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21:53:01

서울 버스 강남05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5bb025>
파일:강남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강남구 마을버스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01 02 03 05 06
06-1 06-2 07 08 10
}}}}}}}}} ||
파일:DSCF1647.png 파일:어떻게 강남구 마을버스가 석촌역까지???.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4.2. 노선
5. 연계 철도역

1. 개요

개포운수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0km다.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강남05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강남05노선도.svg
기점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구룡마을) 종점 서울특별시 송파구 석촌동(석촌역.잠실한솔아파트)
종점
첫차 05:50 기점
첫차 06:15
막차 23:50 막차 00:15
평일배차 10분 주말배차 토요일 14분 / 공휴일 16분
운수사명 개포운수 인가대수 11대
노선 구룡마을 - 현대1차우성아파트 - 개포고등학교 - 개포도서관 - 개포주공5단지.경기여고 - 개포동역.개포시장 - 대청역 - 영희초등학교 - 일원1동주민센터 - 가락시장.헬리오시티 - 송파역 - 석촌역.잠실한솔아파트

3. 역사

  • 구 5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이 때는 기점이 구룡터널입구, 종점이 가락지하차도였다. 이 때는 가락시장 정류장이 북문삼거리에 있었는데, 북문삼거리가 유턴금지구역이라 원칙적으로는 가락시장사거리까지 가서 유턴을 해야 했다. 간혹 사거리에서 유턴을 한 후 바로 인도에 세워 승하차를 취급하는 경우도 있었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가 강남05번으로 변경되었고, 송파역까지 연장되었다.
  • 2008년에 송파대로 중앙버스차로가 개통되면서 송파사거리에서 유턴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석촌지하차도까지 가야 하게 되었고, 이 곳까지 연장되었다.
  • 2016년 5월 1일부터 9호선 연장 공사로 인해 석촌동 한솔아파트에 정차하지 않는다. 대신 석촌역 5번출구에 임시 정류소를 설치했다.
  • 2018년 1월부터 다시 석촌동 한솔아파트 지하차도에서 회차하는 걸로 바뀌었다.

4. 특징

  • 개포동의 모든 고등학교 뿐만 아니라 중학교(개포고등학교, 경기여고, 중동고, 중동중, 개원중)도 이어주기 때문에 아침에는 학생들로 미어터진다. 게다가 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까지 연장되면서, 더 붐비게 되었다. 개포동을 누비고 다닌다는 점에서 꽤 이용하는 듯. 강남10번과 서로 보완하며 다니고 있다.
  • 탄천교를 건너 '직진하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이 때문에 4433번보다 길다. 하지만 4312번의 헬리오시티 연장으로 깨졌다.
  • 석촌지하차도 위가 1차선 도로라 그런지 송파역에서 기사의 휴식을 위해 잠시 정차하다 간다.[1] 물론 승하차는 가능.
  • 가락시장역에서 3호선으로 갈아타기 귀찮은 가락동 주민들이 3호선 연계를 위해 이용하며, 송파구에 사는 중동고 학생들이 이용하기도 한다. 개포동 주민들이 가락시장 이용을 위해 이용하거나 잠실역, 강동구 방면[2]으로 가기 위해 이용하는 모습도 간간히 보인다.
  • 주 수요는 송파역~일원1동주택가~대청역이다. RH에는 송파역에서 만석이 되며 강남으로 건너오기 전에 입석도 꽉차고 일원1동주민센터에 도착하면 한번 물갈 후 다시 꽉꽉 채운다. 이후 일원농협을 지나며 출입문 앞까지 꽉 차는 경우가 많아 대청역 직전 정류장인 영희초에서는 만차로 정차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웬만한 사람들은 모두 중동고교.대청역 정류소에서 내리기 때문에 대청역까지 걸어가서 탑승하는 것을 추천한다. 3호선을 이용할 대청역 부근 거주민들은 차라리 이 버스를 타지 말고 대청역까지 걸어가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 구룡마을이 기점이지만, 도선여객 차고지에는 승차할 수 없으니 주의![3]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 159동 앞의 정류장에서도 정차하지 않는다. 구룡마을에서의 승차는 406번, 4312번, 4435번의 공식적 종점인 구룡산입구 정류소에서 승차가 가능하다.
  • 2018년 12월 헬리오시티의 재건축이 완료되고 입주가 시작함에 따라 이용자 수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헬리오시티 모양이 남북축 보다 동서축이 더 길어서 1, 2단지 주민들에게는 송파역이 있는 송파대로 보다, 양재대로로의 접근성이 훨씬 뛰어나다. 그러나 양재대로 연선에서 정차하는 버스는 경기도 직행좌석 버스를 제외하면 2412번, 2020년 2월 새롭게 이 구간을 지나는 343번과 이 노선 이렇게 세개 뿐이다. 게다가 이 노선을 제외한 나머지 버스는 모두 수서역으로 향하기 때문에 강남 중남부 지역[4] 학교 및 학원가로 갈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버스다. 이 때문에 강남서초교육청 관내 학교를 다니다 이사를 온 학생이나, 중동고 등 자사고 또는 특성화고에 다니는 학생들이 많이 이용하는 편이며, 대치동으로 학원을 다니는 학생들도 이용한다.
  • 주박은 개포동 구룡마을과 수서역 공영차고지, 하남공영차고지에서 분산 주박 한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강남05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8,084명 -
2014년 7,958명 ▽ 126
2015년 7,848명 ▽ 110
2016년 7,056명 ▽ 792
2017년 6,679명 ▽ 377
2018년 6,433명 ▽ 246
2019년 6,958명 △ 525
2020년 5,250명 ▽ 1,708
2021년 5,180명 ▽ 70
2022년 5,209명 △ 29
2023년 4,377명 ▽ 832
2024년 4,879명 △ 502
※ 하차 인원 미포함

4.2. 노선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강남05번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석촌역.잠실한솔아파트[5] · 석촌역.잠실한솔아파트[6]
24181 · 24180
송파역.헬리오시티
24508
<colbgcolor=#5bb025> <colbgcolor=#5bb025> 송파역[7]
24505
가락1동주민센터
24390
-
가락시장.헬리오시티
24389
가락시장.헬리오시티[8]
24388
서울일원동우체국
23400
서울일원동우체국
23872
대청초교삼거리[대]
23822
대청초교삼거리[일]
23823
일원지구대
23874
일원지구대
23819
영희초등학교
23877
영희초등학교정문
23815
영희초등학교[11]
23586
영희초등학교후문
23917
중동고등학교[12]
23911
대청역
23728
강남우체국
23597
-
개포3일원1동통합주민센터[석]
23600
디에이치자이개포아파트[석]
23359
양전초등학교
23357
개포6단지앞[15]
23357
개포시장.개포5단지상가
23355
개포시장.개포5단지상가
23356
개포동역7번출구.개포시장
23352
개포동역6번출구.개포시장
23354
경기여고
23351
개포주공5단지경기여고
23353
수도전기공고후문
23348
수도전기공고후문
23347
개포도서관
23466
개포도서관[16]
23346
개포1단지연금매장
23344
개포1단지[17]
23336
개포고등학교
23343
개포고등학교앞
23335
우성3차아파트
23515
우성3차아파트[18]
23341
현대1차우성아파트
23505
현대1차우성아파트
23522
개포래미안포레스트[19]
23444
하나은행사거리
23339
- 개포파크빌리지
23338
구룡마을[20][21]
23533
}}}}}} ||

5. 연계 철도역



[1] 보통 앞차가 영희초등학교 정류장에 도착하면 출발한다.[2] 석촌역 종점에서 조금만 걸어가면 2호선 잠실역이 나온다. 강동구 방면으로는 종점에서 바로 340번으로 갈아타는 게 더 빠르다.[3] 구룡마을입구 교차로(양재대로상)에서 바로 유턴하지 않고, 도선여객 차고지를 들어갔다 나와 신호를 받고 좌회전하여 다시 양재대로로 운행하는 방식의 P턴을 하기 때문에 차고지에서의 승차가 가능하다고 착각할 수 있다.[4] 도곡, 대치, 개포[5] 개포래미안포레스트 방면[6] 회차점[7] 안내방송은 송파역.일신여상[8] 안내방송은 가락시장 육교[대] 안내방송은 대청초교삼거리.삼성자동차공업사앞[일] [11] 안내방송은 가락공판장[12] 안내방송은 중동고교.대청역[석] 안내방송은 주공8단지.석탑프라자[석] [15] 안내방송은 주공6.7단지.개원중학교[16] 안내방송은 개포도서관.개포천주교[17] 안내방송은 연금매장[18] 안내방송은 개포주공1단지 정문[19] 종점[20] 기점[21] 석촌동한솔아파트앞 방면[A] 석촌역.잠실한솔아파트 정류장[A] [24] 석탑프라자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