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2 21:10:55

미래교통(인천)

파일:부평구 CI.svg 인천광역시 부평구의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시내버스 강인교통 강인여객 대인교통 미래교통
성산여객 청라교통 태양여객
인천광역시의 버스 회사
}}}}}}}}} ||

강인여객 계열사
강인여객 강인교통 청라교통 미래교통
미래교통 주식회사
未來交通 株式會社
Mirae Bus Co., Ltd.
파일:미래교통.png
설립일 2006년 12월 26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홍윤성, 최우석
주요 주주 최우석: 17.71%
최영락: 17.71%
이혜: 12.50%
(2022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보유대수 45대
직원 수 122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9,600만원(2022년 기준)
매출액 130억 7,087만 3,307원(2022년 기준)
영업이익 -2억 9,423만 7,145원(2022년 기준)
순이익 -3억 1,944만 7,940원(2022년 기준)
자산총액 75억 1,410만 7,431원(2022년 기준)
부채총액 41억 4,062만 7,968원(2022년 기준)
부채비율 122.74%(2022년 기준)
소재지 본사 - 인천광역시 부평구 백범로 570 (십정동)
동춘동차고지 - 인천광역시 연수구 먼우금로 1 (동춘동)

1. 개요2. 차고지3. 보유 노선4. 면허 체계5. 보유 차량
5.1. 현재 보유 차량5.2. 과거 보유 차량
6. 사진7. 지배구조8. 둘러보기

1. 개요

강인여객 계열사로 준공영제 찬성 업체를 늘리기 위해 강인여객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어 만들어진 버스 회사이다. 강인여객 자사 노선으로 보유하던 111번111-2번을 미래교통으로 분리했던 것. 이 회사를 시작으로 강인여객은 당시 준공영제 찬성 vs 반대 구도에서 찬성 업체를 늘리기 위해 별도의 법인을 만들었다.

강인여객 계열 중 유일하게 손잡이가 없는 차량에 따로 손잡이를 달고 다니는 업체였다. 주로 전중문형 예비차량에서 볼 수 있는데 동글이 NSAC의 손잡이를 떼와서 설치한 점이 특징이다.[1]

2023년부터 저상버스 의무화가 시행되는데 미래교통 노선은 고속도로 경유 및 도로사정으로 저상버스 의무화 예외 적용 운송 업체가 되었다.

2024년 초에 NSAC 고상형, 유니시티가 단종됨에 따라 2025년 중순에 유니버스를 출고해 117번에 투입했다. 즉, 17여 년 만에 고급좌석버스를 재출고했다.

2. 차고지

영업소 주소 사용노선 CNG 충전소 비고
십정동차고지 인천광역시 부평구 백범로 570 (십정동 261-2) 십정동차고지 경유 전 노선 O 강인여객, 강인교통 등기 주소지 및 정비소(통합본사)
동춘동차고지 인천광역시 연수구 먼우금로 1 (동춘동 943-5) 103, 103-1, 111-2, 112 등 연수구 출발차량 주박지 O[2] 미래교통, 청라교통 등기 주소지[3]
석남동차고지 인천광역시 서구 건지로95번길 42 (석남동 223-204) 공항좌석 및 영종도 노선 주박지 X [4]

3. 보유 노선

3.1. 좌석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111
[본사][석남]
십정동 십정사거리 - 부평도서관 - 부평역 - 부평시장 - 부평구청 - 삼산사거리 - 롯데마트계양점 - 계산역 - 공촌사거리 - 서부산업단지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공항T1 - 무의도입구 - 한국도심공항터미널 - 용유동행정복지센터 - 을왕리해수욕장 - 왕산해수욕장 왕산 12~15
111B
[출근][본사][석남]
계산역 공촌사거리 → 서부산업단지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공항T1(3층 → 1층) → 이후 기존 111번 코스로 운행 인천공항T1 1일 4회
117
[본사][석남]
영종LH7단지 영종우미린2단지 - 영종블루오션2차 - 영종KCC스위첸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개화역광역환승센터 1일 12회
304
[공동배차][본사][석남]
십정동 십정시장 - 간석오거리역 - 길병원 - 인천터미널 - 문학경기장 - 선학역 - 신연수역 - 원인재역 - 동춘역 - 동막역 - 송도MTB파크 - 제2경인고속도로 → 그린나래지하차도 → 영종LH7단지 → 영종우미린2단지 → 영종블루오션2차 → 영종우미린1단지 → 중산동 → 영종중학교 → 영종고등학교 → 운서역 → 영종도풍림아이원1차 → 제2경인고속도로 → 이후 역순 운서역 17~22

3.2. 간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111-2
[동춘]
동춘동 무지개.동남아파트 - 여성의광장 - 송도유원지 - 원흥아파트 - 인하대학교 - 인천지방법원.검찰청 - 문학경기장 - 인천터미널 - 길병원 - 간석오거리역 - 부평삼거리역 - 백운역 - 부평역 - 부평시장 - 부평구청 굴포천역 11~15

3.3. 광역급행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M646#번 e편한세상영종하늘도시 푸르지오더스카이256동 - 넘디마을입구 - 영종LH2단지 - 은골공원 - 운서역 - 금호베스트빌1단지.영종도서관 - 고속터미널 - 논현역 - 지하철2호선강남역 - 신분당선강남역 - 래미안아파트.파이네셜뉴스 - 뱅뱅사거리 -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 매헌시민의숲.양재꽃시장 -

4. 면허 체계

  • 인천 70바 5001~5100, 5901~6100호
  • 인천 72바 1333, 1546~1548, 1605~07호[16]
  • 인천 75아 1243, 1244호[17]

5. 보유 차량

5.1. 현재 보유 차량

5.1.1. 현대자동차

5.2. 과거 보유 차량

5.2.1. 현대자동차

6. 사진

파일:in111-uc.jpg 파일:인천미래111-2_NSAC.png
좌석버스 111번 간선버스 111-2번

7. 지배구조

2022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우석 17.71% 대표이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영락 17.71% [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혜 12.5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재석 8.33% [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영한 6.25% [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류동수 6.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영희 6.25% [2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류병렬 5.21% [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류지열 5.2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문호진 4.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용진 4.17% [2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류인설 2.08% [2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민천기 2.0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영은 2.08% [25]

8. 둘러보기

지역별 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업체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경성여객·도원교통·선일교통·선진운수 동남여객·창성여객 경신교통 강인여객·강인교통·미래교통·청라교통
광주 대전 울산 경기
대진운수 대전교통·대전버스·대전운수 한성교통 삼경운수·성우운수1
강원 충북 충남 · 세종 전북
영암고속·화성고속 대성티앤이·청주교통 온양교통·삼안여객 전북고속·전북여객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금호고속 경북고속·진안고속·대화교통 함양지리산고속 극동여객
1: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 회장 겸임
}}}}}}}}} ||


[1] 청라교통에도 그러한 차량이 많았으나 대부분 차령만료로 대차되었고, 강인여객 103번 대의 차량들은 손잡이 없이 봉만 달고 다니는 차량이 대부분이었다. 다만 최근에는 대부분 대차되어서 보기가 힘들어졌다.[2] 동춘동 차량들은 가스 충전 방식이 특이하다. 건너편 동춘공영차고지 노선들과 마찬가지로 인근 승기천 뚝방에 위치한 삼천리CNG충전소를 이용하는 차량과 동춘동발 십정동행 노선(103, 103-1, 112) 일부가 십정동까지 상행선 편도운행 후 본사에서 충전하고 하행선(동춘동 방면)으로 운행을 재개하는 방식으로 연료 공급처를 이원화시켰기 때문이다. 이렇게 된 이유는 아무래도 건너편 동춘공영차고지에서 충전하러 가는 노선들도 숫자가 만만치 않으니 승기천충전소 용량 포화 문제를 우려해서 시작점(동춘동)과 회차지(십정동) 모두 다 충전소가 자리잡은 강인여객의 배려로 추정된다. 물론 급행91과 111-2번은 십정동을 가지 않기 때문에 차량마다 분산해서 충전하는 다른 노선들과는 다르게 모든 차량이 승기천에서 충전한다.[3] 동춘공영차고지와는 먼우금로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위치에 있다.[4] 십정동차고지에 가스충전소가 들어서면서 포화가 되는 바람에, 공항좌석버스와 영종도행 노선의 주박용으로 사용된다.[본사] 십정본사 소속[석남] 석남동영업소 소속[출근] 평일 출근시간대만 운행[본사] [석남] [본사] [석남] [공동배차] 강인교통과 공동 배차[본사] [석남] [동춘] 동춘동영업소 소속[16] 부평구 증차면허[17] 연수구 증차면허(117번 정규차량)[18] 강인여객, 십정모비스 대표이사[19] 강인여객 이사[20] 청라교통 대표이사[21] 강인교통 대표이사[22] 강인여객 이사[23] 미래교통 감사, 강인여객 감사[24] 강인여객 이사, 강인교통 이사, 청라교통 이사[25] 강인교통 감사, 청라교통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