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2 18:50:19

포스코이앤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iki
'''[[대한민국|{{{#000,#000 대한민국}}}]] [[시공능력평가|{{{#000,#000 시공능력평가순위}}}]] [[틀:대한민국 상위 30대 건설사|{{{#000,#000 상위 30대}}}]] [[건설사|{{{#000,#000 건설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삼성물산 로고.svg
파일:현대건설 국문 로고.svg파일:현대건설 국문 로고 화이트.svg
파일:대우건설 CI.svg
파일:DL E&C 로고.svg파일:DL E&C 로고 화이트.svg
파일:GS건설 로고.svg파일:GS건설 로고 화이트.svg
1위 2위 3위 4위 5위
파일:현대엔지니어링 로고.svg
파일:포스코이앤씨 CI.svg파일:포스코이앤씨 흰색 CI.svg
파일:롯데건설 로고.svg
파일:SK에코플랜트 로고.svg
파일:HDC 현대산업개발 CI.svg
6위 7위 8위 9위 10위
파일:한화 건설부문 로고.svg파일:한화 건설부문 로고_White.svg
파일:호반건설 CI.svg
파일:DL건설 CI.svg
파일:두산에너빌리티 CI.png파일:두산에너빌리티 CI.png
파일:계룡건설산업 CI.svg파일:계룡건설산업 CI 화이트.svg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파일:서희건설 로고.svg
파일:제일건설(주) CI.svg파일:제일건설(주) CI 화이트.svg
파일:코오롱글로벌 로고.svg
파일:태영건설 로고.svg
파일:KCC건설 로고.svg파일:KCC건설 로고 화이트.svg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파일:우미건설 로고.svg
파일:대방건설 CI.svg파일:대방건설 CI 화이트.svg
파일:쌍용건설 로고.svg파일:쌍용건설 로고 화이트.svg
파일:금호건설 CI.svg
파일:두산건설 CI.svg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파일:한신공영 로고_상하.svg
파일:Hyosung Heavy Industries Logo KR.png
파일:동부건설 로고.svg
파일:HL디앤아이한라 영문 로고.svg파일:HL디앤아이한라 영문 로고 화이트.svg
파일:반도건설 로고.svg파일:반도건설 로고 화이트.svg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6> ※ 본 틀은 매년 도급 순위(=시공능력평가순위) 상위 30개 건설사를 등재한다. 매년 순위는 당해 8월 1일에 발표해 이듬해 7월 말까지 적용하며 이곳에서 확인 가능하다. ||
}}}}}} ||

파일:포스코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5507D><colcolor=#fff> 계열사
지주 회사 포스코홀딩스
철강 포스코 | 포스코스틸리온 | SNNC | 포스코엠텍 | 엔투비 | 포스코휴먼스 | 포스코IH | PNR
이차전지소재
포스코퓨처엠 | 포스코MC머티리얼즈 |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 | 포스코HY클린메탈 | 피엔오케미칼 | 포스코리튬솔루션 | 포스코실리콘솔루션
친환경 인프라
포스코인터내셔널 | 포스코이앤씨 (더샵 · 오티에르) | 포스코DX | 포스코플로우 |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 포스코와이드 | 포스코A&C
비영리 및 지원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포스코경영연구원 | 포스코인재창조원 | 포항공과대학교 | 포스코청암재단 | 포스웰 | 포스코교육재단 | 포스코기술대학 | 포스코1%나눔재단 | 포스코미소금융재단 | 포스코새마을금고 | 철강융합신기술연구조합
기타 우이신설경전철 | 넥스트레인 | 포레카 | 포항제철소선 | 광양제철소선 | 포천화도고속도로 | 서부내륙고속도로 | 포스코에너지 | 포스틸 야구단 | 포스코센터 | 포스코타워-송도 | 포스코글로벌센터 | 금세기빌딩 | 포스코타워-역삼 | 포스코타워-삼성
스포츠단
포항 스틸러스 | 전남 드래곤즈 | 포스코건설 럭비단 | 포스코건설 체조단 | 포스코인터내셔널 여자 탁구단 | 포스코퓨처엠 바둑단
}}}}}}}}} ||
<colbgcolor=#05507d><colcolor=#fff> 주식회사 포스코이앤씨
POSCO Eco & Challenge Co., Ltd.
파일:포스코이앤씨 CI.svg파일:포스코이앤씨 흰색 CI.svg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일 1982년 2월 2일 ([age(1982-02-02)]주년)
제철정비주식회사
업종명 건설업
규모 대기업
상장 여부 비상장 기업[1]
브랜드 더샵, 오티에르
대표이사 송치영
매출액 9조 4,687억원 (2024.12.31.)
영업이익 618억원 (2024.12.31.)
당기순이익 510억원 (2024.12.31.)
임직원수 5,897명 (2024.12.31.)
도급 순위 7위 (2025)
모회사 포스코홀딩스
자회사 삼척블루파워
포스코A&C
에스피에이치
송도개발피엠씨
우이신설경전철
게일인터내셔널코리아
소재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중흥로 307[2]
인천광역시 연수구 인천타워대로 241[3]
웹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 Web Brochure

1. 개요2. 역사
2.1. 연혁2.2. 역대 대표이사 사장2.3. 상세
3. 지배 구조4. 시공능력평가 순위
4.1. 대표 시공사례
5. 논란 및 사건 사고
5.1.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도로 붕괴 사고5.2. 2025년 이재명 대통령의 면허 취소 검토
6. 포스코이앤씨 스포츠단7. 둘러보기

1. 개요

<nopad> 파일:포스코건설 송도사옥.jpg
인천 송도에 위치한 포스코이앤씨 사옥
포스코그룹의 자회사인 건설사. 등기상 본사는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중흥로 307로 되어 있지만 실제 본사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인천타워대로 241 (송도동)에 있다.[4] 2010년 강남역 대륭서초타워에서 인천광역시 송도국제도시로 사옥을 이전했다.[5]

2. 역사

2.1. 연혁

  • 1982.02.02. 제철정비주식회사 설립 / 본점: 경상북도 포항시 동촌동 5번지
  • 1985.09.20. 상호를 제철정비철구공업주식회사로 변경
  • 1987.05.11. 주식회사 하산건업사 흡수합병
  • 1987.06.01. 제철토건정비주식회사 흡수합병
  • 1987.07.31. 포항제철 광양제철소 기계정비부문을 제철설비㈜에 양도
  • 1990.01.03. 본점을 경상북도 포항시 장흥동 322-1로 이전
  • 1991.05.15. 포항제철 제철소 설비 정비부문을 제철정비㈜에 양도
  • 1991.08.26. 상호를 거양개발주식회사로 변경 / 본점: 경상북도 포항시 죽도2동 51-7
  • 1994.11.15. 상호를 포스코개발주식회사로 변경
  • 1994.12.01. 사업목적에 각종 시설·설비 설계, 설치 및 판매 등 추가
  • 1994.12.01. 포스코엔지니어링주식회사(PEC) 흡수합병
  • 1994.12.16. 본점을 경상북도 포항시 괴동동 568-1로 이전
  • 1995.01.10.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본점 주소 수정 (남구 괴동동 568-1)
  • 1995.09.29. 엔지니어링 및 건설 조사·연구개발·컨설팅 사업 추가
  • 1996.03.18. 에너지관리 진단업, 시설물 안전 진단업 추가
  • 1997.02.27. 전산소프트웨어 개발·복제 판매사업 추가
  • 1998.03.30. 측량업 추가
  • 1998.08.28. 상가·콘도미니엄 및 일반 건축물 분양·임대·관리업 추가
  • 2000.03.20. 토목건축공사업, 조경공사업, 전기공사업, 주택건설업 등 다수 사업 추가
  • 2002.02.22. 상호를 주식회사 포스코건설로 변경과 함께 아파트 브랜드 더샵 (the # - THE SHARP) 론칭
  • 2005.03.11. 전산소프트웨어 개발·복제 판매사업 제외
  • 2007.03.05. 환경시설 운영 및 관리사업 추가
  • 2008.02.26. 자원 및 에너지 개발사업 추가
  • 2009.03.02. 신재생 에너지 사업 추가
  • 2010.03.02. 준설공사업, 군 공사 및 미군(FED) 발주사업 추가
  • 2011.01. 토양정화업 면허 취득
  • 2011.02.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올스타 선정
  • 2011.03.02. 토양정화업 사업 추가
  • 2011.06. 브라질 법인 설립
  • 2011.07. 국내 시공능력 평가 4위 기록 (최단기간 5대 건설사 진입)
  • 2011.09. 훈춘법인 설립
  • 2012.01. CCM(소비자중심경영) 인증 획득
  • 2012.05. 동반성장지수 "양호 등급" 획득
  • 2012.06.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 2012.09. 포브스코리아 사회공헌대상 글로벌공헌 부문 2년 연속 수상
  • 2012.10. 북경포스코센터법인 설립
  • 2013.07.31. 포스코엔지니어링(구 ㈜대우엔지니어링)에 화공사업부 일부 양도
  • 2013.11.30. ㈜뉴파워텍 흡수합병
  • 2014.06. 동반성장지수 "우수 등급" 3년 연속 획득
  • 2014.07. 인천 송도 포스코타워(305m, 68층) 준공
  • 2015.06. 사우디 PIF-포스코그룹 JV 설립 계약 체결
  • 2015.09. 사우디 PIF 유상증자 납입 및 해운대 LCT 복합개발사업 계약
  • 2016.02. 이란 PKP FINEX&CEM 제철소 프로젝트 MOA 서명
  • 2016.06. 폴란드 Krakow 폐기물발전사업 무재해 준공 (동유럽 첫 프로젝트)
  • 2017.02.21. 포스코엔지니어링 흡수합병
  • 2018.08. ISO45001(안전보건경영) 인증 획득 (국내 최초)
  • 2019.10.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자회사 편입
  • 2019.11. 해운대 엘시티 준공 (412m, 101층)
  • 2020.07. 여의도 파크원 준공 (318m, 69층)
  • 2020.10. 대한민국 지속가능성대회 건설업 부문 1위 (3년 연속)
  • 2021.03.15. 브랜드·상표권 등 지적재산권 라이선스업 추가
  • 2021.12. 개포우성9차 리모델링(개포 더샵 트리에) 준공 (첫 리모델링사업)
  • 2022.03.02. 최대주주 상호 ㈜포스코 → 포스코홀딩스㈜ 변경
  • 2022.03.21. 사내이사 송치영, 제은철 / 기타비상무이사 전중선 선임
  • 2022.07. 하이엔드 주거 브랜드 ‘오티에르(HAUTERRE)’ 론칭
  • 2022.08. 시공능력평가 4위 기록(2년 연속)
  • 2022.11. 대한민국 지속가능성 대회 보고서상 2년 연속 수상
  • 2023.01.01. 본점을 포항시 북구 중흥로 307(죽도동)으로 이전
  • 2023.03.20. 상호를 주식회사 포스코이앤씨로 변경
  • 2024.03. CDP Korea Awards 탄소경영섹터 아너스 수상
  • 2024.03.25. 원자력이용시설 및 온실가스배출권 거래업 추가
  • 2024.05. 브랜드 고객충성도 아파트 부문 1위 (8년 연속)
  • 2024.06. 소비자웰빙환경만족지수(KS-WEI) 1위 (5년 연속)
  • 2024.09. 콜센터품질지수(KS-CQI) 아파트 부문 1위 (4년 연속)
  • 2024.10. 동반성장지수 평가 최우수 명예기업 선정 (3년 연속)
  • 2024.10. 스마트건설기업지수 최고등급(AA) 획득
  • 2024.11. CES 2025 로봇분야 혁신상 수상 (콘크리트 시공이음부 로봇)
  • 2024.11. 공정거래자율준수프로그램 AAA(최우수) 2년 연속 획득
  • 2024.11. 세계 조경가 협회(IFLA) 최우수상 수상
  • 2024.11. 한국품질만족지수(KS-QEI) 아파트 부문 1위 (15년 연속)
  • 2025.03.28. 대표이사 정희민 선임, 사내이사 김상용 선임

2.2. 역대 대표이사 사장

  • 정준양 (2008 ~ 2009)[6]
  • 윤석만 (2009 ~ 2010)[7]
  • 정동화 (2009 ~ 2014)[8]
  • 유광재 (2012 ~ 2014)
  • 황태현 (2014 ~ 2016)
  • 한찬건 (2016 ~ 2018)
  • 이영훈 (2018 ~ 2019)
  • 한성희 (2019 ~ 2024)
  • 전중선 (2024)
  • 정희민 (2025)
  • 송치영 (2025)

2.3. 상세

거양개발, 포스코엔지니어링, 포항종합제철 건설본부 및 엔지니어링본부가 합쳐 1994년 12월 1일 창립했다.

포스코그룹의 제철소 플랜트(포항/광양제철소, 인도네시아 일관제철소) 및 다국적 기업의 일관제철소[9], 태양광 발전소, 태양열 발전소 등의 대규모 플랜트를 건설하기도 했다. 전라선 복선전철화 사업, 수도권 전철 경의선, 수도권 전철 중앙선, 인천국제공항철도, 부산김해경전철 건설 등 철도 건설에도 상당히 적극적으로 나서는 편이다.

사세 확장을 위해 신도시 건설에도 뛰어들어, 송도국제도시동탄신도시를 직접 건설하기도 했다. 송도국제도시의 건설을 위해 본사 주소는 포항이지만 실제 본사의 기능을 하는 서울사무소를 아예 2010년에 강남역에서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로 옮기기까지 했다. 이 공로로 인천교통공사한테서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센트럴파크역의 부역명을 수여받기도 했다. 결국 2007년 실질적으로 포항에서 송도로 본사를 이전해버린 포스코건설의 행태에 열받은 포항시에서 감사까지 벌였지만 흐지부지 되어버렸다.

송도국제도시 건설 때 미분양으로 상당히 고생을 했는데, 송일국과 그 가족들이 여기에 이사를 오고,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통해 송도가 알려지면서 미분양이 크게 줄어 그 공로로 결국 삼둥이광고모델로 발탁했다. 더샵 퍼스트월드, 더샵 센트럴파크 1차, 더샵 센트럴파크 2차, 더샵 그린애비뉴, 더샵 그린워크, 더샵 엑스포아파트, 더샵 퍼스트 파크, 더샵 센트럴시티, 포스코 패밀리 직원아파트, 더샵 센토피아 등 송도에서 연이어 아파트와 오피스텔을 분양했다. 또한 2018년 5월 광교 호수공원 인근에 광교 더샵 레이크시티를 분양했다.

주식시장 상장을 위해 기업공개를 추진한 적도 있는데, 금융위기 때문에 무산되었다. 2012년에 다시 기업공개를 하려고 했으나 포스코특수강[10]이 기업공개를 철회하는 바람에 포스코특수강 이후에 추진하려던 포스코건설 상장은 다시 무산되었다.

2016년 2월에 한찬건 대우인터내셔널 부사장이 포스코건설 사장으로 이동했다. 관련 기사

2016년 11월 23일, 자회사인 포스코엔지니어링을 흡수 합병하기로 했다고 공시했다.관련기사

포스코이앤씨 송도 쌍둥이빌딩 사옥 중 한 개의 동만 사용하고 있었는데 포스코엔지니어링 직원들이 포스코건설로 소속이 변경되면서 비어있던 나머지 한 동에 입주했다.

본사를 포항에서 인천으로 이전하려 했으나, 백지화했다.관련기사[11]

2016년부영주택송도국제도시 포스코건설 사옥을 매각하고 5년간 책임임차 단계에 들어섰다. 부영그룹이 태평로삼성생명 빌딩, 을지로삼성화재 빌딩에 이어서 재벌그룹 본사 사옥을 인수한 것은 세번째이다. 부영그룹은 포스코이앤씨 본사 사옥의 공실률이 40% 이상임에 따라 임대료를 낮추고, 부영그룹 본사를 이곳으로 입주하는 것을 검토중이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센트럴파크역 부역명이 포스코이앤씨에서 부영건설으로 교체되는 날이 머지 않았다.

여의도 파크원 공사를 수주하였다.기사

해운대 엘시티, 포스코타워-송도, 행정도시 정부청사 1단계, SPC양재동사옥, 포스코이앤씨 송도사옥, 송도컨벤시아, 광명뉴타운 1R구역 광명 자이더샵포레나, 개포우성9차를 리모델링한 개포 더샵 트리에, 롯데호텔 양곤[12] 등을 시공하였다.

마천루 건설에 강점을 보이고 있다. 300m 이상 한국 마천루 7개 중 5개[13]나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했다. 경기도의 마천루인 메타폴리스도 신동아건설과 같이 시공했다.

2022년 기준 통화연결음으로 포스코이앤씨(옛 포스코건설) 전속모델인 김수현의 나레이션이 나온다. 배경 음악은 헤이 쥬드이다.

포스코건설과 동물자유연대가 전국에 고양이 급식소 50개를 보급했다.#
파일:포스코건설 로고.svg파일:포스코건설 로고 화이트.svg 파일:포스코이앤씨 CI.svg파일:포스코이앤씨 흰색 CI.svg
포스코건설 CI 포스코이앤씨 CI
2023년 3월 20일 사명을 기존 포스코건설에서 포스코이앤씨로 교체했다.

최근에 눈여겨볼 만한 점은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에 가장 힘을 많이 쏟고 있는 회사라는 것이다. 국내최초 수직증축 리모델링국내최초 별동증축 리모델링이 포스코의 손에서 탄생했으며, 본격적으로 시장에 진출했던 2014년부터 수주받은 현장이 현재 40곳을 넘어섰고 2023년에는 리모델링으로만 수주한 금액이 2조원을 넘어서면서 국내 리모델링 시장에서 포스코의 영향력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3. 지배 구조

2025년 8월 기준 주주 구성은 다음과 같다.
<rowcolor=#fff> 주주명 지분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스코홀딩스 52.8%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The Saudi Asian Investment Company[14] 38.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항공과대학교 2.1%

4. 시공능력평가 순위

<rowcolor=#fff> 연도 시공능력평가 순위
<colcolor=#fff><colbgcolor=#05507d> 1994년 <colbgcolor=#ffffff,#1c1d1f> 37위
1995년 23위
1996년 12위
1997년 7위
1998년 10위
1999년 9위
2000년 9위
2001년 13위
2002년 7위
2003년 7위
2004년 7위
2005년 7위
2006년 7위
2007년 6위
2008년 6위
2009년 6위
2010년 6위
2011년 4위
2012년 5위
2013년 5위
2014년 3위
2015년 4위
2016년 3위
2017년 5위
2018년 7위
2019년 6위
2020년 5위
2021년 4위
2022년 4위
2023년 7위
2024년 7위
2025년 7위

4.1. 대표 시공사례

5. 논란 및 사건 사고

포스코이앤씨 직원이 2022년 12월 공사현장 부근에서 외부 감리를 폭행해 사망시켰다.# #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2024년 10월 국회 국정감사장에서 이 사건에 대해 "두 사람의 사적 문제다. 술에 취해 발생한 우발적 사고였다"고 밝혔지만, 실제 판결문에는 "우발적 사건인지 의심스럽다"는 법관의 평가가 그대로 남아있었다.
수원지방법원 제14형사부(재판장 고권홍)는 1심 판결문에서 "자신의 폭행으로 의식을 잃고 아무런 저항을 하지 못하는 피해자의 머리 부분을 발로 걷어차는 등의 방법으로 재차 공격했다"며 "위 행동을 피고인이 술에 취한 상태에서 우발적으로 저지른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의문이 든다"고 적었다. #

5.1.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도로 붕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도로 붕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도로 붕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도로 붕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2025년 이재명 대통령의 면허 취소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2025년 7월 29일 국무회의에서 2025년에만 5명이 산재사망한 회사로 지목하고 직접 방문의사를 밝혔다. 직후 대표이사와 임원단은 공식 사과를 하고, 철저한 안전점검이 끝날때까지 작업을 진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런데 안전점검 결과 안전하다고 결론내고 작업 재개한 당일 또 감전사고로 심정지가 발생했다.[23]

해당 사고 이후, 정희민 대표이사 사장이 사임을 발표했고 포스코이앤씨 CSO(최고안전책임자)를 역임했던 송치영 포스코홀딩스 그룹안전특별진단TF팀장을 사장 직무대리로 발령냈다.

이재명 대통령은 2025년 8월 6일 포스코이앤씨에 대해 건설 면허 취소, 공공 입찰 금지 등 법률상 가능한 방안을 모두 찾아서 보고하라는 지시를 했다.

8월 7일, 포스코이앤씨가 담당하고 있는 전국 103곳에 달하는 모든 현장에서의 공사가 무기한 중단되었다.

면허취소가 현실화될 경우 신안산선등 포스코이앤씨가 시공사로 참여하고 있는 대형 사업의 지연이 예상된다고 한다.

8월 19일, 김윤덕 국토부장관이 현행법상 면허취소가 어렵다라고 밝혀 면허취소는 피해가게되었다.

8월 21일, 안전점검 끝낸 사업장부터 공사 재개를 시작했다.

6. 포스코이앤씨 스포츠단

파일:포스코 흰색 로고.svg 포스코 스포츠단
{{{#!wiki style="margin:0 -10px -5px"
{{{#05507d,#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svg 파일:포스코건설 럭비단 엠블럼.svg
포항 스틸러스 전남 드래곤즈 포스코이앤씨 럭비단
파일:포스코건설 체조단 엠블럼.svg 파일:포스코인터내셔널 여자 탁구단 로고.png 파일:22-23포스코케미칼.png 파일:포스코-02.png
포스코이앤씨 체조단 포스코인터내셔널 여자 탁구단 포스코퓨처엠 바둑단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과거 운영 스포츠단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6px -2px -12px"
파일:external/www.paepae.com/10952986543.jpg 파일:포스코특수강 로고.jpg
포스틸 야구단 포스코특수강 배드민턴단
}}}}}}}}} ||
}}}}}}}}}}}} ||


7.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iki
'''[[대한민국|{{{#000,#000 대한민국}}}]] [[시공능력평가|{{{#000,#000 시공능력평가순위}}}]] [[틀:대한민국 상위 30대 건설사|{{{#000,#000 상위 30대}}}]] [[건설사|{{{#000,#000 건설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삼성물산 로고.svg
파일:현대건설 국문 로고.svg파일:현대건설 국문 로고 화이트.svg
파일:대우건설 CI.svg
파일:DL E&C 로고.svg파일:DL E&C 로고 화이트.svg
파일:GS건설 로고.svg파일:GS건설 로고 화이트.svg
1위 2위 3위 4위 5위
파일:현대엔지니어링 로고.svg
파일:포스코이앤씨 CI.svg파일:포스코이앤씨 흰색 CI.svg
파일:롯데건설 로고.svg
파일:SK에코플랜트 로고.svg
파일:HDC 현대산업개발 CI.svg
6위 7위 8위 9위 10위
파일:한화 건설부문 로고.svg파일:한화 건설부문 로고_White.svg
파일:호반건설 CI.svg
파일:DL건설 CI.svg
파일:두산에너빌리티 CI.png파일:두산에너빌리티 CI.png
파일:계룡건설산업 CI.svg파일:계룡건설산업 CI 화이트.svg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파일:서희건설 로고.svg
파일:제일건설(주) CI.svg파일:제일건설(주) CI 화이트.svg
파일:코오롱글로벌 로고.svg
파일:태영건설 로고.svg
파일:KCC건설 로고.svg파일:KCC건설 로고 화이트.svg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파일:우미건설 로고.svg
파일:대방건설 CI.svg파일:대방건설 CI 화이트.svg
파일:쌍용건설 로고.svg파일:쌍용건설 로고 화이트.svg
파일:금호건설 CI.svg
파일:두산건설 CI.svg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파일:한신공영 로고_상하.svg
파일:Hyosung Heavy Industries Logo KR.png
파일:동부건설 로고.svg
파일:HL디앤아이한라 영문 로고.svg파일:HL디앤아이한라 영문 로고 화이트.svg
파일:반도건설 로고.svg파일:반도건설 로고 화이트.svg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6> ※ 본 틀은 매년 도급 순위(=시공능력평가순위) 상위 30개 건설사를 등재한다. 매년 순위는 당해 8월 1일에 발표해 이듬해 7월 말까지 적용하며 이곳에서 확인 가능하다. ||
}}}}}} ||

[1] K-OTC[2] 본점 소재지[3] 실질적 본사 역할[4] 포스코홀딩스와 그룹사 포스코DX도 실제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과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에 있지만 포항시를 본점으로 등기해 놓았다. 포항의 향토 기업이라는 정체성 문제도 있지만 지방소득세가 어느 지자체로 가느냐의 문제도 크다.[5]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파크원에 수주영업 인력이 상주근무하는 사무실이 있으며, 강남구 삼성동 KB우준타워에 외근자용 오피스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6] 포스코건설 사장으로 부임한지 3개월만에 이구택 포스코 당시 회장이 교체됐고, 차기 회장 후보군에 이름을 올렸다가 회장으로 선임됐다.[7] 포스코건설 회장을 역임했다. 이 당시에는 그룹 회장 외 계열사 회장이 있었던 흔치 않은 사례다.[8] 2012년 포스코건설 부회장으로 승진[9] 브라질의 Vale와 동국제강, 포스코이 합작해서 브라질에 건설한 CSP 제철소[10] 2015년 3월에 세아베스틸에 매각되며 사명을 세아창원특수강으로 변경했다. 매각 후 실적이 턴어라운드하면서 권오준 당시 포스코 회장이 격노했다는 후문이 있다.[11] 상술했듯 본사의 기능은 대부분 인천에서 수행하고 있다.[12] 미얀마 양곤에 위치한 호텔로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이앤씨, 롯데호텔, 대우증권 등 굵직한 회사들이 투자하였다.[13] 해운대 엘시티 더샵 3개 동, 포스코타워-송도, 파크원. 나머지는 롯데건설롯데월드타워두산건설해운대 두산위브 더제니스다.[14]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가 설립한 SPC[15] 송도는 포스코이앤씨의 상징과도 같은 곳으로, 많은 이들이 송도를 떠올리면 자연스레 포스코와 더샵을 먼저 기억한다.[16] 동남아시아 최초로 건설된 일관 제철소다.[17] 국내 건설업체가 해외에서 수주한 단일 플랜트 공사로는 사상 최대 규모의 제철플랜트다.[18] 폴란드 최대 규모의 생활페기물 소각시설[19] 포스코이앤씨 최초 해상 사장교 건설 사업으로, 뱃길로 1시간이 소요되던 이동경로를 승용차로 5분이면 이동 가능하다.[20] 단순 호텔처럼 생각할 수 있지만 이 호텔은 양곤을 대표하는 랜드마크 그 자체다. 최고 높이 127m로 롯데에서는 이 호텔에만 3,400억 원을 투자했다. 한국 기준으로 127m면 일반 아파트 높이에 불과하지만 미얀마의 경제 특성상 고층건물이 흔하지 않다. 이 건물만 해도 미얀마 고층건물 순위 10위 안에 들 정도다. 그 밖에도 이 호텔의 특징이라면 양곤 최대 규모의 연회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과 양곤 최초로 전면 커튼월 공법으로 시공했다는 점이다.[21] 베트남 최초의 석유화학단지다.[22] 포스코이앤씨의 첫 아파트 리모델링 현장[23] 해당 노동자는 사고 발생 8일 만인 8월 12일, 의식을 찾고 건강을 회복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