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22:08:58

개포동

[include(틀:다른 뜻1,from=개포,other1=경상북도 예천군의 면,rd1=예천군/행정,anchor1=개포면,other2='개'라는
훈('개천'\, '물가'라는 뜻)을 가진 '포'라는 음의 한자,rd2=浦)]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63b94>
파일:강남구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63b94> 신사동 신사동 압구정동
압구정동
논현1, 2동 논현동
청담동 청담동
삼성1, 2동
구청
삼성동
대치동
역삼1, 2동 역삼동
도곡1, 2동 도곡동
개포2동 {{{#!wiki style="margin: -16px -9px -5px -11px"
일원동
대치동
}}} 개포동
개포3동
개포1, 4동
일원본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5px;"
수서동
}}} 일원동
일원1동
수서동 수서동
세곡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자곡동 }}}
}}}}}}}}} ||
강남구법정동
개포동
開浦洞 | Gaepo-dong
<colbgcolor=#063b94><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강남구
행정표준코드 1168010300
관할 행정동 개포1~4동
면적 5.42㎢
1. 개요2. 역사3. 교통4. 관할 행정동
4.1. 개포1동4.2. 개포2동4.3. 개포3동4.4. 개포4동
5. 기타6. 주요 시설
6.1. 기관6.2. 주거
6.2.1. 아파트
7. 관련 자료8.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파일:개포래미안.jpg
개포동 전경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에 위치한 법정동. 면적은 5.42㎢이며, 동쪽으로는 일원동, 서쪽으로는 서초구 양재동, 남쪽으로는 서초구 내곡동, 북쪽으로는 도곡동, 대치동에 접해 있다.

강남의 대규모 개발 때 주로 저층 소형 평수 아파트로 구성되어 강남 내에서 서민들이 주로 사는 동네 이미지가 강했었지만, 현재는 재건축으로 인해 강남의 대규모 신흥 부촌으로 급부상하여 부촌으로 인식된다. 그래서 개포동의 뜻이 예전에는 "기한 동네"였는데 지금은 "르쉐 타는 동네"로 변했다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래미안, 자이 등의 메이저 건설사 브랜드부터 현대건설의 하이엔드 브랜드인 디에이치가 처음 선보여지는 등 고급 아파트 건설의 각축장이 되면서 강남의 서민 주거 지역은 사라지게 되었다.

과거 강남이 개발되기 전에는 시흥군안양[1]과 생활권이 밀접했었다. 실제로 개포4동 지역의 경우 옥상만 올라가도 수리산이 보일 정도. 양재천에서 개포동을 거치지 않지만 그 주변 지역을 운행하는 11-3번 버스가 지금까지 살아남은 이유도 이 때문이다.

2. 역사

1963년 서울특별시에 편입되기 전에는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彦州面) 포이리와 반포리였던 곳으로, 1963년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되면서 반포리는 당시 인근 영등포구 소속이 된 서초구 반포동과 이름이 겹치는 탓에[2] 개포동으로 이름을 바꿨다. 개발이 진행되기 전에는 이 곳 일대가 갯벌이었다고 한다. 개포동 북변에 흐르는 양재천의 영향이 매우 컸었던 듯하다. 이 갯벌(浦)을 개간하여 사람이 살 수 있는 곳으로 변화시켰다고 하여 열 開 물가(갯벌) 浦자를 써 개포동이 되었다.

법정동으로 포이동[3]이 있었으나, 2008년에 법정동 개포동으로 통합되었다.(포이동 통폐합 이전에도 행정동상 이미 개포4동 소속) 개포3동은 2009년 개포2동에 흡수되어 사라졌는데, 2022년 12월 23일에 일원2동이 '개포3동'으로 동명이 변경되었다.

3. 교통

철도 교통으로는 수인·분당선 구룡역, 개포동역, 대모산입구역이 있는데, 역간 거리가 너무 짧아 강남리 마을전철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개포동이 워낙 넓다 보니 각 동별로 교통상황이 상이한 편인데, 아래 개포1동, 개포2동, 개포3동, 개포4동 문항에 자세히 서술되어 있으니 참고하자.

4. 관할 행정동

4.1. 개포1동

강남구행정동
개포1동
開浦一洞 | Gaepo 1(il)-dong
<colbgcolor=#063b94><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강남구
행정표준코드 3220057
관할 법정동 개포동
하위 행정구역 32통 199반
면적 1.27㎢
인구 24,822명[A]
인구 밀도 19,544.88명/㎢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국회의원 | 강남구 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수민 (초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3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현기 (4선)
강남구의원 | 라 선거구

파일:zsdkl3gasdg.svg
김형곤 (초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윤석민 (재선) }}}}}}}}}
행정복지센터 개포로 303 (개포동 653)
개포1동 주민센터
언주로선릉로 사이에 해당하며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구 개포주공 1단지), 개포현대1차, 개포경남1차, 2차, 개포우성3차, 개포 더샵 트리에(구 우성9차 아파트)가 있다. 양재천과 가까운 경남아파트, 우성아파트, 현대아파트를 묶어 ‘경우현’이라고 부르는데 50층 안팎 2,340가구 규모의 대단지로 통합 재건축이 될 예정이다. 학교로는 서울개원초등학교, 구룡중학교, 개포중학교, 서울개현초등학교 가 있다.

개포동에서 가장 아파트 밀집도가 높은 지역이지만 강남구의 빈민촌인 구룡마을도 이곳에 있다. 구룡마을에서 타워팰리스 쪽을 바라보고 찍은 사진은 빈부격차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으로 유명하다. 양재대로와 구룡산이 구룡마을의 앞과 뒤를 가로막고 있어 행정구역만 강남구일 뿐 단절된 느낌을 받게 한다.

구룡마을 근처에 강남구 유일의 시내버스 업체인 도선여객이 있다.

주민센터는 개포주공1단지 내부에 있었으나 재건축정비사업으로 인해 2019년 현대1차 상가의 임시청사로 이전했다.

4.2. 개포2동

강남구행정동
개포2동
開浦二洞 | Gaepo 2(i)-dong
<colbgcolor=#063b94><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강남구
행정표준코드 3220058
관할 법정동 개포동, 일원동
하위 행정구역 48통 299반
면적 2.51㎢
인구 41,810명[A]
인구 밀도 16,657.37명/㎢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국회의원 | 강남구 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수민 (초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3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현기 (4선)
강남구의원 | 라 선거구

파일:zsdkl3gasdg.svg
김형곤 (초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윤석민 (재선) }}}}}}}}}
행정복지센터 개포로 511 (개포동 182)
개포2동 주민센터
선릉로의 동쪽에 해당하며, 개포현대3차, 개포우성8차, 개포주공5~7단지 아파트가 있고, 이전에 저층 주공 아파트였던 2단지는 래미안 블레스티지로, 3단지는 디에이치 아너힐즈로, 4단지는 개포자이 프레지던스로 재건축되었다. 학교로는 일원초, 개포초[6], 서울개일초등학교, 서울양전초등학교, 개원중, 개포고등학교[7], 수도전기공업고등학교, 경기여자고등학교[8], 한국외국인학교 서울캠퍼스가 있다.

교통에 있어서는 최고라고 불려도 과언이 아니다. 핌피현상의 대표사례로 불리는 강남리 마을전철[9] 구룡역, 개포동역, 대모산입구역이 모두 2동에 위치한다. 그래서 5단지에서 7단지는 걸어서 5분 내로도 이동이 가능하지만 각자 출발 시 이용하는 지하철역이 다르다. 심지어는 같은 단지 내 주민들도 본인의 아파트와 가까운 서로 다른 출발역을 이용하기도 한다.

선릉역이 종점이던 시절에는 강북 지역으로 나가려면 꽤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지만 왕십리역까지 개통되면서 강북지역에 가는 시간이 굉장히 절약되었다. 9호선 환승도 가능해져서 김포공항 버스가 없어지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버스 역시 굉장히 다양하게 다녀서 서울특별시내 버스 이동도 굉장히 편하다. 이전부터 분당선으로 편하게 다니던 인근 경기도의 성남시는 말할 것도 없다.

옆 동네들에 비해 학생들이 즐길만한 장소가 조금 부실하다는 단점이 있다. 주공 5~7단지 상가 주변에는 많은 학교가 있는데, PC방이 한 곳 밖에 없으며[10], 코인 노래방도 비교적 최근에 생겼다. 유명 브랜드의 카페도 이디야 말고는 없다.

서울특별시교육청개포도서관도 이곳에 있다. 무허가판자촌이지만 2018년까지 철거예정인 달터공원 안의 달터마을(개포2동 156)이 있다.

한국전력공사에서 운영하는 직원 자녀 기숙사(한전 및 계열사 자녀가 입소 가능하다)인 한국전력공사 청운재(한전청운재)가 수도공고 옆에 위치해 있다.

4.3. 개포3동

강남구행정동
개포3동
開浦三洞 | Gaepo 3(sam)-dong
<colbgcolor=#063b94><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강남구
행정표준코드 3220064
관할 법정동 개포동, 대치동, 일원동
하위 행정구역 27통 192반
면적 1.24㎢
인구 16,731명[A]
인구 밀도 13,492.74명/㎢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국회의원 | 강남구 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수민 (초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4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유만희 (초선)
강남구의원 | 마 선거구

파일:zsdkl3gasdg.svg
김영권 (재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형대 (재선) }}}}}}}}}
행정복지센터 개포로 607 (개포동 12-6)[12]
개포3동 주민센터
2022년 12월 23일에 일원2동에서 개포3동으로 행정동명이 변경되었다. 동 전체가 아파트와 아파트 상가로 이루어져 있다.

법정동 개포동과 일원동, 대치동의 일부를 포함한다. 대치 1·2단지아파트의 법정동은 개포동이고, 동쪽의 탄천물재생센터 부지와 대청역 남쪽의 개포우성7차아파트, 개포대우아파트, 일원현대아파트(현 래미안 개포루체하임), 중동중학교의 법정동은 일원동이다.

남쪽 우성아파트, 한신아파트 쪽에는 중동중학교, 일원초등학교가 있고 북쪽 대청아파트 쪽엔 대진초등학교가 있다.

대치2단지는 민간분양아파트인데 1단지는 임대아파트이다. 그런데 포르쉐를 타는 강남의 임대아파트로 전국적인 유명세를 떨친적이 있다. #[13]

강남구의 테헤란로 이남 지역을 관할하는 수서경찰서가 개포로에 위치해 있다.

강남구를 관할하는 총괄우체국인 강남우체국이 개포로 연선에 위치해 있다.

서울특별시의 주택문제를 총괄하는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개포로 연선에 위치해 있다.

주민센터 신축을 위해 2024년 1월 29일부터 수서경찰서 옆 상가건물로 청사를 옮겼는데, 바로 다음주에 일원1동 주민센터도 같은 곳으로 이전하면서 현재 2개 동의 주민센터가 통합 운영되고 있다.

4.4. 개포4동

강남구행정동
개포4동
開浦四洞 | Gaepo 4(sa)-dong
<colbgcolor=#063b94><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강남구
행정표준코드 3220060
관할 법정동 개포동
하위 행정구역 35통 249반
면적 1.49㎢
인구 23,071명[A]
인구 밀도 15,483,89명/㎢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국회의원 | 강남구 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수민 (초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3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현기 (4선)
강남구의원 | 라 선거구

파일:zsdkl3gasdg.svg
김형곤 (초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윤석민 (재선) }}}}}}}}}
행정복지센터 개포로24길 33 (개포동 1204)
개포4동 주민센터
논현로언주로 사이에 해당하며 학교로는 서울구룡초등학교, 포이초등학교[15], 국립국악중학교, 국립국악고등학교가 있다. 근린공원을 기준으로 동쪽 언주로변에는 개포현대2차, 개포쌍용주상복합, 개포우성6차아파트, 개포 래미안 포레스트[16]가 있지만 공원의 서쪽은 단독주택, 다가구주택이 차지한다. 포이동 266번지 재건마을(현재는 개포4동 1266번지, 개포로25길 32)은 구룡마을에 비해 인지도는 낮지만 역시 빈민촌이다. 추후 행복주택 등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북쪽으로 양재천과 직접 맞닿아 있어 봄 벚꽃과 가을 낙엽시기에는 꽤 장관을 이루며, 사시사철 사람과 강아지들의 산책과 조깅이 이어진다. 밀미리 다리 위에 서면 서초구와 송파구까지 양쪽으로 이어지는 양재천의 모습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이 다리나 양재천 징검다리를 건너면 양재천 카페거리로 연결되어, 개포4동의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에 거주하는 젊은 부부들과 삼호물산(현 동원산업) 부근 상업지구 직장인들이 근처 카페나 브런치 레스토랑에서 시간을 보내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양재천에서 개포 현대2차와 개포 래미안포레스트 뒤쪽의 달터공원을 거쳐 구룡산 정상까지 등산로가 이어져 있으며, 차도를 건너지 않고 갈 수 있도록 용바람다리, 용이룸다리, 용오름다리 3개의 구름다리가 설치되어 있다. 중간에 강남구민 체육관과 포이테니스장이 있고 산스장도 곳곳에 설치되어 있어 맨발로 걷거나 운동하는 사람들을 자주 만날 수 있다. 등산과 산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최적의 위치이다.

논현로 포이사거리의 양재2동 인접 지역과 마찬가지로 지하철역에서 먼 데다가 지하철역으로 가는 버스들의 배차 간격이 서울 버스 치고는 다소 큰 편이라고 느끼는 주민들이 상당수 있어 지하철 요구가 상당하다. 주로 위례과천선 신분당선 양재시민의숲역분당선 구룡역 사이에 포이사거리, 구룡초사거리 역을 신설하자는 요구들이다. 이미 구룡터널부터 이어지는 언주로의 교통량은 상당한데, 개포주공1단지 재건축(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이 완료되면 뻔히 예상되는 더욱 심각해진 교통체증을 고려하였을 때 역이 없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굉장히 다양한 형태의 지구단위가 혼재하는 지역으로, 한 동네 안에 저층아파트, 고층아파트, 연립/단독주택, 다세대주택, 상가, 오피스텔, 호텔, 사무실 건물, 특수목적고등학교에 빈민촌까지 모두 섞인 동네다. 달터공원 기준으로 서쪽은 본래 포이동 구역으로서 서초구 양재2동의 영향을 많이 받아 신분당선 양재시민의숲역과 분당선 구룡역이 생기기 한참 전인 1990년대 후반 시절 삼호물산 빌딩과 함께 업무형 건물들과 오피스텔 등이 많이 들어선 지역이다. Ez2DJ 6th Trax의 음악을 담당했던 A.O.Music 스튜디오가 이곳에 있다고 한다. 한때 그 유명한 존슨버거가 여기에 있었다.

지하철역에서 꽤 멀리 떨어져 있긴 하지만 의외로 오피스 상권이 존재하고 상업지구가 어느 정도 형성된 지역이기도 하다. 이웃한 양재동의 동원산업과 삼호물산 건물[17] 일대의 업무 지역(양재동 275번지 일대)과 개포제1종지구단위구역(개포동 1229, 1236~1238번지 일대)이 상업 지역이다.

5. 기타

강남의 대표적 재건축 사업 지역 중 하나이다. 주공 2단지를 필두로 주공단지들과 시영단지의 재개발 계획이 확정되어 진행중이다. 2019년부터 최고 35층 짜리 고급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래미안 블레스티지, 디에이치 아너힐즈, 개포 래미안 포레스트,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 등이 대표적이다. 개포주공아파트 중 1,2,3,4,8단지의 재건축이 완료되면서 결과적으로 대략 4만여 세대의 신도시급 신축아파트 물량을 공급할 계획이다. 말 그대로 천지개벽이다.

이 지역 상공에는 헬리콥터가 하루에도 여러 번씩 통과한다. 주로 서울공항을 오가는 군용 헬기들이 대부분이며, 방송국이나 대기업 헬기들도 가끔씩 보이기도 한다.

개포동에 위치한 인문계열 고교는 개포고등학교경기여자고등학교밖에 없기 때문에 개포동에 거주하는 예비 고교생들은 버스를 타고 등교해야 하는 인근 고교로 배정받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남학생의 경우 남자고등학교를 지망할 시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중산고등학교, 중동고등학교 등 다른 동의 학교에 가야한다.

1986년에 개포동 98번 종점길가에 맨홀을 이용해 화장실로 사용했던 적이 있다.

과거 1980년대~1990년대엔 어린 아이들이 이곳을 부르는 언어유희로 개코동, 개코원숭이동[18]같은 농담도 있었지만 그리 많이 쓰이지는 않았다.

엄청 뚱뚱한 사람들만 모여 사는 동네는 개포동이라는 농담도 있다.(…) 관련 있는 다른 농담으로는 덜 뚱뚱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동네는 반포동이라는 것도 있다.

바른정당 제19대 대통령 선거 후보를 지냈던 유승민 전 의원이 현재 개포동 경남아파트에 살고 있다. 다만, 실제 주민등록상 주소지와 대구광역시 내 아파트는 지역구인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이다. 즉 지역구 업무나 기타 업무가 있을 때는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에서 머무른다.

예전에 나오던 종이 우편번호부를 보면 맨 앞에 나오는 곳이 개포동이었다. 강남구가 서울 25개 구 중에서 가나다순으로 맨 앞이고, 그 중에서도 개포동이 맨 앞이었다. 반대로 가장 마지막은 북제주군 한경면이다. 서울부터 제주까지(당시 세종특별자치시는 없었다.) 싣고, 그 다음 시-군, 그 다음 읍-면 순서인데 면 중에서도 ㅎ으로 시작하는 한경면이 맨 마지막이었다.

2020년 3월에는 아파트 평균 평당가가 7,995만원을 기록하여 반포동압구정동까지 제치고 서울에서 아파트 평당가가 가장 높은 동으로 등극했다. 그러나 2021년 3월에는 이들에 밀려 3위로 내려갔다. 10위 안에 있는 다른 동네들은 평당가가 1년 동안 다 올라갔는데, 개포동 혼자 6,985만원으로 떨어졌다. 면적은 작고 금액대는 높은 재건축 추진 단지들이 멸실된 것이 가격 하락 요인으로 분석된다. 또한 강남에 귀한 신축 대단지가 모여있는 것이 가격 상승의 주 요인이였는데, 상대적으로 더 상급지인 신반포 일대의 재건축 물량이 어느정도 입주한 이유도 있을 것이다. 어느정도 프리미엄이 붙어있다 감소했다는 것.

6. 주요 시설

6.1. 기관

6.2. 주거

6.2.1. 아파트

7. 관련 자료

서울경제썸 - 역지사지 EP.6 개포동 편

8. 출신 인물


[1] 1963년 서울특별시 대확장 이전의 시흥군의 생활권으로는 영등포권(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금천구, 관악구, 광명시), 안양권(안양시, 군포시, 과천시, 서초구, 강남구 일부), 안산권(안산시, 시화)이 있었다.[2] 참고로 서초구 반포동은 편입전 시흥군 신동면 소속이었다.[3] 포이동의 대부분 영역은 1989년에 서초구로 편입되어 현재 양재동 관할이다. 지금의 법정동 양재동 영역 중 포이동이었던 곳은 대략적으로 강남대로(신분당선) 이동지역이라고 보면 된다.[A] 2024년 5월 주민등록인구.[A] [6] 4단지 재건축 공사로 인해서 철거되었다. 폐교는 아니고 휴교다. 4단지 재건축 이후 비슷한 부지에 재건축되었다.[7] 최강창민, 이하나, 수호(EXO)가 졸업했다.[8] 강북 시절 김혜자, 양희은이 졸업했고, EXID하니IOI김소혜, ITZY류진이 잠시 다녔다. 자우림김윤아가 졸업했다.[9] 한 블럭에 역 하나씩 있는 도곡~수서 일대를 비꼬는 표현이다.[10] 교육환경보호구역은 아니다. 당구장과 노래방은 있으니 말이다.[A] [12] 현재 신축중이며 임시청사의 위치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로 615 (개포동 12-4) 5층이다.[13] 실제로 벤틀리, 벤츠 S클래스 등 고가의 외제차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A] [15] 예전에는 개포4동 지역이 법정동 포이동이었기에 이런 명칭이 붙었다. 2008년에 법정동 개포동으로 병합되어 폐지되었다.[16] 2020년 9월, 개포시영아파트가 개포래미안포레스트로 재건축이 완료되었다.[17] 이 건물은 구(舊) 삼호물산 본사였다. 삼호물산 자체는 CJ그룹에 인수되었지만 지금도 포이사거리 일대를 가리켜 삼호물산사거리라고 할 정도로 일종의 지명으로 쓰이고 있다.[18] 1980년대~1990년대 초등생용 과학문고나 동물도감을 보고 개코원숭이를 처음 접한 아이들이 부른 모양이다.[19] 개포우성9차 리모델링.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