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212529,#e0e0e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인천경제자유구역 | ||
송도국제도시 | 영종국제도시 | 청라국제도시 |
인천경제자유구역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c1d1f><tablebgcolor=#ffffff,#1c1d1f> | 영종국제도시 永宗國際都市 Yeongjong International City | }}} | |||
<nopad> | ||||||
조감도 | ||||||
<colbgcolor=#0a1e64><colcolor=#fff> 경제청 소재지 | 중구 흰바위로59번길 32 (운서동)[1] | |||||
지역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구[2] 영종도 일대 | |||||
면적 | 51.18km2 | |||||
하위 행정구역 | 운서동, 영종동, 영종1동 영종2동, 용유동 | |||||
사업 시행자 | ||||||
인구 | 134,435명[3] | |||||
인구밀도 | 2,626.7명/km2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개발구획도 |
1. 개요2. 인구3. 구성4. 현황
4.1. 행정동4.2. 주거지구4.3. 상업시설4.4. 상업지구4.5. 문화시설4.6. 교육4.7. 공공시설4.8. 의료
5. 교통6. 장점7. 관련 문서4.8.1. 종합병원 유치전
4.9. 업무지구4.9.1. 영종 항공복합도시
4.10. 물류지구4.11. 산업지구4.12. 레저지구4.12.1. 파라다이스시티4.12.2.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4.12.3. 드림아일랜드4.12.4. 골든테라시티 복합리조트4.12.5. 무의쏠레어 복합리조트4.12.6. 무의LK4.12.7. 용유오션뷰4.12.8. 골든퍼시픽 관광복합단지4.12.9. 거잠포 해양레저지구4.12.10. 중산 마린시티
4.13. 영종2지구1. 개요
영종 씨사이드파크 | 영종 파라다이스시티 |
영종국제도시 - 세계적 공항시설을 갖춘 물류와 관광산업의 최적지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국제도시는 국내 처음으로 해외자본의 카지노 복합단지 개발 사업이 사전허가 되면서 성장의 기폭제가 되었다. ‘한국판 라스베이거스’라는 화려한 타이틀과 함께 외국인 전용 카지노, 호텔, 컨벤션, 쇼핑몰의 복합리조트와 마리나를 연계한 복합레저관광도시로 육성되고 있다. |
2018년 10월 22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도시 명칭을 기존 '영종지구'에서 '영종국제도시'로 변경하였고# 2018년 10월 23일자로 국제도시라는 공식 명칭이 지정된 도시가 됐다.##[5]
<colbgcolor=#00a0c6><colcolor=#fff> 복합관광 | 가족단위로 즐길 수 있는 한국형 복합리조트 및 마리나와 연계한 해양레져등 복합관광단지 개발 |
항공물류 | 인천공항을 국제화물의 허브 공항이 되도록 집중지원 |
항공산업 | 항공관련 교육기관 및 제조·연구시설이 집적된 항공산업 클러스터 |
주거단지 | 영종하늘도시, 골든테라시티, 공항신도시[6] |
2026년 7월 1일, 영종구로 분구될 예정이다. 분구는 영종 단독으로 새로운 구를 창설하기에는 인구가 부족하기에 중구-동구 간의 구계조정으로 중구 내륙 지역이 동구에 병합되면서 제물포구를 신설, 남은 영종지역이 구 이름을 개칭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영종국제도시와 영종하늘도시, 공항신도시를 혼동하는 사례를 다수 찾아볼 수 있는데, 영종국제도시는 종전 인천 경제자유구역 영종지구의 새 이름으로서 영종도의 대부분을 지칭한다. 영종하늘도시는 중산동, 운남동, 운서동 일원에 조성된 주거단지로 영종국제도시의 하위 개념이다.
2. 인구
<rowcolor=#fff><colbgcolor=#00a0c6><colcolor=#fff> 연도 | 총 인구(명) | 외국인(명) | 전년도 증감(명) |
2025 | 134,435 | 2,758 | 7,538(2025.8 기준) |
2024 | 126,897 | 2,679 | 9,428 |
2023 | 117,469 | 2,331 | 7,252 |
2022 | 110,217 | 1,808 | 10,116 |
2021 | 100,101 | 1,622 | 5,250 |
2020 | 94,851 | 1,533 | 5,535 |
2019 | 89,316 | 1,607 | 14,612 |
2018 | 74,704 | 1,335 | 6,298 |
2017 | 68,406 | 1,178 | 3,808 |
2016 | 64,598 | 1,317 | 2,462 |
2015 | 62,136 | 1,176 | 4,111 |
2014 | 58,025 | 1,090 | 5,880 |
2013 | 52,145 | 759 | 10,975 |
2012 | 41,170 | 640 | 3,935 |
2011 | 37,235 | 850 | 2,548 |
2010 | 34,687 | 768 | 4,517 |
2009 | 30,170 | 637 | 1,283 |
2008 | 28,887 | 559 | -1,100 |
2007 | 29,987 | 686 | -1,357 |
2006 | 31,344 | 683 | 624 |
2005 | 30,720 | 609 | 2,201 |
2004 | 28,519 | 404 | 5,015 |
2003 | 23,504 | 226 | - |
3. 구성
영종국제도시는 신공항배후지원단지(공항신도시), 운서‧운남지구, 운북복합레저단지(미단시티), 영종하늘도시 총 4곳의 지구로 구성되어 있다.이 4곳의 지구는 개발 시기와 완료 여부가 모두 달라, 영종국제도시라는 하나의 큰 틀에 속해 있지만 각자 다른 지역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3.1. 영종하늘도시
|
<colbgcolor=#00a0c6> 영종하늘도시 |
<colbgcolor=#00a0c6> 영종하늘도시 조감도 | |||
| | ||
▲ 운서, 운남 | ▲ 중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토지이용계획도 ] {{{#!wiki style="margin: -5px -10px" | | }}}}}}}}} |
영종하늘도시 - 인천경제자유구역 內 대한민국의 관문 인천국제공항과 인접한 국제도시
|
3.2. 공항신도시
| ||
<colbgcolor=#00a0c6> 공항신도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토지이용계획도 ] {{{#!wiki style="margin: -5px -10px" | | }}}}}}}}} |
3.3. 운서‧운남지구
| |
운서지구 | 운남지구 |
운남지구는 영종도의 원도심으로, 영종동주민센터/영종보건지소/중구제2청/영종우체국/운남119안전센터 등이 자리해 있어 현재 영종도 행정의 중심지이다.
운서지구는 원룸, 다세대주택 및 단독주택 등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공항에서 일하는 젊은 1인가구가 이곳에 거주한다.
3.4. 골든테라시티(구 미단시티)
| ||
<colbgcolor=#00a0c6> 골든테라시티 조감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토지이용계획도 ] {{{#!wiki style="margin: -5px -10px" | | }}}}}}}}} |
영종국제도시 북동쪽 예단포 일원에 위치해 있으며, 규모는 2,713,186.2㎡(약 82만평)이며, 사업시행자는 인천도시공사, (주)미단시티개발 이다.
각종 사업들이 무산되며 이미지 쇄신 차원에서 기존 명칭인 미단시티에서 골든테라시티로 사업명을 변경했다.
개발 사업비는 9,357억원. 개발기간은 2020년까지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개발이 계속해서 지연되는 관계로 더 연장될 예정이다. 현재 미단시티 전체 매각토지 148만6,000㎡ 가운데 49.5%인 73만6,000㎡는 공동주택과 호텔 등의 용지로 팔렸고, 나머지 75만㎡는 미매각 용지로 남아있는 상황이다. #
4. 현황
밀라노디자인시티, 영종브로드웨이, 에잇시티, MGM테마파크, 랑룬다이아몬드시티, 시저스카지노 등의 계획이 백지화되었지만 계속해서 입주하는 아파트 단지와 BMW 드라이빙 센터, 카지노 복합리조트, 인천공항 여객 터미널 확장, 항공MRO, 항공 물류 단지 등의 개발에 힘입어 인구가 꾸준히 유입되고 있다.실질적으로 하늘도시 주민들의 생활은 운서동의 공항신도시와 인천 본토에 의존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권이 어느 정도 갖춰지고 나서는 특별한 문화생활을 영위하기 위함이 아닌 이상 대부분 하늘도시 내를 벗어나지 않고 해결 가능하다.
영종국제도시 내에서 가장 불편한 점으로 꼽는 것은 역시 교통이지만, 공항철도 영종역 개통 및 버스노선 개편 공항철도 급행화 예정 등으로 초기에 비하면 상당히 나아진 편이다. 또한 주민에게는 영종대교, 인천대교 통행료가 1일 왕복 1회 전액 무료이고, 영종과 청라 주민은 횟수 제한 없이 무료로 통행할 수 있는 청라하늘대교가 2025년 12월 개통을 목표로 순조롭게 공사 중이다.
4.1. 행정동
4.1.1. 영종동
중구의 행정동 영종동 永宗洞 | Yeongjong-dong | |||
<colbgcolor=#e7211a><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3490028 | ||
관할 법정동 | 중산동, 운남동, 운북동 | ||
하위 행정구역 | 36통 147반 | ||
면적 | 31.58㎢ | ||
인구 | 22,857명[A] | ||
인구밀도 | 723.78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국회의원 | 중구·강화군·옹진군 | |
| 배준영 (초선) | ||
인천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 신성영 (초선) | ||
중구의원 | 나 선거구 | |||
| 김광호(초선) | ||
| 한창한 (초선) | ||
| 강후공(재선) | }}}}}}}}} | |
행정복지센터 | 운남서로 100 (운남동 1511) | ||
영종동 행정복지센터 |
4.1.2. 영종1동
중구의 행정동 영종1동 永宗一洞 | Yeongjong 1(il)-dong | |||
<colbgcolor=#e7211a><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3490151 | ||
관할 법정동 | 중산동, 운남동 | ||
하위 행정구역 | 34통 138반 | ||
면적 | 2.12㎢ | ||
인구 | 33,627명[A] | ||
인구밀도 | 15,861.79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국회의원 | 중구·강화군·옹진군 | |
| 배준영 (초선) | ||
인천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 신성영 (초선) | ||
중구의원 | 나 선거구 | |||
| 김광호(초선) | ||
| 한창한 (초선) | ||
| 강후공(재선) | }}}}}}}}} | |
행정복지센터 | 하늘달빛로 120 (중산동 1878-9) | ||
영종1동 행정복지센터 |
4.1.3. 영종2동
중구의 행정동 영종2동 永宗二洞 | Yeongjong 2(i)-dong | |||
<colbgcolor=#e7211a><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3490232 | ||
관할 법정동 | 중산동 | ||
하위 행정구역 | 25통 102반 | ||
면적 | 3.50㎢ | ||
인구 | 25,833명[A] | ||
인구밀도 | 7,380.86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국회의원 | 중구·강화군·옹진군 | |
| 배준영 (초선) | ||
인천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 신성영 (초선) | ||
중구의원 | 나 선거구 | |||
| 김광호(초선) | ||
| 한창한 (초선) | ||
| 강후공(재선) | }}}}}}}}} | |
행정복지센터 | 은하수로 160 (중산동 1912-4) | ||
영종2동 행정복지센터 |
4.1.4. 운서동
중구의 행정동 운서동 雲西洞 | Unseo-dong | |||
<colbgcolor=#e7211a><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3490102 | ||
관할 법정동 | 운서동 | ||
하위 행정구역 | 42통 208반 | ||
면적 | 63.83㎢ | ||
인구 | 39,044명[A] | ||
인구밀도 | 570.39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국회의원 | 중구·강화군·옹진군 | |
| 배준영 (초선) | ||
인천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 신성영 (초선) | ||
중구의원 | 나 선거구 | |||
| 강후공 (재선) | ||
| 김광호 (초선) | ||
| 한창한 (초선) | }}}}}}}}} | |
행정복지센터 | 흰바위로27번길 10 (운서동 2792-3) | ||
운서동 행정복지센터 |
4.2. 주거지구
공항신도시는 2005년경 개발이 완료되었다.영종하늘도시는 2012년 말 아파트 단지들이 완공되어 입주를 시작하였다. 당시 총 7,800여 세대가 한꺼번에 입주해 혼란이 심했다고 전해진다.
4.2.1. 영종하늘도시
구역 | 단지명 | 세대수 | 입주 | 건설사 |
A1 | 유승한내들 스카이스테이 | 420세대 | 2019년 7월 | 유승종합건설 |
A2 | 영종LH2단지 | 990세대 | 2018년 11월 | 계룡건설산업 |
A3 | 미정 | 617세대 | 미정 | 미정 |
A4 | 340세대 | [S] | ||
A5 | 영종LH1단지 | 770세대 | 2012년 10월 | 한일건설 |
A6 | 미정 | 376세대 | 미정 | [S] |
A7 | 운서 2차 SK뷰 스카이시티 | 909세대 | 2022년 8월 | SK에코플랜트 |
A8 | 운서 SK뷰 스카이시티 | 1,153세대 | 2022년 1월 | |
A9 | 영종국제도시 A9블록[16] | 847세대 | 2026년 9월 | 대우건설 |
A10 | 운서역 금강펜테리움 | 600세대 | 2024년 1월 | 금강주택 |
A11 | 영종 유승한내들 스카이 2차 | 236세대 | 2025년 8월 | 유승종합건설 |
A12 | 운서역 푸르지오 더 스카이 | 1,445세대 | 2021년 8월 | 대우건설 |
A13 | 미정 | 808세대 | 미정 | 미정 |
A14 | 운서역 대라수 어썸에듀 | 311세대 | 2026년 8월 | 대라수 |
A15 | e편한세상 영종하늘도시 | 557세대 | 2018년 8월 | DL이앤씨 |
A16 | 제일풍경채 영종국제도시 A16BL[17] | 1,457세대 | 미정 | 제일건설(주) |
A18 | 미정 | 438세대 | 미정 | 미정[18] |
A19 | 영종 신일해피트리 | 960세대 | 2028년 8월 | (주)신일 |
A20 | ||||
A21 | 미정 | 298세대 | 미정 | 미정 |
A22 | 302세대 | |||
A23 | 영종 진아레히 | 547세대 | 2027년 5월 | 진아건설 |
A24 | 안단테 인천영종 A24 | 641세대 | 2028년 2월 | 한신공영 |
A25 | 영종베르힐 스카이시티 | 1,224세대 | 2025년 1월 | 대성건설 |
A26 | 영종국제도시 제일풍경채 디 오션 | 670세대 | 2025년 9월 | 제일건설(주) |
A27 | 영종 센트럴 푸르지오 자이 | 1,604세대 | 2019년 2월 | 대우건설 | GS건설 |
A28 | e편한세상 영종국제도시 센텀베뉴 | 1,409세대 | 2023년 3월 | DL이앤씨 |
A29 | 영종LH7단지 | 784세대 | 2012년 7월 | 동양건설산업 |
A30 | 하늘도시 우미린 2단지 | 1,287세대 | 2012년 8월 | 우미건설 |
A31 | 영종국제도시 동원로얄듀크 마리나포레 | 412세대 | 2022년 10월 | 동원개발 |
A32 | 영종 신명스카이뷰 주얼리 | 1,002세대 | 2013년 2월 | 신명종합건설 |
A33 | 영종국제도시 수자인 | 447세대 | 2024년 12월 | 한양 | 해동건설 |
A34 | 영종하늘도시 동보노빌리티 | 585세대 | 2012년 8월 | 동보주택건설 |
A35 | 영종하늘도시 KCC스위첸 | 752세대 | 2019년 9월 | KCC건설 |
A36 | 인천 영종 한양수자인 | 1,304세대 | 2012년 9월 | 한양(기업) |
A37 | 영종 서희스타힐스 | 514세대 | 2025년 1월 | 서희건설 |
A38 | 하늘도시 우미린 1단지 | 1,680세대 | 2012년 9월 | 우미건설 |
A39 | 스카이시티자이 | 1,034세대 | 2018년 7월 | GS건설 |
A40 | 영종하늘도시 한신더휴 2차 | 870세대 | 2024년 1월 | 한신공영 | 우미건설 | 이수건설 |
A41 | 미정 | 453세대 | 미정 | 미정 |
A42 | 하늘도시 서한이다음 | 930세대 | 2024년 5월 | 서한 |
A43 | 영종국제도시 화성파크드림 | 657세대 | 2019년 9월 | HS화성 |
A44 | 인천 영종하늘도시 한라비발디 | 1,365세대 | 2012년 9월 | 한라건설 |
A45 | 영종 힐스테이트 | 1,628세대 | 2012년 10월 | 현대건설 |
A46 | e편한세상 영종국제도시 오션하임 | 1,520세대 | 2019년 1월 | DL이앤씨 |
A47 | 호반써밋 스카이센트럴 | 534세대 | 2022년 7월 | 호반건설 |
A48 | 미정 | 116세대 | 미정 | 미정 |
A49 | 영종LH49단지 | 450세대 | 2020년 2월 | STX건설 |
A50 | 영종국제도시 대라수 2차 | 299세대 | 2028년 10월 | 대라수 |
A51 | 영종 진아레히 2차 | 299세대 | 미정 | 진아건설 |
A53 | 미정 | 187세대 | 미정 | |
A54 | 265세대 | |||
A56 | 호반써밋 스카이센트럴 II | 583세대 | 2024년 10월 | 호반건설 |
A57 | 미정 | 272세대 | 미정 | 미정 |
A58 | 영종국제도시 화성파크드림 2차 | 449세대 | 2022년 9월 | HS화성 |
A59 | 영종 한신더휴 스카이파크 | 562세대 | 2019년 3월 | 한신공영 |
A60 | 영종국제도시 화성파크드림 오션브릿지 | 675세대 | 2025년 1월 | HS화성 |
A61 | 영종 오션파크 모아엘가 그랑데 | 560세대 | 2026년 4월 | 모아주택산업 |
A62 | 안단테 인천영종 A62 | 802세대 | 2028년 6월 | 미정 |
A63 | 미정 | 293세대 | 미정 | |
A64 | 187세대 | |||
A65 | 영종하늘도시 누구나집 | 401세대 | 미정 | 계룡건설산업 |
A66 | 영종 뷰웰파크시티 | 584세대 | 미정 | 한양건설 |
A67 | 영종LH67단지 | 457세대 | 2022년 3월 | 진흥기업 |
RC2 | 운서역 반도유보라 퍼스티지 | 450세대 | 2022년 2월 | 반도건설 |
RC3 | 인천 영종국제도시 대방 디에트르 2차 주상복합 | 1,296세대 | 미정 | 대방건설 |
RC4 | 인천 영종국제도시 대방 디에트르 주상복합 | 1,009세대 | 2029년 6월 |
4.2.2. 공항신도시
4.2.3. 운서‧운남지구
지구 | 단지명 | 세대수 | 입주 | 건설사 |
운서지구 | 영종금호어울림1차 | 328세대 | 2009년 2월 | [[금호건설| |
영종금호어울림2차 | 160세대 | 2009년 9월 | ||
운남지구 | 영종자이 | 1,022세대 | 2009년 11월 | |
4.2.4. 골든테라시티
4.3. 상업시설
4.3.1. 쇼핑
- 대형 할인점
- SSM, 중형 할인점
- 진로마트
- 진로쇼핑
- GS THE FRESH 영종하늘도시점
- GS THE FRESH 영종운서점
- 롯데슈퍼 인천중산프레시
- 이마트 에브리데이 인천영종점
- 일등킹식자재
- 파워마트 운서점
- 쇼핑몰
- AK플라자 인천공항점
- 인스파이어 몰
- 파라다이스시티 쇼핑 플라자
4.3.2. 호텔
- 5성급
- 그랜드 하얏트 인천
- 파라다이스시티
- 파라다이스시티 아트파라디소
- 네스트 호텔
-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
4.4. 상업지구
4.4.1. 영종하늘도시
4.4.1.1. 중산동
중심상업지구(C7, C8블록)이 위치해 있으며, 2022년 현재 하늘도시 내에서 이곳의 상권이 가장 번화하다. 중심상업지구 대로변에 고층 주상복합 오피스텔들이 한창 건설되는 중이며, 영종하늘도서관 인근 H19택지에도 상가주택들이 지어지며 서서히 상권이 생겨나고 있다. 흔히 볼 수 있는 요식업 프랜차이즈의 대부분이 입점하였으며, 2019년 7월 롯데시네마(현 메가박스 영종하늘도시점)까지 오픈했다.마트는 중형마트 5곳[19]과 롯데하이마트 영종점이 위치해 있다. 가장 가까운 대형마트는 운서역 인근에 소재한 롯데마트 영종도점, 2025년 12월 개통하는 청라하늘대교를 통해 10분 대에 도달 가능한 코스트코 청라점, 롯데마트 청라점, 홈플러스 인천청라점, 오픈 예정인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청라점이 있다. 중산동 내에는 대형마트가 없지만, 고객들이 주로 자가용을 이용하는 대형마트 특성상 불편은 없는듯하다. 오히려 근거리에 이용할 수 있는 마트가 창고형 할인점 2개, 대형마트 3개, 중형마트 5개로 쇼핑 선택의 폭이 넓은 지역 중 하나.
중산동 중심상업지구는 주거지역에 둘러싸인 형태로 주민들의 이용이 잦으나, 2020년 11월 들어 이곳에 위락·숙박시설 입점이 가능한 상가 건축이 진행되어 거센 반발이 일었다.# 주민들은 인근 15개 아파트 단지 거주자 중 미성년자가 27%인 1만 1559명에 달하고, 학원, 교습소 등 교육시설이 139곳이나 위치해 있다는 이유를 들어 위락시설 허가에 반발했으며, 23,863명에 이르는 위락시설 반대 서명을 허가기관인 경제청에 제출했다.# 또한, 건축법 제11조 제4항에 규정된 대로 건축위원회 심의를 개최해 주거 및 교육환경 부적합 여부를 판단해줄 것을 요구했다. 이에 박남춘 인천시장은 "아이들 학원가에 위락시설이 들어서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 일인가, 근본적 의문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건축위원회 재심의 과정에서 현장의 상황과 주민들께 실제로 미칠 영향을 면밀히 살필 수 있도록 경제청장께 잘 관리해 달라 당부했다”고 밝혔으며,# 도성훈 인천광역시교육감과 조광휘 인천시의원 또한 허가 반대 의사를 밝혔다.# 인천시교육청은 경제청에 건축심의 시 주민 의견을 반영해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했다. 위락시설이 들어서면 교육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주민들의 의견에 공감한 것이다.#
2021년 2월 22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 건축위원회는 "건축물의 용도와 규모, 형태가 주거환경이나 교육환경 등 주변 환경을 고려할 때 부적합하다고 인정된다"고 밝혔으며, 경제청은 이번 건축위원회 판단을 근거로 해당 건물에 대한 건축불허가 처분을 내릴 예정이다.#
하늘도시와 상권이 이어져 있지는 않지만, 월미도선착장으로 가는 페리를 탈 수 있는 구읍뱃터 또한 행정구역상 중산동 소속이다. 이곳의 상권은 일반상업지구 C11, C12 블록과 특화거리 S1, S2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광호텔, 관광어시장, 해산물 식당, 오션뷰 카페 등이 줄지어 들어서 주말이면 을왕리와 더불어 인파가 넘치는 곳이다. 봄이 되면 이곳에 조성된 유채꽃밭을 찾는 인파로 특히 붐빈다. 영종 씨사이드파크 레일바이크와 영종역사관 또한 들를 만한 곳이다.
씨사이드파크와 바로 마주한 곳에 C9, C10 일반상업지구도 있기는 한데, 아직은 건물이 단 하나도 없다.
4.4.1.2. 운남동
- C3블록
운서 SK뷰 스카이시티, 운서역 푸르지오 더 스카이 아파트 등과 마주한 일반상업지구. 아직 지명은 형성되지 않았고 'SK 앞', '운서 푸르지오 앞' 정도로 불린다. 2022년 8월 운서 SK뷰 스카이시티 II 아파트 입주에 맞춰 이마트 에브리데이, 다이소 등 소매점과 파리바게뜨, 던킨도너츠, 빽다방 등의 식음료 프랜차이즈, 그리고 병원, 아디다스 매장, 제화점, 미용실 및 몇몇 음식점이 동시에 오픈했다. 아직 완공되지 않은 상가도 여럿 있는데, 규모가 상당히 크다. 그렇지만 이 상권은 서쪽이 고속도로로 막혀 있어 도보권 주거지는 아파트 단지 4~5곳 정도에 불과하다. 물론 그 세대수가 합계 5,000세대에 이르기는 하지만, 아파트 자체 상가에도 아직 공실이 꽤 있는 상황에서 전반적으로 수요 대비 상가 수가 과다해 보인다.[20] 일단 분양업체 측에서는 고속도로 너머 서쪽 제3유보지 수요를 흡수할 수 있다고 홍보하는 듯 하지만, 그곳은 무엇이든 간에 들어서려면 10년은 기다려야 하는 땅이며 무엇보다 제3유보지 내에도 일단 일반상업지역 C4블록이 계획되어 있기에[21] 설령 항공물류단지 등이 조성된다 한들 그 수요가 이곳 상권까지 미칠지는 미지수다.
- C5, C6블록
인천운남동우체국 인근에 위치한 일반상업지구. 아직 지어진 상가는 없으나, 영종하늘도시 대성베르힐, 영종 A24블록 및 제일풍경채 디 오션 아파트 등의 입주에 맞춰 상권이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인천영종경찰서가 근처에 개서할 예정이며, 도시계획상 구청 용지가 이곳에 있어 영종구 분구 시 구청이 들어설 가능성이 높기에[22] 인근 행정기관의 수요를 흡수할 가능성이 높다.
4.4.1.3. 운서동
- C2블록
운서역 2번 출구 일대에 위치한 일반상업지구. 흔히 '운서역 2번출구 앞' 정도로 불린다. 관광객들 수요를 노린 호텔, 공항근무자들의 수요를 노린 오피스텔이 줄지어 세워지고 있으며, 500m 떨어진 거리에 카페거리가 형성되고 있다. 메가박스 영종점이 이곳에 위치해 있다.
4.4.2. 운서역 일대
공항신도시 및 영종하늘도시 주민들이 이용하는 상권이다. 당초 공항신도시에 속한 운서역 1번출구 인근 상권만이 존재하였으나,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및 복합리조트[23] 개장 및 영종하늘도시 서부 인구유입을 기점으로 상권이 급격하게 확장 및 발달하였다.롯데마트 영종도점 및 중대규모 호텔, 대규모 상가, 메가박스 영종점 등이 위치해 있으며 이곳 역시 다양한 요식업 프랜차이즈가 입점해 있다.
4.4.3. 용유도
서해 낙조를 감상할 수 있는 분위기 좋은 카페와 해산물 식당들이 있다. 왕산해수욕장, 을왕리해수욕장, 무의도 관광객들이 주로 찾는다.4.4.4. 기타 지역
- 국제업무단지(인천국제공항) - 공항 근처 국제업무단지에는 인근 호텔 및 공항 직원들을 위한 오피스텔이 많이 들어서 있다. 오피스텔 상가에 식당이 다수 입점해 있다. 파라다이스시티 플라자 내에는 면세점, 편집샵, 푸드코트, 레스토랑, 커피숍(폴 바셋) 등이 있다.
- 골든테라시티(구 미단시티) - 푸리 카지노 개장 전이라 아직 제대로 된 상권이 형성되고 있지 않다.[24] 과거 미단시티로 개발 중이었지만, 장기 미개발에 따른 이미지를 쇄신하고자 골든테라시티로 변경 하였다.
- 기타지역 - 전소 및 넙디 원룸 단지에 공항근무자들이 많이 살고 있으며 이들 대상으로 한 술집과 식당들이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영종도 최초의 재래시장인 '영종국제재래시장'이 운영 중이었는데 현재 확인 결과 운영이 중단되어 문을 닫은 상태이다. 이곳의 원룸은 영종 내에 지어지는 오피스텔과 경쟁관계에 있다.
4.5. 문화시설
- 영화관
- 메가박스 영종하늘도시 - 3개관 270석
- 메가박스 영종 - 6개관 676석
- 유적
- 삼목도 선사주거지 - 서해 도서지역에서 확인된 최대 규모(17기)의 신석기 주거지로, 인천시기념물 제 55호로 지정되었다.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장소다.
- 대형 공원
4.6. 교육
영종국제도시 소재 학교들은 다음과 같다.[26]이외 미단시티 및 하늘도시(운남동)에 국제학교 부지 2곳이 있으며, 2022년 2월 24일 안도현 인천경제청 서비스산업유치과장은 이에 대해 "현재 유치 후보로 4개 학교의 제안을 접수해 검토 중"이라며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 관계기관과도 적극 소통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2년 11월에 들어 미단시티 국제학교 유치가 본격화되는 모양새다. 인천경제청은 12월 중구 운북동 1280의4~6 미단시티 내 교육연구시설 용지 96,000㎡에 국제학교를 설립·운영할 사업자를 찾는 공모를 할 예정이다. 인천경제청은 2023년 3월까지 공모를 통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정한 뒤 사업자가 그리고 있는 학교의 형태와 구성에 따라 토지이용계획 등을 바꿀 방침으로 전해졌다. 인천경제청은 최근 영국과 캐나다 등의 국제학교 운영법인 5곳으로부터 설립의향서를 제안받은 바 있으며, 이 중 일부는 교육연구시설 용지 96,000㎡에 더해 인근 병원 부지(39,000㎡)을 공모대상지에 포함시켜달라고 요청한 바 있어 경제청은 iH(인천도시공사)와 함께 공모 대상지 면적 조정에 대해서도 논의할 예정이다.#
2025년 4월, 영국의 명문 학교인 위컴애비 스쿨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다.
4.6.1. 국제학교
- 골든테라시티(미단시티)
위컴애비 스쿨 영종[미개교]
4.6.2. 초등학교
4.6.3. 중학교
- 공항신도시
- 영종하늘도시/운남지구(운남동)
- 영종하늘도시/운서지구(운서동)
4.6.4. 고등학교
- 공항신도시
- 영종하늘도시/운남지구(운남동)
4.6.5. 특수학교
- 골든테라시티(미단시티)
영종학교[미개교]
4.7. 공공시설
4.7.1. 경찰
인천영종경찰서: 2028년 준공 예정- 인천중부경찰서 공항지구대
- 인천중부경찰서 영종지구대
- 인천해양경찰서 하늘바다파출소
- 용유파출소
- 북도파출소
- 장봉치안센터
- 대무의치안센터
4.7.2. 소방
- 인천영종소방서 119구조대
- 인천영종소방서 운서119안전센터
- 운남119안전센터
- 중산119안전센터 : 인천 중구 중산동에 준공예정#
- 인천영종소방서공항119안전센터
- 인천국제공항소방대
4.7.3. 군[36]
4.7.4. 우체국
- 인천운남동우체국
- 인천운서동우체국
- 영종우체국
4.7.5. 기타
- 하늘문화센터
- 롯데마트 문화센터
- 영종복합문화센터 : 운남동 1709-2 부지에 국민체육센터와 공공도서관을 비롯해 문화시설,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등이 포함된 복합공공시설이다.
- 운서역 공영주차장 : 2021년 9월 15일 개장한 인천시 최대 규모의 공영주차장이다. 인천경제청이 총사업비 320억원을 들여 지난 2019년 8월 착공했다. 승용차 997대와 버스 37대 등 총 1,034대가 주차할 수 있는 인천 최대의 공영주차장 건축물이다. 인천경제청과 현대차그룹은 2022년 상반기까지 전기차 완속충전기 100기를 설치할 예정이다.
4.8. 의료
영종국제도시의 제일 큰 단점.1차 의료기관(의원)은 영종도 구석구석에 자리잡고 있다.
2차 의료기관은 중산동에 '영종국제병원'[37] 한 곳이 있다. 이 병원은 응급실을 운영하지 않기 때문에[38] 응급상황 발생 시 영종대교를 건너서 서구 소재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39][40]으로 가거나 인천대교를 건너서 남동구 소재 가천대 길병원, 중구 내륙 소재 인하대학교병원 등지로 가야 한다. 응급의료 체계의 부재가 심각한 상황이다. 영종지역 내 대형 병원의 부재는 영종 주민의 건강 문제와도 직결되는 문제지만 만에 하나 인천국제공항에서 대형 인명사고가 발생했다면 여지없이 모든 환자를 영종대교나 인천대교를 건너 본토로 후송해야 하는 치명적 문제가 뒤따른다. 더구나 영종대교와 인천대교의 소통마저 원활치 못한 상황이라면[41] 한없이 절망적이게 된다.
2022년 3월부터 중산동에 공공심야어린이병원·약국이 지정되어 진료를 개시하였다. 이를 통해 평일 24시까지, 토·일·공휴일은 오후 10시까지 소아 환자들의 진료가 가능해졌다.#
4.8.1. 종합병원 유치전
2008년, 존스홉킨스 대학병원과 서울대병원이 합작해 설립할 예정이었던 영리병원의 영종국제도시 유치가 추진되었다. 그러나 2010년경 송도국제도시 유치로 노선이 변경되어 주민들의 반발을 샀다.[42]12이후 2020년 7월, 인천시는 영종에 재차 서울대병원 유치 의사를 밝혔다.박남춘 인천시장은 서울대병원장과 비공개로 만나 국제공항이 있는 영종 국제도시에 감염병과 항공재난 대응 능력을 갖춘 국립종합병원(서울대병원) 유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인천시는 국립종합병원 건립을 민주당 예산정책협의회에 건의하였으며, 해당 내용에는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과 같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산하 보험자병원 설립 역시 포함되어 있다. 시에서도 현재 보건복지부와 협의 중에 있다고 한다. #
2020년 9월 18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영종국제도시 종합병원 건립 최적화 방안 마련 연구용역' 결과 영종국제도시에 308병상 규모의 국립종합병원을 건립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020년 10월 8일, 이데일리는 서울대병원이 영종도에 종합병원 건립을 추진 중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후 김연수 서울대학교병원장은 국제 관문인 영종도의 경우도 병원 설립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전달했으나, "국제공항 근처에 병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개진했을 뿐 서울대병원이 직접 분원을 설립하겠다는 얘기는 아니다" 라며 서울대병원의 영종지역 분원 설립을 일단 부정했다. 다만 보라매병원과 교통재활병원과 같이 위탁 운영 가능성을 묻는 질의에 대해서는 “컨설팅을 해줄 의사는 있다. 위탁 가능성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
2020년 10월 21일, (주)세계한상드림아일랜드는 세계한상드림아일랜드 의료관광시설 부지에 종합병원을 유치하기 위해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과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으나,[43] 2021년 1월 12일, 해당 병원은 "협의된 바도, 협의할 내용도 없다",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이 제 2병원을 설립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고 설명하여 의료관광시설 유치는 당분간 불투명해질 것으로 보인다.[44]
국민의힘 배준영 국회의원은 2020년 10월 인천대 측으로부터 영종국제도시 의대 설립에 긍정적인 답변을 받았다는 사실을 밝히며, 국립 인천대에 의과대학을 신설하고,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을 위해 국립 종합병원 설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45] 이는 정부의 의대정원 확대 기조와 시기가 맞물리기는 하나, 수도권 대학인 인천대학교의 의과대학 신설이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2020년 12월 9일, 인천시는 정부에 영종지역 공공종합병원 설립을 재차 건의했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12월 16일 열린 인천시의회 본회의에서 "조속한 시일 내에 영종국제도시 국립종합병원 유치의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1년 2월 8일, 경인방송은 인천시가 운북동 미단시티에 서울대학교병원 유치를 추진한다고 보도했다. 사업비는 토지매매대금 포함 약 2천800억 원으로 예상되며, 올해 착공해 오는 2025년 준공하는 것이 목표다.# 다음 날 뉴스1도 이같은 사실을 보도했다.#
4.9. 업무지구
인천국제공항 주위로 업무지구가 형성되어 있다. 파라다이스시티 및 인스파이어 컨벤션에서 각종 국제회의가 열리고 있으며 국제업무단지에 인천공항청사가 있다. 향후에는 UAM, PAV 관련 업무지구가 형성될 예정이다.4.9.1. 영종 항공복합도시
| |
<colbgcolor=#00a0c6> 영종 항공복합도시 |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29일 미국 뉴저지 저지시티에서 미국 부동산 개발사인 파나핀토 글로벌파트너스, 대한항공과 함께 영종 내 항공복합문화시설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맺었고, 항공업계 종사자를 위한 주거 · 문화시설과 연구개발(R&D) 센터 등을 건립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다.#
4.10. 물류지구
인천국제공항을 배후로 항공물류센터가 조성되어 첨단물류산업 단지를 이루고 있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제1·2 물류단지 규모는 160만㎡이며 40개 기업이 입주해 있다. 추가로 인천공항공사는 물류허브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330만㎡ 규모의 물류단지를 확충할 계획이다.4.11. 산업지구
4.11.1. 항공 MRO
인천국제공항의 배후 부지에 항공 MRO(Maintenance, Repair, Overhaul) 사업을 유치 중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사천공항은 기체중정비·군수를 중점으로 육성하고, 인천공항은 해외 복합 MRO업체 유치를 중점으로 육성하여 현재 지역별로 분산 추진되고 있는 MRO클러스터 간 중복투자를 막고 지역별 특화분야 육성을 유도한다고 한다.
2021년 5월 이스라엘 항공우주산업(IAI)사와 합의각서(MOA) 체결 했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보잉사 제작 비행기를 화물기로 개조할 능력을 갖춘 이스라엘 IAI사가 인천공항 배후용지에 STK(샤프테크닉스K)와 합작법인을 만들어 보잉사 B777-300ER 여객기종을 화물기로 개조할 수 있는 항공정비단지(MRO) 조성하는 사업이다. 2024년부터 화물기 개조 시설 가동 예정이다.
2021년 8월 세계 최대 화물항공사인 미국 아틀라스항공 전용 정비시설 유치했다. 국내 항공정비 전문기업인 STK(샤프테크닉스K)와 합작법인을 만들어 2025년부터 인천공항에서 대형화물기를 정비한다.
2021년 10월 25일 김포국제공항 내에 위치한 대한항공 항공정비센터가 영종으로 확장·이전해 오는 2025년부터 운영을 시작한다고 인천시가 밝혔다. 연면적 14만2천㎡의 영종 항공정비센터는 2022년 중 설계 공모를 거쳐 오는 2023년 착공, 이듬해 준공될 예정이다.
4.11.2. 복합영상산업단지(아이퍼스 힐)
아이퍼스힐은 을왕산 80만 7,733㎡(24만평)에 2조 1,000억여원을 들여 다목적 스튜디오와 미디어·컨벤션 센터, 패밀리·비즈니스 호텔 등 숙박·상업시설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당초 높이가 119m 였던 을왕산은 인천공항 제2터미널 활주로 부지 조성 및 2014 인천아시안게임 요트경기장으로 사용된 왕산마리나시설 건립에 필요한 토사를 공급하기 위하여 42m 높이까지 절토되었다. 해당사업지는 에잇씨티, 을왕산 파크52등의 사업이 연달아 무산되면서 2018년 경제자유구역에서 해제됐다. 인천경제청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협의하여 경제자유구역 재지정 신청을 2022년 5월까지 하기로 했다.2022년 4월 17일 국토교통부는 아이퍼스힐 사업에 인천공항공사가 시행자로 참여하는 것을 반대했다. 해당 용지는 공항용지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는 것이다. 인천공항공사가 해당 토지의 86%를 소유하고 있어 아이퍼스 힐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인천공항공사가 참여해야 하지만, 인천공항공사가 개발 사업에 직접 참여한 적이 없고, 관련법 개정도 필요하기 때문에 사업이 장기간 지연될 전망이다.
4.11.3. 초격차 첨단신산업 플랫폼 시티
|
초격차 첨단신산업 플랫폼 시티 |
4.11.3.1. 영종 바이오특화단지
해당 부지는 2024년 6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바이오 분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 송도국제도시, 배곧경제자유구역, 남동공단과 같이 선정되어 국가 바이오산업의 혁신을 이끌어 바이오 강국 대한민국 도약의 주축이 될 전망이다.4.12. 레저지구
영종국제도시 개발의 핵심. 영종국제도시는 업무지구보다는 인천국제공항[46]을 배경으로 한 레저지구를 지을 계획이었다.원래는 '밀라노디자인시티'[47], '영종브로드웨이'[48] 등 건설적인 방향의 레저지구를 조성할 계획이었지만 세계 금융위기와 부동산 위기로 사업주체가 줄줄이 도산해버렸다. 결국 인천광역시에서 영종레저지구 계획을 변경하여 대한민국의 라스베가스로 만들 계획을 가지고 있다. 현재 외국계 자본을 유치하여 카지노를 포함한 복합리조트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미 영업중인 곳과 건설 예정인 곳 까지 합치면 영종도에 수천억에서 수조원 이상 투자되는 리조트가 10곳이 된다. 집적화에 따른 시너지가 기대된다.
- 카지노 복합리조트
- 파라다이스시티 - IBC(국제업무지구) 1 지역
-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 - IBC(국제업무지구) 3 지역
- 복합리조트
- 세계한상드림아일랜드 - 영종대교 아래 준설토 투기장
- 무의쏠레어리조트 - 무의도 지역
- 무의쏠레어 복합리조트 - 무의도
- 무의 LK - 무의도
- 용유오션뷰 - 용유도
- 골든퍼시픽 관광복합단지 - 영종하늘도시 특별계획구역6(RV6)
- 거잠포 해양레저지구 - 거잠포
- 복합여가공간
- 중산 마린시티 - 중산동 미개발지역
- 중단
- 랑룬 다이아몬드 시티 - 미단시티 내 랑룬그룹 자본(중국계)
- 골든테라시티 복합리조트 - 미단시티 내 푸리그룹 자본(중국계)
4.12.1. 파라다이스시티
| |
<colbgcolor=#00a0c6> 영종 파라다이스시티 |
주요 시설로는 5성급 파라다이스 호텔을 위시하여, 외국인 전용 카지노, 힐링 아트 스파 ‘씨메르’ , 아시아 최대 규모의 클럽 ‘크로마’, 쇼핑 아케이드 ‘플라자’ , 예술전시공간 ‘아트 스페이스’, 융복합 스튜디오 ‘스튜디오 파라다이스’, 실내 테마파크인 ‘원더박스’및 초호화 부티크 호텔[49] ‘아트파라디소’ 등이 있다.
2020년 8월을 기점으로 1단계 시설의 건설 및 개장은 모두 마무리된 상태이며, 2024년 현재 골프장을 위시로 한 2단계 시설이 건설 중이다.
2021년 11월 25일 파라다이스시티 2단계 사업부지 내 약 73,000㎡(22,083평)에 약 850억원의 투자금으로 2024년 말까지 스마트 레이싱파크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4.12.2.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colbgcolor=#00a0c6>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 |
4.12.2.1. 아레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스파이어 아레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스파이어 아레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 내 조성된 국내 최초 다목적 공연장이다.
4.12.3. 드림아일랜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계한상드림아일랜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계한상드림아일랜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 |
세계한상드림아일랜드 조감도 |
한상(韓商)이란 세계에 나가 있는 한국인 상업인 모임으로 드림아일랜드는 일본에서 파칭코로 유명한 마루한이 주도하고 있다.
사업비는 총 2조 400억원으로 (국비 970억원, 민간자본 1조 9,430억) 영종도 준설토 투기장 332만㎡에 워터파크와 아쿠아리움, 특급호텔, 복합쇼핑몰, 비즈니스센터, 테마파크, 골프장 등을 조성할 예정이다.
현재 상수도 등 부지조성공사 중으로 부지조성공사가 끝나면 워터파크 등 지상건축물이 들어선다. 교통대책으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한상IC를 신설할 예정이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세계한상역은 경제성 부족으로 취소되었다.
4.12.4. 골든테라시티 복합리조트
| |
<colbgcolor=#00a0c6> 골든테라시티 복합리조트 |
골든테라시티(구 미단시티) 카지노복합리조트 사업은 인도네시아 화상 기업 리포(LIPPO), 싱가포르 기업 OUE, 미국 카지노 업체 시저스(Caesars)의 합작법인인 '엘오씨지코리아'가 추진해 왔다가, 리포와 OUE가 빠지고 대체투자자로 2016년 12월 5일 중국 푸리그룹이 합류한 뒤 법인명이 '알에프씨지코리아'로 변경됐다. # 그 후 시저스 카지노도 사업에서 이탈하여 푸리그룹 계열사인 알앤에프코리아가 사업 진행 중이다.
2013년 1월, 인도네시아의 화교 자본 카지노 업체인 리포그룹과 미국의 시저스가 합작한 법인이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통보하고 문화체육관광부에 카지노 설립에 대한 사전심사를 청구했다.#
2014년 3월 정부로부터 외국인전용 카지노 사전심사 적합 통보를 받았다.
2017년 9월 15일, 기공식을 마쳤다. 기초토목 공사는 쌍용건설이 맡고 있다. 규모는 27층, 특급호텔 750실이다.
2020년 2월 11일, 공사가 중단됐다. 24층까지 골조가 올라간 상태로, 공정율은 24.5%를 기록하고 있다. 시공사인 티안리코리아컨스트럭션이 하도급 업체 쌍용건설한테 지급하는 기성금이 지연되었기 때문이다.
2020년 3월 19일, 인천자유구역청은 사업 공사 재개를 위해 푸리그룹과 시저스코리아 등 양측 관계자들로부터 공사 중단의 배경을 파악하고 적극 중재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2020년 7월 20일, 미국의 카지노 복합리조트 운영사인 엘도라도 리조트가 173억달러(약 20조 7,200억원) 규모의 시저스 엔터테인먼트 코프 합병작업을 마무리했다. 이번 합병을 통해 탄생한 미국 최대규모의 카지노 기업 이름은 ‘시저스 엔터테인먼트’다.
2020년 8월 3일, 사업 시행사인 푸리그룹과 시저스가 지분구조 갈등을 조율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 국내 시공사인 쌍용건설 측도 이에 반색하며 오는 9월중 해당 사업 공사를 재개 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감추지 않고 있으며, 공사 재개에 대한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2020년 12월 15일, 경인일보는 10개월째 공사가 중단된 상태라고 보도했다. 개장이 늦춰진 만큼 개장 예정 시기 이전에 사업 내용 변경이 승인돼야 카지노 사업 허가 자격을 유지할 수 있을 전망이다.#
2021년 2월 15일, 연합뉴스는 사업자 측이 지난달 말 문화체육관광부에 '복합리조트 사업 지분구조 및 기간 변경 등에 대한 승인'을 신청했다고 보도했다. 푸리그룹은 시저스 엔터테인먼트가 보유한 지분을 모두 인수하고 사업 기간을 애초 준공 시점인 올해 3월에서 2024년 3월로 3년간 연장하는 계획을 승인해줄 것을 문체부에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2021년 2월 22일, 문화체육관광부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등에 따르면 미단시티 복합리조트 사업이 조건부 3년 연장 승인을 받았다. 사업자인 중국 푸리그룹은 2024년 3월 준공을 위해 1년 단위로 사업기한 연장 신청을 해야 한다. 문체부는 사업기한 1년 연장 조건으로 건설비 미지급금 해결과 외국인 전용 카지노 운영사 선정[52] 등을 요구했다.#
2021년 10월 알앤에프코리아는 미단시티 복합리조트 3단계 사업지였던 아파트 용지(운북동 1278-1·2) 8만 9385㎡를 1,560억 원에 팔았다.
2022년 1월 28일 푸리그룹은 문화체육관광부에 2024년 3월까지 2년간의 사업변경 연장을 신청했다. 푸리그룹은 투자비를 5%(3,500만 달러)이상 늘리고, 외국인 전용 카지노와 호텔 운영사를 선정하겠다는 투자계획서를 제출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21년 3월에 사전허가를 2022년 3월 17일까지 1년 연장해 줬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심의를 거쳐 연장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2022년 8월 알앤에프코리아는 미단시티 복합리조트 2단계 사업지 5만 805㎡를 1176억원에 팔았다.
2023년 4월 문체부는 사업기간 연장신청을 네 번째로 승인하면서 3개월 내 공사를 재개하라는 조건을 걸었으나 이행되지 않았다. 2024년 3월 17일 사업기간 만료를 앞두고 사업기간 만료일로부터 90일 전까지인 2023년 12월 16일까지 연장 신청을 해야한다. 언론에서는 무산위기를 보도했다.#
2024년 3월 18일 문체부는 사업 연장 불허를 최종 통보하여 사업은 무산 되었다. 미단시티내 랑룬 다이아몬드 시티에 이어 두 번째 무산된 사업이다.
4.12.5. 무의쏠레어 복합리조트
| |
<colbgcolor=#00a0c6> 무의 쏠레어 |
2014년 8월 5일 무의도 지역은 장기간 개발 지연으로 경자자유구역에서 해제되었다.
2015년 상반기 쏠레어코리아에서 사업 대상 부지의 75%인 332,344㎡를 매입했다. 나머지 112,754㎡에 대해서도 추가 매입할 계획이다.
2017년 3월 쏠레어는 경제청에 ‘무의 쏠레어 해양복합리조트’ 개발을 위한 투자의향서(LOI)를 제출했다.
2017년 12월 8일 인천 중구 무의동 705-1번지 일원 무의쏠레어 복합리조트 개발사업지구 면적 44만5,098㎡을 경제자유구역으로 대체 지정했다. 그 이유는 쏠레어코리아의 선제적인 부지매입과 FDI 신고(5억 달러)가 이루어지는 등 개발 여건 조성에 따른 것이다. 기사
(주)쏠레어코리아는 현재 필리핀에서 ‘쏠레어 리조트 앤 카지노’, ‘스카이 타워’ 등을 조성·운영하고 있는 필리핀 재계서열 3위 블룸베리리조트사가 지분 100% 투자해 설립한 회사다. 우리나라 제주도에서도 카지노를 운영하고 있다.
무의쏠레어 복합리조트는 리조트호텔, 메디텔·오션뷰호텔과 같은 숙박시설과 오션뷰가든, 워터파크, 아트앤컬쳐허브, 서해낙조·갯벌 등 천혜의 자연환경을 즐길 수 있는 위락시설, 미국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 아시아 센터 설립 추진, 한류와 연계한 문화콘텐츠 등을 도입해 차별화한 리조트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2019년 4월 30일부로 잠진-무의 연도교가 가개통했다. 교량 개통 후 영종도를 경유하여 잠진도·무의도까지 차량 접근이 가능하게 되었다.
사업을 추진 중인 쏠레어코리아가 2018년 2월 개발사업시행자로 지정받은 이후 행정절차를 밟지 않아 잠시 멈춰서기도 하였지만, 2020년 3월 30일부터 복합리조트 건설을 위한 실시설계 용역을 시작해 사업이 다시 탄력을 받았다. 쏠레어코리아측은 하반기 중 인천경제청에 실시계획 승인을 신청, 2021년 상반기 중 승인받는다는 목표다. 인천경제청은 쏠레어코리아가 오는 2027년까지 복합리조트 조성 사업에 5,000억원을 먼저 투자한 뒤, 이후 2단계 개발사업(1조원)까지 모두 1조 5,000억원을 투자할 것으로 보고 있다. #
2020년 8월 23일, 사업시행자 쏠레어코리아(주)가 인천경제청에 실시계획 승인을 신청했다. # 이로 인해 개발계획에 청신호가 켜졌다.
2021년 10월 26일, 실시계획 승인신청 1년여 만에 환경영향평가서 초안 주민 공람이 시작되었다. 2023년 착공해 2025년 완공이 목표다.#
2022년 3월 3일, 인천경제청에 따르면 올해 내 환경영향평가가 마무리될 예정이다. 무의LK·무의쏠레어복합리조트 사업도 연내 환경영향평가를 마칠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4.12.6. 무의LK
|
<colbgcolor=#00a0c6> 무의 LK |
4.12.7. 용유오션뷰
|
<colbgcolor=#00a0c6> 용유 오션뷰 |
4.12.8. 골든퍼시픽 관광복합단지
|
<colbgcolor=#00a0c6> 골든퍼시픽 관광복합단지 |
2024년 5월 9일 미국 부동산 펀드 투자사인 안젤로고든의 한국투자본부인 천안래시던셜과 국내 사업 진행사인 골든퍼시픽, 토지 소유주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 및 인천도시공사(iH)와 복합관광단지 조성 관련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안젤로고든과 골든퍼시픽은 영종하늘도시 특별계획구역6(Rv8)에 1조 4,876억원을 투입해 2029년까지 문화, 레저, 휴양 시설을 갖춘 복합관광단지를 조성한다.
4.12.9. 거잠포 해양레저지구
|
<colbgcolor=#00a0c6> 거잠포 해양레저지구 |
4.12.10. 중산 마린시티
| |
<colbgcolor=#00a0c6> 중산 마린시티 | |
| |
웰컴 빌리지 | 피싱 콤플렉스 |
4.13. 영종2지구
영종도 북단과 인천항 1단계 준설토 투기장 사이 공유수면 2.31㎢ 를 간척하는 사업[53]으로, 영종국제도시에 부족한 앵커시설을 건립하기 위해 추진된다. 그러나 지역 환경단체가 멸종위기종인 흰발농게 및 철새 도래지 등의 사유를 들어 사업을 반대하고 있으며, 환경부 역시 2020년 5월 사업 입지의 타당성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이에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환경부 의견을 토대로 흰발농게 서식지가 아닌 곳으로 매립계획을 변경했으며, 간척 면적 역시 당초 계획되었던 3.70㎢에서 2.31㎢으로 축소했다" 며 환경단체의 의견을 면밀히 검토해 사업을 어떻게 진행할 지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인천광역시는 국립생태원,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환경단체 등 관계기관과 함께 영종2지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 실태를 동년 6월부터 10월까지 공동 조사할 것이라 밝혔다. 이 조사의 결과에 따라 향후 영종2지구 사업의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영종2지구 예정 부지에서 멸종위기종 흰발농게의 서식이 확인됨에 따라, 경제청은 영종2지구 개발사업을 시기가 확정되지 않은 '장기 추진사업' 으로 분류해 사실상 보류했다. #
5. 교통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종구/교통#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종구/교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영종대교 · 인천대교 · 청라하늘대교 · 무의대교 · 영종·신도 연도교 |
| |
노선명 | 역명 |
| 영종역, 운서역, 공항화물청사역, 인천공항1터미널역, 인천공항2터미널역 |
| |
| 인천공항1터미널역, 장기주차장역, 합동청사역, 파라다이스시티역, 워터파크역, 용유역 |
| A701(운서동 인천공항고등학교) - A715(중산동 청라하늘대교) |
| 중산역가칭, 인천공항1터미널역, 인천공항2터미널역 |
|
5.1. 영종대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종대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종대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2. 인천대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천대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천대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3. 청라하늘대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청라하늘대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청라하늘대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장점
조망권이 아주 좋은 편이다. 아파트의 경우, 일부 고층 세대에 한하여 국내에서 손꼽히는 좋은 조망을 감상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선택받은 세대는 송도국제도시, 인천대교, 월미도 유원지를 한 번에 조망할 수 있으며, 인천대교, 영종대교, 인천국제공항, 송도국제도시, 청라국제도시 등 고층세대의 세대 위치에 따라 조망포인트가 매우 풍부하다. 그리고 하늘도시나 영종 씨사이드파크 인천대교 인접부 인근에 조성된 주택 부지에 위치한 주택들의 경우, 바닷가를 바로 직조망하는 오션 프런트 부지로서 마찬가지로 탁월한 조망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영종 씨사이드파크 인천대교 인접부 인근의 주택 부지의 경우, 눈 앞에 펼쳐지는 파노라마 오션뷰와 더불어 영종 씨사이드파크의 파크뷰와 인천대교 뷰, 그리고 송도국제도시의 시티뷰 까지 모두 확보할 수 있는 부지가 존재한다.공원 역시 아주 잘 되어 있다. 하늘도시에는 영종 씨사이드파크, 박석공원 등 대형공원 2곳이 위치해 있으며, 공항신도시에는 영마루공원, 세계평화의 숲과 백련산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다. 또한 영종국제도시 전역에 공원이 모두 101개소[56] 조성되어 있어 타 신도시에 비해 공원 접근성이 매우 뛰어나다.
자전거 이용 환경 역시 좋다. 신도시인 만큼 로급 이상 도로에는 모두 자전거 도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영종 씨사이드파크 자전거도로를 통해 하늘도시에서 인천대교까지 접근할 수 있다. 2020년 12월 영종도 하늘바다길 1단계 구간이 개통하면 하늘도시 - 인천대교 - 용유도, 인천공항 국제업무단지가 자전거 전용도로를 통해 연결된다. 공항신도시에는 이미 인천공항 자전거도로가 부설되어 있어 국제업무단지, 인천공항 하늘정원을 거쳐 제1여객터미널까지 이어진다. 21년 하늘바다길 2단계 구간이 개통하면 공항신도시에서도 삼목선착장을 거쳐 용유도까지 갈 수 있게 된다. 현재는 자전거를 가지고 외부로 나가려면 공항철도 혹은 페리를 이용해야 하나, 2025년 12월 청라하늘대교가 개통되면 부설된 자전거도로를 통해 자전거에서 내리지 않고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현재 계획 중인 교통 관련 사업[57]이 모두 완료될 시 교통이 매우 편리해진다. 공항철도-9호선 직결 시 강남으로 빠르게 접근할 수 있으며, 청라하늘대교 / 제2공항철도를 통해 여의도 및 인천 남부, 경기남부로도 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공항철도는 GTX급[58]으로 급행화될 예정이다. 다만 이 중 개통 일자가 확정된 사업은 청라하늘대교,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된 사업은 공항철도 급행화[59]밖에 없다는 점이 흠이다.
인근의 인천국제공항발 항공기 소음이 심할 것 같으나 전혀 피해를 주지 않는다.[60] 다만 풍향에 따라 김포국제공항발 비행기가 하늘도시 상공을 경유할 수는 있다.
의외로 지금까지 언급이 잘 안 되었는데, 평수에 따른 오피스텔 시세가 송도와 청라에 비해 저렴하다. 이미 인천광역시의 대표적 부촌이 된 송도와 서울 지하철 7호선이 착공하면서 계속 주목받는 청라의 경우 5~6평 정도 크기의 오피스텔이 최소 보증금 500에 월세 50부터 시작하는데 비해, 영종의 경우 공항신도시 기준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다. 하늘도시는 더 저렴한 편. 같은 가격으로 7평에서 최대 13평까지 선택할 수 있다. 개인 사정으로 인해 인천광역시 서부권에서 자취를 해야 하는 상황이고, 조용하고 깔끔한 주거 환경을 원하지만 금전적 여유가 없다면 가성비있는 선택지가 될 수 있다.
당연한 말이지만, 개인 사정 및 업무상의 이유로 자주 해외를 들러야 하는 사람들이 국내에서 가장 살기 좋은 곳이다. 이유는 당연히 압도적인 공항 접근성 덕분이다.[61]
7. 관련 문서
[1]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영종관리과[2] 2026년 영종구 소속으로 전환 예정[3] 2025년 8월 말 기준, 외국인 2,758명 포함 IFEZ 인구통계 현황 기준[4] 인천 내 타 국제도시는 송도국제도시, 청라국제도시가 있으며, 인천 외 지역은 고덕국제신도시(경기도 평택시), 명지국제신도시(부산광역시)가 있다.[5] '영종물류도시', '용유무의관광도시' 등이 언급되기도 했었다. #[6] 정식 명칭은 '신공항배후지원단지'다.[7] 인천영종고등학교 인근[8] 영종중학교 인근[9] 조선시대부터 내려온 지명이다.[A] 2024년 12월 주민등록인구[A] [A] [A] [S] 토지매각완료(건설사 미공개)[S] [16]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단지가 들어설 예정이다.#[17] 민간분양(사전청약) 단지에서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으로 변경[18] 토지매각완료[19] 진로마트, 진로쇼핑, 롯데슈퍼, GS THE FRESH, 일등킹마트[20] 영종하늘도시와 비슷한 시기 계획이 수립된 LH 택지의 공통적인 문제점이기도 하다.[21] 물론 유보지인 만큼 언제든 계획이 변경될 수는 있다[22] 현재 전소에 소재한 중구 제2청사를 그대로 영종구청으로 사용할 가능성도 물론 있다.[23] 파라다이스 시티[24] 최근 수년간 영업하던 '뚜띠쿠치나'가 영업종료했다.[25] 영종복합문화센터 2층[26] 경제자유구역 미지정구역에 영종초 금산분교, 용유초, 용유중이 위치해 있다.[미개교] [28] 이름과 달리 공항중, 공항고와는 붙어 있지는 않다. 오히려 삼목초가 공항중,고와 인접해 있다.[29] 중산초 인근에 위치해 있다. 2026년 3월 개교 예정.[계획] [31] 2026년 3월 개교 예정[32] 정확히는 법정동 운남동에 속해 있기는 하나, 중산동의 경계와 매우 가까우며 영종1동에 거주하는 학생들이 절대다수를 차지하기에 중산동 소재 학교로 분류하였다.[33] 인천 영종 한양수자인 옆 파크골프장이 있던 부지에 신설 될 중학교. 2029년 3월 개교 예정.[34] 2022년 7월 교육부 중투심 통과, 2026년 3월 개교 예정[미개교] [36] 씨사이드파크에도 소규모 육군 초소가 있다.[37] 77병상 규모[38] 병원 내부에서 계획은 있는 것으로 보인다.[39] 거리상 영종도에서 가장 가까운 종합병원이다.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청라IC가 가장 가까우나, 나들목 구조상 인천공항 방면 진출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북인천IC를 이용해야 한다.[40] 청라국제도시에 건립할 예정인 서울아산병원 청라분원이 2028년 개원하면 이 병원이 영종에서 가장 가까운 종합병원이 된다. 국제성모병원은 북인천IC에서 차로 15분 정도 걸리지만 서울아산병원청라는 북인천IC에서 5분 거리로 가깝다. 아울러 병원 개원보다 먼저 개통되는 청라하늘대교를 이용할 경우 영종1동에서도 하늘대로와 청라하늘대교 등을 통해 단시간 내 접근이 가능하다.[41] 두 교량이 교통량 폭증으로 인해 정체될 가능성은 낮으나, 만에 하나 대형 인명 사고와 인천대교 다중충돌 사건이나 영종대교 106중 추돌사고 등과 같은 돌발 상황, 혹은 태풍 등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 결과는 매우 치명적이다. 태풍으로 인해 영종대교 상부도로 및 인천대교가 통제되면 교통량이 모두 영종대교 하부도로에 몰리는데, 하부도로만으로 감당하기는 그 양이 상당히 많은데다 강풍으로 인해 속도를 내기도 힘들어 교통정체가 매우 심해진다.[42] 송도로 옮겨진 영리병원 사업은 2021년 현재까지도 진척이 없다.[43] # #[44] #[45] #[46] 공항의 고도제한으로 인해 영종국제도시에는 송도국제도시의 151 인천타워같은 마천루, 청라국제도시의 청라시티타워와 같은 전망 타워를 지을 수 없다.[47] 세계적인 디자인 도시로 유명한 이탈리아 밀라노시와 손잡고 영종국제도시에 세계적 수준의 국제전시장을 건립하는 한편 밀라노의 교육·문화·예술기관을 유치해 동북아의 디자인 중심 도시를 만들겠다는 계획[48] 문화와 예술, 엔터테인먼트 공존하는 테마복합단지를 만들 계획이었다. 미국 뉴욕의 브로드웨이와 같은 뮤지컬 전용극장 14곳과 공연예술 테마파크, 야외 공연장 등의 문화공간, 호텔과 오피스텔 등의 숙박 및 업무시설을 갖출 예정이었으나 사업성이 없어 좌초되었다.[49] 1박에 2,000만원에 이르는 방이 있다.[50] 항만 등을 만들기 위해 수심을 깊게 파면 나오는 모래를 쌓아 두거나 버리는 곳[51] 중국 부동산 투자회사 푸리그룹이 지분 전량을 보유하고 있다.[52] 업계에 따르면 시저스가 미국의 또 다른 카지노기업인 엘도라도 리조트와 합병하면서 해외 시장 투자보다는 내수에 주력하기 위해 철수한 것으로 보고있다.[53] 출처[미개통] 2028년 개통 예정[운행중단] 2022년 7월 14일 이후 무기한 운행중단, 2024년 운행 재개 예정[56] 같은 IFEZ 소속인 송도국제도시, 청라국제도시의 3배 수준이다.[57] 공항철도 - 9호선 직결, 영종트램, 청라하늘대교, 공항철도 급행화[58] 표정속도 100km/h 이상[59] 9호선-공항철도 직결사업은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대상이 아니다.[60] 인천공항 이착륙 비행기 대부분은 인천공항 활주로에서 바로 바다로 연결된다. 즉, 거주 지역을 거치지 않는다.[61] 물론 중화권, 일본으로만 해외출장을 한다면 서울 강서구의 마곡지구도 김포공항과 가장 가까워 인천 영종신도시와 더불어 교통 접근성으로 경쟁이긴 하나 김포공항은 중화권 및 일본 내 1~2선급 대도시만 직항된다는 단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