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a3cd39> 1기 | [[분당신도시| 분당신도시 ]] | [[일산신도시|경기 성남시 일산신도시 ]] | [[중동신도시|경기 고양시 중동신도시 ]] | [[평촌신도시|경기 부천시 평촌신도시 ]] | [[산본신도시|경기 안양시 산본신도시 ]] 경기 군포시 |
2기 | [[광교신도시| 광교신도시 ]] | [[판교신도시|경기 수원시·용인시 판교신도시 ]] | [[운정신도시|경기 성남시 운정신도시 ]] | [[양주신도시|경기 파주시 양주신도시 ]] | [[한강신도시|경기 양주시 한강신도시 ]] | [[위례신도시|경기 김포시 위례신도시 ]] | [[아산신도시|서울 송파구·경기 하남시·성남시 아산신도시 ]] | [[동탄1신도시|충남 아산시·천안시 동탄1신도시 ]] | [[동탄2신도시|경기 화성시 동탄2신도시 ]] | [[검단신도시|경기 화성시 검단신도시 ]] | [[도안신도시|인천 서구 도안신도시 ]] | [[고덕국제신도시|대전 서구·유성구 고덕국제신도시 ]] 경기 평택시 | |
3기 | [[왕숙신도시| 왕숙신도시 ]] | [[교산신도시|경기 남양주시 교산신도시 ]] | [[계양신도시|경기 하남시 계양신도시 ]] | [[창릉신도시|인천 계양구 창릉신도시 ]] | [[대장신도시|경기 고양시 대장신도시 ]] 경기 부천시 |
대한민국 정부(국토교통부) 관장 신도시만 기재. 참고: 국토교통부 신도시 정책자료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9da5>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읍 | ||||||||||||||||||||||||||||||||||||||||||
출장소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9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009da5 21%, #66aa11 21%, #66aa11); font-size: 1em" 안중읍 | 안중 청북읍 | 본청 팽성읍 | 안중 포승읍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면 | ||||||||||||||||||||||||||||||||||||||
송탄 고덕면 | 송탄 서탄면 | 안중 오성면 | 송탄 진위면 | 안중 현덕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정동 | 법정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송탄 고덕동 | 고덕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본청 동삭동 | 동삭동 (일부) | 칠원동 (일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본청 비전1동 | 비전동 (일부) | 월곡동 | 죽백동 | 청룡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9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009da5 21%, #0099ee 21%, #0099ee); font-size: 1em" 비전2동 | 비전동 (일부) | 소사동 | 용이동 (일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출장소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9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009da5 21%, #ee8800 21%, #ee8800); font-size: 1em" 서정동 | 서정동 (일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본청 세교동 | 세교동 | 신대동 (일부) | 지제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송탄 송북동 | 독곡동 | 신장동 (일부) | 지산동 (일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송탄 송탄동 | 가재동 | 도일동 | 모곡동 |
장안동 | 칠괴동 | 칠원동 (일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청 신평동 | 유천동 | 평택동 (일부) | 합정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송탄 신장1동 | 신장동 (일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송탄 신장2동 | 신장동 (일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본청 용이동 | 용이동 (일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본청 원평동 | 군문동 | 신대동 (일부) | 통복동 (일부) | 평택동 (일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송탄 중앙동 | 서정동 (일부) | 이충동 | 장당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송탄 지산동 | 신장동 (일부) | 지산동 (일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본청 통복동 | 통복동 (일부) | 동삭동 (일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009da5> 본청 본청 관할 | 송탄 송탄출장소 관할 | 안중 안중출장소 관할 | }}} }}}}}} |
2기 신도시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고덕국제신도시 古德國際新都市 Godeok International New Town | }}} | |||
<nopad> | |||||
<colbgcolor=#009da5><colcolor=#fff>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평택시 | ||||
면적 | 17.26㎢[1] | ||||
시행자 | <colbgcolor=#009da5><colcolor=#fff> 택지 | 경기도 | |||
한국토지주택공사 | |||||
경기주택도시공사 | |||||
평택도시공사 | |||||
산업단지 | 삼성전자 | ||||
린데코리아[2] | |||||
정치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국회의원 | 평택시 을 | |||
| 이병진 (초선) | ||||
경기도의원 | 제6선거구 | |||||
| 김근용 (초선) | ||||
평택시의원 | 사 선거구 | |||||
| 김승겸 (재선) | ||||
| 이기형 (초선) | ||||
| 정일구 (재선) | }}}}}}}}} | |||
행정복지센터 | 고덕동 행정복지센터 | ||||
고덕면 행정복지센터 |
1. 개요
고덕국제신도시 관련 각종 사진 자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 |
고덕국제신도시 개발계획도 | }}}}}}}}} |
경기도 평택시 고덕동[3], 고덕면 해창리[4] 일원에 지어지고 있는 신도시.
수도권 신도시 중 제일 남쪽에 지어지는 신도시이며 정식 명칭은 고덕국제화계획지구이다. 서울특별시에서 55km, 대전광역시에서 94km 떨어져 있다.[5]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쪽에 조성 중이다.
현재 평택시청을 포함한 경찰서, 교육지원청, 버스터미널, 상권 등 평택의 주요 시설은 대부분 시 남동쪽인 비전동에 치우쳐 있어 1995년 평택시, 평택군, 송탄시 통합 이후로도 남부(평택권), 서부(안중권), 북부(송탄권)가 분리된 모습을 보였는데, 고덕국제신도시 개발 이후 장기적으로 주요 시설 등을 고덕국제신도시로 이전하면서 지역 간 장벽을 허물 예정이다.
2. 사업 내용
2.1. 연혁
- 2004.12.31. 주한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평택시등의 지원등에 관한 특별법 제정(2005.04.01 시행, 제7271호)
- 2005.12.06. 평택 지역개발계획 발표(행자부)
- 2006.09.21. 국제화계획지구 및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
- 2008.05.30. 예정지구 변경(1차) 및 개발계획 승인
- 2009.12.28. 토지보상 착수 (지장물보상 착수: 2012.05.21)
- 2012.01.03. 예정지구 변경(2차) 및 개발계획 변경(1차) 승인
- 2012.12.14. 광역교통개선대책(변경) 확정 (최초 확정: 2008.09.23)
- 2013.01.04. 예정지구 변경(3차)·개발계획 변경(2차) 및 실시계획 승인
- 2013.10.25. 1단계 조성공사 착공
- 2015.04.03. 예정지구 변경(4차)·개발계획 변경(3차) 및 실시계획 변경(1차) 승인
- 2016.12.16. 예정지구 변경(5차)·개발계획 변경(4차) 및 실시계획 변경(2차) 승인
- 2017.01.09. 2단계 조성공사 착공
- 2017.12.22. 예정지구 변경(6차)·개발계획 변경(5차) 및 실시계획 변경(3차) 승인
- 2018.07.05. 개발계획 변경(6차) 및 실시계획 변경(4차) 승인
- 2018.12.26. 개발계획 변경(7차) 및 실시계획 변경(5차) 승인
- 2019.06.21. 개발계획 변경(8차) 및 실시계획 변경(6차) 승인
- 2019.08.06. 예정지구 변경(7차)·개발계획 변경(9차) 및 실시계획 변경(7차) 승인
- 2019.07.31. 1단계 사업준공
- 2020.11.09. 예정지구 변경(8차)·개발계획 변경(10차) 및 실시계획 변경(8차) 승인
- 2021.11.10. 예정지구 변경(9차)·개발계획 변경(11차) 및 실시계획 변경(9차) 승인
- 2021.12.30. 예정지구 변경(10차)·개발계획 변경(12차) 및 실시계획 변경(10차) 승인
- 2021.12.31. 2-1단계 사업준공
- 2022.12.28. 개발계획 변경(13차) 및 실시계획 변경(11차) 승인
- 2023.03.23. 예정지구 변경(11차)·개발계획 변경(14차) 및 실시계획 변경(12차) 승인
- 2023.03.31. 2-2단계 사업준공
- 2023.08.21. 예정지구 변경(12차)·개발계획 변경(15차) 및 실시계획 변경(13차) 승인
- 2023.08.31. 2-3단계 사업준공
- 2024.05.21. 예정지구 변경(13차)·개발계획 변경(16차) 및 실시계획 변경(14차) 승인
- 2024.09.30. 3-1단계 사업준공
- 2025.12.31. 3-2단계 사업준공 (예정)[6]
2.2. 목적
- 평택항을 중심으로 한 서해안시대 대중국 전진기지 교두보 확보
- 평택항을 중심으로 한 교통·정보 인프라 및 물류체계 구축을 통해 대중국 교류증대에 대비한 물류기능 분담 거점화 및 물류·유통 중심지로 활용함으로써 서해안시대 대중국 전진기지 교두보 확보
- 서울과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연결하는 거점도시 육성
- 경기도 최남단 지역인 평택에 대규모 광역거점도시를 조성함으로써 서울(인천) ∼ 수원 ∼ 평택 ∼ 아산 ∼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이어지는 국토기능 분담체계 구축
- 다국적 문화와 삶이 공존하고 발전할 수 있는 새로운 도시모델 정립
- 고덕국제화계획지구의 계획을 통해 다양한 외국인의 국내 체류활동에 대비한 최적의 생활환경을 제공하는 한편, 다국적 문화가 공존하고 체험될 수 있는 도시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서해안시대 국제화도시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
- 동서발전축의 수도권 남부 통합 중심도시 조성
- 기존 국가 성장축인 경부축과 서해안시대 국제교역측면에서 발전 잠재력이 높은 서해안축을 연계하여 국가 성장동력의 시너지 효과 기대
- 대내외 개발압력의 계획적 수용을 위한 광역생활중심도시 조성
- 대내외 개발압력의 효율적 수용과 계획적 개발을 통하여 지역의 양호한 생활기반을 마련하는 동시에 각종 광역도시서비스가 구현된 광역생활중심도시를 건설
2.3. 기간 및 면적
<rowcolor=#fff> 구분 | 단계 | 사업기간 | 면적(㎡) | 개발방향 |
택지 개발사업 | 1단계 | 개발계획 승인일~2019.07.31. | 2,731,685 | 서정리 역세권을 중심으로 한 개발 (상업지역, 복합여객터미널) |
2-1단계 | 개발계획 승인일~2021.12.31. | 2,177,068 | 행정타운을 중심으로 한 개발 (중심상업, 업무기능) | |
2-2단계 | 개발계획 승인일~2023.03.31. | 1,863,484 | 자연친화적인 개발 (함박산 중앙공원, 교육시설 등) | |
2-3단계 | 개발계획 승인일~2023.08.31. | 132,309 | 공원 및 도로 기반시설 확충 (저류지 음악분수 조성 등) | |
3-1단계 | 개발계획 승인일~2024.09.30. | 223,959 | 군용지 조성 | |
3-2단계 | 개발계획 승인일~2025.12.31. | 6,228,762 | 국제교류·복합용도 개발 (업무·지원기능, 국제교류용지, 복합레져유통단지) | |
택지개발사업 총면적 | 13,357,268 | |||
산업단지개발사업 | 2008.05.~2030.12.31. | 3,905,709 | 삼성전자 · 린데코리아 | |
산업단지개발사업 총면적 | 3,905,709 | |||
고덕국제화계획지구 총면적 | 17,262,978[7] |
2.4. 공급계획
- 택지개발사업
- 수용인구 : 147,221인
- 수용호수 : 61,258세대
<rowcolor=#fff> 구분 | 면적(㎡) | 세대수(호) | 인구(인) | |
계 | 4,558,208.90 | 61,285 | 147,221 | |
단독주택 | 일반형 | 1,046,488.50 | 4,168 | 10,325 |
블록형 | 163,771.00 | 280 | 672 | |
공동주택 | 도시형생활주택 | 22,285.40 | 594 | 951 |
아파트 | 3,117,104.00 | 52,829 | 126,943 | |
업무복합 | 26,393.00 | 306 | 734 | |
문화복합 | 10,978.00 | 176 | 423 | |
복합용지 | 106,958.00 | 1,607 | 3,859 | |
주상복합 | 64,231.00 | 1,325 | 3,314 |
- 산업단지개발
- 상주인구 : 29,045인
- 종사자수 : 26,570인
<rowcolor=#fff> 고덕국제신도시 산업단지 주요 유치업종 | ||
유치업종(중분류) | 면 적(㎡) | 구성비(%) |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26) | 2,631,241.80 | 97.1 |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27) |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20) | 78,833.40 | 2.9 |
계 | 2,710,075.20 | 100 |
2.5. 관련 법령
- 「주한 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평택시 등의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에 의한 국제화계획지구개발사업
- 「택지개발촉진법」에 의한 택지개발사업
-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의한 산업단지개발사업
2.6. 역사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주한미군 용산기지를 경기도 평택시에 있는 USAG 험프리스와 오산 공군기지로 이전함에 따라 미군기지 주변을 개발할 겸 해서 개발이 결정된 신도시로, 다른 신도시와 달리 이름에 '국제'라는 말이 하나 더 붙어있다. 하지만 흔히 국제를 생략한 고덕신도시로 알려져 있다.수용인구는 58,300세대에 144,173명이며, 면적은 13.4㎢이다. 사업기간은 2008년부터 2022년까지이다. 원래 사업기간이 2013년까지였으나 미군기지 이전사업이 지연되면서 공기가 연장되었다.
신도시 경계에 경부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정리역이 있고, 인근에 수서평택고속선, 수원발 KTX 평택고속연결선[8] 평택지제역이 추가되어서 교통망 추가 계획은 없다. 실제 고덕국제신도시의 중심부는 서정리역에 더 가깝지만, 평택지제역 - 고덕국제신도시간 버스 노선을 추가하는 식으로 보완할 듯.
2006년 9월 평택 고덕국제화계획지구 지정 이후 경기도 평택시는 지구지정 이후 삼성전자를 유치하고자 국토교통부와 25차례에 걸친 협의 등을 진행해 2007년 7월 지구 내 산단 조성을 확정했다. 같은 해 9월 산단 공급물량 396만㎡를 특별배정 받았고 2010년 12월 삼성전자와 입주협약을 체결했다. 평택시는 입주협약 체결 후 삼성전자가 요구한 기반시설 국비 지원, 입지규제 완화, 고속철도 소음진동 완화 등 현안 사항을 해결하고자 실무회의 34회를 비롯 60여회에 걸친 중앙부처 협의 등을 진행했다. 특히 20주한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평택시 등의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에 지방산단 조성보조금 지원 특례조항을 마련, 2011년 7월과 2012년 1월 국토부로부터 산단 기반시설설치비 5천615억원을 심의 결정 받는 등 사전준비에 심혈을 기울였다.
이 같은 노력 끝에 2015년 삼성전자 평택캠퍼스가 기공, 2017년부터 P1 라인에서 생산을 시작했다.
<nopad> |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
고덕국제신도시 남동쪽에 있는 산업단지에 세계 최대 반도체 공장인 삼성전자 평택캠퍼스가 조성중이며, 약 100조 원에 달하는 투자를 집행하기로 결정해서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는 평택 고덕신도시에 287만6,033㎡(약 870만 평)로 조성 중인 세계 최대규모의 반도체 생산라인이다. 생산라인은 평택(Pyeongtaek)의 앞글자 P를 따서 P1∼P6로 불리며, P1∼P3공장은 조성을 완료하고 운영 중이다. 또한 신규 생산라인인 P4 조성공사가 현재 진행 중에 있으며, 이후로도 5·6공장을 연달아 증설할 계획이다. #
2024년 1월에는 챗GPT로 유명한 OpenAI 최고경영자 샘 올트먼이 직접 삼성전자 평택캠퍼스에 방문하여 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 대표이사와 대화를 나누기도 하였다. 그만큼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부문의 주요 미래 먹거리로 나아가는데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 사실 이전부터 외국 인사들이 한국 순방 때 반도체 관련 장소로 빠짐없이 들리는 곳 중 하나이기도 하다. 지난 미국 바이든 대통령 순방 당시에도 이재용 회장과 윤석열 대통령과 함께 방문하기도 하였다. #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는 고덕국제신도시의 주요 성장동력으로도 꼽히고 있다. 재정적 측면에서 평택캠퍼스는 현재 평택시 세입의 적지 않은 부분을 맡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가 평택시에 납부한 지방세는 2020년 602억 1천 200만원, 2021년 867억 3천 200만원이다. 평택시의 지방세 징수액은 2020년 6099억 4천200만원, 2021년 6628억 9천 900만원으로 총 징수액의 약 10%를 삼성전자가 차지하고 있다. 삼성물산, 원익IPS 등 삼성전자 관련 업체까지 포함한다면 지방세에 적지 않은 부분을 차지하는 있는 셈이다.
<rowcolor=#FFFFFF> 평택아트센터 조감도 |
2025년 5월에 완공되는 평택아트센터는 중앙공원 내 2만㎡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4층, 연면적 2만5천여㎡ 규모로 건립된다. 건물 내에는 1천315석 규모의 대공연장과 소공연장(323석), 전시 시설, 편의시설 등이 갖춰진다. 국비 750억원을 포함해 총 사업비 1천156억원이 투입되는 평택아트센터는 2025년 9월 준공 예정이다. #
<rowcolor=#FFFFFF> (좌) 평택박물관, (우) 창의체험관 조감도 |
또 각종 공립 박물관과 평택중앙도서관도 개관할 예정이다. 함박산공원 내 1만 1780㎡ 부지에 연면적 7370㎡ 규모의 박물관이 들어선다. 2016년부터 준비해 온 평택시 최초 박물관 건립 사업은 2025년 4월초 행정안전부의 지방재정투자사업 2단계 심사를 통과해 건립사업에 탄력을 받게 되었다. 박물관이 준공되면 서측에는 평택아트센터와 동측에는 어린이 창의체험관을 접하여 주거 및 양육 환경과 문화생활이 대폭 올라갈 것으로 보고 있다. 설계공모는 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로 선정되었다.
함박산중앙공원에 건립될 평택중앙도서관은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와 Yi Architects Seoul(이아키텍츠)의 공동 작품이 당선되었다. 당선작은 '평택'이라는 지명의 의미를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수 광장(AQUA FORUM)'을 중심으로 한 '평택의 심장'을 구현했다. 이 설계는 시민들이 즐겨 찾는 도시의 거실을 지향하며, 팽성읍 객사[9]와 해인사 장경판고에서 영감을 받은 자기성찰적 도서관을 상징한다.
평택중앙도서관은 부지 2만㎡, 연면적 9,050㎡의 지하 1층부터 지상 4층 규모로 2028년에 개관할 예정이다. 주요 시설로는 34만 권의 도서를 보관할 수 있는 자료실과 개방형 수장서고, 다목적실, 북 레스토랑, 야외 독서 정원 등이 계획되어 있으며, 도서관 자동화시스템을 통해 미래지향적인 이용 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rowcolor=#FFFFFF> 평택중앙도서관 조감도 |
2027년부터 평택시청을 비롯한 여러 행정기관들이 이전 및 입주하게 되어 평택시의 주요 행정업무를 담당하는 요충지로 거듭날 전망이다. 고덕신도시 정중앙 공공시설 용지에 건립되는 평택시청 신청사의 경우 지하 1층, 지상 9층, 연면적 4만7000여㎡ 규모로 지어질 예정이다. # 시는 인구 65만 명을 넘어서며 대도시 반열에 오른 만큼 국제도시로서의 위상 수립과 발전 등을 위해 청사를 고덕국제신도시 내 행정타운으로 이전해 증가하는 행정수요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새롭게 신축되는 평택시청은 총 사업비 3,380억 원이 투입되어 2024년 8월 중 국제설계공모를 실시하여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 케이지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의 설계작이 당선되었다. 2026년 1월에 착공하여 2027년 말 완공될 예정이다. 평택시에 따르면 해당 작품은 평택 평야의 수평성과 나뭇잎을 형상화한 하나의 거대한 지붕을 통해 평택의 과거‧현재‧미래의 이미지를 형상화했다. 또한 신도시의 수직적인 고층 건물 사이에 수평적인 건축물을 배치함으로써 조화롭게 발전하고 있는 평택시의 특징을 담아냈다.
| |
<rowcolor=#FFFFFF> 평택시청·평택시의회 조감도 |
고덕동 1906-1에 평택북부경찰서가 새롭게 건립된다. 기존 평택경찰서는 포화 상태로 현재 청사만으로는 치안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워 북부와 서부에도 새롭게 경찰서를 짓게 되었다. 그 사업의 일환으로 생기는 평택북부경찰서는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로 무영건축과 다인건축이 설계하였다. 대지면적은 18,029㎡로 2026년 중반에 착공하여 2028년에 준공될 예정이다.
<rowcolor=#FFFFFF> 평택북부경찰서 조감도 |
2단계 부근에 새로운 평택우체국이 건립될 예정이다. 기존 평택시 중앙로에 위치한 평택우체국이 새롭게 이전하면서 평택시의 우편물들을 중점으로 관리하는 허브가 될 예정이다. 이 우체국은 해당 지구의 업무시설용지로 지정된 부지에 들어서며, 지역 내 우편·금융 서비스뿐 아니라 복합 업무 기능을 수행하는 거점 역할을 하게 된다.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설계되었고, 대지면적과 연면적은 약 7,068㎡, 9,960.93㎡에 달한다.
위치는 경기도 평택시 고덕국제신도시 업무5(1-1) 블럭으로, 접근성이 좋은 중심부에 자리하게 된다. 완공 후에는 고덕국제신도시의 인구 증가와 상업·업무 수요에 발맞춰, 우편 업무뿐 아니라 금융·민원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종합 행정 인프라로서 기능할 전망이다. 2025년 착공하여 11월까지 토목공사를 마친 후 2027년 1월에 준공할 예정이다. 디앤비건축사무소에서 설계하고, 토양종합건설에서 시공 중이다.
<rowcolor=#FFFFFF> 평택우체국 조감도 |
3. 공공 및 행정 시설
3.1. 공공 시설
기관명 | 주소 | 신설·이전일 | 비고 |
LH평택사업본부 | 경기도 평택시 고덕중앙1로 464 | 입주완료 | |
국민건강보험공단 평택지사 | 경기도 평택시 고덕갈평5길 27 | ||
한국국토정보공사 평택지사 | 경기도 평택시 고덕갈평로 50 | ||
평택상공회의소 | 경기도 평택시 고덕여염9길 37 6층 | ||
경기주택도시공사 고덕사업부 | 경기도 평택시 고덕동 1890 | ||
한국교통안전공단 | 지원19 | 미정 | |
한국전력공사 | 업무 2-1-3 | 미정 |
3.2. 행정 시설
기관명 | 주소 | 신설·이전일 | 비고 |
평택시청 | 경기도 평택시 고덕동 2521~2522 | 2027년 | |
평택시의회 | 경기도 평택시 고덕동 2521~2522 | ||
평택북부경찰서 | 경기도 평택시 고덕동 1906-1 | 2028년 | |
중부지방고용노동청 평택지청 | 경기도 평택시 고덕중앙5길 72 | 입주완료 | |
고덕동 행정복지센터 | 경기도 평택시 고덕여염9길 37 3층 | [10] | |
고덕지구대 | 경기도 평택시 고덕여염9길 3 | ||
평택고덕우체국 | 경기도 평택시 고덕여염6길 62 1층 | ||
고덕119안전센터 | 경기도 평택시 고덕율포1로 46 |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 경기도 평택시 고덕순환대로 568 | ||
평택우체국 | 경기도 평택시 업무5(1-1)블럭[11] | 2027년 | [12] |
4. 문화 시설
기관명 | 주소 | 신설·이전일 | 비고 |
평택아트센터 | 경기도 평택시 고덕로 310 | 2025년 | |
평택박물관 | 경기도 평택시 고덕동 2688 일원 | 미정 | |
평택 어린이 창의체험관 | 경기도 평택시 고덕동 2688 일원 | 미정 | |
평택중앙도서관 | 경기도 평택시 고덕동 2687 일원 | 2028년 | |
민세 안재홍 기념관 | 미정 | 미정 | # |
평택아트센터는 2026년 3월에 정식으로 개관한다. ##
5. 상업 시설
CGV 평택고덕: 경기도 평택시 경기대로 945 평택고덕아이파크
홈플러스 송탄점: 경기도 평택시 경기대로 1103 홈플러스
평택프리미엄아울렛: 경기도 평택시 경기대로 945 평택고덕아이파크
코스트코 평택점: 경기도 평택시 경기대로 975 평택고덕2차아이파크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평택 고덕: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효덕새싹길 120-51
|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평택 고덕 전경 |
6. 교육 시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가내초등학교 | 가사초등학교 | 갈곶초등학교 | 계성초등학교 | 고덕초등학교 |
고덕함박초등학교 | 군문초등학교 | 내기초등학교 | 덕동초등학교 | 동삭초등학교 | |
민세초등학교 | 반지초등학교 | 배다리초등학교 | 복창초등학교 | 부용초등학교 | |
비전초등학교 | 삼덕초등학교 | 서정리초등학교 | 서탄초등학교 | 서탄초등학교내수분교장 | |
세교초등학교 | 세아초등학교 | 소사벌초등학교 | 송북초등학교 | 송신초등학교 | |
송일초등학교 | 송탄초등학교 | 송현초등학교 | 안중초등학교 | 어연초등학교 | |
오성초등학교 | 용이초등학교 | 용죽초등학교 | 원정초등학교 | 율포초등학교 | |
이충초등학교 | 자란초등학교 | 장당초등학교 | 종덕초등학교 | 죽백초등학교 | |
지장초등학교 | 지제초등학교 | 진위초등학교 | 진위초등학교산대분교장 | 창신초등학교 | |
청북초등학교 | 청옥초등학교 | 팽성초등학교 | 평일초등학교 | 평택대동초등학교 | |
평택도곡초등학교 | 평택모산초등학교 | 평택새빛초등학교 | 평택서재초등학교 | 평택성동초등학교 | |
평택송화초등학교 | 평택안일초등학교 | 평택연화초등학교 | 평택영신초등학교 | 평택이화초등학교 | |
평택중앙초등학교 | 평택지산초등학교 | 평택청아초등학교 | 평택초등학교 | 합정초등학교 | |
해창초등학교 | 현덕초등학교 | 현덕초등학교광덕분교장 | 현일초등학교 | 현촌초등학교 | |
현화초등학교 | 홍원초등학교 | 효덕초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도곡중학교 | 동삭중학교 | 라온중학교 | 민세중학교 | 배다리중학교 | |
비전중학교 | 세교중학교 | 소사벌중학교 | 송탄중학교 | 신한중학교 | |
안일중학교 | 안중중학교 | 오성중학교 | 용이중학교 | 은혜중학교 | |
이충중학교 | 장당중학교 | 진위중학교 | 청담중학교 | 청북중학교 | |
청옥중학교 | 태광중학교 | 평택여자중학교 | 평택중학교 | 포승중학교 | |
한광여자중학교 | 한광중학교 | 해창중학교 | 현화중학교 | 효명중학교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종합고 | ||||
◈ 경기물류고등학교 | ◈ 동일공업고등학교 | 라온고등학교 | 비전고등학교 | 송탄고등학교 | |
신한고등학교 | 안중고등학교 | 은혜고등학교 | 이충고등학교 | ◈ 진위고등학교 | |
◈ 청담고등학교 | 청북고등학교 | 태광고등학교 | 평택고등학교 | ▣ 평택마이스터고등학교 | |
◈ 평택여자고등학교 | 한광고등학교 | 한광여자고등학교 | ◈ 한국관광고등학교 | ⊙ 현화고등학교 | |
효명고등학교 |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6.1. 초등학교
6.2. 중학교
6.3. 고등학교
6.4. 국제학교
- 애니 라이트 스쿨 (Annie Wright Schools)
애니 라이트 스쿨은 미국 워싱턴주 1위 사립 K-12 학교로, 체계적인 IB 프로그램과 STEM 분야로도 우수성을 인정받는 141년 전통의 명문학교이며, 졸업생 다수가 세계 상위권 대학에 진학하고 있다. 본교는 평택시의 제안을 전폭 수용하며 분교 설립 의지를 밝혔고, 이사회 만장일치로 국내 첫 국제 분교를 평택 고덕국제신도시에 유치하게 되었다. 고덕 국제학교는 서울-경기 지역에 최초로 설립되는 본교직영 방식의 국제학교로, 2천 명 정원의 유-초-중-고 통합학교(K-12) 형태로 운영된다. 위치는 고덕국제신도시 내 에듀타운이며, 6만 6000㎡(약 2만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2028년 8월 개교 예정이다.
7. 주거 시설
구역 | 단지명 | 세대수 | 입주일자 | 시공사 |
A-1 | 평택고덕 센트레빌 엔에이치에프3단지[16] | 387 | 2021년 8월 | 동부건설, 신성건설 |
A-2 | 평택고덕 LH35단지[17] | 549[18] | 2021년 3월 | 경남기업, 풍산건설 |
A-3 | 고덕국제신도시 헤스티블[19] | 496[20] | 2023년 9월 | 진흥기업, 명산건설, 지평건설 |
A-4 | 고덕 자연앤 하우스디[21] | 517 | 2028년 2월 (예정) | 대보건설, 계룡건설[22] |
A-5 | 고덕 자이 센트로[23] | 569 | 2025년 8월 | GS건설[24] |
A-6 | 평택고덕 LH2단지[25] | 1,600 | 2022년 8월 | 경남기업, 풍산건설, 파인건설, 세광산업 |
A-7 | 고덕국제신도시 르플로랑[26] | 891[27] | 2021년 8월 | 한신공영, 더본종합건설, 청광종합건설 |
A-8 | 고덕국제신도시 파라곤 | 752 | 2019년 6월 | 라인건설 |
A-9 | 고덕 자연앤 자이[28] | 755 | 2019년 8월 | GS건설 |
A-10 | 고덕 신동아 파밀리에 엔에이치에프7단지[29] | 719 | 2019년 9월 | 신동아건설 |
A-11 | 평택고덕 어울림 스퀘어[30] | 660 | 2020년 10월 | 금호건설 |
A-12 | 뉴:홈 일반형 | 942 | 미정 | 현대건설 컨소시움[31] |
A-13 | 미정 | 1,003 | 미정 | 계룡건설 컨소시움[32] |
A-14 | 미정 | 670 | 미정 | 한양 컨소시움[33] |
A-15 | 고덕국제신도시 서한이다음 그레이튼 | 1,138 | 2027년 5월 (예정) | 서한건설 |
A-16 | 신안인스빌 시그니처 | 613 | 2020년 4월 | 신안종합건설 |
A-17 | 고덕국제신도시 풍경채 더 퍼스트 | 1,022 | 2019년 11월 | 제일건설 |
A-18-1 | 공공임대 | 550 | 2030년 12월 (예정) | 계룡건설 컨소시움[34] |
A-18-2 | 공공분양 | 512 | 2029년 7월 (예정) | 미정 |
A-19 | 공공분양 | 440 | ||
A-20-1 | 공공분양 | 313 | 2030년 12월 (예정) | 계룡건설 컨소시움[35] |
A-20-2 | 공공임대 | 328 | 우미건설 컨소시움[36] | |
A-21 | 미정 | 289 | 미정 | 미정 |
A-22 | 호반써밋 고덕국제신도시 | 766 | 2021년 11월 | 호반건설 |
A-23 | 미정 | 1,168 | 미정 | 미정 |
A-24 | 미정 | 780 | 미정 | 미정 |
A-25 | 공공분양 | 903 | 2031년 7월 (예정) | 한양 컨소시움[37] |
A-26 | 공공분양 | 792 | 2029년 11월 (예정) | 미정 |
A-27 | 뉴:홈 일반형 | 602 | 미정 | 현대건설 컨소시움[38] |
A-28 | 공공분양 | 752 | 2031년 7월 (예정) | 우미건설 컨소시움[39] |
A-29 | 미정 | 707 | 미정 | 미정 |
A-30 | 미정 | 549 | 미정 | 미정 |
A-31 | 뉴:홈 일반형 | 690 | 2028년 12월 (예정) | 현대건설 컨소시움[40] |
A-32 | 공공분양 | 580 | 2031년 6월 (예정) | 우미건설 컨소시움[41] |
A-33 | 미정 | 626 | 미정 | |
A-34 | 뉴:홈 일반형 | 680 | 2028년 12월 (예정) | 현대건설 컨소시움[42] |
A-35 | 뉴:홈 일반형 | 754 | ||
A-36 | 미정 | 745 | 미정 | 우미건설 컨소시움[43] |
A-37 | 뉴:홈 분양전환형 공공임대 | 603[44] | 2028년 (예정)[45] | 태왕이앤씨 |
A-38 | 뉴:홈 통합공공임대 | 966[46] | 2028년 (예정)[47] | 효성중공업 |
A-39 | 고덕국제신도시 아너스 | 812 | 2022년 11월 | 태왕이앤씨 |
A-40 | 고덕국제신도시 파라곤 에듀포레 | 654 | 2021년 7월 | 라인건설 |
A-41 | 고덕국제신도시 제일풍경채 2차 에듀 | 877 | 2023년 2월 | 제일건설 |
A-42 | 고덕국제신도시 제일풍경채 3차 센텀 | 820 | 2023년 3월 | |
A-43 | 호반써밋 고덕국제신도시 에듀파크 | 766 | 2022년 5월 | 호반건설 |
A-44 | 고덕국제신도시 대광로제비앙 디 아트 | 639 | 2022년 6월 | 대광건영 |
A-45 | 고덕국제신도시 리슈빌 레이크파크 | 730 | 2021년 11월 | 계룡건설 |
A-46 | 평택 고덕국제신도시 디에트르 리비에르 | 726 | 2023년 10월 | 대방건설 |
A-47 | 고덕국제신도시 서한이스테이[48] | 510 | 2026년 10월 (예정) | 서한건설 |
A-48 | 고덕국제신도시 예미지 | 431 | 2026년 8월 (예정) | 금성백조주택 |
A-49 | 고덕국제신도시 호반써밋 더 트리아츠 | 703 | 2024년 7월 | 호반건설 |
A-50 | 고덕국제신도시 미래도 파밀리에 | 642 | 2025년 9월 (예정) | 모아종합건설, 신동아건설 |
A-51 | 고덕국제신도시 대광로제비앙 (가칭) | 792 | 미정 | 대광건영 |
A-52 | 고덕국제신도시 지엔하임 (가칭) | 987 | 미정 | 문장건설 |
A-53 | 고덕국제신도시 다해브[49] | 1,167[50] | 2024년 11월 | 대흥건설, 신한종합건설, 대우조선해양건설 |
A-54 | 고덕국제신도시 금호어울림 | 1,582 | 2023년 5월 | 금호건설, DL이앤씨, KR산업 |
A-55 | 고덕국제신도시 로제비앙&엘가 에듀센트럴 | 1,255 | 2025년 3월 | 대광건영, 혜림건설 |
A-56 | 푸르지오 뉴:홈 선택형 | 1,499 | 2028년 6월 (예정) | 대우건설 컨소시움 [51] |
A-57-1 | 평택고덕 LH12단지[52] | 900 | 2023년 2월 | KCC건설 |
A-57-2 | 고덕국제신도시 양우내안애[53] | 385[54] | 2025년 2월 | 양우건설, 동우건설, 우일디앤씨 |
A-58 | 평택고덕 LH15단지[55] | 1,295[56] | 2025년 10월 (예정) | 대보건설, 건영, 동원건설산업 |
A-59 | 미정 | 826 | 미정 | 미정 |
A-60 | 미정 | 967 | 미정 | 미정 |
A-61 | 미정 | 456 | 미정 | 한양 컨소시움[57] |
A-62 | 고덕서정리역 경기행복주택[58] | 800 | 2022년 8월 | 동부건설 |
A-63 | 아테라 뉴:홈 일반형[59] | 630 | 2028년 12월 (예정) | 금호건설 컨소시움[60] |
A-64 | 아테라 공공임대[61] | 536 | ||
A-65 | 뉴:홈 일반형 | 837 | 미정 | 현대건설 컨소시움[62] |
A-66 | 미정 | 1,121 | 미정 | 우미건설 컨소시움[63] |
A-67 | 미정 | 403 | 미정 | 한양 컨소시움[64] |
A-68 | 미정 | 381 | 미정 | 계룡건설 컨소시움[65] |
Bd-1 | 미정 | 170 | 미정 | 미정 |
Bd-2 | 미정 | 110 | 미정 | 미정 |
업무9-1-1 | 고덕신도시 유보라 더 크레스트 | 560 | 2025년 3월 | 반도건설 |
업무9-2-1 | 556 | |||
중상11 | 평택 고덕 트라반트 푸르지오 시티 | 886 | 2025년 4월 | 대우건설 |
업무복합 | 미정 | 306 | 미정 | 미정 |
문화복합1 | 미정 | 176 | 미정 | 미정 |
복합(주거형)1 | 미정 | 1,086 | 미정 | 미정 |
복합(주거형)2 | 미정 | 521 | 미정 | 미정 |
Ca1BL | 평택고덕 LH17단지 행복주택 1단지[a] | 296 | 2020년 2월 | 라인건설, 동양건설산업 |
Ca2BL | 평택고덕 LH17단지 행복주택 2단지[a] | 298 | ||
EBC-1 | 힐스테이트 고덕 스카이시티 | 665 | 2024년 5월 | 현대건설 |
EBC-2 | 힐스테이트 고덕 센트럴 | 660 | 2024년 8월 | 현대엔지니어링 |
8. 교통
8.1. 철도
경부선이 신도시 동쪽 경계로 지나며 서정리역이 실질적인 고덕국제신도시의 관문역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경부고속선이 신도시 남서쪽을 통과하지만 역은 없다. 다만 인근에 위치한 평택지제역에서 SRT를 이용할 수 있으며, 추후에 KTX[68], GTX[69]가 개통될 예정이다.
8.2. 버스
8.2.1. 연혁
- 2019.07.01. 고덕국제신도시 - 송탄 도심을 순환하는 33A번, 33B번이 신설되었다.
- 2020.06.01. 고덕국제신도시 - 송탄시외버스정류장 - 서울남부터미널을 잇는 8120번이 신설되었다.
- 2021.09.27. 고덕국제신도시 - 평택지제역을 잇는 1452번이 신설되었다.
- 2023.05.09. 고덕국제신도시, 평택지제역을 운행하는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똑버스가 신설되었다.
- 2023.07.01. 향남읍 - 고덕국제신도시 - 평택지제역을 잇는 H123번이 신설되었다.
- 2023.07.03. 2023년 평택 시내버스 개편이 진행되었다.
- 고덕국제신도시 - 평택역을 잇는 1451번 신설
- 고덕국제신도시 - 송탄출장소를 잇는 31번 신설
- 고덕국제신도시 - 서정리역을 잇는 32번 신설
- 고덕국제신도시를 경유하는 6396번, 302번, 1409번 노선 변경
- 2023.07.17. 평택지제역 - 고덕국제신도시 - 강남역을 잇는 5401번이 신설되었다.
- 2023.08.01. 평택지제역 - 고덕면 - 고덕국제신도시 - 서정리역을 잇는 1456번이 신설되었다.
- 2024.03.04. 고덕국제신도시 - 송탄출장소 - 진위역 - 판교역 - 야탑역을 잇는 6802번이 신설되었다.
8.2.2. 노선
강남역 방면- [[직행좌석버스(경기도)|{{{#!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75em"
판교역 / 야탑역 방면
- [[직행좌석버스(경기도)|{{{#!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75em"
평택역 방면
- [[시내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775; font-size: .75em"
- [[시내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775; font-size: .75em"
평택지제역 방면
1번 출구
- [[직행좌석버스(경기도)|{{{#!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75em"
- [[시내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775; font-size: .75em"
- [[시내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775; font-size: .75em"
- [[시내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775; font-size: .75em"
2번 출구
- [[시내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775; font-size: .75em"
- [[시내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775; font-size: .75em"
송탄 도심 방면
- [[직행좌석버스(경기도)|{{{#!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75em"
- [[시내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775; font-size: .75em"
- [[마을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a900; font-size: .75em"
- [[마을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a900; font-size: .75em"
서정리역 방면
1번 출구
- [[시내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775; font-size: .75em"
- [[마을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a900; font-size: .75em"
- [[마을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a900; font-size: .75em"
- [[마을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a900; font-size: .75em"
- [[마을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a900; font-size: .75em"
- [[마을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a900; font-size: .75em"
- [[마을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a900; font-size: .75em"
- [[마을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a900; font-size: .75em"
- [[마을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a900; font-size: .75em"
- [[마을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a900; font-size: .75em"
2, 3, 4번 출구
- [[직행좌석버스(경기도)|{{{#!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75em"
- [[시내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775; font-size: .75em"
- [[시내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775; font-size: .75em"
- [[시내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775; font-size: .75em"
- [[시내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775; font-size: .75em"
- [[시내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775; font-size: .75em"
- [[마을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a900; font-size: .75em"
- [[마을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a900; font-size: .75em"
안중 방면
- [[시내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775; font-size: .75em"
- [[시내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775; font-size: .75em"
청북 방면
- [[시내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775; font-size: .75em"
- [[마을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a900; font-size: .75em"
- [[마을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a900; font-size: .75em"
- [[마을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a900; font-size: .75em"
- [[마을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a900; font-size: .75em"
- [[마을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a900; font-size: .75em"
포승 방면
- [[시내버스|{{{#!wiki style="margin: 0;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775; font-size: .75em"
9. 산업단지
9.1. 삼성전자 평택 캠퍼스
<nopad> |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 평택 캠퍼스 문서 참고.
[1] 고덕국제화계획지구: 17.262㎢, 택지개발지구: 13.357㎢[2] 영국 기업으로 삼성전자 평택캠퍼스에 초고순도 산업가스를 공급하고 있다.[3] 2021년 11월 17일 자로 고덕면에서 율포리 전역, 여염리와 좌교리 대부분, 서정동과 장당동 일부분이 분리되었다.[4] 2021년 11월 17일 자로 신도시 대부분이 고덕동으로 행정구역이 변경되었으나 도시지원시설 부지가 위치한 해창리는 고덕면 해창리로 존치.[5] 그리고 평택 시내와는 12km, 인근 천안시와는 36km 떨어져 있다.[6] 알파탄약고 이전 지연으로 인해 사실상 25년까지 3-2단계 사업준공은 힘들다[7] 축구장 20,000개 정도의 면적과 비슷하다.[8] 공사중[9]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에 있는 조선후기에 건립된 관청이다.[10] 2026년 6월 고덕동 1891-5에 고덕1동 행정복지센터 준공 예정[11] 경기도 평택시 고덕동 산510-490 일대[12] 2025년 8월 기준 토목공사 진행 중[13] 신도시 개발 이전부터 있었던 학교로 2016년부터 휴교했다가 2022년에 다시 개교하였다.[14] 신도시 개발 이전부터 있었던 학교로 2020년 현 위치로 이전했다.[15] 본래 송탄 시내인 이충동에 있었다가 2025년 이전했다.[16] 한국토지주택공사(LH) 10년 공공임대리츠[17] 한국토지주택공사(LH) 국민, 영구임대[18] 국민임대 389, 영구임대 160[19] 한국토지주택공사(LH) 신혼희망타운 공공분양 및 행복주택 혼합단지[20] 신혼희망타운 330, 행복주택 166[21] 경기주택도시공사(GH) 공공분양[22] 그 외 안영종합건설, 씨앤씨종합건설, 우호건설[23] 평택도시공사 공공분양[24] 그 외 소사벌종합건설㈜, ㈜태영건설[25] 한국토지주택공사(LH) 행복주택[26] 한국토지주택공사(LH) 신혼희망타운 공공분양 및 행복주택 혼합단지[27] 신혼희망타운 596, 행복주택 295[28] 경기주택도시공사(GH) 공공분양[29] 한국토지주택공사(LH) 10년 공공임대리츠[30] 뉴스테이[31] 현대건설, 동부건설, 우미건설[32] 계룡건설사업, 호반건설, 중흥건설[33] 한양, 제일건설, 대보건설[34] 계룡건설사업, 호반건설, 중흥건설[35] 계룡건설사업, 호반건설, 중흥건설[36] 우미건설, GS건설, ESI[37] 한양, 제일건설, 대보건설[38] 현대건설, 동부건설, 우미건설[39] 우미건설, GS건설, ESI[40] 현대건설, 금호건설, 계룡건설사업, 다원앤컴퍼니, 에스씨건설[41] 우미건설, GS건설, ESI[42] 현대건설, 금호건설, 계룡건설사업, 다원앤컴퍼니, 에스씨건설[43] 우미건설, GS건설, ESI[44] 59㎡113세대 74㎡ 135세대, 84㎡ 355세대[45] 2025년 6월 착공[46] 31A㎡ 176세대, 31A-H㎡ 36세대, 37A㎡ 216세대, 37A-H㎡ 48세대, 48㎡ 312세대, 56A㎡ 58세대, 56B㎡ 120세대[47] 2025년 6월 착공[48] 공공지원 민간임대[49] 한국토지주택공사(LH) 신혼희망타운 공공분양 및 행복주택 혼합단지[50] 신혼희망타운 778, 행복주택 389[51] 대우건설, 동부건설, 우미건설, 흥한주택종합건설[52] 한국토지주택공사(LH) 행복주택[53] 한국토지주택공사(LH) 신혼희망타운 공공분양 및 행복주택 혼합단지[54] 신혼희망타운 256, 행복주택 129[55] 한국토지주택공사(LH) 국민,영구임대[56] 국민임대 383, 영구임대 798, 고령자 복지주택 114[57] 한양, 제일건설, 대보건설[58] 경기주택도시공사(GH) 행복주택[59] 민간브랜드 적용지구[60] 금호건설, 우미건설, 신동아건설, 신흥디앤씨[61] 공공임대주택 민간브랜드 적용지구[62] 현대건설, 동부건설, 우미건설[63] 우미건설, GS건설, ESI[64] 한양, 제일건설, 대보건설[65] 계룡건설사업, 호반건설, 중흥건설[a] 한국토지주택공사(LH) 행복주택[a] [68] 수원발 KTX 2026년 개통 예정[69]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선[70] 무궁화호[71] SRT, 수원발 KTX 평택고속연결선 (2026년)[72] 2, 3, 4번 출구[73] 1번 출구[74] 1번 출구[75] 2, 3, 4번 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