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16:51:11

서울 버스 4312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서울 버스 4412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진화운수에서 운행했던 구 4412번에 대한 내용은 서울 버스 3011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5bb02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4권역 지선버스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4211 4212 4312 4318 4319
4425 4432 4433 4435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2px"
}}}}}}}}} ||
파일:서울 4312번 고상.jpg
파일:20220619_162719.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4.2. 노선
5. 연계 철도역

1. 개요

도선여객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2km다.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431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4312 노선도(2023).svg
기점 [출발]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구룡마을)
[도착]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구룡산입구)
종점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동(가락1동주민센터)
종점
첫차 04:30 기점
첫차 05:40
막차 22:50 막차 00:10
평일배차 7~12분 주말배차 토요일 9~14분 / 공휴일 9~16분
운수사명 도선여객 인가대수 27대(예비 1대)[1]
노선 구룡마을 - 도곡교회 - 삼호물산 - 양재역 - 강남역 - 신논현역 - 논현역 - 신사역 - 현대아파트 - 압구정로데오역 - 강남구청역 - 선정릉역 - 선릉역 - 한티역 - 은마아파트 - 대치역 - 대모산입구역 - 대청역 - 가락1동주민센터

3. 역사

  • 구 78-1번 도시형버스(청계산.옛골 - 가락시장) 노선이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가락시장 - 송파공영차고지 구간을 연장하고 기점과 종점을 뒤바꿔서 4312번으로 변경. 개편전 당시 기존 기점이었던 옛골 차고지는 폐쇄되었으나 인근 주민 편의를 위해 대왕판교로와 청계산로를 이용해 공차로 회송한 다음 옛골에서 04:50에 첫차가 출발했다.
  • 2006년 12월 1일에 '옛골 - 양재2동' 구간을 단축했다. 관련 공지사항 이에 따라 옛골 04:50 첫차는 폐지되었으며 기존에 양재역 ~ 청계산을 운행하던 4432번이 대거 증차되어 개포동까지 연장운행하게 되었다.
  • 2008년 12월 20일에 '송파공영차고지 - 가락시장' / '구룡사 - AT센터 - 양재역' 구간을 단축했으며, '국악고사거리 - 개포동차고지' 구간 을 연장하여 기종점을 바꿨다. 관련 공지사항 관련 기사 결국 개편 전으로 회귀한 셈
  • 2010년 8월 21일에 '삼성서울병원 - 가락시장' 구간을 단축했고, 이에 따라 번호도 4412번으로 변경했다. 관련 공지사항
  • 2011년 2월 8일에 일원동SH빌을 경유해 회차하도록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21년 1월 12일에 개포동~일원1동주민센터~삼성서울병원사거리 구간을 개포동~일원1동주민센터~가락1동 주민센터~삼성서울병원으로 변경하는 조정안이 올라왔다. 관련 게시물 그리고 2월 18일, 헬리오시티 ~ 대치동 시내버스 신설을 공약한 배현진 의원 측에서 연장이 확정됐음을 알렸으며, 2021년 2월 25일 헬리오시티 연장이 최종 가결 되어 3월 27일부로 연장되었다. 2010년까지 가락동까지 운행하던 노선이 11년만에 다시 예전노선으로 환원되었으며 노선번호도 기존과 동일하게 4312번으로 환원되었다.관련 변경안 루프 회차 구간은 헬리오시티 방향은 대청역 경유, 개포동 방향은 삼성서울병원 경유로 변경된다.
  • 송파공영차고지 박차지 사용에 따른 공차운행시간 고려한 조치 차원에서, 2022년 9월 19일을 기해 평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었고 이에 따라 평일 1일 총 운행횟수 역시 126회에서 118회로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평일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관한 변동은 발생되지 않았다.관련 공문
  • 2023년 7월 3일을 기해 개포동 방향은 삼성서울병원, 일원초교를 경유하던 경로가 양 방향 대청역, 개포3동주민센터를 경유하도록 변경됐다. 관련 공문
    {{{#!folding [ 변경 전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4312 노선도.svg}}}
  • 2024년 2월 1일을 기해 1대가 감차되었다.[2] 이에 따라 운행댓수가 전일에 걸쳐 1대씩 감축되었으며,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는 기존 대비 4회/5회/5회씩 감회된 114회/98회/84회로 조정되었다. 다만 최소·최대 배차간격은 전일에 걸쳐 변동 없이 유지되었다.관련 공문

4. 특징

  • 강남대로에서 중앙차로를 이용하지 않고 가변차로를 이용하며, 강남역~신사역사거리 구간은 서초03번과 중복되고 수요는 강남대로와 압구정동, 그리고 압구정동과 대치동을 오가는 수요가 가장 많다. 심지어 포이동~양재역~강남역 수요도 꽤 많다. 포이동 교통이 강남권치고 매우 열악한지라 논현로상에 거주하는 포이동 주민들은 본 노선과 서초18번, 서초21번말고는 인근 지하철역인 양재역으로 빨리 갈 수 있는 다른 선택지가 없기 때문이다.
  • 상습정체구간을 많이 지나는지라 출퇴근시간대의 배차간격이 극악이다. 출퇴근시간대에 선릉역 정류장 기준으로는 30분 이상을 기다려야 하는 경우도 있다. 선릉로가 2차선 도로(왕복 4차선 도로)의 좁은 도로밖에 안 되고, 출퇴근시간대 강남대로압구정로는 말 안해도 알 것이다. 개포동 차고지 주변의 양재대로도 교통체증시 매우 답이 없는 도로이다.
  • 신사중학교~한티역 구간은 같은 회사 소속 노선인 472번과 겹친다. 472번이 승객이 많은 노선이며, 출퇴근시간은 말할 것도 없고, 특히나 하교시간이 되면 신사중학교, 현대고등학교, 압구정중고등학교, 영동고등학교, 진선여자중고등학교 통학생들이 매우 넘쳐나서 버스는 혼잡한 스쿨버스가 된다. 본 노선이 이러한 문제를 472번과 분산시켜 해결해준다.
  • 상당수의 차량은 송파공영차고지에 주박한다. 주말에 송파공영차고지를 가보면 10대 가까이 주박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과거에 송파공영차고지가 기점이었고 도선여객의 개포동 차고지가 좁기 때문이다.
  • 2022년 중부권 폭우 사태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노선이다. 서울에서도 집중 침수 지역인 대치역과 강남역을 모두 지나는 노선인지라 차량 4대가 침수되어 한동안 운행하지 못하는 사태가 일어났다.
  • 내부의 버스노선도에 수인분당선을 "분", 신분당선을 "신"으로 표기하고 있다. 두 노선간의 혼동을 피하거나, 반영이 안 됐을 가능성이 높다.
  • 안내방송 및 BIS시스템상 공식적인 종점은 구룡산입구 정류소로 안내하지만, 도선여객 차고지에서의 하차도 가능하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4312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5,746명 -
2014년 15,789명 △ 43
2015년 15,224명 ▽ 565
2016년 14,888명 ▽ 336
2017년 14,941명 △ 53
2018년 14,717명 ▽ 224
2019년 14,706명 ▽ 11
2020년 11,298명 ▽ 3,408
2021년 10,905명 ▽ 393
2022년 12,316명 △ 1,411
2023년 12,888명 △ 572
2024년 13,781명 △ 893
※ 하차 인원 미포함

4.2. 노선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4312번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가락1동주민센터
24390
가락시장.헬리오시티
24389
가락시장.헬리오시티
24388
일원1동주민센터
23872
일원1동주민센터
23400
- 대청초등학교
23399
- 마루공원
23398
강남우체국
23597
대청역
23397
개포3동주민센터
23600
디에이치자이개포아파트
23359
대치아파트.대모산입구역3번출구
23395
-
은마아파트
23237
대치동미도아파트
23238
은마아파트
23233
대치SK.VIEW아파트.서울교회
23225
- 농협대치지점
23224
은마아파트입구사거리
23263
삼성아파트입구
23223
도곡초등학교
23264
-
한티역2번출구.서울강남고용노동지청
23265
한티역3번출구.서울강남고용노동지청
23222
한티역
23252
-
도성초등학교
23253
역삼e-편한세상아파트
23308
진선여자중고등학교
23258
진선여자중고등학교
23307
선릉역8번출구.선정릉
23214
선릉역
23276
선정릉역.무형문화재전수회관
23215
선정릉역.무형문화재전수회관
23275
한국토지주택공사앞
23216
한국토지주택공사앞
23136
강남구보건소
23290
강남구보건소
23200
강남구청역
23178
강남구청역
23127
영동고교앞
23432
영동고등학교현대아파트
23507
일지아트홀.압구정동노인복지센터
23181
일지아트홀
23160
한양아파트.압구정로데오역
23158
한양아파트.압구정로데오역
23159
압구정파출소
23156
압구정파출소
23157
현대아파트
23148
현대아파트
23149
광림교회.현대고등학교
23104
광림교회.현대고등학교
23103
신사중학교
23102
신사중학교
23101
신사역5번출구
22186
신사역6번출구
23109
신사역4번출구
22185
신사역3번출구
23110
논현역
22191
영동시장.논현역3번출구
23123
반포동
22192
신논현역3번출구.교보타워사거리
23122
신논현역.구교보타워사거리
22172
신논현역6번출구
23286
강남역
22173
강남역11번출구
23285
수협서초지점
22131
신분당선.강남역4번출구
23572
- 역삼초등학교
23295
서초문화예술정보학교
22132
뱅뱅사거리.구영동중학교
23319
양재역.양재1동민원분소
22270
양재역말죽거리.강남베드로병원
23318
양재노인종합복지관
22271
원불교앞
23322
동원산업앞
22306
삼호물산
23370
구룡사
22304
국악고교사거리
23369
구룡사입구
22305
구룡사입구
23368
능인선원앞
23367
능인선원앞
23365
도곡교회.인바디빌딩.건너
23470
도곡교회.인바디빌딩
23468
- 개포우성6차아파트
23433
구룡산입구 · 구룡마을
23366 · 23458
}}}}}} ||

5. 연계 철도역



[1] 토요일 20대 / 공휴일 16대 운행[2] 감차분 4435번 증차분으로 투입되었다.[3] 3호선 이용 후 가락시장역에서 8호선 환승[4] 선릉역~강남역은 지하철 2호선으로만 두 정거장 거리이고, 양재역~대치역은 지하철 3호선으로만 세 정거장 거리인데 이렇게 간단하게 갈 수 있는 거리를 이 버스는 압구정 돌아서 간다![5] 현대아파트 하차[A] 은마아파트 하차.[7] 가락1동주민센터 하차 후 도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