・네트워크공학 증설
  • 2000년 10월 창립 80주년 기념회관 개관
  • 2005년 4월 1일 첨단 무선 커뮤니케이션 연구 센터를 설치
  • 2008년 창립 90주년 기념식 거행
  • 2012년 종합 커뮤니케이션 과학 추진 기구를 설치
  • 2018년 12월 8일 창립 100주년 기념식 거행[9]

3. 조직

3.1. 학역 (학부)

  • 정보이공학역 (情報理工学域)
    • 1류 (정보계)
      • 미디어정보학
      • 경영・사회정보학
      • 정보수리(数理)공학
      • 컴퓨터사이언스
    • 2류 (융합계)
      • 세큐리티정보학
      • 정보통신공학
      • 전자정보학
      • 계측・제어시스템
      • 선단로보틱스
    • 3류 (이공계)
      • 기계시스템
      • 전자공학
      • 광(光)공학
      • 물리공학
      • 화학생명공학
    • 선단공학기초과정 (야간주과정)

3.2. 대학원

  • 정보이공학연구과 (情報理工学研究科)
    • 정보학 전공
    • 정보・네트워크공학 전공
    • 기계지능시스템학 전공
    • 기반이공학 전공
    • 공동 서스테이너빌리티[10] 연구 전공
  • 기타
    • 슈퍼연계대학원
    • 연계교육

4. 출신 인물

5. 기타

  • 일반 입시가 난관인 이과 대학 중 하나이며 센터시험 비중이 크지 않다.
  •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 시험으로 진학 가능하며, 외국인입시의 경우 일본유학시험의 일본어(기술 제외), 수학 코스 2, 이과과목 점수 총합 600점대 학생들이 지원한다. 그리고 일본어, 수학, 이과과목 본고사를 치러야하고 면접도 있다. 자신이 지원하지 않은 다른 학류에 합격되는 경우도 있으니 합격자 명단을 잘 보자.[12]
  • 공대 학과들만 있다 보니 여학생 비율도 14% 정도로 처참하리만큼 낮다.

6. 둘러보기

파일:도쿄도 문장_White.svg 도쿄도국립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도쿄대학 도쿄외국어대학 도쿄학예대학 도쿄농공대학
도쿄예술대학 오차노미즈여자대학 도쿄해양대학 도쿄과학대학
전기통신대학 히토쓰바시대학 정책연구대학원대학
※ 둘러보기: 틀:일본의 국립대학
}}}}}}}}} ||
덴노메이센(電農名繊)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電 :전기통신대학 農 :도쿄농공대학 名 :나고야공업대학 繊 :교토공예섬유대학
※ 둘러보기: 틀:일본의 국립대학
}}}}}}}}} ||

[1] 공학박사, 1983년 도쿄공업대학 대학원 종합이공학연구과 석사 과정 수료. 같은 해, 히타치 제작소 시스템개발연구소에서 12년간 근무 후, 1996년 본 대학 대학원 시스템학연구원에서 조교수를 역임했으며, 2002년부터는 정교수를 역임, 2017년 정보이공학연구과장을 역임 후, 2020년 본 대학 학장으로 임명되었다.[2] 휴학생 104명, 유년생 387명 미포함[3] 쇼와 24년 9월의 교수회 승낙하에, 학생·교직원을 대상으로 현상 모집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마츠무라 쇼오 교수로부터 나온 주파수비 5대 6의 리사쥬 도형에 「대학」의 문자를 다룬 도안이 채택됨[4] 대기업[5] https://univ-online.com/article/career/19780/[6] https://www.moj.go.jp/isa/content/001335478.pdf[7] https://www.moj.go.jp/isa/content/930001665.pdf[8] 전기통신학부 : 선박통신,육상통신, 전파공학[9] https://www.uec.ac.jp/about/profile/pamph/digitalbook.html[10] 지속가능발전 (SDGs 등.)[11] 학부는 영남대학교 전자공학과[12] 거의 그럴 일없다. 매우 극소수의 운좋은 케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