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20:06:11

동양고등학교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 서울특별시 강서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경복비즈니스고등학교 경복여자고등학교 공항고등학교 대일고등학교
덕원여자고등학교 덕원예술고등학교 동양고등학교 등촌고등학교
마포고등학교 명덕고등학교 명덕여자고등학교 명덕외국어고등학교
서울디지털콘텐츠고등학교 서울백영고등학교 서울신정고등학교 세현고등학교
수명고등학교 영등포공업고등학교 영일고등학교 한광고등학교
한서고등학교 화곡고등학교 화곡보건경영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동양미래대학교 심볼.svg 학교법인 동양학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중학교 고등학교 전문대학
동양중학교 동양고등학교 동양미래대학교
}}}}}}}}} ||


동양고등학교
東洋高等學校
Dongyang High School
파일:동양미래대학교 심볼.svg
파일:동양고 로고.png
개교 1953년 5월 19일
운영형태 사립
학교 법인 동양학원
유형 일반계 고등학교
성별 남자고등학교
교훈 성실(誠實) 근검(勤儉) 박애(博愛)
교장 윤홍규
교감 박범수
학생 수 470명[기준]
관할청 서울특별시교육청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허준로 50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리로스쿨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시설3.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3.1. 지하철3.2. 버스
4. 출신 인물5. 여담

1. 개요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위치한 남자고등학교이다. 1999년에 강서구로 이전했다. 원래 공업고등학교였는데 2010년 인문계 고등학교로 전환하였다.

이후 2011년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로 지정됐으나 첫해 280명 모집에 99명만이 모집되었다. 그리고 여러 논란 끝에 2012년 학생 부족으로 인해 자사고 지정이 취소되었다.#[2]

AI 중점고로 선정되었다.

2. 시설

  • 교실
    • 교실에 선풍기가 없다.
    • 모든 교실에 LG 공기청정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칠판이 화이트보드이고, 빔 프로젝터가 설치되어 있어 수업 시간에 요긴하게 쓰인다.
  • 일부 교실[3]에는 전자칠판이 설치되어있다.
  • 화장실
    • 화장실 실내 자체는 깔끔하게 잘 되어있지만 휴지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일부 학생들은 개인 휴지를 가지고 다니거나 빌려서 쓴다.
  • 홈베이스
    • 미국 고등학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물함이다. 교과서를 이곳에 넣고 다니는 학생들은 반 정도이고, 나머지 반은 책상 서랍에 교과서 등 개인 물품을 보관한다. 홈베이스는 축구화, 귀중품, 미술이나 음악 교과서같이 많이 쓰지 않는 교과서를 보관하는데 쓰인다. 자물쇠도 걸 수 있다.
    •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잠시 사용을 금지했으나 현재 다시 제한이 풀렸다.
    • 홈베이스 구역마다 CCTV가 존재한다. 예전에는 입구 양쪽에 두 개가 달려있었는데, 사각지대가 존재한건지 입구 쪽 하나와 창문 쪽 하나로 이동했다.
    • 2022년 기준 사물함이 교실 안으로 들어왔다. 홈베이스의 추후 사용 용도는 불문.
    • 도서관으로 리뉴얼 되었다.
  • 도서관
    • 매 학기 말마다 신청받은 도서를 구입한다.
    • 컴퓨터가 5대 설치되어 있다.
    • 확장이 2023년에 완료되었다.
  • 자습실
    • 칸막이 형식이며 스탠드가 설치되어 있다. 위에는 보관함이 붙어있어서 가방이나 책을 넣어둘 수 있다.[4] 학생 수가 워낙 적은 학교이다 보니 자습실에 학생들이 다 들어가도 자리가 남는 다.원래는 학년별로 나뉘어 있었으나, 2층 자습실은 1학년과 2학년이 4층 자습실은 3학년[5]이 쓴다.
    • 야자 1교시는 18시~19시30분, 2교시는 19시40분~21시, 3교시는 21시20분~23시이다.
    • 야자 1,2교시는 매일 선생님이 바뀌어 감독하시고, 3교시는 졸업하신 선배님께서 알바로 오신다. 또한, 3교시에는 모두 4층 자습실로 이동하여야 한다.
    • 수요일은 공식적으로 야자가 없으나, 자율적으로 4층 자습실을 이용할 수 있다.
    • 야자를 일정시간[6]이상 할 경우, 생활기록부에 기재된다.
  • 강당
    • 양 옆으로 스피커 여러 대가 설치되어 있지만, 접지를 안한 탓인지 잡음이 매우 심해서 실제 교육 시에는 따로 앰프를 가져와서 튼다.
    • 강당 또한 낡았고, 크기도 작다. 특히 높이가 매우 낮다. 지하 1층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강당 내부에서 천장을 바라보면 천장에 사면체 모양의 창문이 있는데, 학교 1층 내부의 정원에 솟아있는 구조물이 이것이다.
    • 방송용 카메라가 천장에 하나 달려 있다.
  • 운동장
    • 운동장이 고등학교 운동장이라고 말하기엔 너무나 작다. 100평이 조금 안 되는 넓이에(65X50) 대각선 길이가 80미터 정도 된다. 최고급 인조잔디가 설치되어 있다.[7]
    • 운동장이 동네에서 설탕공장이라 불리고, 강서구 준공업단지의 대명사인 CJ제일제당 바이오연구소와 붙어 있다. 매우 가끔씩 공이 넘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곳에 들어가려면 빙 돌아서 출입증을 끊고 들어가서 꺼내야 하는 등 귀찮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 컴퓨터실
    • 컴퓨터는 나쁘지 않으나, 인터넷 속도가 매우 느렸다, 30대가 넘는 컴퓨터를 낡은 공유기 두 개가 무선으로 수용하려다가 이렇게 된 듯. 2017년도부터는 모두 유선으로 깔고 SSD로 바꿔서 빨라졌다.
    • 컴퓨터를 재부팅하면 설치했던 브라우저나 파일 등이 날아간다. 하지만 D드라이브에 저장하면 삭제되지 않는다.
    • USB인식이 안 되는 컴퓨터가 있으니 주의하자.
  • AI실
    • 1~3실까지 있으며 1실은 주로 프로그래밍 수업, 3실은 독서수업에 쓰인다.
    • 노트북이 LG GRAM과 삼성이 비치되어 있다.
    • CAD,교과,특별 수업이 여기서 진행되기도 한다.
  • 자전거 주차대
    • 공공시설(도서관, 지하철역 등)에 있는 그러한 자전거 주차대와 같은 것이다. 하지만 특이하게도 강서구가 관리하지는 않으므로 주의하자. CCTV가 하나 있다. 보통 학생들은 북쪽 자전거 주차대를 많이 쓰지만 서쪽에도 자전거를 댈 수 있는 공간이 있다. 비가 올 것 같으면 여기다 주차하자.
  • 동양 쉼터
    • 학생들이 창작한 작품을 전시하겠다는 목적이 있었지만 이를 실행하지 못하고 몇 년 동안 방치되었던 시설이다. 2018년 여름방학 때 폐쇄하고 새로 공사를 하고 있다. 현재는 소파와 입시 자료가 꽂혀 있는 책장 등이 있는 학습 카페로 변했다.
    • 라면국물 등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수 있는 공간이 있으며, 2025학년도로 당선된 학생회장이 전자레인지를 구비하겠다는 공약을 걸어,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 다리
    • 학교가 전체적으로 ㄷ자 모양을 하고 있는데, 2층과 3층 북쪽에 뚫린 부분을 이어주는 다리가 2개 있다. 비가 오면 2층 다리는 3층 다리가 비를 막아서 빗물이 고이는 정도로 끝나지만, 3층 다리는 지붕이 따로 없어서 이용이 불가능하다.
    • 아파트 사이로 북한산덕은지구가 보인다.
  • 라디에이터
    • 거의 대부분의 교실에 라디에이터가 두 세개씩 설치되어 있다. 한쪽 방향에만 설치돼 있으며, 당연히 겨울철에만 가동을 한다.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 시 화상을 입을 만큼 뜨거우니 주의를 요한다.
  • 보은의 길
    • 동양공업고등학교 시절 졸업생의 기부금으로 2007년 교문과 함께 조성된, 교문쪽의 짧은 산책로이다. 원래 바윗돌이 박힌 길이었는데 2018년에 공사를 하며 목재 구조물 길을 만들었다. 물론 이용하는 학생은 거의 없다. 흙이 묻지 않아 좋다는 의견이 있다. 운동장 북쪽 골대 바로 뒤에 있는 펜스를 넘기는 공이 여기에 떨어지는데, 그걸 주우러 갈 때와 졸업사진을 촬영할 때를 빼면 갈 일이 없다. 체육관을 갈 때 이용하긴 한다.

국어·수학·영어의 경우 교과별 수준별 수업을 진행한다.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성적을 기준으로 나눈다.

3.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3.1. 지하철

3.2. 버스

파일:Bus_Stop_Green.png 가양2단지성지아파트.동양고등학교
(16229·16230)
1002, 6630, 6631, 6642[A], 6645[A], 6657[편도]

4. 출신 인물

5. 여담

  • 동양공고, 동양공전은 동양중학교와 같이 동작구 본동에 위치하다가 부지 협소로 구로구 고척동으로 1970년에 동양공전이, 1977년에는 동양공고가 이전하였다. 1999년 동양공고는 현재의 강서구 가양동으로 다시 이전하였다. 가양동 이전 당시 주민들의 반대가 많았다.
  • 2025년 제19회 대한민국 교육산업대상을 수상하였다.
  • 원래는 와이파이가 전교에 하나로 통일되어 있었으나, 재학생의 민원으로 인하여 수십개로 쪼개졌다. 따라서 와이파이가 안 잡히는 경우가 매우 잦으니 원활한 인터넷 환경은 기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 2024학년도 학교알리미[2] 2012년에도 자사고 모집을 실시하였으나, 매우 적은 지원자 수로 인해 학교 측에서 지원을 모두 취소시키고 접수 비용을 모두 환불해준 이후 인문계로 전환되었다.[3] 주로 교과교실, AI실, 또는 1학년 교실[4] 현재는 어떤 학생이 햄버거를 넣고 깜빡하여 썩은내가 진동한 사건때문에 보관함사용을 금지한다.[5] 일부 2학년도 쓴다.[6] 200시간[7] 옆의 CJ가 건물을 지어도 된다는 승인을 조건으로 인조잔디를 깔아주겠다고 한 것이다[A] 단, 6645번과 6642번은 노선 형태가 복잡하므로 되도록 다른 버스를 이용하는 편이 낫다. 또한 6642번의 경우 양방향 중첩구간이므로 방향을 잘 봐야 한다.[A] [편도] 편방향 회차구간이므로 반대편으로는 이용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