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1 02:03:56

치하야후루


{{{#!wiki style="margin: -10px; word-break: keep-all"<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000> 파일:코단샤 로고.svg파일:코단샤 로고 화이트.svg코단샤 만화상 소녀부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77년
제1회
1978년
제2회
1979년
제3회
1980년
제4회
1981년
제5회
캔디캔디
하이카라 씨가 간다
학생제군! 솜의 별나라 레몬백서 헬로! 스팽크
1982년
제6회
1983년
제7회
1984년
제8회
1985년
제9회
1986년
제10회
요귀비전 해뜨는 곳의 천자 Lady Love 마히로 체험 유한클럽
1987년
제11회
1988년
제12회
1989년
제13회
1990년
제14회
1991년
제15회
일곱빛깔 매직 순정 크레이지 프루츠 시라토리 레이코 입니다! 프라이드 영원의 들판
1992년
제16회
1993년
제17회
1994년
제18회
1995년
제19회
1996년
제20회
우리 엄마가 말하기를 미소녀전사 세일러문 당신의 손이 속삭일 때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음악 천연 꼬꼬댁
1997년
제21회
1998년
제22회
1999년
제23회
2000년
제24회
2001년
제25회
팔운성 아이들의 장난감 피치걸 빙글빙글 폰다는 변신 중 후르츠 바스켓
2002년
제26회
2003년
제27회
2004년
제28회
2005년
제29회
2006년
제30회
서양골동양과자점 앤티크 허니와 클로버
너는 펫
노다메 칸타빌레 이봐, 피 땅!
편지하기 좋은날
라이프
2007년
제31회
2008년
제32회
2009년
제33회
2010년
제34회
2011년
제35회
IS - 남자도 여자도 아닌 성 너에게 닿기를 깨끗하고 연약한 해파리 공주 치하야후루
2012년
제36회
2013년
제37회
2014년
제38회
2015년
제39회
2016년
제40회
실연 쇼콜라티에 내 이야기!! 태양의 집 도망치는 건 부끄럽지만 도움이 된다 내가 인기 있어서 어쩌자는 거야
2017년
제41회
2018년
제42회
2019년
제43회
2020년
제44회
2021년
제45회
P와 여고생 투명한 요람 퍼펙트 월드 나와 너의 소중한 이야기 하나노이 군과 상사병
2022년
제46회
2023년
제47회
2024년
제48회
2025년
제49회
별 내리는 왕국의 니나 그 아이의 아이 너의 옆얼굴을 보고 있었다 사랑하라, 거짓된 천사들이여
소년부문 | 종합부문 }}}}}}}}}

치하야후루
ちはやふる
<nopad> 파일:attachment/치하야후루/Example.jpg
장르 카루타, 순정
작가 스에츠구 유키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 코단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산문화사
연재처 BE・LOVE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 BE LOVE K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메이퀸코믹스
연재 기간 2008년 2호 ~ 2022년 9호[1]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50권 (2022. 12. 13. 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50권 (2023. 10. 25. 完)

1. 개요2. 줄거리3. 발매 현황4. 특징5. 등장인물6. 설정7. 수상8. 미디어 믹스9. 기타10. 관련 문서

1. 개요

일본순정 만화. 작가는 스에츠구 유키. 일본 전통의 카드패 카루타를 사용한 게임 경기 카루타[2]를 주요 소재로 삼아 순정만화의 틀 속에서 긴장감 있고 참신하게 그려낸 수작으로 평가받는다.

제목인 '치하야후루'는 백인일수 17번인 아리와라노 나리히라의 시[3]로 유명한 마쿠라코토바 '치하야부루'에서 유래했다.

일본에서 평가와 판매량에서 모두 큰 성공을 거두고 있는 작품으로 「2009 일본 만화대상에서 대상을 차지하고 '이 만화가 굉장해!'에서는 2009년 소녀만화 3위, 2010년 1위를 달성했다. 그리고 전국 3천여 점 이상의 서점원들이 투표한 남성이 좋아하는 소녀만화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2013년 8월 기준으로 1000만 부를 돌파했으며, 2020년 1월 기준 2500만 부를 돌파했다.#

2021년 현역 도쿄대학 재학생 500명이 뽑은 '공부가 되는 애니메이션' 16위가 본작의 애니메이션판이다. 작품 소재 자체가 경기 카루타와 백인일수라는 고전적 요소를 담고 있어서라는 이유에서다.#

2. 줄거리

초등학교 6학년인 치하야가 만난 소년은 후쿠이현에서 온 전학생 아라타. 어른스럽고 말이 없는 아라타였지만, 그에게는 의외의 특기가 있었다.

그것은 바로 백인일수 경기 카루타. 치하야는 누구보다도 빨리, 누구보다도 열심히 카드를 쳐내는 아라타의 모습에 충격을 받는다.

하지만 그런 아라타가 주목한 것은 치하야의 뛰어난 ‘재능’이었다. 거기에 같은 반의 타이치까지 가세해, 세 명의 소년 소녀는 카루타의 매력에 빠져드는데…

언제나 함께일 거라는 치하야의 기대와는 달리, 셋은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각자의 길에 따라 이별을 하게 되고, 시간은 흘러 고교생이 된다. 과연 그들이 맞이하는 미래는?

3. 발매 현황

01권 02권 03권 04권
파일:attachment/치하야후루/Example.jpg 파일:ちはやふる2.jpg 파일:ちはやふる3.jpg 파일:ちはやふる4.jpg
파일:일본 국기.svg 2008년 05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년 11월 1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8년 09월 1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년 01월 1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8년 12월 1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년 03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9년 03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년 05월 15일
05권 06권 07권 08권
파일:ちはやふる5.jpg 파일:ちはやふる6.jpg 파일:ちはやふる7.jpg 파일:ちはやふる8.jpg
파일:일본 국기.svg 2009년 06월 1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년 07월 1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9년 09월 1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년 09월 1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9년 12월 1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년 11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0년 03월 1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년 03월 15일
09권 10권 11권 12권
파일:ちはやふる9.jpg 파일:ちはやふる10.jpg 파일:ちはやふる11.jpg 파일:ちはやふる12.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0년 06월 1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년 06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0년 09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년 08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0년 12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년 10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1년 03월 1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년 12월 25일
13권 14권 15권 16권
파일:ちはやふる13.jpg 파일:ちはやふる14.jpg 파일:ちはやふる15.jpg 파일:ちはやふる16.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1년 06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년 01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1년 09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년 03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1년 12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년 05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2년 03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년 09월 25일
17권 18권 19권 20권
파일:ちはやふる17.jpg 파일:ちはやふる18.jpg 파일:ちはやふる19.jpg 파일:ちはやふる20.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2년 06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년 12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2년 09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년 01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2년 12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년 03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3년 03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년 08월 25일
21권 22권 23권 24권
파일:ちはやふる21.jpg 파일:ちはやふる22.jpg 파일:ちはやふる23.jpg 파일:ちはやふる24.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3년 06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년 11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3년 09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년 02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3년 12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년 04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4년 04월 1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년 10월 25일
25권 26권 27권 28권
파일:ちはやふる25.jpg 파일:ちはやふる26.jpg 파일:ちはやふる27.jpg 파일:ちはやふる28.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4년 07월 1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년 04월 27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4년 10월 1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년 06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5년 04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년 09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5년 08월 1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년 06월 25일
29권 30권 31권 32권
파일:ちはやふる29.jpg 파일:ちはやふる30.jpg 파일:ちはやふる31.jpg 파일:ちはやふる32.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5년 10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년 12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6년 01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02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6년 03월 1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05월 26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6년 07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11월 25일
33권 34권 35권 36권
파일:ちはやふる33.jpg 파일:ちはやふる34.jpg 파일:ちはやふる35.jpg 파일:ちはやふる36.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6년 10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12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7년 03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년 06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7년 08월 1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년 10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7년 11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년 06월 12일
37권 38권 39권 40권
파일:ちはやふる37.jpg 파일:ちはやふる38.jpg 파일:ちはやふる39.jpg 파일:ちはやふる40.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8년 02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년 10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8년 05월 1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5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8년 08월 0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7월 08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8년 11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03월 29일
41권 42권 43권 44권
파일:ちはやふる41.jpg 파일:ちはやふる42.jpg 파일:ちはやふる43.jpg 파일:ちはやふる44.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9년 03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08월 12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9년 07월 1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01월 07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9년 12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04월 27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0년 05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07월 25일
45권 46권 47권 48권
파일:ちはやふる45.jpg 파일:ちはやふる46.jpg 파일:ちはやふる47.jpg 파일:ちはやふる48.jpg
파일:일본 국기.svg 2020년 10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08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1년 03월 1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12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1년 08월 1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04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2년 02월 1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08월 25일
49권 50권
파일:ちはやふる49.jpg 파일:ちはやふる50.jpg
파일:일본 국기.svg 2022년 07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09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2년 12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10월 25일

코단샤의 격주간 만화잡지 BE LOVE에서 연재 중이며 코단샤 코믹스 비 러브 레이블로 단행본이 발매되었다. 2022년 9월호로 본편은 15년 간 연재의 막을 내렸고, 마지막 권인 50권이 2022년 12월 13일 발매되었다.

한국에서는 학산문화사를 통해 정식으로 발매되었다. 번역가는 서현아. 2023년 10월 26일에 한국에도 마지막 권인 50권이 발매되었다. e북 또한 2024년 1월 30일에 완결될 예정이다.

2023년 12월부터 속편인 『치하야후루 plus 당신을 위해』가 연재되고 있다. 치하야와 마시마가 졸업한 후의 미즈사와 고교 카루타 부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으며, 주인공은 1학년 신입생인 나가라 리츠.

4. 특징

한국에서는 카루타라는 소재가 워낙 생소한지라[4] 진입장벽이 높은 편이다. 그런데 경기 카루타라는 게 하는 사람은 어려워도 보는 건 아주 간단한 게임이기 때문에 오히려 바둑이나 마작을 모르는 사람이 《히카루의 바둑》이나 《사키 -Saki-》 등을 보는 것보다 카루타를 모르는 사람이 《치하야후루》를 보는 게 더 쉽다. 그래서 초기의 거부감에 비해 의외로 진입장벽이 크지 않은 만화이다.

주인공인 치하야가 전학생 아라타, 급우 타이치와 함께 카루타를 하게 되는 시점의 과거 회상 형식으로 진행되고 2권 중반부터 고등학생이 된 세 사람의 이야기가 나오게 된다.

일반적인 순정만화라면 세 사람의 연애 위주로 삼각관계 러브 스토리가 중심이 되어야 하겠지만,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스포츠가 주가 되고 순정은 사이드로 밀려난 지 오래. 게다가 작품이 진행되어 갈수록 작품이 열혈 스포츠물이 되어가면서 러브 라인은 대놓고 괴멸되어가는 중. 그나마 있던 삼각관계도 애매해진지 이미 오래이다. 특히 남성진들은 연애를 원하는데, 여성진들이...

하지만 치하야와 그밖의 여성 캐릭터들의 감정이나 그들이 처한상황들, 심적 고뇌 등을 그려내는 등 여성서사를 잘 챙겨주고 있으며, 그밖의 캐릭터들의 노력과 고뇌를 그려내는 묘사 등이 훌륭하다. 치하야를 중심으로 아라타와 타이치 각자의 서사 또한 탄탄하게 쌓아올려져 있기에[5], 보통 순정만화와 달리 스포츠나 노력 등의 비중이 높긴 해도 이를 바탕으로 인물들 간의 심리와 성장을 묘사에 노력하여 그들의 관계 변화 또한 이런 전개 속에서 잘 녹아내릴 수 있도록 그려나간다는 게 치하야후루의 매력이라고 볼 수 있다.

5.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치하야후루/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하야후루/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하야후루/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설정

  • 시라나미회
    치하야와 타이치, 츠쿠바, 하나노가 소속되어 있는 협회. 우승만이 승급조건이 된다.
  • 스이호쿠회
    니시다, 코마노, 카나데가 소속되어 있는 협회. 시라나미회와는 라이벌에 해당. 준우승 2회로 승급이 가능하다고 한다.

7. 수상

파일:external/cdn-ak.f.st-hatena.com/20160519095625.gif
만화대상 작품부문 1위

2008년
치하야후루
2009년
테르마이 로마이
2010년


||<-5><table align=center><table width=800><tablebordercolor=#2096d5><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2096d5>
||<tablebordercolor=#2096d5><tablealign=center><tablebgcolor=#2096d5>
파일:이 만화가 대단하다!.png
||이 만화가 대단하다!
このマンガがすごい!
여성편 1위
||
||
언덕길의 아폴론 (2008년) 치하야후루 (2009년) HER (2010년)


8. 미디어 믹스

8.1. 애니메이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치하야후루/애니메이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하야후루/애니메이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하야후루/애니메이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2. 영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치하야후루 실사영화 시리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하야후루 실사영화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하야후루 실사영화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3. 드라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치하야후루 -메구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하야후루 -메구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하야후루 -메구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기타

10. 관련 문서


[1] 본편 완결.[2] 흔히 오해하는 부분인데, '카루타'는 카드 세트 자체를 지칭한다. 일본에는 다양한 카루타가 존재하는데(다이소동키호테만 가봐도 지역 이름 카루타나 직장인 처세술 카루타 같은 게 여럿 진열되어 있다.), 그중 백인일수 카루타를 가지고 규칙에 따라 카드를 골라내는 게임의 이름은 '경기 카루타'다.[3] ちはやぶる 神代もきかず 竜田川 からくれなゐに 水くくるとは (치하야부루 카미요모키카즈 타츠타가와 카라쿠레나이니 미즈쿠쿠루토와)[4] 카드에 적힌 노래(시)의 후렴이 들어 있는 카드를 먼저 찾아내는 사람이 승리한다는 간단한 규칙이나, 문제는 이 시들이 한국에선 거의 알려지지 않은 《금엽집》 등의 일본 고서에서 나오는 것들이다.[5] 그 서사의 내용 자체는 탄탄한 것이 아니라 구멍이 좀 있는 편이지만 사람으로서 연에 기대는 부분이 많다 보니 그냥저냥 넘어가는 편이다.[6] 특히 작가의 전작 《에덴의 꽃》 외전에서 《슬램덩크》의 장면을 트레이싱했다 걸린 게 치명적이었다.[7] 이 복귀에는 당초 그녀를 자숙하게 만들었던 이노우에 다케히코 본인의 트레이싱 의혹이 크게 작용했다는 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