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3 07:16:15

미추홀교통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 강화군 군내버스
계양구 동화운수
남동구 부성여객 삼환운수 성원운수
인천교통공사
부평구 성산여객 강인교통 강인여객
미래교통 청라교통 대인교통
태양여객
서구 선진여객 세운교통 공영급행
신동아교통 마니교통 마니버스
삼성여객 수정관광 시영운수
신강교통 신화여객 원진운수
청룡교통 해성운수
연수구 더월드교통 도영운수 성민버스
중구 강화교통 미추홀교통 삼환교통
송도버스 인천스마트 인천제물포교통
은혜교통 인강여객 신흥교통
영종운수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선진그룹 계열사 강인여객 계열사
동구미추홀구, 옹진군은 관내에 주사무소(본사)를 둔 업체가 없어 제외.
}}}}}}}}} ||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인천광역시 중구의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7211a> 시내버스 강화교통 은혜교통 미추홀교통 삼환교통
송도버스 신흥교통 영종운수 인강여객
인천스마트 인천제물포교통
마을버스 예성교통
공영버스 신흥교통
인천광역시의 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10px -0px"<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차파트너스자산운용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43c1f><colcolor=#fff> 서울
인천
대전
제주
* 인수된 순서로 분류함.
}}}}}}}}} ||
미추홀교통 주식회사
彌鄒忽交通 株式會社
Michuhol Traffic Co., Ltd.
설립일 2003년 2월 10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한강수
모회사 ESG퍼블릭모빌리티
주요 주주 ESG퍼블릭모빌리티: 100%
(2023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159명(2023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2억원(2023년 기준)
매출액 연결: 304억 6,825만 5,831원(2023년 기준)
별도: 150억 6,848만 1,024원(2023년 기준)
영업이익 연결: 22억 2,023만 5,850원(2023년 기준)
별도: 10억 8,181만 5,883원(2023년 기준)
순이익 연결: 18억 3,963만 178원(2023년 기준)
별도: 18억 2,492만 3,769원(2023년 기준)
자산총액 연결: 227억 724만 3,388원(2023년 기준)
별도: 216억 163만 3,857원(2023년 기준)
부채총액 연결: 93억 3,613만 5,737원(2023년 기준)
별도: 82억 3,052만 6,206원(2023년 기준)
부채비율 연결: 69.82%(2023년 기준)
별도: 61.55%(2023년 기준)
자회사 인천제물포교통 (지분율: 100%)
소재지 인천광역시 중구 축항대로86번길 129 (항동7가)
전화번호 032-887-2842

1. 개요2. 역사3. 특징
3.1. 업체 관련3.2. 차량 관련
4. 영업소 및 소속 노선5. 운행 노선
5.1. 과거 운행 노선
6. 면허 체계7. 보유 차량8. 지배구조9.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인천미추홀12_eBus11.png 파일:in75-ecfc.jpg
12번 75번
인천광역시시내버스 업체로, 본사는 중구 항동7가에 있으며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다.

2. 역사

  • 2003. 02. 10. 선진그룹 산하의 인천선진교통으로 설립되었다.
  • 2003. 07. 01. 76번을 신설하였다.
  • 2006. 05. 01. 부천버스로부터 87번을 양도받았다. 동시에 부천시 시내버스에서 인천광역시 간선버스로 전환하였다.
  • 2006. 09. 01. 71번을 신설하였다.
  • 2007. 09. 01. 영풍운수로부터 78번을 양도받았다.
  • 2009. 01. 30. 12-1번을 신설하였다.
  • 2009. 08. 10. M6405번을 신설하였다.
  • 2013. 11. 05. 12-1번을 폐선하였다.
  • 2020. 05. 26. M6450번을 신설하였다.
  • 2020. 12. 31. 76A번을 신설하였다.
  • 2011. 11. 27. 76A번이 77번으로 변경되었다.
  • 2022. 06. 04. 75번을 신설하였다.

3. 특징

3.1. 업체 관련

  • 과거 사명은 선진그룹에서 유래되어 ‘선진교통’이라 칭해졌고, 이후 차파트너스 계열사로 편입되면서 미추홀에서 따 온 ‘미추홀교통’이 되었다. 다만 실제로 미추홀구를 지나는 노선은 12번 단 하나이며, 미추홀의 의미를 ‘인천’의 옛 지명으로 보더라도 보유 노선 대부분이 검단, 즉 과거 김포군 지역에서만 운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 전신은 제물포버스에서 대부분 유래되었다. 인천에서 규모가 상당했던 제물포버스[1]가 내부사정으로 회사가 상당히 혼란스러워진 후 선진그룹에서 인수하면서 인천선진교통이 되었다. 제물포버스 시절 1970년대 초반 대진운수[2]라는 이름의 자회사를 설립한 적이 있었는데, 대진운수는 이후 2001년까지 30년간의 계열 관계였다가 마을버스 청농교통(현재 성산여객) 오너가 인수한 뒤 동서교통이라는 사명으로 변경하여 운행하다가 2004년 폐업하였다.
  • 보통은 선진그룹이 제물포버스를 인수하여 설립한 것으로 알고 있고, 나무위키 내부에서도 이러한 서술이 굉장히 많은 문서에 있지만 실상은 전혀 아니다. 선진그룹은 제물포버스 법인과 포함된 자산(부대시설, 부동산)을 통째로 인수한게 아니라 노선과 차량(번호 포함)만 인수한 형태이므로 두 회사는 전혀 다른 별개의 회사이다. 기존의 기사들은 고용승계가 아닌 고용 재계약 형태로 1년 단위 계약직으로 근무했으며 기존 제물포버스에서 근무하던 기사들 대부분은 재계약을 포기하고 퇴직이나 이직을 한 경우가 대부분이다.[3] 이러한 인수형태 때문에 회사에서 다루는 연혁이 제물포버스 연혁까지 서술되지 않는다.[4]
  • 2003년 12월에 영풍운수[5]로부터 75번(1기)76번을 인수하였고[6], 24번원진운수에 매각하였다.[7] 이후 2007년에도 영풍운수로부터 78번을 인수하였다.[8] 당시 영풍운수는 서구 금곡동에 본사를 두고 있었기 때문에, 70번대의 서구 노선을 대거 인수하면서 자연스럽게 검단 지역에 진출하게 되었다.
  • 2007년 3월 2일, 71번(2기)을 방계업체인 선진여객에 이관하였고, 2009년 4월 3일에 30번, 75번(1기), 78번을 신규법인인 인천제물포교통에 이관하였다. 정확히는 선진그룹이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의 준공영제 찬성을 위해, 찬성파의 업체 수를 늘리는 과정에서 일부 노선을 제물포교통으로 분사시킨 것이다. 같은 해에 공영급행에 출자하여 대주주를 맡기도 했다.[9]
  • 현재의 미추홀교통은 송도버스와 더불어 면허지와 실제 운행지역이 다른 업체로 꼽힌다. 두 업체 모두 중구에 면허지를 두고 있지만, 실상 운행하는 지역은 정반대의 지역으로 미추홀교통의 주 영업권은 서구라고 볼 수 있다. 물론 12번이 중구와 서구를 모두 경유하지만, 12번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노선이 검단 지역에서만 운행하는 것이 특징. 그래서 75번과 76번, 77번은 사실상 미추홀교통의 이름을 달고 운행하지만 제물포교통과 더 유사점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75번은 왕길동에 차고지를 두고 있으며, 76번과 77번은 마전지구에서 출발하여 세 노선 모두 검단신도시를 관통하여 계양역귤현역을 경유하는 것이 공통점이다.[10]
  • 광역급행버스 출범 초기 M6405번을 낙찰받으면서 운행하였으나, 인강여객에 매각한 이후로는 한동안 간선버스만 운행하였다. 그러나 M6450번을 개통시키면서 다시 서울행 광역급행버스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이번에는 회사가 선진그룹에서 분리되고 차파트너스로 매각되면서 M6450번을 다시 신동아교통으로 양도하게 된다. 그리고 인강여객도 M6405번을 신동아교통에 양도하면서, 사실상 선진그룹 출신의 M버스가 모두 신동아교통의 품으로 가는 엔딩을 맡게 되었다.

3.2. 차량 관련

  • 2009년 당시 최초의 광역급행버스를 운행하는 5개 회사 중 하나였는데, 차를 구매할 때 말이 많았다. KD 운송그룹은 당연히 FX116, 신성교통 역시 유니버스를 구매한 반면 선진교통에서는 에어로 스페이스[11], 게다가 리클라이닝이 불가능한 LS 시트[12] 차량을 투입한 것. 게다가 요금이 6개 노선 중 인천광역시 요금 기준을 따라가다보니 버스 요금이 가장 비싸(2,500원) 가격은 비싼데 서비스는 제일 낮다는 평을 들었다. 그나마 좌석개조를 통해 현재는 리클라이너 사용이 가능한 상태. 그러다 2010년 8월에 계열사인 인강여객에게 노선을 양도하면서 광역급행버스 사업에서 철수하게 된다.
  • 여담으로 선진교통 당시 운용하던 구형 뉴 슈퍼 에어로시티의 쪽창 부분에는 "가족같은 인천선진교통이 되겠습니다."라고 붙어있었다. 또한 제물포교통으로 넘어간 30번을 포함해 구형 뉴 슈퍼 에어로시티 후면 유리창에는 "정차시 기어중립 3초여유 승객안전" 이라는 문구가 있었다. 하지만 현실은 안 지키는 기사들이 많았었다.
  • 미추홀교통과 제물포교통에서 운행하던 15년식, 16년식 좌석형버스는 하나의 개조 작업을 공통적으로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당시 선진그룹은 봉벨을 적용하지 않고 흔히 말하는 깡통 옵션(32석 LS시트, 단색 손잡이)만 출고하였는데, 봉벨을 적용하지 않으면 벽면의 벨의 개수도 줄어들게 된다. 그래서 두 업체의 차량에는 별도로 벨을 추가로 설치하여, 에어컨 송풍구가 있는 덕트 쪽에 부착해두는 것이 특징이었다.[13] 이후 17년식부터 하차벨이 추가되면서 개조를 하지 않고 있으나, 개조할 때 벨을 부착하는 위치가 벨이 추가된 위치와 거의 유사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 2015년과 2016년에 출고한 좌석형버스의 수가 월등히 많았다. 미추홀교통과 제물포교통 모두 2006년 경에 차량을 대거 출고하였고, 해당 차량들을 10년 후에 똑같이 대규모로 대차를 했기 때문이다. 이후 15년식과 16년식이 모두 대규모로 대차되는 시점에 전기버스를 투입하면서 또 한 번 대규모 대차를 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좌석형버스는 2017년에 출고한 8대를 끝으로 더 이상 출고하지 않는다.
  • 2019년에 전기버스 시범운영 업체에 선정되어 현대 일렉시티 10대를 출고하여 운행하였다. 원래는 7월 투입 예정이였으나 사유가 있었는지 10월에나 운행을 개시하였다. 해당 차량들은 전부 12번에 투입하였다.
  • 2020년과 2021년에 그린시티 개선형을 출고하여 11년식 그린시티를 대차함과 동시에 전량 76번에 투입하였다. 이때 출고한 그린시티를 끝으로 고상버스의 출고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었다.
  • 2023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수소전기버스를 출고하기 시작했다. 현대 일렉시티II FCEV를 대량으로 출고하여 기존의 좌석형버스를 대차시키기 시작하였고, 2024년에도 대량 출고하여 12번과 75번, 77번에 집중 투입되었다.
  • 2025년에는 다른 차파트너스 계열사와 같이 BYD eBus11을 출고하여 12번에 투입하였다. 차량 자체는 2024년에 제작되었으나, 면허 등록은 2025년 7월에 이루어졌다.
  • 송도버스와 같이 차량 전면의 라이트 위쪽에 노선번호를 원형으로 부착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만 송도버스는 하얀색 바탕을 사용하지만, 미추홀교통과 제물포교통은 노란색 바탕을 사용한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4. 영업소 및 소속 노선

<rowcolor=#fff> 영업소 소재지 노선 비고
항동7가 인천광역시 중구 축항대로86번길 135 (항동7가 73-1) 12 본사
왕길동 인천광역시 서구 거월로 39 (왕길동 61-8) 75, 76, 77 [14]
마전동 인천광역시 서구 세자봉로 141 (마전동 66-8) 76, 77 [15]

5. 운행 노선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12 ♿ 항동7가차고지(삼거리) 연안여객터미널 - 인천종합수산물센터 - 항운아파트 - 인천출입국.외국인청 - 신포시장 - 동인천역 - 인천재능대학교 - 인천의료원 - 서인천가구단지 - 거북시장 - 신현쇼핑 - 가정역 - 아나지고개 - 효성사거리 - 갈산역 - 부평구청 - 부평시장 - 부평역 - 부흥초등학교 - 부개역 - 수도군수지원단 금마초등학교 7~10
75 ♿ 왕길동차고지 왕길고가 - 완정역 - 보람프라자 - 창신초등학교 - 도담공원 - 인천영어마을 - 검단로지스틱스파크 - 장기동 - 계양역귤현역 → 백승아파트 → 귤현차량기지 → 계양역 → 이후 역순 귤현차량기지 13~17
76 마전지구버스차고지 대원레스피아1단지아파트 - 마전고등학교 - 길훈아파트 - 월드아파트 - 불로중학교 - 창신초등학교 - 원당사거리.검단선사박물관 - 서구영어마을 - 아라동행정복지센터 - 검단디에트르리버파크 - 장기동 - 다남식당 - 계양역 - 귤현현대아이파크 - 계양센트레빌1.2단지 - 동양자이입구 - 당미마을 - 동양지구입구 박촌역 20~30
77 ♿ 마전고등학교 - 검단초등학교 - 불로대곡동행정복지센터 - 원당사거리 - 인천해든초등학교 - 검단로지스틱스파크 - 장기동 - 계양역귤현역 → 백승아파트 → 귤현차량기지 → 계양역 → 이후 역순 귤현차량기지 28~35

5.1. 과거 운행 노선

  • 12-1번: 일신동 - 부평구청 (12번과 통합)
  • 24번: 그랜드마트 - 부평역 (이후 원진운수 → 부일운수(현. 세운교통) → 부일버스(현. 해성운수)로 매각 후 연안부두 - 부천으로 노선변경)
  • 30번: 왕길동 - 송내역 (인천제물포교통으로 이관.)
  • 32번: 오류동 - 계양초교 - 귤현역 - 박촌역 - 임학역 - 병방초교 - 계산역 - 계산삼거리 - 인천교대 - 작전 - 한마음병원 - 삼보A - 신진A - 효성4거리 - 공단 - 갈산역 - 부평구청 - 부평시장 - 부평역 - 인천성모병원 - 구월동 - 송림R - 답동 - 동인천 (2002년 폐선)
  • 32-1번: 32번과 비슷 (1999년 폐선)
  • 71번(1기): 동양지구 - 그랜드마트 (선진여객으로 이관)
  • 75번(1기): 갈현교 - 귤현역 (2016년 대개편 때 폐선.)
  • 76A번: 마전지구 - 초정마을 (2021년 77번으로 번호변경)
  • 78번: 검단 - 송정역 (인천제물포교통으로 이관.)
  • 87번: 계산동 - 송내역 (선진여객으로 이관.)
  • M6405번: 송도국제도시 - 강남역 (인강여객 → 신동아교통으로 이관.)
  • M6450번: e편한세상정문 - 삼성역 (신동아교통으로 이관.)

6. 면허 체계

제물포버스 시절 면허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 인천 70 바 2527
  • 인천 70 바 26## ~ 28##
    • 미추홀교통 주 면허.[17]
  • 인천 70 바 58##
    • 제물포버스가 좌석버스를 운행하던 시절에 사용했으며, 현재는 전량 말소되었다.

7. 보유 차량

7.1. 현재 보유차량

7.1.1. 현대자동차

7.1.2. BYD

7.2. 과거 보유 차량

7.2.1. 현대자동차

7.2.2. 자일대우버스

7.2.3. 기아

8. 지배구조

2023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SG퍼블릭모빌리티
100.00% 모회사

9. 관련 문서


[1] 1969년 2월 28일에 설립되어 한창 잘나갈 때에는 보유 차량만 300대에 육박할 정도였다. 게다가 1990년대 초반에는 지역민방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자금을 출연했을 정도였다고(관련 기사). 그러나 영업 당시 현대, 대우, 아시아(현 기아)버스 구분없이 출고하여 운행한 탓인지 차량 관리 상태가 그리 좋지 않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그러나 아시아버스는 경영진 사정으로 1994년에 현대버스로 전량 교체하였다.[2] 80~90년대 시내버스 공동배차 시절에는 배차 간격이 가장 긴 회사 중 하나였다. 이 시절 인천 시내버스는 분명 같은 노선인데도 운수 회사에 따라 배차간격이 5분에서 30분까지 벌어지는 등 고르지 못한 운행을 했다.[3] 그러나 인천선진교통 출범 약 2년 후 정규직으로 전환되었다고 한다. 계약직을 많이 채용하던 2005년 ~ 2006년 당시 선진 계열사 중 유일한 정규직 채용 업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4] 제물포버스의 소유지였던 인현동 차고지는 일찌감치 매각되었고, 마지막으로 제물포버스 본사가 있던 가좌동 차고지 역시 2003년 4월 1일자로 매각되어 현재 시영운수 본사 차고지가 되었다.[5] 現 영종운수[6] 이때 BS090 천연가스버스와 인천 70바 24##, 25##번대 면허를 받았다.[7] 이 때 노후된 1996년식 에어로시티 540L과 하이파워를 매각하였다. 이후 24번은 세운교통을 거처 해성운수에 이관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8] 2005년, 2006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가 넘어왔었다.[9] 그래서 한동안 공영급행의 면허지가 중구였던 시절이 있다. 공영급행 차량 다수의 면허도 이때 발급되었고, 이후 면허지를 서구 오류동으로 이전하면서 서구 면허가 늘어나게 된 것.[10] 그래서 미추홀교통 노선 중 12번과 만나는 노선이 아예 없다.[11] 유니버스의 전신. 유니버스 출시 이후 한동안 재고처리용으로 에어로 스페이스를 상당히 싼 가격에 팔았다.[12] 좌석 등받이 기울기를 조절하는 장치를 리클라이너라고 부르는데, 리클라이너가 없는 것을 버스 동호인들은 무리클이라고 부른다.[13] 차량마다 위치가 조금씩 달랐지만, 크게 출입문 쪽 두 개와 운전석 쪽 한 개를 부착했다.[14] 충전은 수도권매립지 내의 CNG 충전소를 사용한다.[15] 운행중에만 대기용도로 사용하며, 운행 종료 후에는 왕길동으로 회송한다.[16] 12번에서 운행중인데, 본래 영풍운수 면허였으나 75번, 76번, 78번 인수와 함께 유입되었으나 선진여객에 매각된 후 다시 유입되었다.[17] 이 중 2869호는 2633호가 면허 전환을 하면서 재발급받은 것이다.[18] 영풍운수 출신차량도 존재했으며, 1995년식 에어로시티 540L, 하이파워 차량 교체분으로 반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