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10:17:03

일원동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63b94>
파일:강남구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16418e> 신사동 신사동 압구정동
압구정동
논현1, 2동 논현동
청담동 청담동
삼성1, 2동
구청
삼성동
대치동
역삼1, 2동 역삼동
도곡1, 2동 도곡동
개포2동 {{{#!wiki style="margin: -16px -9px -5px -11px"
일원동
대치동
}}} 개포동
개포3동
개포1, 4동
일원본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5px;"
수서동
}}} 일원동
일원1동
수서동 수서동
세곡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자곡동 }}}
}}}}}}}}} ||
강남구법정동
일원동
逸院洞 | Irwon-dong
<colbgcolor=#063b94><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강남구
행정표준코드 1168011400
관할 행정동 일원본동, 일원1동, 개포3동
면적 3.10㎢
1. 개요2. 지명 유래3. 역사4. 교통
4.1. 철도교통4.2. 버스교통4.3. 도로교통
5. 상권6. 교육7. 환경8. 주변 시설
8.1. 주거
9. 행정동 일람
9.1. 일원본동9.2. 일원1동
10. 출신 인물11. 기타

1. 개요

서울특별시 강남구법정동.

2. 지명 유래

옛날 이곳에 '일원'이라는 서원이 있었기 때문에 생겨났다는 설이 있다.

대모산이 이 지역의 사방을 감싸는 형태로 있어 사람들에게 잘 눈에 띄지 않는 숨어있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생겼다는 설이 있다.

3. 역사

일제강점기 때 일원리로 광주군 대왕면에 속해있었다. 1963년 서울특별시 성동구로 편입되었다. 편입 당시 일원동과 수서동을 합친 원서동사무소가 행정을 담당했다. 1970년에 일원동으로 개칭되었고 1975년에 강남구가 성동구로부터 분리 신설되면서 일원동은 지금의 강남구에 편입된다.

일원동이라는 단일 행정동이었으나 1992년 수서동·일원본동·일원1동·일원2동으로 한꺼번에 분동되었다. 2022년 12월 23일에 일원2동이 개포3동으로 동명이 변경되었다.

일원본동에는 법정동 수서동의 일부가 포함된다.

4. 교통

4.1. 철도교통

4.2. 버스교통

4.3. 도로교통

5. 상권

  • 일원본동(일원역 부근)
    대부분이 아파트 및 아파트 상가로만 구성되어 있고 상가 역시 소규모 슈퍼, 학원, 병원 등으로 단조롭게 이루어져 있어 편의시설이 부족하다는 평이 많았다.
    그러나 최근 지상 9층 규모의 삼성생명 빌딩이 들어서면서 일원본동도 드디어 랜드마크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헬스장, 롯데푸드마켓, 폴바셋, 올리브영,공차,다이소 등이 입점했다. 그러나 이 삼성생명 건물에 있는 대형 환풍기 32대가 발생하는 소음과 먼지, 주차장 위치로 인한 보행자 위험문제, 일조권 방해 문제[1]로 인해 인근 아파트 주민들 중 일부는 반발하는 모양새이다.
  • 일원1동(대청역 부근)
    일원로9길에 주민들과 삼성서울병원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소규모 유흥가가 있다. 일명 '일원동 맛의 거리' (단순 소규모 유흥가라 치기엔 배후상권(병원) 빨로 건물 시세가 장난이 아니다.) 주민들은 쉽게 먹자골목이라 부른다. 각종 음식점과 카페가 집중되어 있으며, 특이하게 PC방이 10곳 이상 밀집되어 있다. 하지만 일원동 자체가 굉장히 조용한 동네이기 때문에 번화가 수준의 골목을 기대하면 안 된다. 강남구 내에서 가격이 가장 저렴한 PC방촌으로, 이 중에서도 가장 저렴한 곳은 2018년 현재에도 10시간 이상 충전시 시간당 500원. 이 때문에 하교 시간대가 지나면 PC방 앞에 자전거 주차난이 벌어지며, PC방 인프라가 열악한 강남구 다른 동네(특히 서울 버스 강남06 연선 학생들)에서도 원정을 많이 온다. 하지만 2020년 현재, PC방 수의 감소로 독점이 되어 가격이 인상되고 있으며 여타 대치동 등의 PC방과 다를 바 없어졌다고.

6. 교육

7. 환경

일원본동의 경우 대모산에 둘러싸인 형태로 다른 강남지역과 사뭇 다르게 자연친화적인 느낌이 나며 아파트도 목련, 상록수, 한솔, 가람 등 정겨운 이름으로 지어져 있다. 교육과 환경을 모두 잡을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라는 평가가 많다. 물론 일원동도 엄연히 강남구인만큼 평당 아파트 가격은 결코 자연스러운(...) 수준은 아니다.

공원이 많다. 대모산을 배후로 둔 일원본동 지역은 말할 것도 없고 대청역 단독주택지 한가운데 크게 자리 잡은 대청공원, 중동고 북쪽 대청타워 동쪽 편에 조성된 마루공원, 수서1단지 아파트 북쪽의 일원에코파크, 대청아파트 동쪽의 대진공원, 한신아파트 서쪽 일원초와 중동중 부근의 늘푸른공원, 그리고 일원2동의 북서쪽방향에 흐르는 양재천산책로까지. 그 중에서 마루공원과 일원에코파크의 규모는 일반공원이라고 볼 수 없을 정도로 구청에서 돈을 많이 쓴 티가 나는데[2] 이것은 일원동에 거저 주어진 것이 아니다.

과거 일원동 택지개발 당시, 혐오시설인 강남구의 하수처리장과 쓰레기 소각장을 구의 끄트머리인 이곳에 몰아넣었다.[3] 그런데 시간이 지날수록 주민들의 불만이 터져나와 그것을 잠재우기 위해 구가 보상차원으로 노력했던 것의 흔적이다. 실제로 하수처리장과 관련된 일원1동지역 주민들의 민원이 2000년대까지도 많았는데(특히 악취와 모기), 2008년에 하수처리장을 복개하여 두 공원을 조성한 후 관련민원이 급감하였다.

많은 공원을 품고 있고 뒤로는 대모산, 앞으로는 양재천을 낀 주거환경, 유흥오락 시설 없음, 초대형병원, 수서역까지 지하철 한 정거장, 대치동 학원가까지 지하철 두정거장 혹은 버스 10~15분으로 도착하는 입지조건, 삼성역잠실권역을 20분으로 이어주는 촘촘한 버스노선 등의 이유로 초중고 자녀를 둔 학부모들 뿐만 아니라 노인층에게도 수요가 많으며 거주자는 특별한 일이 없는 이상 동네를 잘 떠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 개포동 재건축 다음은 일원동이라 집값이 계속 오르고 있기 때문(...).[4]

8. 주변 시설

8.1. 주거

  • 개포상록스타힐스아파트 - 2022년 11월 입주 1829세대
  • 래미안 루체하임아파트 - 2018년 11월 입주 850 세대
  • 한신공영 개포한신아파트 - 1984년 3월 입주 364세대
  • 대명건설 청솔빌리지 - 1993년 12월 입주 291세대
  • 남광토건 상록수아파트 - 1993년 3월 입주 740세대
  • 건영건설 한솔마을아파트 - 1994년 6월 입주 570세대
  • 진로, 금호 목련타운아파트 - 1993년 9월 입주 650세대
  • 극동, 현대 샘터마을아파트 - 1994년 2월 입주 628세대
  • 삼호, 삼성 푸른마을아파트 - 1994년 1월 입주 930세대
  • 진흥기업 까치마을아파트 - 1993년 9월 입주 1404세대
  • 두산건설 가람아파트 - 1993년 3월 입주 496세대
  • 현대건설 개포현대4차아파트 - 1987년 2월 입주 142세대
  • SH공사(임대),(주)신한 수서1단지 - 1992년 11월 입주 2934세대 (임대 2214세대 포함)
  • 삼성물산 삼성사원아파트 - 1986년 11월 입주 80세대
  • 현대건설, GS건설 디에이치 자이 개포 - 2021년 7월 입주 1996세대 (임대 306세대 포함)

9. 행정동 일람

9.1. 일원본동

강남구행정동
일원본동
逸院本洞 | Irwonbon-dong
<colbgcolor=#063b94><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강남구
행정표준코드 3220062
관할 법정동 일원동, 수서동
하위 행정구역 31통 209반
면적 2.58㎢
인구 22,972명[A]
인구밀도 8,903.88명/㎢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국회의원 | 강남구 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수민 (초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4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유만희 (초선)
강남구의원 | 마 선거구

파일:zsdkl3gasdg.svg
김영권 (재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형대 (재선) }}}}}}}}}
행정복지센터 광평로 126 (일원동 735-3)
일원본동 주민센터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되었던 마을이라 본동(本洞)이란 이름이 붙었다. 대부분이 중~대형평수 아파트로만 이루어져 있어 일원동에서 생활수준이 가장 높은 편이다.[6]

주변이 온통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일대 자체도 지대가 높기에 주변에서 접근하려면 수백미터 거리의 오르막을 올라야 한다. 오르막 자체가 대모산 능선을 뚫어 만든 것이라 옆은 야산이다. 이 탓에 일원1동과 생활권이 다소 분리된 편.
삼성서울병원일원역 일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대왕중교사거리의 동쪽, 즉 까치마을아파트, 삼성아파트, 광평대군묘, 강남데시앙포레아파트는 행정동으로는 일원본동이나 법정동 수서동에 해당된다. 중산고, 대모초, 서울로봇고, 왕북초, 대왕중이 있다. 대모초등학교왕북초등학교는 전국적으로도 초등학교 학업 성취도가 높아 학부모와 학생들의 수요도 꽤 있다.

바둑계의 살아있는 전설 이창호 九단의 가족이 일원본동 목련타운에 거주중이다.

한고은도 목련아파트에 거주했었다.
[clearfix]

9.2. 일원1동

강남구행정동
일원1동
逸院一洞 | Irwon 1(il)-dong
<colbgcolor=#063b94><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강남구
행정표준코드 3220063
관할 법정동 일원동
하위 행정구역 27통 176반
면적 0.92㎢
인구 14,843명[A]
인구밀도 16,133.70명/㎢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국회의원 | 강남구 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수민 (초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4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유만희 (초선)
강남구의원 | 마 선거구

파일:zsdkl3gasdg.svg
김영권 (재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형대 (재선) }}}}}}}}}
행정복지센터 양재대로55길 14[8][9]
일원1동 주민센터

일명 대청마을. 이 지역에서 가장 규모가 큰 자연취락이 있었다고 한다.

대청초, 영희초, 자율형 사립고인 중동고가 있다.

1980~1990년대 개포지구의 개발과 함께 주공아파트 일색으로 지어진 개포동과 다르게 주거형태의 다양성을 확보한다는 이유로 양재천 이남에서 가장 큰 단일면적의 단독주택 지구가 형성되었다.

과거에는 1, 2층을 모두 한 집이 쓰는 단독주택이 많았으나 이 지역의 가장 큰 수요처인 1994년에 개원한 삼성서울병원의 의료인과 병원 직원의 수요에 맞추어 집주인이 집을 나누기 시작했다. 2020년 현재 1, 2층을 다 쓰는 집은 거의 없고 한층에는 주인집이 살며 다른층과 반지하는 세를 주는 집이 많다. 그렇지만, 주택 호가는 무려 30억대부터 100억대 까지 있을 정도로 비싼 편이다.2016년 개발제한이 해제된 이후로 노후된 주택을 부수고 신식빌라를 올리는 공사 소리가 동네 어디선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요즘 점점 신축 건물들이 많이 보이고 있다.일반적인 주택이나 빌라촌과 달리 계획적으로 지어진 동네이기에, 다른 주택,빌라촌과 달리 강남구에서도 길이 넓고, 깨끗하다.

한편, 일원1동 주민센터 뒤쪽으로 수서지구 개발로 조성된 도시개발 아파트가 있으며 수서1단지 아파트와는 별개로 (말이 별개지 사실상 같은 아파트 취급을 받는다.) 세대의 절반 이상이 장애인, 탈북자, 국가유공자저소득층을 위한 영구임대 아파트로 조성되어있다.

대청초등학교 길 건너 맞은편 롯데리아가 있는 쪽에는 네팔 노동자를 위한 불교 사원서울네팔법당이 있다.

tvN 드라마 도깨비에 나왔던 유인나가 사장으로 일하던 비비큐 치킨집이 일원동 맛의 거리 입구 초입쯤(래미안 루체하임, 삼성서울병원사거리 쪽 입구)에 있다.

주민센터 신축을 위해 2024년 2월 5일부로 청사이전을 했는데 일원1동 내에 마땅한 곳이 없었는지 개포3동에 있는 상가건물로 옮겼으며, 그 전 주에 해당 건물에 임시청사를 옮겨놓은 개포3동 주민센터와 통합으로 운영되고 있다. 아예 동을 옮긴데다가 개포3동과의 경계선인 대청역 기준으로도 꽤 거리가 있는 편이라 주민들의 불만이 많았고, 현재는 수서1단지 아파트 앞에서(정확히는 본래 청사 위치) 평일 09시~17시까지45분 간격으로 무료셔틀버스가 운영중이다.
[clearfix]

10. 출신 인물

11. 기타

  • 발음이 [이뤈]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정식 영어 표기도 'Ilwon'이 아니라 'Irwon'이다.
  • 개포상록8단지, 개포주공9단지, 서울일원초등학교는 법정동으로서는 일원동이나 행정동으로는 개포2동에 속한다. 이와 반대로 수서까치마을아파트, 수서삼성아파트, 강남데시앙포레아파트의 경우 법정동 수서동이나 행정동은 일원본동에 속한다.

[1] 그러나 일조권 문제는 이미 이로 인한 갈등과 협의로 층수를 낮춘 것이고, 사이에 공영주차장이 있어 거리가 있기에 아파트에 빛이 안 드는 것도 아니다.[2] 일개 동네 공원 주제에 육상트랙과 정규 규격의 풋살장, 야외 간이콘서트장, 실내공연장과 주민&방문자용 주차장이 있다.[3] 지금이야 강남구의 주택지역이 세곡동까지 확장되었지만 저 혐오시설이 세워질 때 즈음엔 일원동 지역이 수서동과 함께 구내에서 택지가 조성된 땅끝이었다.[4] 사실 이곳에 노인이 많은 이유는 예전에 일원동이 부촌이었기 때문이었다는 이유도 한몫한다. 1990년대 당시 일원동, 수서동의 아파트 한 채로 무려 압구정 현대아파트 두 채를 살 수 있었다!! #[A] 2023년 2월 주민등록인구[6] 실제로도 1990년대 입주 당시 동평형 압구정 현대아파트(!)보다도 비쌌으며, 목련타운과 샘터마을은 당시 서초삼풍-아시아선수촌과 함께 강남권 최고 평단가 아파트였다.[A] [8] 일원동 712-3[9] 현재 신축중이며 임시청사의 위치는 서울 강남구 개포로 615 (개포동 12-4) 5층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3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3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