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4:37:47

서울 버스 4318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5bb02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4권역 지선버스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4211 4212 4312 4318 4319
4425 4432 4433 4435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2px"
}}}}}}}}} ||
파일:4318_9164.png 파일:4318_7059.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노선4.2.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개요

우신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1.6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4318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4318 노선도.svg
기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남태령역) 종점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풍납토성.천호역10번출구)
종점행 첫차 03:20 기점행 첫차 04:53
막차 22:30 막차 00:03
평일배차 5~20분 주말배차 토요일 7~20분 / 공휴일 9~20분
운수사명 우신운수 인가대수 36대(예비 2대)[1][2]
노선 남태령역 - 사당역 - 이수역 - 구반포역 - 신반포역 - 고속터미널 - 잠원한신아파트 - 신사중학교 - 현대아파트 - 압구정로데오역 - 프리마호텔 - 청담역 - 봉은사역 - 삼성역 - 우성아파트 - 탄천교 - 아주중학교 - 아시아선수촌아파트 - 잠실새내역 - 새마을시장 - 잠실역 - 잠실나루역 - 올림픽회관 - 서울아산병원동관 → 풍납1동동아한가람아파트 → 풍납토성.천호역 → 천호역.풍납시장 → 토성오거리 → 토성초등학교 → 서울아산병원동관 → 이후 역순

3. 역사

※ 통합 전 두 노선(3312번, 4418번)에 대한 연혁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지선버스 문서의 해당 부분을 참조.
  • 2007년 초에 3312번 차량의 내구연한 만료가 임박했는데, 당시 서울시는 천연가스버스만 출고할 수 있지만 풍납동차고지는 매우 좁아 가스 충전시설도 설치할 수 없었고 강동공영차고지까지 공차회송하기에는 거리가 너무 멀었다. 따라서 우신운수는 3312번과 4418번의 통합을 서울시에 요청했고, 승인되었다.
  • 2007년 6월 12일에 3312번과 4418번을 통합했고, 번호도 4318번으로 변경되었다. 서울시버스조합 공지사항 이 과정에서 3312번의 잠실2동사무소 구간과 4418번의 '대치우성아파트 - 대치역' 구간이 단축되었다. 번호를 4318번으로 한 이유는, 기존 4418번과 번호를 비슷하게 해 혼동을 최소화하려는 의도로 추정된다.
  • 2019년 9월 16일에 평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 하루 총 운행횟수도 7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공문
  • 2020년 7월 6일부터 영동교입구.청담자이아파트(23168)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한다.
  • 2020년 8월 24일부터 방배동 본사 출발 첫차시각도 04:20으로 10분 당겨져 풍납동 출발 첫차와 같아졌다. 관련 공문
  • 2021년 9월 6일부터 방배동과 풍납동 차량 투입 대수가 조정되며 다음과 같은 운행계통의 변화가 생겼다.관련 공문{{{#!folding [ 2021년 9월 6일 운행계통 변경내용 펼치기 / 접기 ]
- 4318방배
(방배동)
4318풍납
(풍납동)
인가대수 21대→31대
(+10대)
16대→6대
(-10대)
첫차시간 04:20
→04:00
변동 없음
평일
운행횟수
92회→141회
(+49회)
73회→24회
(-49회)
토요일
운행횟수
80회→125회
(+45회)
70회→25회
(-45회)
공휴일
운행횟수
70회→115회
(+45회)
평일
배차간격
변동 없음 5~10분
→6~20분
토요일
배차간격
7~10분
→6~10분
6~10분
→6~20분
공휴일
배차간격
변동 없음 8~10분
→6~20분
}}}
  • 2021년 11월 8일부터 평일 방배동과 풍납동 정상차량의 대당 운행횟수가 감회되었다. 이번 조치로 방배동은 평일 총 운행횟수가 141회에서 135회로 6회, 풍납동은 24회에서 23회로 1회 감회되었다. 배차간격은 방배동은 종전과 변동이 없으나 풍납동은 뜬금없이 공휴일 최소 배차간격이 6분에서 8분으로 증가하였다.관련 공문 추가로 이 시기를 즈음하여 남태령역에서 풍납동 방향으로의 막차 시각이 23:50에서 23:10으로 앞당겨졌다.[3]
  • 2022년 5월 25일을 기해 토요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었고, 이에 따라 토요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방배동 125회/풍납동 25회(도합 150회)에서 방배동 115회/풍납동 23회(도합 138회)로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과 함께 방배동 배차분의 토요일의 최대 배차간격이 10분에서 12분으로 늘어났고, 풍납동 배차분의 최소 배차간격은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6분에서 15분으로 늘어났다.관련 공문
  • 2022년 7월 10일부터 2023년 3월 6일까지 사건사고에 의한 사업일부정지 행정처분에 따라 전 요일에 걸쳐 방배동 소속 차량을 2대씩 감차하여 운행한다. 또한, 이번 변동으로 운행횟수가 평일/토요일은 9회, 공휴일은 10회씩 감회된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으로 인한 배차간격의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23년 1월 1일을 기해 전일에 걸쳐 210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20분으로 늘어났고, 공휴일의 방배 차량 운행댓수가 1대 줄어들었다. 또한 평일과 토요일도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58회(방배 135회+풍납 23회)/138회(방배 115회+풍납 23회)/140회(방배 115회+풍납 25회)에서 13회/12회/5회 감회된 145회(방배 124회+풍납 21회)/126회(방배 105회+풍납 21회)/135회(방배 110회+풍납 25회)로 변경되었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으로 방배동 배차분의 토요일/공휴일 최대 배차간격이 12분/10분에서 13분/12분으로 늘어났다. 관련 공문
  • 2023년 3월 13일을 기해 4318방배 차량 1대가 감차되어 4319번 증차분으로 이동되면서 전일에 걸쳐 운행 댓수가 1대씩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도 기존 대비 평일/토요일 4회, 공휴일 5회 감회되어 평일 141회(방배 120회+풍납 21회)/토요일 122회(방배 101회+풍납 21회)/공휴일 130회(방배 105회+풍납 25회)로 조정되었다. 다만 이번 감차 및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최소/최대 배차간격 변동은 전일에 걸쳐 없었다. 관련 공문 관련 게시물
  • 2024년 2월 1일을 기해 풍납 차량의 공휴일 대당 운행횟수가 감회되었다. 이에 따라 공휴일 총 운행횟수가 25회에서 21회로 감회되었지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으로 배차간격 변동은 없었다.관련 공문
  • 2024년 6월 1일을 기해 풍납 차량이 모두 방배로 이동되어 통합된다. 회차지가 풍납토성.천호역10번출구로 변경되며, 운행시간도 종전 220분에서 225분으로 5분 증가하게 되었다. 전요일에서 대당 운행횟수가 감소하고, 다음과 같은 변화가 생겼다.관련 공문
    {{{#!folding [ 2024년 6월 1일 운행계통 변경내용 펼치기 / 접기 ]
- 4318방배
(방배동)
4318풍납
(풍납동)
인가대수 30대→36대
(+6대)
6대
→방배동으로 통합
(-6대)
첫차시간 04:00
→03:20
방배동 출발로 통합
평일
운행횟수
120회→140회
(+20회)
토요일
운행횟수
101회→117회
(+16회)
공휴일
운행횟수
100회→114회
(+14회)
평일
배차간격
6~10분
→5~20분
토요일
배차간격
6~13분
→7~20분
공휴일
배차간격
7~12분
→9~20분
}}}

4. 특징

  • 구반포역삼성역 북쪽(코엑스) 사이의 구간이 345번과 겹친다. 서초구/강남구 구간은 선형이 직선에 가까운 반면, 동쪽의 송파구/강동구 구간은 굴곡이 꽤 있는 편으로 구 3312번 코스를 포함하는 구간은 코엑스~탄천2교~아주중학교~아시아선수촌아파트~잠실새내역~새마을시장~레이크팰리스~갤러리아팰리스~잠실역~잠실나루역~올림픽회관~풍납중학교~서울아산병원~풍납동~천호역~풍납동~서울아산병원~올림픽회관으로 굴곡의 연속이다. 때문에 코엑스나 천호역에서 잠실새내역/잠실역은 지하철이나 다른 노선을 이용하는 것이 더 낫다.
  • 2007년 6월 25일에 맞춤버스로 8431번을 만든 적이 있다. 번호배열은 묘하게도 8의 위치만 바뀐 형태. 운행구간은 동일하되 송파구 구간을 2회 왕복하는 형식이었다. 2009년 7월 11일에 폐선됐다.
  • 통학 수요가 상당하다. 배차도 나쁘지 않고 노선 연선의 고등학교들이 매우 많기 때문.
  • 첫차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중에서는 03시 20분으로 가장 빠르다.[4] 그 다음은 5618번의 03시 30분이다.

===# 사건.사고 #===
  • 2019년 6월 12일 새벽 4시 40분쯤 풍납동차고지에서 출발한 차량이 새벽 5시 30분 전후에 압구정동에서 음주운전으로 적발되었다. 당시 운전기사는 혈중알코올농도 0.1%로 면허취소에 해당되는 수준이었다. 서울특별시는 이 사건의 책임을 엄중히 물어 2020년 1월 1일에 풍납동영업소 소속 16대가 서울특별시 행정처분에 따라서 모두 감차/말소될 예정이었다. 이 행정처분 조치가 변동없이 그대로 이행된다면 현재 37대인 인가댓수가 21대로 감차되어 배차간격이 15~25분 가량으로 크게 늘어나거나, 배차간격 증가폭 최소화를 위해 노선 자체가 단축될 가능성도 높은 상황이었으나 이 조치에 대해 행정 소송이 제기되었거나, 혹은 후속 조치가 제때 마련되지 못한 등의 이유로 감차 조치가 일단 유보된 것으로 보인다. 관련 게시물 1, 관련 게시물 2, 관련 게시물 3 결국 집행정지가 인용되었으며 서울시에서 항고를 포기했다는 공문이 올라왔다. 관련 게시물, 관련 공문[5]
  • 이후 서울시가 수위를 낮추어 이 건에 대해 2021년 3월 1일부터 30일 사업일부정지 처분을 내렸다. 이 기간 동안에는 강동, 송파공영차고지 입주 업체의 예비차량을 대체투입하여 공백을 해소하고, 관련 비용은 서울시에서 우신운수에 구상권을 행사하기로 했다. 관련 게시물
  • 단, 3월 2일 기준 우신운수가 그대로 운행했는데, 면허정지 시작일자는 타 업체 준비가 완료될때까지 며칠 연기되는 것으로 보였고, 이에 따라 처분 해제일도 연장될 가능성이 높아보였으나 소송을 제기해 승소함으로서 지원운행이 취소됐다. 관련 게시물
  • 이후 1년이 넘게 지난 2022년 7월에 집행 방식을 30일간 사건 당시 풍납동 차량 대수인 16대를 한꺼번에 정지하는 방식에서 30일 당 2대씩 총 8개월에 걸쳐 분할 집행하는 것으로 바뀌어서 행정재처분이 이루어졌다. 관련 공문

4.1. 노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4318번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천호역.풍납시장
24101
풍납토성.천호역10번출구
24108
풍납1치안센터입구
24102
풍납동씨티극동아파트
24107
토성오거리
24393
풍납동신성노바빌
24106
풍납2동주민센터
24406
풍납1동동아한가람아파트
24105
토성초등학교.현대리버빌아파트
24119
갑을.미성아파트
24431
풍납동영어체험마을
24120
풍납동강변현대아파트
24397
이상 회차 구간
풍납토성서성벽
24394
풍납토성서성벽
24116
서울아산병원동관
24114
서울아산병원동관
24115
서울아산병원장례식장
24430
울산대학교의과대학
24113
- 풍성중학교.잠실올림픽아이파크
24112
풍납중학교
24111
풍납중학교앞
24434
- 올림픽대교남단교차로
24445
잠실파크리오아파트상가.올림픽회관
24123
올림픽회관
24231
잠실4동주민센터.파크리오B상가
24510
-
잠실파크리오아파트앞
24124
잠실진주아파트
24126
잠실나루역
24125
잠실나루역
24129
잠실중학교.장미종합상가
24130
잠실중학교
24131
잠실역.롯데월드
24138
잠실역7번출구
24133
잠실트리지움
24148
갤러리아팰리스
24147
영동일고.트리지움동문앞
24150
영동일고.레이크팰리스앞
24149
잠실학원사거리.잠실트리지움남문
24152
잠실학원사거리.잠실트리지움남문
24437
잠실새내역2번출구
24458
새마을시장
24436
잠실엘스아파트앞
24142
잠실새내역4번출구
24158
- 종합운동장사거리
24157
아시아선수촌아파트
24155
아시아선수촌아파트
24164
아주중학교
24156
아주중학교
24165
대치유수지체육공원
23435
우성아파트
23436
새마을운동중앙회
23511
-
총회회관.휘문고입구
23509
휘문고교사거리
23245
삼성역
23242
삼성역
23244
삼성역7번출구
23197
무역센터
23198
봉은사역3번출구.삼성1파출소
23192
봉은사.삼성1파출소앞
23189
청담역.경기고교
23188
-
우리은행청담지점.청담삼익아파트
23171
청담역.경기고교
23170
- 영동교입구
23169
청담동주민센터
23166
청담동주민센터
23167
청담초등학교
23165
청담초등학교앞
23182
한양아파트.압구정로데오역
23158
한양아파트.압구정로데오역
23159
압구정파출소
23156
압구정파출소
23157
현대아파트
23148
현대아파트
23149
광림교회.현대고등학교
23104
광림교회.현대고등학교
23103
신사중학교
23102
신사중학교
23101
신반포18차아파트
22176
래미안신반포리오센트아파트
22175
잠원한신아파트
22204
잠원한신아파트
22174
잠원성당.아크로리버뷰아파트
22205
잠원성당
22206
뉴코아아울렛
22207
신반포자이아파트
22208
고속터미널
22019
고속터미널
22020
신반포역.세화여중고
22021
신반포역.세화여중고
22022
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
22023
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
22024
갯마을앞
20015
이수교
22225
정금마을.방배경찰서
20016
정금마을
22033
경문고교.배나무골앞
20017
경문고등학교
22031
총신대입구역.남성사계시장입구앞
20018
총신대입구역.남성사계시장입구앞
22029
사당동우체국앞
20019
이수역
22027
방배노인종합복지관
20020
-
사당역
21028
사당역
22028
사당자동차학원
21027
-
남태령역
21163 · 22026
}}}}}} ||

4.2.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4318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28,762명 -
2014년 27,875명 ▽ 887
2015년 27,418명 ▽ 457
2016년 26,843명 ▽ 575
2017년 26,685명 ▽ 158
2018년 26,612명 ▽ 73
2019년 26,921명 △ 309
2020년 20,827명 ▽ 6,094
2021년 20,622명 ▽ 205
2022년 22,319명 △ 1,697
2023년 22,260명 ▽ 59
2024년 21,966명 ▽ 294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1] 예비차 1대는 평일에 정규차처럼 운행한다.[2] 토요일 28대 / 공휴일 25대 운행[3] 참고로 4318방배/풍납 각각에 대해 행정 인가된 막차시각은 변동 없이 22:30으로 유지되고 있기에, 업체 측의 임의 막차단축에 해당된다.[4] 이는 풍납동 출발 차량이 있어서 그 수요 때문이다.[5] 현행 규정상 운송사업자가 운수종사자의 음주 여부를 확인하지 않은 경우 ‘사업일부정지’ 또는 ‘과징금 부과’ 처분을 내릴 수 있으나, 감차명령은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서울시가 소송에서 진 것으로 보인다. 관련 보도자료에서 서울시가 감차명령을 규정에 추가하도록 건의했다는 것도 이 때문이다.[B] 아시아선수촌아파트 하차.[7] 현대아파트 하차.[8] 토성오거리 하차.[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