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align=center><tablewidth=800px><tablebordercolor=red,red><tablebgcolor=red,red> ![파일:슈퍼전대 로고.png]()
슈퍼전대 시리즈 ||
슈퍼전대 시리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rowcolor=#fff> 1대 (1975) | 2대 (1977) | 3대 (1979) | 4대 (1980) | 5대 (1981) |
<rowcolor=#fff> 6대 (1982) | 7대 (1983) | 8대 (1984) | 9대 (1985) | 10대 (1986) | |
<rowcolor=#fff> 11대 (1987) | 12대 (1988) | 13대 (1989) | 14대 (1990) | 15대 (1991) | |
<rowcolor=#fff> 16대 (1992) | 17대 (1993) | 18대 (1994) | 19대 (1995) | 20대 (1996) | |
<rowcolor=#fff> 21대 (1997) | 22대 (1998) | 23대 (1999) | 24대 (2000) | 25대 (2001) | |
<rowcolor=#fff> 26대 (2002) | 27대 (2003) | 28대 (2004) | 29대 (2005) | 30대 (2006) | |
<rowcolor=#fff> 31대 (2007) | 32대 (2008) | 33대 (2009) | 34대 (2010) | 35대 (2011) | |
<rowcolor=#fff> 36대 (2012) | 37대 (2013) | 38대 (2014) | 39대 (2015) | 40대 (2016) | |
<rowcolor=#fff> 41대 (2017) | 42대 (2018) | 43대 (2019) | 44대 (2020) | 45대 (2021) | |
<rowcolor=#fff> 46대 (2022) | 47대 (2023) | 48대 (2024) | 49대 (2025) | 50대 (2026) | |
번외 | |||||
<colbgcolor=#ffffff,#191919> 비공인전대 아키바레인저 | |||||
파워레인저 다이노포스 브레이브 | |||||
4주 연속 스페셜 슈퍼전대 최강 배틀!! | |||||
히어로 마마 리그 | }}}}}}}}} |
슈퍼전대 시리즈 가족 전대 작품 | ||
| ||
지구전대 파이브맨 (1990) | 구급전대 고고파이브 (1999) |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2005) |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魔法戦隊 マジレンジャー (파워레인저 매직포스) Mahou Sentai Magiranger (2005) | |
<nopad> | |
방송 시간 | <colbgcolor=#fff,#1f2023>일요일 오전 7:30 ~ 8:00 |
방송 기간 | 2005년 2월 13일 ~ 2006년 2월 12일 |
방송 횟수 | 49화 |
제작 | 테레비 아사히, 토에이, 토에이 에이전시 |
채널 | ● 일본: 테레비 아사히 ● 한국: 재능방송, 대원방송 |
한국 정식발매 | 대원미디어 (VHS, DVD) |
원작 | 야츠데 사부로 |
프로듀서 | 테레비 아사히: 슈렉 헤드윅 |
토에이: 츠카다 히데아키치프 프로듀서, 우츠노미야 타카아키, 스즈키 타케유키제작 총괄 | |
토에이 에이젠시: 야다 코이치 | |
감독 | 와타나베 카츠야 외 |
각본 | 마에카와 아츠시[1], 아라카와 나루히사, 요코테 미치코, 야마토야 아카츠키 |
내레이션 | 겐다 텟쇼[2] / 시영준[3], 양석정[4] |
출연 | 하시모토 아츠시, 마츠모토 히로야, 카이 아사미, 벳푸 아유미, 이토 유우키, 이치카와 요스케, 와타나베 아즈사, 이소베 츠토무, 야마노우치 메이비, 소가 마치코, 호란 치아키, 키타가미 토모미 외 |
첫 에피소드 | 여행의 아침 ~마-지 마지 마지-로~ (旅立ちの朝 〜マージ・マジ・マジーロ〜) |
|
1. 개요
예고편 |
"넘치는 용기를 마법으로 바꾼다!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あふれる勇気を、魔法に変える!魔法戦隊マジレンジャー!")
"넘치는 용기여, 마법으로 변해라! 마법전사 매직레인저!"
- 소개 대사
슈퍼전대 시리즈 29번째 작품이자, 30주년 기념작. 소재는 마법 + 가족. 테마는 용기.("あふれる勇気を、魔法に変える!魔法戦隊マジレンジャー!")
"넘치는 용기여, 마법으로 변해라! 마법전사 매직레인저!"
- 소개 대사
2. 특징
- 서구 판타지를 기초로 한 작품이므로 이곳저곳에서 익숙한 모습을 볼 수 있다. 과거의 서양 동화에서부터 해리 포터 시리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재를 끌어와 아이들에게 좀 더 친근하게 다가설 수 있었으며, 덕분에 이전 전대들보다는 좀 더 자유로운 캐릭터 디자인이 가능하게 되었다. 덕분에 아예 말도 안되는 메카닉의 크기 배분 등이 선보였고 로봇도 단일 디자인이 아닌 마법사, 램프의 요정 등 서로 맞지 않을 것 같은 디자인들이 많이 보이곤 한다.[5] 실제로 이 작품의 콘셉트가 마법으로 정해진 계기도 일본 내에서의 해리 포터 영화판이 크게 히트를 쳤기 때문. 악역들 역시 판타지 속의 괴물, 환상종 등을 소재로 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신화적인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6]
- 과거에도 지구전대 파이브맨, 구급전대 고고파이브와 같은 남매 전대들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아예 전 가족이 모두 전대 멤버가 되어 활동한다.[7] 다만 언급된 두 전대와의 차이점은 레드가 막내라는 점이다. 제 3번째의 형제 전대 및 2번째의 가족전대인 이 작품은 '가족'이라는 테마가 이전의 가족전대들보다도 두드러지게 드러나며[8] 여러 가지 사건에 의해서 가족이 물리적, 정신적으로 떨어지게 되나 결국에는 하나로 뭉쳐 사건을 해결하는[9] 모습을 통해 가족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그 덕분에 결말도 가족 드라마의 훈훈한 모습을 보여주며 가족사진으로 마무리.
- 소가 마치코의 마지막 영상 작품으로 원래 천공대성자 마지엘의 역할은 오카다 마스미[10]였지만 극장판 촬영 전에 식도암 문제로 소가 마치코가 촬영에 참가하였다. 이미 이 때에도 췌장암을 앓았으며 촬영 종료 3개월 후인 2006년 5월 7일에 향년 68세를 일기로 사망했다.[11]
- 일본 내에서는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이상의 인기를 얻었지만[12] 소득은 데카레인저보다 낮은데 후반 주력기체인 마지 레전드의 부진이 뼈아팠다.(데카레인저 = 116억엔, 마지레인저 = 108억엔이라는 정보가 있다)[13] 그래도 둘 다 성공적인 작품이기에 떨어져도 납득이 갈만한 실적이기는 하다.
- 비디오 테이프로 출시된 마지막 작품이기도 하다. 다음 작품인 보우켄저부터는 DVD로만 작품 출시가 이루어진다.
- 역대 슈퍼전대 시리즈 중 변신 전 액션이 적게 나온 작품이기도 하다. 그래서 맨몸 액션을 선호하는 일부 슈퍼전대 팬덤에서는 액션 부분에 대해서는 그다지 좋은 평가를 내리지 않는다.[14][15]
- 잭커 전격대 이후 안보인[16] 망토를 슈트에 다시 차용한 전대다. 마지레인저 이후로 망토가 붙은 전대는 쾌도전대 루팡레인저 뿐이다. 기계전대 젠카이저도 있으나 멤버들 중 젠카이저 혼자서만 망토를 하고 있다. 그리고 임금님전대 킹오저와 킹 쿄류 레드도 있지만 이쪽들은 한쪽 어깨에만 망토를 두르고 있다.
- 멤버들이 전사와 메카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 희귀한 전대다. 아무래도 주제가 주제이니만큼 비교적 자유로운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인데, 이 외에도 사소한 부분에서 타전대와 다른 모습이 종종 보인다.
- 최초로 그린이 리더가 된 전대다.
- 선배 남매전대인 파이브맨의 남매순서의 역순서이다. 파이브맨 측 남매 순서는 가쿠-켄-카즈미-레미-후미야 순으로 남-남-여-여-남 순이지만 이쪽은 마키토-호우카-우라라-츠바사-카이 순으로 남-여-여-남-남으로 파이브맨의 역순서이며 또다른 선배남매전대인 고고파이브에서는 남-남-남-남-여 순이다.[18]
- 위에서 말했듯이 천국-마지토피아, 지옥-인페르시아는 아치 에너미이지만 법정동이라는 사실이 밝혀진다. 거기다 두 세계관 모두 규칙을 중시하는 엄격함과 원칙주의적인 성향이 강한 세계관이기도 하다.
- 최후의 SD 포맷 슈퍼전대 시리즈다. 후속작 굉굉전대 보우켄저부터는 HD 포맷으로 제작되고 있다. 다만 미국판인 파워레인저 시리즈는 염신전대 고온저의 리메이크판인 파워레인저 RPM이 최후의 SD 포맷 작품이고 사무라이전대 신켄저의 리메이크판인 파워레인저 사무라이가 최초의 HD 포맷 작품이다.
3. 시놉시스
4. 주제가
4.1. 오프닝: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4.2. 엔딩: 주문강림 ~ 매지컬 포스
TV ver. | full ver. |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ED - 주문강림 ~ 매지컬 포스 (呪文降臨~マジカル・フォース) | |
<colbgcolor=#d3d3d3,#1f2023> 작사 | 이와사토 유호 |
작곡 | YOFFY |
편곡 | 쿄다 세이이치 |
가수 | Sister MAYO[19] |
|
각각 엔딩, 오프닝을 부른건 Sister MAYO, 이와사키 타카후미. 참고로 이 둘은 Project.R의 원년 멤버이다.[20]
한국판 ED - 주문강림~매지컬 포스 | |
가수 | 불명 |
|
4.3. 삽입곡
- 마인합체! 마지 킹 - 마지 킹 테마곡
- Bloody Friday's Nightmare - 요환밀사 반큐리어 테마곡
- Shining magic magishine - 마지 샤인 테마곡
- 트라베리온 Go! - 트라베리온 테마곡
- Go! Yellow Thunder - 오즈 츠바사 테마곡
5. 국내 방영
|
마법, 그것은 성스러운 힘
마법, 그것은 미지로의 모험
마법, 그리고 그것은 용기의 증표
파워레인저 매직포스!
국내방영 인트로.
마법, 그것은 미지로의 모험
마법, 그리고 그것은 용기의 증표
파워레인저 매직포스!
국내방영 인트로.
한국에서는 2006년 7월 17일 재능방송에서 파워레인저 매직포스라는 제목으로 더빙하여 방영하였다. 당시 책임프로듀서 이정렬 CP, 번역 이근아, 녹음연출 박성경 PD로 이루어진 제작진 삼각편대는 전체적으로 현지화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캐릭터의 해석, 주제가[23], 마무리 곡, 목소리 뿐만이 아닌 삽입음까지도 완벽히 한글화를 하는 성과를 올렸다.[24] 심지어 아무도 예상하지 않았던 OST 보컬곡에다 극 중 한번 나오고 마는 캐릭터나 로봇 등의 테마송들은 보통 원곡으로 내보내지만 매직포스에서 전부 번역 및 더빙해 삽입했다.[25][26] 아쉬운 점이라면 오프닝 영상인데 초반부 오프닝 영상을 사용하지 않고 1화부터 마지막 오프닝 영상만 사용해서 신전사인 샤인, 트라베리온, 명부 10신, 레전드 매직레인저, 레전드 메가조드 등의 후에 나올 요소들이 묘하게 오프닝에서 스포일러 됐다는 점이다.
5.1. 국내에서의 인기
1980년대, 1990년대에 어린 시절을 보낸 아이들에게 한국에 최초로 소개되어 현재까지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지구방위대 후뢰시맨과 국내 최초로 TV 방영된 무적 파워레인저가 있었다면 2000년대 초중반에 어린 시절을 보낸 이들에게는 파워포스레인저와 파워레인저 매직포스가 있다고 할 수 있다.[27]사실 단순 인기도만 따졌을 때 마지레인저 따위는 이전 세대 히트작인 지구방위대 후뢰시맨이나 무적 파워레인저에 한참 못 미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지레인저의 네임밸류가 국내에서 소위 전설로 통용되는 저 두 작품과 대등하게 평가받는 가장 큰 이유는 4차 대중문화 개방 때문이다. 토에이가 제작한 슈퍼전대 시리즈가 파워레인저라는 시리즈명으로 수입되었을 당시가 국내의 특촬물 시장이 막 열리기 시작했을 무렵인데 이 스타트를 끊은 매직포스가 제대로 히트를 쳐버리면서 시리즈 전체를 부각시키는데도 일조하고 이후의 작품들도 지속적으로 수입해서 방영할 수 있게 해 준 일등공신 격 작품으로 등극한 것.[28] 후뢰시맨과 무적 파워레인저조차도 대중성의 부족과 당시의 인식 부재로 인해[29] 슈퍼전대 시리즈 전체를 부각시키지는 못했는데 마지레인저 덕분에 2005년부터 20년이 넘는 꽤나 오랜 기간 동안 한국의 특촬 시장을 슈퍼전대 시리즈가 독식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따라서 이 작품을 보고 자란 90년대생~00년대생들에게 이 작품은 최고의 전대작품으로 꼽히는 경우가 많으며 "파워레인저 중 매직포스를 알고있다."는 사람도 상당수다.[30] 가브타크, 유캔도와 같이 한국에서도 성공한 대표적인 특촬물로 인정 받으며 심지어 매직 포스의 엄청난 인기로 인해서 매직포스가 파워레인저 시리즈의 시초인 줄 알았다는 사람들도 의외로 많을 정도.
인기의 반증으로 금영, TJ미디어 노래방에 국내판 오프닝이 등록되기도 했다.[31]
방영 당시 아이들로부터 큰 인기를 누려 나중에 DVD로 발매하기도 했으며, 동시기에 방영했지만 서로 요소가 다른 가브타크, 유캔도, 매직포스가 절륜한 현지화로 모두 인기를 모은 이유라고 할 수 있다. 게다가 그 무렵에 한국 드라마 쩐의 전쟁에서 박신양이 한국판 오프닝을 부르고,[32] 마법 주문을 외운 덕에 노래방에서 한국판 오프닝을 부르는 사람 다수가 출현하기도 했다. 또한 주인공을 맡은 성우 정재헌이 스토리잡스라는 프로그램에서 성우 특집으로 출연해서 오즈 카이의 변신 대사를 말할 때 MC였던 김지선을 비롯한 모든 사람들이 다 알 정도로 인기가 엄청났다. 미국에서도 마지레인저(파워레인저 미스틱포스) 복장을 입고 도둑을 쫓아낸 꼬마의 기사가 나오는 등 한국에서 회자가 안 되면 이상할 지경에까지 가버렸다.
비록 이후의 슈퍼전대 시리즈가 전부 대원방송으로 넘어가면서[33]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재능방송에서 더빙된 슈퍼전대 시리즈로 기록되었지만[34] 엔진포스, 캡틴포스, 다이노포스 등과 함께 슈퍼전대 더빙의 레전드로 길이길이 남을만하다. 여기에 대해 대원쪽에서 시샘해서 그런 건지, 2008년 서울캐릭터 페어 당시 모 애니메이션 수입 업체(방송사가 아닌 수입 업체)의 한 직원은 "매직포스는 재능방송이 아니라 대원에서 더빙해서 퀄리티가 좋았던 것이다."라고 말하는 사고를 저질렀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매직포스의 더빙은 재능방송에서 주관한게 맞다.[35]
극장판 인페르시아의 신부가 2007년 7월 17일 굉굉전대 보우켄저 극장판과 같이 묶어서 '파워레인저 매직포스 & 트레저포스'란 제목으로 극장개봉을 했다. 슈퍼전대 시리즈의 최초로 국내 극장 개봉이며 TV판 성우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오리지널 극장판을 더빙한 것도 최초[36]이며 오리지널 극장판은 한동안 더빙되지 않다가 《특명전대 고버스터즈》에서 오랜만에 오리지널 극장판이 더빙되었다.
2007년 국내 방영시 슈퍼전대 시리즈가 파워레인저라는 이름으로 온라인 게임화가 추진될 당시 얼굴마담으로 많이 나왔었다. 그러나 오랜 기간동안 소식이 없다가 2011년에 정식 공개되었는데...관련기사[37] 시간이 많이 흐른지라 정식으로 공개된 2011년엔 이미 파워레인저 미라클포스가 방영 중이었기 때문에 얼굴마담에서 잘렸다. 단 개발 중인 스크린 샷이나 베타 테스트 때 플레이해볼 수 있는 건 여전히 이 작품이었는데, 아무래도 개발 시작이 2007년이다보니 당시 방영중이던 이 작품을 밀어준 감이 있다. 이후 파워레인저 온라인은 2013년 4월부터 2016년 1월까지 서비스를 하다가 조용히 사라졌다. 플레이 영상
이 작품부터 국내에 방영되는 슈퍼전대의 현지화 제목은 미국판과는 다른 이름을 사용하게 된다.
다이노썬더, S.P.D와 달리 완구는 미국판이 아닌 일본 현지에서 가져온 원판 완구를 발매하였다. 2007년경부터 대원미디어를 통해 비디오테이프, DVD로 발매한 바 있다.
한때 네이버 블로그와 같은 몇몇 개인 사이트에서 더빙판 녹화본이 있었으나, 현재 저작권 단속으로 인해 전부 삭제되었다.[38]
전편 S.P.D와 마찬가지로 2006년 12월 학산문화사에서 만화화하여 출간되었으며 마찬가지로 모든 에피소드를 안 그리고 브랑켄이 당하는 파트까지만 그려서 총 4권 발매되었다.[39]
5.2. 유튜브에서의 업로드
2021년 5월 8일부터 애니원, 애니박스를 비롯해 대원방송에서 운영하는현재는 더빙판 전편이 삭제 혹은 비공개 처리되어 있으나 Wayback Machine에서 에피소드 더빙판 전편이 저장되어 있어서 로스트 미디어 신세를 면했다. 전편을 감상할 수 있는 곳
6.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법전대 마지레인저/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법전대 마지레인저/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무장 및 아이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법전대 마지레인저/무장 및 아이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법전대 마지레인저/무장 및 아이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작중 등장한 마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법(마법전대 마지레인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법(마법전대 마지레인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기타 설정
- 마루데요나 세계
21화에 처음 나온 설정으로[40] 히카루가 설명하길 마법으로 만들어진 다른 차원의 세계. 하지만 뒤로 갈 수록 마법과 연관 없는 이들도 갖고 있는 장면으로 보아 소유자의 특별한 공간으로도 의미가 확장되었다. 이름의 유래는 일본어로 마치 ~~와 같은 세계(まるで○○ような世界, 마루데 ○○요우나 세카이)의 말장난.
직접 만들어낼 수도 있는 것으로 보이며 천공성자, 명부신들 중 일부[41]는 자신만의 마루데요나 세계를 소유하고 있다. 마루데요나 세계는 그 자체로 특수한 능력을 가지고 있거나, 소유자에게 유리한 환경을 부여한다. 마루데요나 세계의 주인이 상대를 자신의 세계에 초대하는 것을 제외하면 반큐리어처럼 차원을 넘나드는 능력이나 트라베리온 같은 특별한 이동수단이 없는 이상 타인의 마루데요나 세계에 함부로 출입할 수 없다.
마루데요나 세계를 소유한 인물이 사망하면 해당 마루데요나 세계가 어떻게 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스핑크스가 자신의 마루데요나에서 사망한 이후에 스핑크스의 마루데요나 세계가 바로 사라지지 않은 것과, 크로노젤이 울자드에 의해 사망했을때 크로노젤의 마루데요나가 사라지지 않은 것을 보면 소유자가 사망한다고 즉시 소멸하는 것은 아닌것으로 보인다.
작중에서 자신만의 마루데요나 세계가 등장한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10. 등장 메카
11. 평가
극 중의 중요 요소인 마법은 '용기를 통해 천상에서 부여받고 발휘하는 것' 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매 화마다 고난을 극복할 용기를 발휘해 마법을 획득하는 모습은 마치 게임 캐릭터를 키우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었다.용기 못지 않게 가족도 주요 테마로 자리잡고 있어서 에피소드들이 가족간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있다. 때문에 각 멤버 개인을 중심으로 하는 에피소드만 있는 것이 아니라 각 멤버들 2명의 관계가 주축이 되는 에피소드도 많이 있다. 예를 들어 장남-장녀의 에피소드도 있고 막내-장녀의 에피소드도 있는 식. 그렇기 때문에 캐릭터 간에 관계에 있어 모두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개성이 강한 각 멤버들이 서로 다른 케미를 보여주는 것이 상당히 드라마적인 요소를 부각시켰고 비중 분배도 잘 되었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마지막 부분인 48, 49화가 상당히 급하게 전개된다는 것이다. 최강의 명부신인 명부신 슬레이프니르는 마지 레전드를 시종일관 압도하며 해체시키나 카이의 각성에 따른 마지레인저의 일격으로 허무하게 사망하며, 명부신의 리더 명부신 다곤, 최종보스 절대신 움마를 쓰러뜨리는 과정도 급전개로 끝나버린다. 슬레이프닐은 그렇다치고 나머지 둘은 진짜 순식간에 죽는데다가 나머지 스핑크스와 반큐리어의 배신 또한 상당히 빨리 지나간다. 스핑크스야 어느 정도 떡밥이 있었지만 반큐리어는 아무런 전조없이 스핑크스의 말 한마디로 갑작스럽게 변절해버린다.[45] 49화 완결이 아니라 50화 완결로 해서 딱 1화만 더 있었으면 정리가 잘 되었을 텐데 그 부분은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46]
완구의 경우에서는 마지 킹이 마법사를 그대로 담은 디자인 덕에 상당한 호평을 받은 반면, 최종 메카인 마지 레전드는 디자인 자체가 어느 정도 호불호가 갈리는 편인 데다가 가지고 놀라는 건지 의문이 들 정도로 완구의 상태가 처참하여 악성 재고가 많았다. 트라베리온은 디자인 자체는 나쁘지 않다는 반응이 다수였으나 완구 팔다리 비율 조절에 실패하여 혹평을 들어야 했다.[47][48] 그나마 울 카이저가 흑마법사를 훌륭하게 묘사한 생김새와 더불어 무난하게 잘 빠진 완구 덕에 현재까지도 수요가 있는 편이다. 파이어 카이저도 나쁘지는 않는 편.
작중 선역과 악역 모두 입지가 높은 여성 캐릭터들이 많은 것도 마지레인저의 특징이다. 레귤러 멤버인 호우카와 우라라는 물론이고 오즈 미유키, 야마자키 유카, 반큐리어, 마지엘, 천공성자 루나젤, 스노우젤, 명수인 피위, 세이렌 네리에스, 명부신 고곤, 명부신 스핑크스 등. 심지어 이후 기계전대 젠카이저의 마지레인저 모티브였던 마지느와 넘버원전대 고쥬저에서 유니버스 전사 마지 레드로 변신하는 부케 역시 여성이다.
12. 방송 목록
제목은 Stage[49] + 마법 주문으로 표기.()는 국내 방영판 제목이다.
방영일 | 방영 화수 | 제목 | 각본 | 감독 | 특이사항 | 주연[50] |
<colbgcolor=#ffe300,#1f2023> 2005/02/13 | Stage 1 | 여행의 아침 ~ 마-지 마지 마지-로 (여행을 시작하는 아침 ~ 마하지 마지 마지히로) | 마에카와 아츠시 | 와타나베 카츠야 | 오즈 일가 6명 | |
2005/02/20 | Stage 2 | 용기를 내 ~ 마-지 마지 마지카 (용기를 내자! ~ 마하지 마지 마지카!) | 마지 마인 등장 오즈 미유키 일시 퇴장 | 오즈 츠바사 오즈 호우카 | ||
2005/02/27 | Stage 3 | 마룡을 타라 ~ 마-지 지르마 징가 (신룡을 타고... ~ 마하지 지르마 징가) | 나카자와 쇼지로 | 만도라보야 첫 등장 마지 드래곤 첫 등장 | 오즈 마키토 오즈 카이 | |
2005/03/06 | Stage 4 | 마인의 왕 ~ 마-지 지르마 마지 징가 (조드의 왕! ~ 마하지 지르마 마지 징가) | 마지 킹 첫 등장 | 오즈 우라라 오즈 카이 | ||
2005/03/13 | Stage 5 | 사랑을 하자 ~ 마-지 마지로 (사랑을 합시다 ~ 마하지 마지히로) | 타케모토 노보루 (竹本 昇) | 야마자키 유카 첫 등장 | 오즈 호우카 오즈 카이 야마자키 유카 | |
2005/03/20 | Stage 6 | 암흑의 패왕 ~ 우-자 도-자 우르 장가 (어둠의 제왕 ~ 우우자 도호자 우르 장가) | 아라카와 나루히사 | 울 카이저 첫 등장 | 오즈 카이 | |
2005/03/27 | Stage 7 | 꿈 속에 ~ 징가 마지-로 (꿈 속으로 ~ 징가 마지히로) | 와타나베 카츠야 | 오즈 츠바사 오즈 카이 | ||
2005/04/03 | Stage 8 | 너야말로 히로인 ~ 마쥬나 마쥬나 (너야말로 주인공 ~ 마주나 마주나) | 요코테 미치코 | 오즈 우라라 오즈 호우카 | ||
2005/04/10 | Stage 9 | 불꽃의 우정 합체 ~ 지르마 마-지 마지 징가 (불꽃의 우정 합체 ~ 지르마 마하지 마지 징가) | 마에카와 아츠시 | 나카자와 쇼지로 | 파이어 카이저 등장 | 오즈 카이 만도라보야 마도마 바리키온 |
2005/04/17 | Stage 10 | 꽃이 피면 ~ 지르마 마지카 | 오즈 마키토 | |||
2005/04/24 | Stage 11 | 흡혈귀의 밤 ~ 마지-로 마지카 (흡혈귀의 밤 ~ 마지히로 마지카) | 요코테 미치코 | 타케모토 노보루 | 오즈 호우카 오즈 츠바사 | |
2005/05/01 | Stage 12 | 결의의 표시 ~ 마-지 지르마 마지 마지카 (결의의 증표 ~ 마하지 지르마 마지 마지카) | 킹 칼리버 천공베기 첫 등장 | 오즈 츠바사 오즈 호우카 | ||
2005/05/08 | Stage 13 | 엄마라면... ~ 징가 마쥬나 (엄마라면 ~ 징가 마주나) | 마에카와 아츠시 | 와타나베 카츠야 | 오즈 우라라 오즈 마키토 | |
2005/05/15 | Stage 14 | 불타올라라 펀치 ~ 지- 지- 지지르 (불타라! 펀치여 ~ 지히 지히 지지르) | 아라카와 나루히사 | 오즈 카이 오즈 츠바사 야마자키 유카 | ||
2005/05/22 | Stage 15 | 신부의 오빠 ~ 지르마 마지 마주나 | 요코테 미치코 | 스즈무라 노부히로 (鈴村展弘) | 오즈 마키토 오즈 호우카 | |
2005/05/29 | Stage 16 | 문의 열쇠 ~ 우자-라 우가로 (문의 열쇠 ~ 우자하라 우가로) | 마에카와 아츠시 | 천공성자 루나젤 첫 등장 천공대성자 마지엘 TV판 첫 등장 | 오즈 카이 린 | |
2005/06/05 | Stage 17 | 상냥함이 없어 ~ 우-자 도-자 우르 우가로 (상냥함은 필요 없어 ~ 우우자 도호자 우르 우가로) | 아라카와 나루히사 | 타케모토 노보루 | ||
2005/06/12 | Stage 18 | 힘을 합해 ~ 마-지 지르마 지- 징가 (힘을 모아서 ~ 마하지 지르마 지히 징가) | 개력대장 브랑켄 퇴장 | |||
2005/07/03 | Stage 19 | 마법의 램프 ~ 메-자 자자레 (마법의 램프 ~ 메에자 자자레) | 요코테 미치코 | 나카자와 쇼지로 | 스모키, 마도신관 메미 첫 등장 | 오즈 카이 스모키 |
2005/07/10 | Stage 20 | 키스해 줘 개굴 ~ 고-르 고르 고르디-로 (키스해줘 개골 ~ 고호르 고르 고르디히로) | 마에카와 아츠시 | 마지 샤인 첫 등장 | 오즈 우라라 히카루 | |
2005/07/17 | Stage 21 | 마법 특급으로 가자! ~ 고- 고- 고르디-로 (마법특급을 타고 가자! ~ 고호 고호 고르디히로) | 요코테 미치코 | 와타나베 카츠야 | 트라베리온 첫 등장 | 오즈 마키토 히카루 |
2005/07/24 | Stage 22 | 교토에서 데이트? ~ 루-마 고르도 (두사람만의 데이트? ~ 루우마 고르도) | 아라카와 나루히사 | 오즈 호우카 히카루 | ||
2005/08/07 | Stage 23 | 금단의 마법 ~ 로-지 마네-지 마지 마마르지 (금단의 마법 ~ 로호지 마네에지 마지 마마르지[51]) | 스즈무라 노부히로 | 오즈 츠바사 히카루 | ||
2005/08/14 | Stage 24 | 선생님으로서 ~ 고르 고르 고지카 (선생님의 책임 ~ 고르 고르 고지카) | 히카루 오즈 츠바사 | |||
2005/08/21 | Stage 25 | 도둑 맞은 용기 ~ 지르마 마지 마지-로 (도둑 맞은 용기 ~ 지르마 마지 마지히로) | 요코테 미치코 | 나카자와 쇼지로 | 오즈 카이 야마자키 유카 | |
2005/08/28 | Stage 26 | 믿어라! ~ 지르마 지- 마지카 (나 좀 믿어줘 ~ 지르마 지히 마지카) | 오즈 우라라 스모키 | |||
2005/09/04 | Stage 27 | 우리들의 정 ~ 마지-네 마지-네 (우리의 결속 ~ 마지히네 마지히네) | 아라카와 나루히사 | 와타나베 카츠야 | 오즈 마키토 히카루 | |
2005/09/11 | Stage 28 | 영원히...... ~ 지르마 마지 마지 마지-네 (영원히... ~ 지르마 마지 마지 마지히네) | 마에카와 아츠시 | 오즈 츠바사 히카루 마미야 레이 | ||
2005/09/18 | Stage 29 | 반복되는 「어라」? ~ 지- 마지 마지-로 (매직레인저가 뭐야? ~ 지히 마지 마지히로) | 요코테 미치코 | 스즈무라 노부히로 | 오즈 호우카 만도라보야 | |
2005/09/25 | Stage 30 | 전설의 힘 ~ 마-지 마지 마지 마지-로 (전설의 힘 ~ 마하지 마지 마지 마지히로 | 레전드 마지레인저 등장 천공성자 스노우젤 등장 | 오즈5남매 | ||
2005/10/02 | Stage 31 | 굉장한 마신 ~ 마-지 지르마 고르 징가진 (전설의 마신 ~ 마하지 지르마 고르 징가진) | 아라카와 나루히사 | 타케모토 노보루 | 마지 레전드 첫 등장 | |
2005/10/09 | Stage 32 | 아버지의 말 ~ 마-지 지르마 고르 고지카 (아버지의 말씀 ~ 마하지 지르마 고르 고지카) | 야마토야 아카츠키 | 오즈 마키토 오즈 카이 | ||
2005/10/16 | Stage 33 | 인페르시아로 ~ 마-지 고르 마지카 (인페르시아로 ~ 마하지 고르 마지카) | 요코테 미치코 | 나카자와 쇼지로 | 브레이젤 등장 | 오즈 카이 스포일러 |
2005/10/23 | Stage 34 | 용기의 유대 ~ 고-르 고르 고르도 (이어져 있는 용기 ~ 고호르 고르 고르도) | 세인트 카이저 TV판 등장 마도신관 메미 퇴장 움마 일시 봉인 | 오즈 카이 스포일러 | ||
2005/10/30 | Stage 35 | 신들의 골짜기 ~ 마지 마지 지지르 | 마에카와 아츠시 | 스즈무라 노부히로 | 명부 10신 등장 | 오즈 우라라 히카루 |
2005/11/06 | Stage 36 | 신벌 집행 ~ 마-지 고르 고지카 (신벌 집행 ~ 마하지 고르 고지카) | 명부신 이프리트 퇴장 | 히카루 오즈 우라라 | ||
2005/11/13 | Stage 37 | 공격하라 ~ 고르 마-지 (저격수의 신벌 ~ 고르 마하지) | 야마토야 아카츠키 | 타케모토 노보루 | 오즈 마키토 오즈 츠바사 | |
2005/11/20 | Stage 38 | 형과의 약속 ~ 고- 마지-로 (형과의 약속 ~ 고호 마지히로) | 명부신 사이클롭스 퇴장 | 오즈 츠바사 오즈 마키토 | ||
2005/11/27 | Stage 39 | 뒤바뀐 누나와 동생 ~ 마쥬나 지르마 (뒤바뀐 남매 ~ 마주나 지르마) | 요코테 미치코 | 나카자와 쇼지로 | 오즈 호우카 오즈 카이 야마자키 유카 | |
2005/12/04 | Stage 40 | 사녀(蛇女)의 뜰 ~ 마지-네 루루도 (뱀들의 정원 ~ 마지히네 루루도) | 명부신 고곤 퇴장 | 오즈 카이 오즈 호우카 야마자키 유카[여담] | ||
2005/12/11 | Stage 41 | 선생님의 선생님 ~ 고-르 고르 마쥬-르 (선생님의 선생님 ~ 고호르 고르 마주우르) | 마에카와 아츠시 | 와타나베 카츠야 | 오즈 카이 히카루 | |
2005/12/18 | Stage 42 | 대결! 이극신 ~ 고-르 루-마 고르 공가 (대결! 이극신 ~ 고호르 루우마 고르 공가) | 명부신 드레이크 퇴장 | 히카루 오즈 카이 | ||
2005/12/25 | Stage 43 | 가시나무 동산 ~ 마지 마지 고지카 (가시나무 정원 ~ 마지 마지 고지카) | 아라카와 나루히사 | 타케모토 노보루 | 오즈 우라라 오즈 츠바사 | |
2006/01/08 | Stage 44 | 어머니의 냄새 ~ 지르마 지르마 공가 (엄마의 향기 ~ 지르마 지르마 공가) | 명부신 토드 퇴장 오즈 미유키 구출 | 오즈 츠바사 오즈 우라라 오즈 미유키 | ||
2006/01/15 | Stage 45 | 두 사람은 친구 ~ 지- 고르 마쥬나 (우리는 친구 ~ 지히 고르 마주나) | 야마토야 아카츠키 | 나카자와 쇼지로 | 오즈 호우카 오즈 마키토 | |
2006/01/22 | Stage 46 | 호수로 향해라 ~ 고-르 고르 고르 고르디-로 (호수를 향해 ~ 고호르 고르 고르 고르디히로) | 울자드 파이어 부활 후 첫 등장 명부신 와이번 퇴장 명부신 티탄 퇴장 절대신 움마 부활 | 오즈 마키토 오즈 호우카 오즈 이사무 | ||
2006/01/29 | Stage 47 | 너에게 걸치는 마법 ~ 루루도 고르디-로 (너에게 거는 마법 ~ 루루도 고르디히로) | 요코테 미치코 | 와타나베 카츠야 | 오즈 우라라 히카루 | |
2006/02/05 | Stage 48 | 결전! ~ 마지 마쥬-르 고고-르 징가진 (결전! ~ 마지 마주우르 고고호르 징가진) | 명부신 슬레이프니르 퇴장 | 오즈 카이 오즈 이사무 | ||
2006/02/12 | Stage Final | 전설로의 귀환 ~ 마-지 마지 마젠드 (전설로의 귀환 ~ 마하지 마지 마젠드) | 마에카와 아츠시 | 명부신 다곤 퇴장 절대신 움마 퇴장 마지레인저 본편 종료 | 오즈 일가 전원 |
13. 타임라인
- 1장 - 마지레인저 등장 (1화 ~ 18화)
- 2장 - 천공성자 마지 샤인 등장 (19화 ~ 34화)
- 19화 ~ 26화
-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THE MOVIE 인페르시아의 신부
- 27화 ~ 31화
-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VS 데카레인저
- 32화 ~ 34화
- 3장 - 사악한 10명의 신! 명부 10신 (35화 ~ 44화)
- 최종장 - 넘치는 용기 ~ 마지 마지 마젠드 ~ (45화 ~ 49화)
- 굉굉전대 보우켄저 VS 슈퍼전대
- 해적전대 고카이저 - 3화 / 50화 ~ 51화
- 수리검전대 닌닌저 - 38화
14. 관련 작품
-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THE MOVIE 인페르시아의 신부
- 테레비매거진 스페셜 DVD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대공개! 황금그립폰의 초마법~고르 고르 고르 고 고~」오즈 카이, 히카루, 스모키, 만도라보야 출연
-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VS 데카레인저
- 굉굉전대 보우켄저 VS 슈퍼전대 - 오즈 츠바사, 히카루, 스모키 게스트 출연
- 해적전대 고카이저 - 오즈 카이(3화), 오즈 호우카(최종화), 야마자키 유카(50화) 게스트 출연
- 수리검전대 닌닌저 - 오즈 츠바사(38화) 게스트 출연
- 히어로 마마 리그 - 오즈 호우카, 오즈 츠바사 출연.
- 파워레인저 미스틱포스
- 특명전대 고버스터즈, 우주전대 큐레인저 - 마츠모토 히로야 출연
- 텐 고카이저 - 마츠모토 히로야 출연
- 넘버원전대 고쥬저 - 유니버스 전사 마지 레드 등장
15. 여담
작중에서 쓰이는 브금들은 열차전대 토큐저, 우주전대 큐레인저의 파이널 라이브 공연 때도 쓰였다.한일 양국에서 모두 인기가 높았고 다른 전대에 비해 차별화 되는 요소도 많아서 토에이가 이후 작품들에서 은근히 챙겨주는 편이다.[53]
국민체육진흥공단의 KSPO 스포맨이 들어왔다라는 영상에서 마지레인저의 효과음을 사용했다.[54]
2020년 11월 3일 날, 레귤러 멤버 역할을 맡았던 6명의 배우가 한 명도 빠짐없이 도쿄 국제 영화제의 슈퍼전대 서프라이즈 페스티벌에 참여하여 팬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하였다. 특히 히카루 역할을 맡은 이치카와 요스케는 오래전에 배우를 은퇴하고 고등학교 수학 교사가 됐음에도 굉굉전대 보우켄저 VS 슈퍼전대 이후로 14년만에 공식 이벤트에 모습을 드러냈고[55][56], 오즈 마키토 역을 맡은 이토 유우키 역시 일본인들에게도 근황이 거의 알려지지 않았으나 15년 전 그 얼굴을 그대로 간직한 채 참여했다.[57] 토크 이벤트에는 당시 프로듀서를 담당했던 츠카다 히데아키, 오프닝을 부른 이와사키 타카후미(岩崎 貴文), 엔딩을 부른 Sister Mayo도 참가하여 이야기꽃을 피웠다.
토에이 공식 특촬 유튜브에서 영상이 올라온다. 다만 일본에서만 볼 수 있게 설정해놔서 vpn 우회해야만 영상 시청이 가능하다.
2020년 이전까지 카게야마 히로노부가 삽입곡을 부른 마지막 전대물인데, 이때에는 미즈키 이치로, 쿠시다 아키라와 같이 불렀다. 단독으로 부른 마지막 작품은 이 작품의 전전 작품인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16. 같이 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등장인물 | |||
레귤러 | 등장 전사 | |||
악역 | 지저명부 인페르시아 | |||
설정 | ||||
무장 및 아이템ㆍ마법 | ||||
음악 | ||||
주제가 | 오프닝ㆍ엔딩 - 주문강림 ~ 매지컬 포스 | |||
관련 작품 | ||||
극장판 |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THE MOVIE 인페르시아의 신부 | |||
특별편 | 테레비매거진 스페셜 DVD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대공개! 황금그립폰의 초마법~고르 고르 고르 고 고~」 | |||
VS |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VS 데카레인저 | |||
←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ㆍ 굉굉전대 보우켄저 → | }}}}}}}}} |
[1] 메인 각본[2] 내레이션 뿐만이 아닌 마지폰의 음성도 담당하였다. 한일 모두 마지폰의 음성 동일.[3] 오프닝 나레이션, 오즈 이사무 역을 맡았다.[4] 본편 나레이션과 히카루 역을 맡았다.[5] 판타지 소설적인 구성인 모티브를 하였다.[6] 인페르시아, 마지토피아 등에 설정들을 보면 대부분 그리스 로마 신화에 신들의 세계 설정을 일부 반영을 했으며, 악역들에 슈트 디자인도 그리스 로마 신화적인 요소를 반영해 디자인을 구성을 하였다.[7] 본래는 가족이 아니었던 6번째 전사도 전대 멤버와 결혼해서 최종적으로 가족의 일원이 된다.[8] 기존의 가족 전대인 파이브맨과 고고파이브는 가족관계보다는 각자의 직업에 관련된 교사와 인명 구조 위주의 스토리가 메인이었다.[9] 새로운 힘을 얻은 후 레벨 업 되어 천공성자(천상성자)가 되어 인페르시아를 쓸어버릴 수 있는 기회가 생겼는데 천공성자가 되면 인간으로서의 존재는 리셋되어 가족으로서의 기억이 없어진다는 말을 듣자 집단 멘붕해버리고, 제대로 싸울 수 없게 되어버린 적도 있었다.[10] 가면노리다에서 팬팬 대령을 맡은 배우이다.[11] 우주형사혼의 오리지널 최종보스로도 등장했지만 일본 내에서 공개된 영상물로서는 마지레인저가 유작이다. 그리고 본래 이 배역을 맡을 예정이었던 오카다 마스미 또한 소가 마치코가 사망하고 1개월도 안 되어 사망했다.[12] 마지레인저가 워낙 국내에서 크게 흥행했던지라 본토에서의 흥행을 저평가 받는 경우가 왕왕 있는데 마지레인저는 본토에서도 인기가 매우 많았다. 암만 시청률로 흥행을 판단하기 어렵다 해도 밀레니엄 이후 전대들 중에는 그 가오레인저 다음 가는 시청률을 뽑아냈다.[13] 전작보다 수익이 감소했지만 108억엔도 나름 준수한 실적이다.[14] 어느 정도 정상 참작은 해야 하는 것이 전대 멤버 배우들의 연령대가 점점 내려가고 있다 보니 예전처럼 굴리지 못하는 점도 크다. 1970~80년대 작품들만 해도 슈트 액터를 겸임하는 경우가 있었고 다수의 배우들은 JAC(현 JAE)에 속해 있어서 위험한 액션을 직접 소화한 경우가 많았지만 연령대가 많이 내려간 2000년대 중반 이후의 작품들은 맨몸 액션이 아예 없거나 최소 한도로 줄어드는 추세다.[15] 그래서인지 도쿄돔 시티 스테이지 쇼에서는 배우들이 대역 없이 직접 스턴트 액션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16] 잭커 이후 스카프 형태의 추가 장식은 있었지만 망토는 레귤러 전사의 슈트에 사용되진 않았다.[17] 이 때문에 주로 블루가 가져가던 레드의 라이벌 포지션을 여기선 옐로가 가져간다. 오히려 레드가 블루에게 심적으로 의지하는 모습을 자주보인다.[18] 또한 여담으로 선배 전대의 맏이자 장남은 레드인데 이쪽은 그린이라는 차이가 있지만 리더인것은 똑같다.[19] 본명은 사와다 마사요다. 14년 뒤 기사룡전대 류소우저에서 다시 엔딩곡을 맡았다. 오빠는 X JAPAN, Loudness의 베이시스트였던 TAIJI.[20] 사실 Project.R에서 현재 최고령 뮤지션은 굉굉전대 보우켄저의 주제가를 맡은 NoB이지만 슈퍼전대 시리즈 최장기 활동자는 타카토리 히데아키라 할 수 있다.[21] 규범 표기는 "비밀스러운"이다.[22] 규범 표기는 "사랑스러운"이다.[23] 여담으로 2014년 2월 9일에 방영된 시청률의 제왕에 사용되었다.https://youtu.be/7TT-nALpyLQ[24] 특히 "파워레인저"란 호칭을 걷어낸 부분이 돋보인다. 극중에서는 "마법전사 매직레인저"로만 칭하며, '파워레인저 매직포스'는 오프닝과 엔딩에서밖에 들을 수 없다. 재능방송 편성부와 제작부, 어쩌면 재능방송과 반다이 코리아 사이의 마찰이 있었을 가능성도 있는데 대원에서 맡은 매직포스 극장판에서도 '마법전사 매직레인저'라고 더빙했으니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심지어 트레저포스는 본편에서 파워레인저 '트레저포스'로 더빙했으나 극장판에서는 '고고전사 트레저포스'로 더빙했다.[25] 참고로 매직포스를 제외한 슈퍼전대 시리즈의 한국 더빙판의 OST는 투니버스나 대원방송 모두 원곡을 사용하는데, 이는 일단 모두 번안하려면 시간과 돈이 많이 들어가는 데다가 결정적으로 토에이에서 번안 허가를 안해주면 원곡으로 내보낼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모두 번안했다는 것이 레전드. 그러다가 2023년에 방영한 가면라이더 기츠에서 작중 삽입곡들을 모두 번안했는데, 이것이 매출에 좋은 영향을 준 걸 대원에서 인지한 건지 직후 수입한 파워레인저 킹덤포스에 이르러서 국내 방영된 슈퍼전대 시리즈들 중 두 번째로 삽입곡 전반이 번안되었다.[26] 다만 재능방송이 아닌 대원방송이 더빙한 극장판 인페르시아의 신부에서는 반대로 OST 보컬곡을 일어판 그대로 사용하고 원판 음성을 사용한 마지폰의 음성은 새로 더빙했다.[27] 이후 2000년대 후반에 어린 시절을 보낸 이들에게는 엔진포스가, 2010년대에는 캡틴포스와 다이노포스가, 2020년대에는 킹덤포스가 흥행에 성공하며 그 역할을 잇게 되었다.[28] 투니버스에서 방영한 다이노썬더, SPD도 흥행에 성공하면서 한국에서의 슈퍼전대 시리즈 방영의 기틀을 잡았지만 매직포스의 인기에는 미치지 못했으며, 매직포스가 국내에서 흥하지 못했다면 시리즈가 지속적으로 방영되지 못하거나 일본에서 제작된 원판이 아닌 북미 리메이크판이 다시 수입될 수도 있었다.[29] 후뢰시맨 같은 비디오 수입 작품들은 큰 인기를 끌기는 했지만 TV에서는 방영하지 않아 대중성을 챙기지는 못했고, 무적 파워레인저의 경우 당시 사람들이 후뢰시맨 시리즈의 표절작이라고 주장하고 작품의 폭력성과 완구의 상업성을 빌미로 자꾸 클레임을 거는 바람에 시즌 1의 기존 기획 분량인 40화에서 조기종영되면서 오래 방영하지 못했다. 게다가 3기는 짙은 왜색을 띠고 있는 닌자전대 카쿠레인저의 리메이크이기 때문에 설령 클레임이 없었다고 해도 2기까지만 방영하는 것이 한계였다.[30] 남성 멤버의 비주얼 덕에 여성들도 같이 보기도 했다는 후기도 많았다.[31] TJ미디어 노래방에 슈퍼전대 관련 노래가 실린 것은 폭룡전대 아바레인저의 한국판 오프닝인 '승리의 약속'(15505번)과 이 마지레인저 오프닝곡. 일본판 광전대 마스크맨 오프닝과 일본판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곡이 있다. 번호는 18274.[32] 박신양의 딸이 좋아해서 노래를 다 외웠다고 한다.[33] 대원미디어와 토에이의 관계를 생각하면 안넘어가는게 이상하기는 했지만.[34] 몇년 뒤 재능방송에서 다이노포스, 트레인포스, 닌자포스, 애니멀포스, 다이노소울, 돈브라더즈, 킹덤포스, 붐붐포스 등의 작품들을 방영하기는 했으나 이건 그냥 대원방송이 더빙했던 것을 재방송한 거에 불과하다.[35] 아무래도 대원방송이 초기에 더빙했던 트레저포스와 와일드스피릿이 번역 면에서 적잖은 비판을 받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팬들의 반응이 부정적일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36] 애니박스에서 2007년에 가오레인저, 허리케인저, 아바레인저, 데카레인저, 아기토, 류우키 오리지널 극장판을 더빙하여 방영한 적은 있지만 TV판 더빙과는 성우진도 다르며 무관하다고 보는게 옳다. 특히 허리케인저와 아기토는 TV판이 정식으로 방영되지도 않았다.[37] 엔트리브와 대원미디어 투자에 아이언노스 개발.[38] 아카이브 사이트에는 남아있다.[39] 정확히 18화 시점까지만 만화화하였으나 13, 14화 부분은 생략되어 바로 15화로 건너뛰었다. 그덕분에 고독방 3명수는 스켈레톤만 나왔다.[40] 등장 자체는 이미 9화, 18화에서 등장한 적이 있고 이름 자체가 언급된 것이 21화가 최초.[41] 사이클롭스, 고곤, 토드, 스핑크스, 다곤.[A] 마도기사 시절과 천공성자 상태에서 둘다 마루데요나 세계를 가진 케이스다.[A] 마도기사 시절과 천공성자 상태에서 둘다 마루데요나 세계를 가진 케이스다.[44] 최종화인 49화에서 절대신 움마와 결투를 벌일때 페이탈 블레이드를 깨우치면서 일시적으로 불타는 공간을 만들어냈다. 움마도 마법으로 이루어진 세계라고 언급했다.[45] 더구나 당시 상황을 보면 명부신이 압도적으로 이기고 있던 상황이었다. 마지레인저 편을 들어 줄 스핑크스는 이미 숙청당했지, 슬레이프닐의 평타에 마지레전드가 나가 떨어지지, 아군 측에서 가장 강한 브레이젤과 선젤은 전사해 버렸다. 상황을 구체적으로 따지고 보면 이때 전향하여 스핑크스를 살릴 선택을 한 반큐리어가 오히려 이상해보일 지경이다.[46] 마지막 전개가 이렇게 된 이유는 47, 48화의 각본가가 본작의 메인 각본가인 마에카와 아츠시가 아니라 서브 각본가인 요코테 미치코라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보통 전대물은 스토리에 중요한 에피는 메인 각본가가 쓰고 상대적으로 쉬어가는 회차에서 서브 각본가를 쓰는 펀이지만 마지레인저는 어째서인지 마지막화 바로 전의 중요한 에피소드인 47, 48화가 서브각본가인 요코테가 담당했는데 47화의 히카루와 우라라의 결혼이나 48화의 최종전에서의 고전은 잘 썼지만 마지막화인 49화를 염두에 두지 않고 너무 크게 쓰다보니 최종전을 쓰는 마에카와 각본가 입장에서 어쩔 수 없이 이런 급전개를 시전한 것으로 보인다. 요코테 각본가와 마에카와 각본가가 조금 더 합을 맞췄으면 이런 문제점은 생기지 않았을텐데 아쉬운 부분.[47] 아이러니하게도 마지레전드와 트라베리온의 미니프라만큼은 당시 굉장히 잘 나갔다.[48] 나중에 비슷하게 열차를 이용해 만든 로봇들이 디자인 관련으로 비판받으면서 트라베리온도 재평가를 받았다.[49] 우리나라에서는 표기를 그대로 하되, 몇번째 이야기라 불린다.[50] 비중이 높은 순서대로 기재. 비중이 가장 높은 인물은 아이캐치에 나온다.[51] 거꾸로 되어있다. 막간 코너에서 만도라보야가 츠바사처럼 외칠 뻔 했고 그가 저주를 받기 시작했다는 것을 찢어진 마지토피아 마법사전 페이지뿐만이 아니라 멘메의 거울에서도 이어진다.[여담] 명부신 다곤이 마루데요나 세계 늪으로 가서 삼지창으로 탐색하자 움마의 영혼을 몸으로 가둔 오즈 이사무를 본 이후로 이 분이 40화부터 최종화까지 나오시게 됐다.[53] 은퇴한 배우가 많아서 10주년은 못 찍더라도 하술된대로 15주년 토크쇼는 기획되었고 고버스터즈와 고카이저 극장판에는 마지킹이 등장했으며 고카이저 본편 최초 게스트는 오즈 카이였다. 기계전대 젠카이저 멤버 중 한 명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54] 단, 영상의 1분 10초부터 나온다.[55] 가면라이더 마하 / 시지마 고우를 연기한 배우 이나바 유우가 그의 제자이다. 최근 이치카와가 트위터를 시작하면서 재회했다고.[56] 연예계를 떠난지 오래됐고, 현재는 교사, 즉 일반인임에도 불구하고도 나이를 먹은 티가 나는 것을 제외하면 잘생긴 얼굴과 훤칠한 피지컬 등도 잃지 않은 채 자기관리를 잘해왔다.[57] 어쩌다보니 다른 작품 때문에 머리를 기르고 있는 중이어서 타이밍 좋게 마키토의 모습을 재현할 수 있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