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하야후루 ちはやふる | |
| <nopad> | |
| 장르 | 카루타, 순정 |
| 작가 | 스에츠구 유키 |
| 출판사 | |
| 연재처 | BE・LOVE |
| 레이블 | |
| 연재 기간 | 2008년 2호 ~ 2022년 9호[1] |
| 단행본 권수 | |
1. 개요
일본의 순정 만화. 작가는 스에츠구 유키. 일본 전통의 카드패 카루타를 사용한 게임 경기 카루타[2]를 주요 소재로 삼아 순정만화의 틀 속에서 긴장감 있고 참신하게 그려낸 수작으로 평가받는다.제목인 '치하야후루'는 백인일수 17번인 아리와라노 나리히라의 시[3]로 유명한 마쿠라코토바 '치하야부루'에서 유래했다.
일본에서 평가와 판매량에서 모두 큰 성공을 거두고 있는 작품으로 「2009 일본 만화대상」에서 대상을 차지하고 '이 만화가 굉장해!'에서는 2009년 소녀만화 3위, 2010년 1위를 달성했다. 그리고 전국 3천여 점 이상의 서점원들이 투표한 남성이 좋아하는 소녀만화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2013년 8월 기준으로 1000만 부를 돌파했으며, 2020년 1월 기준 2500만 부를 돌파했다.#
2021년 현역 도쿄대학 재학생 500명이 뽑은 '공부가 되는 애니메이션' 16위가 본작의 애니메이션판이다. 작품 소재 자체가 경기 카루타와 백인일수라는 고전적 요소를 담고 있어서라는 이유에서다.#
2. 줄거리
초등학교 6학년인 치하야가 만난 소년은 후쿠이현에서 온 전학생 아라타. 어른스럽고 말이 없는 아라타였지만, 그에게는 의외의 특기가 있었다.
그것은 바로 백인일수 경기 카루타. 치하야는 누구보다도 빨리, 누구보다도 열심히 카드를 쳐내는 아라타의 모습에 충격을 받는다.
하지만 그런 아라타가 주목한 것은 치하야의 뛰어난 ‘재능’이었다. 거기에 같은 반의 타이치까지 가세해, 세 명의 소년 소녀는 카루타의 매력에 빠져드는데…
언제나 함께일 거라는 치하야의 기대와는 달리, 셋은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각자의 길에 따라 이별을 하게 되고, 시간은 흘러 고교생이 된다. 과연 그들이 맞이하는 미래는?
그것은 바로 백인일수 경기 카루타. 치하야는 누구보다도 빨리, 누구보다도 열심히 카드를 쳐내는 아라타의 모습에 충격을 받는다.
하지만 그런 아라타가 주목한 것은 치하야의 뛰어난 ‘재능’이었다. 거기에 같은 반의 타이치까지 가세해, 세 명의 소년 소녀는 카루타의 매력에 빠져드는데…
언제나 함께일 거라는 치하야의 기대와는 달리, 셋은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각자의 길에 따라 이별을 하게 되고, 시간은 흘러 고교생이 된다. 과연 그들이 맞이하는 미래는?
3. 발매 현황
| 01권 | 02권 | 03권 | 04권 |
| | | | |
| | | | |
| 05권 | 06권 | 07권 | 08권 |
| | | | |
| | | | |
| 09권 | 10권 | 11권 | 12권 |
| | | | |
| | | | |
| 13권 | 14권 | 15권 | 16권 |
| | | | |
| | | | |
| 17권 | 18권 | 19권 | 20권 |
| | | | |
| | | | |
| 21권 | 22권 | 23권 | 24권 |
| | | | |
| | | | |
| 25권 | 26권 | 27권 | 28권 |
| | | | |
| | | | |
| 29권 | 30권 | 31권 | 32권 |
| | | | |
| | | | |
| 33권 | 34권 | 35권 | 36권 |
| | | | |
| | | | |
| 37권 | 38권 | 39권 | 40권 |
| | | | |
| | | | |
| 41권 | 42권 | 43권 | 44권 |
| | | | |
| | | | |
| 45권 | 46권 | 47권 | 48권 |
| | | | |
| | | | |
| 49권 | 50권 | ||
| | | ||
| | |
코단샤의 격주간 만화잡지 BE LOVE에서 연재 중이며 코단샤 코믹스 비 러브 레이블로 단행본이 발매되었다. 2022년 9월호로 본편은 15년 간 연재의 막을 내렸고, 마지막 권인 50권이 2022년 12월 13일 발매되었다.
한국에서는 학산문화사를 통해 정식으로 발매되었다. 번역가는 서현아. 2023년 10월 26일에 한국에도 마지막 권인 50권이 발매되었다. e북 또한 2024년 1월 30일에 완결될 예정이다.
2023년 12월부터 속편인 『치하야후루 plus 당신을 위해』가 연재되고 있다. 치하야와 마시마가 졸업한 후의 미즈사와 고교 카루타 부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으며, 주인공은 1학년 신입생인 나가라 리츠.
4. 특징
한국에서는 카루타라는 소재가 워낙 생소한지라[4] 진입장벽이 높은 편이다. 그런데 경기 카루타라는 게 하는 사람은 어려워도 보는 건 아주 간단한 게임이기 때문에 오히려 바둑이나 마작을 모르는 사람이 《히카루의 바둑》이나 《사키 -Saki-》 등을 보는 것보다 카루타를 모르는 사람이 《치하야후루》를 보는 게 더 쉽다. 그래서 초기의 거부감에 비해 의외로 진입장벽이 크지 않은 만화이다.주인공인 치하야가 전학생 아라타, 급우 타이치와 함께 카루타를 하게 되는 시점의 과거 회상 형식으로 진행되고 2권 중반부터 고등학생이 된 세 사람의 이야기가 나오게 된다.
일반적인 순정만화라면 세 사람의 연애 위주로 삼각관계 러브 스토리가 중심이 되어야 하겠지만,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스포츠가 주가 되고 순정은 사이드로 밀려난 지 오래. 게다가 작품이 진행되어 갈수록 작품이 열혈 스포츠물이 되어가면서 러브 라인은 대놓고 괴멸되어가는 중. 그나마 있던 삼각관계도 애매해진지 이미 오래이다. 특히 남성진들은 연애를 원하는데, 여성진들이...
하지만 치하야와 그밖의 여성 캐릭터들의 감정이나 그들이 처한상황들, 심적 고뇌 등을 그려내는 등 여성서사를 잘 챙겨주고 있으며, 그밖의 캐릭터들의 노력과 고뇌를 그려내는 묘사 등이 훌륭하다. 치하야를 중심으로 아라타와 타이치 각자의 서사 또한 탄탄하게 쌓아올려져 있기에[5], 보통 순정만화와 달리 스포츠나 노력 등의 비중이 높긴 해도 이를 바탕으로 인물들 간의 심리와 성장을 묘사에 노력하여 그들의 관계 변화 또한 이런 전개 속에서 잘 녹아내릴 수 있도록 그려나간다는 게 치하야후루의 매력이라고 볼 수 있다.
5.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하야후루/등장인물#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하야후루/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설정
- 시라나미회
치하야와 타이치, 츠쿠바, 하나노가 소속되어 있는 협회. 우승만이 승급조건이 된다.
- 스이호쿠회
니시다, 코마노, 카나데가 소속되어 있는 협회. 시라나미회와는 라이벌에 해당. 준우승 2회로 승급이 가능하다고 한다.
7. 수상
| 만화대상 작품부문 1위 | ||||
| 산 2008년 | → | 치하야후루 2009년 | → | 테르마이 로마이 2010년 |
||<-5><table align=center><table width=800><tablebordercolor=#2096d5><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2096d5>
||<tablebordercolor=#2096d5><tablealign=center><tablebgcolor=#2096d5> ||이 만화가 대단하다!
このマンガがすごい!
여성편 1위 ||
||このマンガがすごい!
여성편 1위 ||
| 언덕길의 아폴론 (2008년) | → | 치하야후루 (2009년) | → | HER (2010년) |
8. 미디어 믹스
8.1. 애니메이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하야후루/애니메이션#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하야후루/애니메이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2. 영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하야후루 실사영화 시리즈#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하야후루 실사영화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3. 드라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하야후루 -메구리-#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하야후루 -메구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기타
10. 관련 문서
[1] 본편 완결.[2] 흔히 오해하는 부분인데, '카루타'는 카드 세트 자체를 지칭한다. 일본에는 다양한 카루타가 존재하는데(다이소나 동키호테만 가봐도 지역 이름 카루타나 직장인 처세술 카루타 같은 게 여럿 진열되어 있다.), 그중 백인일수 카루타를 가지고 규칙에 따라 카드를 골라내는 게임의 이름은 '경기 카루타'다.[3] ちはやぶる 神代もきかず 竜田川 からくれなゐに 水くくるとは (치하야부루 카미요모키카즈 타츠타가와 카라쿠레나이니 미즈쿠쿠루토와)[4] 카드에 적힌 노래(시)의 후렴이 들어 있는 카드를 먼저 찾아내는 사람이 승리한다는 간단한 규칙이나, 문제는 이 시들이 한국에선 거의 알려지지 않은 《금엽집》 등의 일본 고서에서 나오는 것들이다.[5] 그 서사의 내용 자체는 탄탄한 것이 아니라 구멍이 좀 있는 편이지만 사람으로서 연에 기대는 부분이 많다 보니 그냥저냥 넘어가는 편이다.[6] 특히 작가의 전작 《에덴의 꽃》 외전에서 《슬램덩크》의 장면을 트레이싱했다 걸린 게 치명적이었다.[7] 이 복귀에는 당초 그녀를 자숙하게 만들었던 이노우에 다케히코 본인의 트레이싱 의혹이 크게 작용했다는 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