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25 09:56:16

경제자유구역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102589><tablebgcolor=#102589>
파일:경제자유구역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기(2003년 지정) IFEZ
인천경제자유구역

인천광역시
2기(2003년 지정) BJFEZ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GFEZ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경상남도, 전라남도
3기(2008년 지정) GGFEZ
경기경제자유구역

경기도
DGFEZ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4기(2013년 지정) CBFEZ
충북경제자유구역

충청북도
GSFEZ
강원경제자유구역

강원특별자치도
5기(2020년 지정) GJFEZ
광주경제자유구역

광주광역시
UFEZ
울산경제자유구역

울산광역시
}}}}}}}}} ||


經濟自由區域 / Korean Free Economic Zones; KFEZ
파일:경제자유구역 로고.svg

1. 개요2. 상세3. 경제자유구역 목록4. 관련 문서5. 해외 유사 기관

1. 개요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경제자유구역"이란 외국인 투자기업의 경영환경과 외국인의 생활여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조성된 지역으로서 제4조에 따라 지정·고시되는 지역을 말한다.
경제특구의 한 종류로, 국외 투자자본과 기술을 적극적으로 끌어오고는 싶은데, 전국적인 규제 완화 및 경제 개방이 어려울 때 정부에서 특정 구역을 지정하여 이 지역에 대해 규제완화 및 경제개방을 실시하여 적극적으로 국외자본과 기술을 끌어오기 위한 경제 전문 특별 구역이다.

2. 상세

2002년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을 제정한 이후 2003년부터 실시한 제도이다. 20세기 후반 중국이 상하이선전에 경제특구를 설치하여 급속도로 발전하는 것을 본 한국 정부가 이를 모방해, 대규모 도시계획에 따른 신도시를 조성하여 이 신도시를 통해 외자를 끌어서 발전해보자는 취지로 만들어졌다. 2003년 초기에는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 소관이었으나 2008년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 소관으로 넘어간 것이 지속되고 있다.

총 8곳의 경제자유구역이 있다. 여기서 서울특별시대전광역시를 배제한다.[1] 참여정부 시절인 2003년 3곳, MB정부 시절인 2008년 3곳, 박근혜정부 시절인 2013년 2곳을 지정했다. 하지만 기존 목적과 달리 지역마다 경제자유구역을 만들어달라고 민원을 넣으면서 전국이 경제자유구역판으로 뒤덮이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실제로 빈부격차가 지역별로 극심하게 차이가 나는데, 황해·동해안·충북 지역은 투자액이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관련기사 이런 사정 때문인지 2010년대 들어 황해경제자유구역 계획은 평택시 지구를 제외하고 전부 백지화되었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광역자치단체 본청의 산하 외청(출장소)으로 ~자유구역청을 신설하여 이 ○○경제자유구역청(약칭은 ○○경제청. 경자청이 아님)이 사업을 진행하게 된다.(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제27조의2) 다만, 광역자치단체 두 곳에 걸쳐 있는 곳은 지방자치단체조합 형태로 설치하여 경제자유구역청장을 양쪽 시도지사가 번갈아 임명한다. 경제자유구역청장은 개방형(임기제)관리관(1급)으로 임용된다.

3. 경제자유구역 목록

4. 관련 문서

5. 해외 유사 기관

  • 러시아 극동투자유치수출지원청


[1] 서울은 수도권 과밀화로 인하여, 대전은 이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대덕연구개발특구 등으로 참여가 사실상 불가능하다.[2] 송도국제도시, 영종국제도시, 청라국제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