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8 22:03:04

효성중공업


파일:효성그룹 신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계열사
<colcolor=#fff> 지주 회사 <colbgcolor=#fff,#1c1d1f>(주)효성
섬유/무역 효성티앤씨 (섬유PG · 무역PG)
중공업/건설 효성중공업 (중공업PG · 건설PG) | 효성굿스프링스 | 진흥기업
화학 효성화학
정보 통신 효성티앤에스 | 효성ITX
갤럭시아머니트리
트리럭시아일렉트로닉스 | 갤럭시아커뮤니케이션즈
기타 신화인터텍 | 갤럭시아SM
학교 법인 동양학원 (동양미래대학교 | 동양고등학교 | 동양중학교)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시공능력평가순위 상위 30대 건설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삼성물산 로고.svg 파일:현대건설 국문 로고.svg파일:현대건설 국문 로고 화이트.svg 파일:대우건설 CI.svg 파일:DL E&C 로고.svg파일:DL E&C 로고 화이트.svg 파일:GS건설 로고.svg파일:GS건설 로고 화이트.svg
파일:현대엔지니어링 로고.svg 파일:포스코이앤씨 CI.svg파일:포스코이앤씨 흰색 CI.svg 파일:롯데건설 로고.svg 파일:SK에코플랜트 로고.svg 파일:HDC 현대산업개발 CI.svg
파일:한화 건설부문 로고.svg파일:한화 건설부문 로고_White.svg 파일:호반건설 CI.svg 파일:DL건설 CI.svg 파일:두산에너빌리티 CI.png파일:두산에너빌리티 CI.png 파일:계룡건설산업 CI.svg파일:계룡건설산업 CI 화이트.svg
파일:서희건설 로고.svg 파일:제일건설(주) CI.svg파일:제일건설(주) CI 화이트.svg 파일:코오롱글로벌 로고.svg 파일:태영건설 로고.svg 파일:KCC건설 로고.svg파일:KCC건설 로고 화이트.svg
파일:우미건설 로고.svg 파일:대방건설 CI.svg파일:대방건설 CI 화이트.svg 파일:쌍용건설 로고.svg파일:쌍용건설 로고 화이트.svg 파일:금호건설 CI.svg 파일:두산건설 CI.svg
파일:한신공영 로고_상하.svg 파일:Hyosung Heavy Industries Logo KR.png 파일:동부건설 로고.svg 파일:HL디앤아이한라 영문 로고.svg파일:HL디앤아이한라 영문 로고 화이트.svg 파일:반도건설 로고.svg파일:반도건설 로고 화이트.svg
}}}
||<-3><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fff><color=#fff,#000> 도급순위가 산정되지 않는 공기업 ||
파일:한국토지주택공사 CI.svg 파일:서울주택도시공사 로고.svg 파일:경기주택도시공사 로고.svg
※ 본 틀은 매년 도급 순위(=시공능력평가순위) 상위 30개 건설사를 등재한다. 매년 순위는 당해 8월 1일에 발표해 이듬해 7월 말까지 적용하며 이곳에서 확인 가능하다. 단, LH와 SH, GH는 순위에 포함되지 않으나 인지도를 고려해 본 틀에 등재한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px -10px;"
순위
기업명
76 파일:한화시스템 로고.svg
한화시스템
77 파일:두산 로고.svg
두산
78 파일:밥캣 로고.svg
두산밥캣
79 파일:오리온(기업) 로고.svg
오리온
80 파일:엔씨소프트 로고.svg
엔씨소프트
81 파일:SKC 로고.svg
SKC
82 파일:한국투자금융지주 로고.svg
한국투자금융지주
83 파일:SK바이오사이언스 로고.svg
SK바이오사이언스
84 파일:삼성증권 로고.svg
삼성증권
85 파일:CJ제일제당 로고.svg
CJ제일제당
86 파일:LG이노텍 로고.svg
LG이노텍
87 파일:시프트업 로고.svg파일:시프트업 로고(화이트).svg
시프트업
88 파일:효성중공업 신로고.svg
효성중공업
89 파일:GS그룹 로고.svg
GS
90 파일:한미약품 CI.svg
한미약품
91 파일:카카오페이 BI.svg
카카오페이
92 파일:현대오토에버 로고.svg
현대오토에버
93 파일:강원랜드 로고.svg
강원랜드
94 파일:두산 로고.svg
두산로보틱스
95 파일:BNK금융지주 로고.svg
BNK금융지주
96 파일:삼성E&A 로고.svg
삼성E&A
97 파일:한국가스공사 로고.svg
한국가스공사
98 파일:JB금융지주 로고.svg
JB금융지주
99 파일:LS그룹 로고.svg
LS
100 파일:키움증권 로고.svg
키움증권
◀ 코스피 상위 51위~75위
▶ 코스피 상위 101위~125위
}}}}}}}}} ||
<colbgcolor=#2E008B><colcolor=#fff> 효성중공업
Hyosung Heavy Industries
파일:Hyosung Heavy Industries Logo KR.png
파일:Hyosung Heavy Industries Logo EN.png
정식 명칭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영문 명칭 Hyosung Heavy Industries Corporation
업종명 변압기 제조업, 건설업
아파트
브랜드
해링턴 플레이스
기업규모 대기업
상장여부 상장기업
상장시장 코스피
종목코드 298040
도급순위 27위(2025)
소재지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19 (공덕동)
대표자 우태희
모기업 효성그룹
시가 총액 11조 4,599억원(2025년 8월 28일 기준)[1]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모기업3. 역사
3.1. 한영공업 시기 (1962~1977)3.2. 효성중공업 초기(1978~1999)3.3. 효성의 글로벌 진출 (2000~)
4. 시공능력평가 순위5. 사업 영역 및 주요 제품
5.1. 전력 솔루션5.2. 기전 솔루션5.3. 친환경 솔루션5.4. 건설 사업

1. 개요

효성중공업은 대한민국의 중공업 기업이다. 변압기 제조업과 건설업을 주요 업종으로 하며, 친환경 전력설비, 전력망 안정화 솔루션, 수소 에너지, 신재생 에너지, 디지털 솔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2. 모기업

효성중공업의 모기업은 효성그룹이다.

3. 역사

3.1. 한영공업 시기 (1962~1977)

효성중공업의 출발은 1962년 5월 한영공업주식회사의 설립에서 비롯된다.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는 국내 인프라와 중공업 확충이 시급하던 상황에서 이병철의 건의를 받아들여 잡아들인 부정축재 기업인들로 하여금 이러한 것들을 건설하는 정책을 취했다. 대한제분이한원에게 맡겨진 것이 전력 분야였고 한영공업을 설립해 기술 도입과 개발을 통해 성장을 도모했다. 1969년 12월, 국내 최초로 154kV 초고압 변압기 제작에 성공하면서 기술력을 입증하기 시작했다. 이후 1975년, 효성의 창업주인 조홍제 회장의 장남 조석래가 사장으로 취임하며 한영공업을 인수하게 된다. 이를 기점으로 회사의 발전 속도는 가속화되었다. 1977년, 당시 첨단 기술이었던 362kV 가스 차단기(GCB)를 개발하는 데 성공하였고, 창원공장을 준공하며 생산 기지를 확장했다. 같은 해 11월, 회사명을 효성중공업으로 변경하며 효성의 중공업 사업군이 본격적으로 출범하게 되었다.

3.2. 효성중공업 초기(1978~1999)

1978년, 효성중공업은 국내 최초로 345kV급 초대형 변압기를 개발했으며, 발전소용 주변압기인 345kV 3상 47만 5,000kVA를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국내 전력산업의 자립화를 앞당긴 중요한 성과였다.

1980년에는 쌍용전기와 코오롱종합전기를 흡수·통합하면서 154kV급 이상 변압기 및 차단기 생산에서 독점적 지위를 확보했다. 이어 1982년, 국내 최초로 원자력 발전소용 345kV 초고압 3상 변압기 제작에 성공하며 중공업 기술력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이 시기 전동기 사업도 급성장하여 1985년, 전동기 생산량이 100만 대를 돌파했다.

1990년대에는 초고압 변압기 기술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1992년, 국내 최초로 765kV 초고압 변압기 개발에 성공했으며, 1994년에는 산업용 전동기 생산량이 300만 대를 돌파했다. 특히 1998년, 세계에서 세 번째로 UHV급 가스절연개폐장치(GIS)를 개발하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기술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이어 1999년, 세계 최초로 2점절 차단기를 채택한 800kV 50kA 8000A GIS를 개발하는 데 성공하며 중전기기 분야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했다.

3.3. 효성의 글로벌 진출 (2000~)

2000년대 초반, 효성중공업은 GIS 기술을 세계적으로 상용화하면서 기술 선두주자로 자리 잡았다. 이후 2018년, 효성그룹의 사업 재편 과정에서 효성중공업이 분사되며 독립 경영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2020년,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에 초고압 변압기 공장을 설립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했다. 같은 해 강원도 삼척에 국내 첫 액화수소 충전소를 설립하며 친환경 에너지 사업에도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2021년, 창원공장의 초고압변압기, 차단기, STATCOM 시험실이 국제공인시험기관(KOLAS) 인증을 획득하며 기술 신뢰성을 확보했다. 2022년, 남아공에 대규모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BESS)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고, 2023년에는 유럽 R&D 센터를 설립하며 글로벌 연구개발 네트워크를 강화했다. 같은 해, 이니오 옌바허와의 협력으로 수소엔진 발전기 실증 사업 MOA를 체결하며 수소 기반 에너지 기술 개발을 주도했다.

2024년 7월, 효성중공업은 세계 최초로 100% 수소엔진 발전기 상용화에 성공하며 지속가능 에너지 혁신 기업으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2025년 8월 전세계적인 전력 수요 폭증과 이에 맞물린 전력설비투자로 변압기 수요가 폭증하는 가운데 몇 년 동안 꾸준한 해외 시장 개척과 공장 확장 및 인수는 그야말로 대박을 터트렸고 이에 호응해 시가총액도 무려 11조원으로 코스피 상위 50위에 진입했다. 11조원은 모기업인 효성그룹의 시가총액 1조 4천억원을 압도적으로 상회하며 효성 내 다른 계열사의 시가총액을 합쳐도 효성중공업이 더 클 가능성이 높다.

4. 시공능력평가 순위

<rowcolor=#fff> 연도 시공능력평가 순위
<colcolor=#fff><colbgcolor=#2E008B> 1999년 <colbgcolor=#fff,#1c1d1f> 85위
2001년 83위
2002년 70위
2003년 72위
2004년 64위
2005년 68위
2006년 97위
2007년 75위
2008년 96위
2009년 89위
2010년 86위
2011년 79위
2012년 65위
2013년 47위
2014년 42위
2015년 34위
2016년 29위
2017년 30위
2018년 38위
2019년 22위
2020년 24위
2021년 33위
2022년 38위
2023년 41위
2024년 39위
2025년 27위

5. 사업 영역 및 주요 제품

5.1. 전력 솔루션

국내 송배전 사업 부문의 누적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초고압변압기, 초고압차단기, 전장품 등 전력설비를 생산하며, 전력설비의 엔지니어링, 설계, 제작, 설치, 시험 및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한다.
주요 제품으로는 전력설비(초고압변압기, 배전변압기, 분로리액터, 초고압차단기, 배전반, 모바일변전소), 전력시스템(STATCOM, DC송배전시스템, ESS, 마이크로그리드, 태양광 솔루션), 디지털 솔루션(전력설비 자산관리 솔루션, 예방진단시스템), 웰딩 솔루션(아크용접기, 저항용접기) 등이 있다.

5.2. 기전 솔루션

국내 전동기 생산 1위 기업이다. 저압 중소형 전동기부터 고압 초대형 전동기, 슈퍼 프리미엄 효율 전동기, BLDC 전동기, 원자력 발전소용 Q-Class 전동기를 생산한다.
발전기 부문에서는 선박용, 스팀터빈용, 수차터빈용 발전 시스템과 연료봉 제어용 MG-Set을 생산하여 해외 원자력발전소에도 수출하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전동기 & 발전기(고압전동기, 저압전동기, DC 전동기, 특수전동기, 상용발전기), 산업기계 시스템(화학장치, 가스충전소), 기어 솔루션(기어박스, 기어드모터) 등이 있다.

5.3. 친환경 솔루션

친환경 전력설비, 전력망 안정화 솔루션, 수소 에너지, 신재생 에너지, 디지털 솔루션 등을 제공한다.

5.4. 건설 사업

1959년 설립된 진흥기업을 통해 건축사업, SOC사업, 주택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효성 해링턴 플레이스' 브랜드로 주거용 건물을 건설하고 있다.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