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19 16:02:09

염곡공영차고지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ae1932><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
강동 강서 난곡 도봉
상암 송파 양천 염곡
온수 용산 은평 장지
중랑 진관 진관2 광명[A]
[A]: 소재지는 경기도 광명시이나,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만 소속된 차고지이다.


1. 개요2. 입주업체3. 운행노선
3.1. 차고지 시종착 노선3.2. 차고지 주박 노선

1. 개요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대로 254 (염곡동 300-1)에 있는 공영차고지. 특이하게도 자가차고지 출신이다.

이 곳이 공영차고지로 전환되기 전에는 4권역에 공영차고지가 없었으며, 3권역(송파구)에 있는 장지공영차고지송파공영차고지가 4권역 노선의 공영차고지를 겸했다.

원래는 삼성여객자가차고지였다. 2004년 개편 전 좌석 46번, 일반 78-3번 등의 자사 노선은 물론 서울버스의 좌석 42번과 아진교통 좌석 17번 등의 여러 노선이 주박했다. 2004년 개편 때 용산구 보광동으로 삼성여객 본사가 이전하면서 자사 노선 일부만 주박했다가, 불과 5년 만인 2009년에 보광동 차고지를 매각하고 염곡동으로 돌아오게 되었다.[1] 이후 2013년 9월 서울특별시청에서 약 800~900억 원에 매입함에 따라 명실상부한 서초구/강남구의 4권역 공영차고지가 된 것.[2]

공영차고지로 전환된 후에는 마장동차고지의 임차계약 갱신에 실패한 대흥교통이 2014년 3월 11일에 성동구 마장동을 떠나 염곡동공영차고지에 입주했다. 그 외에는 서초구 마을버스 업체인 선흥상운(서초21번 운행)도 이 차고지를 사용 중이다.

차고지에 CNG 충전소가 설치되어 있으며[3], 옆에는 한국도로교통공단 서울지부가 있다. TBN 교통방송의 방송제작센터도 신당동에서 염곡동 서울지부로 옮겨 왔다. 길 건너편의 양재동에는 한국지방세연구원이 있다.

마니교통9500번, 청암운수서초18번, 대원여객040번, 0411번이 여기서 가스를 충전하며, 간혹 가다 염곡동이 회차 지점인 아진교통141번도 부득이하게 운행 도중 가스가 떨어지면 도봉산까지 공차회송할 수 없으니 비상용으로 염곡동에서 충전한다.[4]

BMS에는 나오지 않지만, 차고지에서 승차가 가능하다. 차고지 입구에서 기다리고 있으면, 운행을 시작하는 차량이 문을 열고 승차를 받아 준다. 다만, 하차는 한국도로교통공단 서울지부에서만 가능하다.

2021년에는 전기버스 충전기를 설치했다. 삼성여객은 KGM커머셜과 하이거를 도입했고, 대흥교통은 현대 일렉시티를 도입했다.

차고지 건너편 중앙에 염곡동서지하차도가 있기 때문에, 400번, 405번, 421번은 강남대로로 나갈 때 도로 구조상 동산로(언남중고교, 서초우체국, 양재119안전센터)에 진입한 후 aT센터 정면의 삼거리[5]를 통해 양재시민의숲역으로 나온다.

2. 입주업체

운행업체 영업소명 관리노선 문의전화 비고
대흥교통 본사 463, 4211 02-2293-7262
삼성여객 본사 400, 405, 421, N64염곡, 서울07출근 02-795-8181
선흥상운 본사 서초21 02-3463-5837

3. 운행노선

3.1. 차고지 시종착 노선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운행 회사
400 염곡공영차고지 (→ 언남고 →) - AT센터.양재꽃시장 - 양재역 - 강남역 - 신사역 - 순천향대학병원 - 이태원역 - 보광동주민센터 - 서빙고역 - 이촌역 - 용산역 - 효창공원앞역 - 효창공원 - 숙대입구역 - 후암시장 - 서울역 - 숭례문남대문시장 → 을지로입구 → 시청 → 숭례문 시청 삼성여객
405 (→ 언남고 →) - AT센터.양재꽃시장 - 양재역 - 예술의전당 - 서초역 - (→ 반포대교 →/← 잠수교 ←) - 한강중학교 - 서빙고역 - 보광동주민센터 - 이태원역 - 한강진역 - 하얏트호텔 - 남산도서관 - 남대문시장 → 시청 → 서울광장 → 남대문시장숭례문남대문시장
421 (→ 언남고 →) - AT센터.양재꽃시장 - 양재역 - 강남역 - 신사역 - 한남역 - 보광동주민센터 - 용산구청 - 삼각지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 남대문시장.회현역 →/← 숭례문 ←) - 충무로역 - 신당역 - 신설동역 - 동대문구청 - 성동구청 - 금남시장 옥수동
463 구룡사입구 - 도곡한신아파트 - 역삼역 - 학동역 - 압구정역 - 뚝섬서울숲 - 왕십리역 - 신당역 - 충무로역 - 남대문시장.회현역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 만리동고개 - 공덕역 - 여의도순복음교회 국회의사당역 대흥교통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운행 회사
4211 염곡공영차고지 구룡사입구 - 도곡한신아파트 - 역삼역 - 학동역 - 압구정역 - (← 극동그린아파트 ←) - 금남시장 - 왕십리역 - 사근동주민센터 한양여대 대흥교통
<rowcolor=#ffc600>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운행 회사
N64 염곡공영차고지 능인선원앞 - 개포현대아파트 - 역삼동자이아파트 - 강남역 - 교대역 - 내방역 - 이수역 - 숭실대학교 - 동작구청 - 대방역 - 영등포역 - 오목교역 - 신정역 - 화곡역 - 발산역 - 마곡나루역 - 개화산역 개화역광역환승센터 삼성여객[A]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운행 회사
서초21 염곡공영차고지 구룡사입구 - 양재역 - 서초2동주민센터 - 서울교육대학교 - 서초역 - 반포종합운동장 방배신삼호아파트 선흥상운

3.2. 차고지 주박 노선

  • 단순히 주박 목적으로만 차고지를 사용하는 노선이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운행 회사
서울07출근 양재역 AT센터.양재꽃시장 → 텔레칩스 → 스마트모빌리티실증허브 기업성장센터 삼성여객[B]

[1] 이 때문에 보광동을 기점으로 운행하던 여러 지선버스 노선들이 간선버스로 통합되면서 코스가 심하게 복잡해졌다.[2] 당시 서울특별시의 재정난 때문에, 이 매입건이 굉장히 논란을 빚었다.[3] 2009년에 설치되었다. #[4] 비슷한 상황으로 대진여객143번개포동 도선여객 차고지에서 가스를 충전하거나 (예전) 우신버스502번서울특별시청 서소문별관 CNG충전소, 동아운수 121번이 서울숲CNG충전소에서 충전하는 상황이 있다. 부득이하게 운행 도중 가스가 바닥나면 공차회송할 수 없으니, 비상용으로 다른 곳에서 충전하는 것. 다만 이들 중 서울특별시청 서소문별관 CNG충전소는 수소 충전소 전환을 위해 폐쇄됐으며, 월암공영차고지가 개장하고 고천동 일대의 개발이 시작되면서 502번월암공영차고지로 연장함과 동시에 가스도 월암공영차고지에서 충전한다.[5] 9711번이 U턴하는 삼거리다. 0411번과 140번은 더 아래쪽의 염곡네거리에서 U턴한다.[A] 공항버스와 공동 배차[B] 우신운수와 공동배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