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5 20:21:31

미래교통(인천)

파일:부평구 CI.svg 인천광역시 부평구의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시내버스 강인교통 강인여객 대인교통 미래교통
성산여객 청라교통 태양여객
인천광역시의 버스 회사
}}}}}}}}} ||

강인여객 계열사
강인여객 강인교통 청라교통 미래교통
미래교통 주식회사
未來交通 株式會社
Mirae Bus Co., Ltd.
파일:미래교통.png
설립일 2006년 12월 26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홍윤성, 최우석
주요 주주 최우석: 17.71%
최영락: 17.71%
이혜: 12.50%
(2022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보유대수 45대
직원 수 122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9,600만원(2022년 기준)
매출액 130억 7,087만 3,307원(2022년 기준)
영업이익 -2억 9,423만 7,145원(2022년 기준)
순이익 -3억 1,944만 7,940원(2022년 기준)
자산총액 75억 1,410만 7,431원(2022년 기준)
부채총액 41억 4,062만 7,968원(2022년 기준)
부채비율 122.74%(2022년 기준)
소재지 본사 - 인천광역시 부평구 백범로 570 (십정동)
동춘동차고지 - 인천광역시 연수구 먼우금로 1 (동춘동)

1. 개요2. 연혁3. 특징4. 운행 범위5. 차량 운용6. 차고지
6.1. 차량 주박6.2. 연료 충전
7. 보유 노선8. 면허 체계9. 보유 차량
9.1. 현재 보유 차량9.2. 과거 보유 차량
10. 지배구조11. 관련 문서12. 둘러보기

1. 개요

파일:in111-uc.jpg 파일:인천미래111-2_NSAC.png
좌석버스 111번 간선버스 111-2번
미래교통 주식회사(未來交通 株式會社)는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로, 본사는 인천광역시 부평구 십정동에 위치한다.

계열사로는 강인여객, 강인교통, 미래교통, 청라교통과 강인산업 등이 있다.

2. 연혁

  • 2006년 12월 26일 : 강인여객의 자회사로 미래교통 주식회사 설립. 동시에 111번 양도.
  • 2008년 1월 21일 : 111-2번 신설.
  • 2009년 2월 3일 : 111-2번의 형간전환 실시. (시내좌석버스 → 간선버스)
  • 2014년 9월 1일 : 117번 신설.
  • 2016년 9월 5일 : 117번의 중간계통 분리. (117A번)
  • 2019년 5월 25일 : 111번의 중간계통 분리. (111A번) 동시에 강인교통 304번의 공동배차 참여.
  • 2019년 6월 8일 : 111번의 중간계통 분리. (111B번, 111C번)
  • 2020년 12월 31일 : 111A번 폐선.
  • 2021년 7월 10일 : 111C번, 117A번 폐선.
  • 2023년 10월 7일 : 영종시내 별도 요금제 시행. (영종시내 구간만 이용시 간선버스 요금 징수)
  • 2026년 2월 1일 : M6463번 실설될 예정이다.

3. 특징

  • 당시 2009년에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에 준공영제가 도입되면서 각 업체들은 찬성과 반대의 업체 수를 늘리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선들을 쪼개서 새로운 법인으로 분사하는 일이 매우 많았다. 이 과정에서 강인여객은 준공영제 찬성파였기 때문에[1] 자사 노선 중 111번과 111-2번을 분리하여 신 법인을 만들게 되었고, 이 법인 바로 미래교통이 된 것이다.
  • 강인여객 계열 중 100번대 노선만 보유하고 있는 유일한 업체이다. 또한, 강인여객의 대표이사 중 최우석 대표가 보유하고 있는 업체이다.
  • 이전에는 강인여객과 같이 무경력자를 자주 채용하고, 심지어는 조선족도 채용하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의 기사들의 친절도가 바닥을 기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현재는 많이 개선된 편.
  • 면허가 개정되었던 1996년 기준으로 인천 70바 10xx호 ~ 11xx호 번호판을 시내버스로 운용하였으며, 인천 70바 50xx호 번호판을 좌석버스로 사용하였다. 이는 1998년 ~ 1999년에 걸쳐 강인여객이 모든 좌석버스를 사들이면서 기존의 좌석버스 고유차적인 50xx호 번호판이 꽉 차면서 59xx호 번호판도 대량으로 받았다. 다만 좌석버스를 인수함과 동시에 기존의 도시형버스를 경향여객, 청룡교통, 동화운수, 미추홀교통에 넘기면서 시내버스 면허인 10xx호 ~ 11xx호 번호판이 상당수 유출되었다. 그리고 2002년 이 회사의 모든 도시형버스를 세운교통(11번), 인천버스(22번), 신흥교통(46번)에 매각하면서 시내버스 면허가 전부 사라졌다. 이후 2003년 신공항여객 노선들을 인수하면서 기존 면허 말소와 함께 60xx호 번호판을 유입하였으며, 2004년 이후로는 부평구 증차면허인 인천 72바 12xx호 ~ 18xx호 번호판을 주로 발급받는다. 또 동춘동차고지에 법인을 계열사의 영향으로 연수구 증차면허인 인천 75아 11xx호 ~ 12xx호 번호판도 있다.[2] 현재는 좌석버스 면허와 부평구, 연수구 면허가 주력 면허로 사용되고 있으며, 계열사 분리와 함께 네 개의 계열사가 공통된 면허를 사용한다.

4. 운행 범위

  • 인천 최초의 공항좌석버스인 111번을 보유한 곳으로, 신공항여객 출신 노선이 하나도 없다. 모두 강인여객에서 준공영제 도입 당시 파생되면서 노선을 양도받은 것이다. 사실상 111번에서 갈라져 나온 노선들이 모두 미래교통으로 이관되었다고 봐도 될 정도이며, 111번과 111-2번을 비롯하여 117번, 304번을 보유하고 있다. 111-2번은 111번의 당시 본토 구간(동춘동 ~ 서부공단)만 분리하여 신설한 노선이며, 이후 간선버스로 전환되었고 노선을 단축하면서 지금의 부평구청역 회차로 변경된 것. 그리고 강인교통의 304번을 공동배차하면서 노선이 하나 더 늘게 되었다.
  • 간선버스이자 바다를 건너지 않는 111-2번을 제외하면 모두 영종도 내부에서 추가 운행구간이 존재한다. 111번은 인천공항에서 회차하지 않고 더 나아가 을왕리해수욕장과 왕산해수욕장까지 운행하는데, 원래 302번이 운행하던 구간을 트레이드하면서 111번이 왕산으로 연장된 것이며 동시에 302번은 해당 구간을 단축 후 송내역에서 십정동까지 연장된 것이다. 반대로 117번과 304번은 모두 영종하늘도시를 경유하며 인천공항으로 가지 않는다. 사실상 인천공항 이외의 영종, 용유 지역에 더 초점을 둔 셈이다.
  • 대부분 인천 내에서만 운행하는 강인 계열이지만, 117번 덕에 강인여객 계열사 중 300번 철수 후 다시 서울특별시로 운행하는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 본래 셔틀버스가 운행하던 것을 정식 노선으로 전환하여 개화역까지 운행중인데, M6462번이 개통되었으나 비싼 요금과 너무 긴 소요시간으로 아직까지도 운행중이다. 추후 ‘영종 – 강남’ 구간의 M버스가 개통되면 서울행 노선이 하나 더 추가될 예정이다.
  • 영종행 노선이 고속도로를 경유하기 때문에 111-2번을 제외한 전 노선에 입석금지가 시행된다. 다만, 공항에서 회차 후 내륙으로 진입한 차량과 111번의 ‘인천공항 ~ 왕산’ 구간에 한하여 입석이 허용된다.

5. 차량 운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인여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강인여객#s-5|5]]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강인여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강인여객에서 이관받은 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LS와 LD 위주로 운용을 하였는데, 디젤 차량을 보유하고 있던 다른 계열사와 달리 전 차량이 천연가스버스로만 운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간선버스의 경우 특정 시기에 차량을 몰아서 대차하며, 공항좌석버스는 주기적으로 대차가 이루어진 것이 특징.
    • 2015년에 유니시티를 출고한 이후 2018년까지 신차 출고가 없었다. 2018년에 출고된 차량은 111-2번에 투입되는 개선형 좌석버스인데, 다른 강인 계열사와 달리 유일하게 2018년부터 개선형을 투입한 업체다.[3]
    • 2019년부터 출고하는 유니시티는 개선형으로 적용되며, 총 7대를 출고하면서 인천 최초로 운용을 시작했다.
    • 2020년에는 강인여객 계열사 모두 신차 출고가 없었으며, 2021년부터 2023년까지 개선형 유니시티를 총 23대를 출고하였으며, 해당 차량부터 비상문이 적용된다. 동시에 전문형 NSAC이 모두 전멸하였고, 111-2번에 남아있던 38인승 좌석버스도 모두 32인승 개선형 좌석버스로 대차되었다.[4]
    • 2024년에는 강인여객 계열사 모두 신차 출고가 없었으며, 2025년에 약 17년 만에 고급좌석버스(현대 유니버스 프라임)을 2대 도입하였다.
  • 전 노선이 저상버스 의무화 예외 적용이 이루어진다. 111-2번의 경우 동춘동차고지의 경사도로 인하여 투입이 불가하며[5], 공항좌석버스 노선은 고속도로를 경유하기 때문에 입석 금지와 함께 적용된다.
  • 강인여객의 간선버스와 동일하게 2015년식 이전의 전중문형 차량은 2 X 2 배열(38인승)으로 출고되었으며, 이후에 출고된 차량은 2 X 1 배열(35인승→32인승)으로 출고되었다. 한때 미래교통의 111-2번 전중문형에는 손잡이를 별도로 달아서 운용한 것이 특징이다.[6] 유일하게 손잡이가 없는 차량에 따로 손잡이를 달았던 것이 특징으로, 주로 2010년대 초반에 출고한 차량에 동글이 NSAC의 손잡이를 떼와서 설치한 점이 특징이다.[7]
  • 한때 전문형 차량이 예비차로 운영된 적이 있는데, 간선버스인 111-2번에도 전문형 예비차량이 투입된 적이 있었다. 그러나 해당 차종이 모두 대차되면서 현재는 111-2번에서 운행하던 전중문형 차량 5대가 예비차로 격하되어 운행중이다.
  • 인천공항으로 가는 노선의 경우, 차량 내에 적재할 수 있는 수화물은 규정 상 출입구나 통로를 막을 수 있는 일정 규모 이상의 대형 물품(1인당 중량 10㎏ 이상이고 규격 50×40×20㎤ 이상)은 가지고 탈 수 없으니 유의할 것.

6. 차고지

6.1. 차량 주박

  • 총 4개의 차고지를 사용하며, 이는 강인여객 이외에도 강인교통, 미래교통, 청라교통 전 노선이 해당된다.
<rowcolor=#fff> 영업소 소재지 노선 비고
십정동 인천광역시 부평구 백범로 570 (십정동 261-2) 111, 117, 304 통합본사[HQ1]
석남동 인천광역시 서구 건지로95번길 42 (석남동 223-204) [9]
동춘동 인천광역시 연수구 먼우금로 1 (동춘동 943-5) 111-2 [HQ2]
[CNG]
  • 과거 사용 차고지
    • 원창동차고지 : 당시 청룡교통 차고지 근처에 주박지를 두었으나, 석남동차고지를 마련하면서 사라졌다.
    • 왕산차고지 : 왕산해수욕장 인근에 위치했다. 가스충전 및 주박지가 십정동과 석남동으로 일원화되고 부지 원주인인 인천국제공항공사에서 더 이상의 사용을 불허한 뒤부터는 더 이상 왕산차고지를 쓰지 않고, 인근 공터에 차량을 주차시켜놓고 휴식을 취하고 있다. 왕산차고지의 흔적으로 '왕산차고지' 정류장(ID 35403)이 있는데 정류장 위치는 차고지와는 거리가 있다. 정류장명은 '왕산차고지'이나 실제로는 '차고지'가 아닌 셈.

6.2. 연료 충전

  • 십정동 : 계열사인 '강인산업'에서 운영하는 CNG 충전소가 설치되어 있다. 단 강인산업은 차파트너스 계열 세운산업[12]이나 신흥교통 계열의 인천그린에너지처럼 여러 곳의 충전소를 운영하지 않고 십정동 본사에 위치한 충전소만 운영하고 있다.
  • 동춘동 : 가스 충전 방식이 특이하다. 건너편 동춘공영차고지 노선들과 마찬가지로 인근 승기천 뚝방에 위치한 삼천리CNG충전소를 이용하는 차량과 ‘동춘동 – 십정동’ 구간의 간선버스 일부가 상행선 편도 운행 후, 십정동에서 회차와 함께 본사에서 충전하고 동춘동 방면의 하행선으로 운행을 재개하는 방식으로 연료 공급처를 이원화시켰기 때문이다. 이렇게 된 이유는 아무래도 건너편 동춘공영차고지에서 충전하러 가는 노선들도 숫자가 만만치 않으니 승기천충전소 용량 포화 문제를 우려해서 시작점(동춘동)과 회차지(십정동) 모두 다 충전소가 자리잡은 강인여객의 배려로 추정된다.[13] 물론 급행91과 111-2번은 십정동을 가지 않기 때문에, 차량마다 분산해서 충전하는 103번, 103-1번, 112번과는 다르게 모든 차량이 승기천에서만 충전한다.
  • 영종도 : 223번과 나머지 공항좌석버스 노선으로 구분된다. 223번은 영종공영차고지에서 충전하며, 주박은 십정동 본사로 회송한다. 공영차고지 조성 이전에는 인천공항 내에 위치한 CNG 충전소를 사용하기도 했다. 공항좌석버스는 전 차량이 십정동에서 충전하지만, 간혹 일부 차량은 가스 잔량에 따라 공항 내의 충전소나 별도 충전소를 이용하기도 한다.[14]

7. 보유 노선

7.1. 좌석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111
[본사][석남]
십정동 십정사거리 - 부평도서관 - 부평역 - 부평시장 - 부평구청 - 삼산사거리 - 롯데마트계양점 - 계산역 - 공촌사거리 - 서부산업단지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공항T1 - 무의도입구 - 한국도심공항터미널 - 용유동행정복지센터 - 을왕리해수욕장 - 왕산해수욕장 왕산 12~15
111B
[출근][본사][석남]
계산역 공촌사거리 → 서부산업단지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공항T1(3층 → 1층) → 이후 기존 111번 코스로 운행 인천공항T1 1일 4회
117
[본사][석남]
영종LH7단지 영종우미린2단지 - 영종블루오션2차 - 영종KCC스위첸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개화역광역환승센터 1일 12회
304
[공동배차][본사][석남]
십정동 십정시장 - 간석오거리역 - 길병원 - 인천터미널 - 문학경기장 - 선학역 - 신연수역 - 원인재역 - 동춘역 - 동막역 - 송도MTB파크 - 제2경인고속도로 → 그린나래지하차도 → 영종LH7단지 → 영종우미린2단지 → 영종블루오션2차 → 영종우미린1단지 → 중산동 → 영종중학교 → 영종고등학교 → 운서역 → 영종도풍림아이원1차 → 제2경인고속도로 → 이후 역순 운서역 17~22

7.2. 간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111-2
[동춘]
동춘동 무지개.동남아파트 - 여성의광장 - 송도유원지 - 원흥아파트 - 인하대학교 - 인천지방법원.검찰청 - 문학경기장 - 인천터미널 - 길병원 - 간석오거리역 - 부평삼거리역 - 백운역 - 부평역 - 부평시장 - 부평구청 굴포천역 11~15

7.3. 광역급행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M6463번 e편한세상영종하늘도시 푸르지오더스카이256동 - 넘디마을입구 - 영종LH2단지 - 은골공원 - 운서역 - 금호베스트빌1단지.영종도서관 - 고속터미널 - 논현역 - 지하철2호선강남역 - 신분당선강남역 - 래미안아파트.파이네셜뉴스 - 뱅뱅사거리 -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 매헌시민의숲.양재꽃시장 1일 30회

8. 면허 체계

  • 인천 70 바 50##
    • 강인여객 주 면허. 좌석버스 면허로 발급받았다.
  • 인천 70 바 59## ~ 60##
    • 강인여객 주 면허. 좌석버스 면허로 발급받았으며, 공동배차제 당시 좌석버스를 모두 인수한 이후 신규 발급받았다.
  • 인천 72 바 12## ~ 13##, 15## ~ 16##
    • 부평구 소재 시내버스 업체의 증차 면허.
  • 인천 75 아 11## ~ 12##
    • 연수구 소재 시내버스 업체의 증차 면허.

현재 강인여객을 비롯한 계열사가 모두 공유하는 면허 체계이다. 다만, 부평구 면허는 증차분 등으로 약간 차이가 날 수 있다.

9. 보유 차량

9.1. 현재 보유 차량

9.1.1. 현대자동차

9.2. 과거 보유 차량

9.2.1. 현대자동차

10. 지배구조

2022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우석 17.71% 대표이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영락 17.71% [2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혜 12.5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재석 8.33% [2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영한 6.25% [2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류동수 6.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영희 6.25% [2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류병렬 5.21% [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류지열 5.2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문호진 4.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용진 4.17% [3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류인설 2.08% [3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민천기 2.0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영은 2.08% [33]

11. 관련 문서

12. 둘러보기

지역별 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업체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경성여객·도원교통·선일교통·선진운수 동남여객·창성여객 경신교통 강인여객·강인교통·미래교통·청라교통
광주 대전 울산 경기
대진운수 대전교통·대전버스·대전운수 한성교통 삼경운수·성우운수1
강원 충북 충남 · 세종 전북
영암고속·화성고속 대성고속·청주교통 온양교통·삼안여객 전북고속·전북여객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금호고속 경북고속·진안고속·대화교통 함양지리산고속 극동여객
1: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 회장 겸임
}}}}}}}}} ||


[1] 자사 노선 대부분이 좌석버스였고, 인천국제공항철도의 개통으로 수요 타격에 큰 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동시에 인천시버스준공영제협회를 조직하였고, 요금 제도를 단순화하면서 수도권 통합 요금제에 도입하는 계기를 가지게 된다.[2] 307번의 1145호, 1146호, 117번의 1243호, 1244호, 308번의 1292호, 1293호가 이에 해당된다.[3] 해당 차량 모두 무지개 손잡이가 적용되었다.[4] 강인여객이 2022년부터 손잡이 색상을 무지개색에서 단색으로 바꾸면서, 해당 옵션이 적용되었다.[5] 흥안운수의 중계본동 노선과 동일한 사유다. 다만, 건너편에 있는 동춘공영차고지는 평지 진입로인지라 저상버스 투입이 가능하다.[6] 강인여객 계열에서 손잡이를 적용하여 출고한 것은 2017년부터다.[7] 청라교통에도 그러한 차량이 많았으나 대부분 차령만료로 대차되었다. 이후 시의 지침으로 강인여객에 남아있는 2015년식과 2016년식에도 추가로 손잡이를 설치하였다.[HQ1] 강인여객, 강인교통의 등기 상 주소지 및 정비소이다.[9] 십정동차고지에 가스충전소가 들어서면서 포화가 되는 바람에, 공항좌석버스와 영종도행 노선의 주박용으로 사용된다.[HQ2] 미래교통, 청라교통의 등기 상 주소지 및 정비소이다.[CNG] 승기천의 삼천리CNG충전소와 본사의 십정동CNG충전소에서 분산 충전한다.[12] 시영운수 계열이었으나, 2022년 1분기 중 차파트너스(인천H2모빌리티인프라)에 인수되었다.[13] 동춘동에서 승기천충전소를 사용하는 노선은 도영운수, 인천교통공사, 신화여객과 인근의 은혜교통, 마니버스, 태양여객 등 연수구 일부 노선도 이용하는 곳이라 용량이 빡빡한 편.[14] 본사로 들어가지 않는 308번의 경우 걸포동이나 인천공항 등 인접 충전소를 사용한다.[본사] 십정본사 소속[석남] 석남동영업소 소속[출근] 평일 출근시간대만 운행[본사] [석남] [본사] [석남] [공동배차] 강인교통과 공동 배차[본사] [석남] [동춘] 동춘동영업소 소속[26] 강인여객, 십정모비스 대표이사[27] 강인여객 이사[28] 청라교통 대표이사[29] 강인교통 대표이사[30] 강인여객 이사[31] 미래교통 감사, 강인여객 감사[32] 강인여객 이사, 강인교통 이사, 청라교통 이사[33] 강인교통 감사, 청라교통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