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겐트캠퍼스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역사 | 학부 | 시설 | 출신 인물 | }}} |
글로벌캠퍼스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교육과정 | 시설 | IGC | }}} |
1. 교과과정(공통학부과정 및 전공선택)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의 교과과정들은 faculty of bioscience engineering과 faculty of science 에 공동으로 소속되어 있다.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에 개설된 학과 및 학술랭킹은 다음과 같다.
- 분자생명공학(Molecular Biotechnology) - '22 ARWU(농식물학 13위, 바이오텍 39위)
- 환경공학(Environmental Technology) - - '22 ARWU(마린오션텍 40위)
- 식품공학(Food Technology) - '22 ARWU(푸드테크 19위), '23 QS 학문랭킹(농업 세계 7위)
조기졸업, 복수전공, 부전공은 불가한다.
전공별 커리큘럼은 다음과 같다.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의 교과과정에는 교양학점이 없고 순수 전공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몇 가지 선택과목이 있긴 하지만 한국대학의 교양과목과는 다소 차이가 있으며, 선택과목 역시 전공의 일부이다. 학년별 커리큘럼이 이미 짜여있어 학생 개인이 강의와 일정을 선택할 수 없다.
1~2학년은 STEM(과학(S), 기술(T), 공학(E), 수학(M)의 줄임말)기반 공통학부과정을 이수한다.링크, 수학, 화학, 생물, 물리 등 과학기초이론과 더불어 영어, 정보학까지 저변 넓은 교육이 이뤄진다. 1~2학년 공통학부과정의 경우 대부분의 과목은 본교에서 파견한 상주교수진(Residential Faculty)이 수업을 한다.
3학년이 될 때 전공을 선택[1]하며, 3,4학년은 전공심화과목들을 각 수강하게 된다. 전공선택에 제한인원이 없기 때문에 학과별 인원수에 차이가 있다. 학생들은 분자생명공학과(MBT)로 가장 많은 학생이 진학하지만, 최근 환경공학과(ET)와 식품공학과(FT)로의 선택도 많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3~4학년의 수업이라도 1~2학년 때와 마찬가지로 공통으로 듣는 과목이 있지만, 전공심화과정 중 석사급의 스페셜리티 과목의 경우 연간 30여 명의 방문교수진(Flying faculty)이 한국에 와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내용들로 수업한다. 전문성과 실무성, 산업응용기반 과목들이 다들 이때 포진되어 있어, 이때부터 커리큘럼에 대한 만족감이 급상승하게 된다.
4학년 1학기는 벨기에에서 수업을 들어야 하며, 23년 8월 기준, 약 70여 명의 4학생이, 24년도 8월에는 90여명의 학생들이 벨기에로 떠났다. 4학년 수강과목의 경우, 전공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학원 석사 강의를 함께 수강하는 과목이 많다. 전 세계에서 모인 석사생들과 함께하는 좋은 기회이다.
분자생명공학과는 벨기에에서도 과목을 따로 개설해 특별프로그램 형식으로 글로벌캠퍼스 재학생만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도 있다. 이는 학과마다 보다 교육과정에 적합한 부분을 찾기 위해서 생긴 차이인 것으로 보인다. 분자생명공학과의 경우, 본교에서 좀 더 많은 실험을 제공하며 VIB-UGENT 랩의 (벨기에의 정부출연 생명공학 연구센터) 교수진이 강의하는 과목도 개설되어 있다.
4학년 때 졸업 전 졸업 프로젝트(팀워크) 작성과 defense가 필수이다. 2021년 졸업생까지는 개인 논문이었으나, 현재는 늘어난 재학생 인원으로 인해 팀워크 형식으로 바뀌었다.
[1] 전공 선택은 한국대학에서처럼 과별 T/O로 잘리는 게 아니라, 정원 제한 없이 본인이 원하는 전공을 선택할 수 있어 학점 낮아서 원하는 전공진입이 막히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