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17:03:14

고양 버스 67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02574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고양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광역급행
직행좌석
좌석
일반
시내버스
맞춤형버스
공공버스(시군간)
버스
마을

마을버스
고양누리버스
3300번 :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056번 : 도촌, 서촌, 멱절행 지선으로 운행
}}}}}}}}} ||

파일:고양67일렉.jpg
파일:고양67_1190.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고양시 CI_White.svg 고양시 일반버스 67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고양 67 노선도.svg
기점 경기도 파주시 연다산동(교하차고지) 종점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정동(화정역)
종점행 첫차 04:40 기점행 첫차 05:50[1]
막차 22:40 막차 23:40
평일배차 30~45분 주말배차 45~60분
운수사명 명성 인가대수 6대
노선 교하차고지 - 해오름마을중심상가 - 산내마을6.8단지 - 지산중학교.운정행복센터 - 새암공원 - 일산중심병원 - 덕이하이파크시티 - 덕이동행정복지센터 - 농수산물센터 - 대화역 - 주엽역(중) - 일산동구청(중) - 마두역(중) - 백석역(중) ‐ 대곡역(중) - 고양경찰서.고양어린이박물관 - 화정역

2. 개요

명성에서 운행하는 일반시내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약 47.1km이다.

3. 역사

  • 2023년 9월 18일, 덕이지구 교통대책으로서 66번으로부터 10대를 가져와 분리개통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24년 6월 30일에 경기도 시내버스 준공영제인 공공관리제로 전환될 예정이며, 우선협상대상자로 기존 업체인 명성이 선정되었다.

4. 특징

  • 기본요금제 노선이다.
  • 66번의 덕이지구 지선 역할을 하는 노선이다. 그래서 인가대수 10대 모두 66번에서 차출됐다.
  • 덕이지구의 3호선 대화역 최단시간 연계 및 덕이지구의 운정 광역버스 환승연계 목적[2]으로 개통됐다.
  • 본 노선의 최초 분리 신설안은 연다산동차고지 ~ 산내마을9단지 ~ 한울마을2단지 ~ 미래로(경유) ~ 덕이지구 구간을 거쳐 농수산물센터 정류장부터는 66번과 동일하게 DMC역까지 운행할 예정이었다. 관련 게시물
    • 그러나 파주시가 운정신도시 운행구간에 대해 동의하지 않았고[3], 덕이지구의 민원으로 인해서 재조정되어 현재 노선대로 개통하게 됐다. 관련 게시물
  • 배차간격이 긴 편에 속하기 때문에 이용 시 버스 위치 정보 확인이 권장된다.
  • 화정역에서는 바로 4번출구로 회차하지 않고 직진했다가 기사 휴식 이후 유턴 또는 은빛마을11단지를 끼고 P턴 회차를 해서 4번출구로 진입한다.

4.1. 노선

파일:고양시 CI_White.svg 고양시 일반시내버스 67번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화정역4번출구
57389
파일:Seoulmetro3_icon.svg
화정역3호선
57240
파일:Seoulmetro3_icon.svg
별빛마을8단지.롯데마트
19067
화정역.롯데마트
19064
고양경찰서앞.고양어린이박물관
19061
고양경찰서앞.고양어린이박물관
19063
대곡역(중)
19010 파일:Seoulmetro3_icon.svg파일:GJLine_icon.svg파일:SeohaeLine_icon.svg
대곡역(중)
19007 파일:Seoulmetro3_icon.svg파일:GJLine_icon.svg파일:SeohaeLine_icon.svg
백석동.요진와이시티(중)
20352 파일:Seoulmetro3_icon.svg
백석동.요진와이시티(중)
20353 파일:Seoulmetro3_icon.svg
백석역(중)
20311 파일:Seoulmetro3_icon.svg
안산공원(중)
20323
알미공원(중)
20494
흰돌마을(중)
20491
호수마을(중)
20493
마두역(중)
20249 파일:Seoulmetro3_icon.svg
마두역(중)
20247 파일:Seoulmetro3_icon.svg
일산동구청(중)
20224 파일:Seoulmetro3_icon.svg
일산동구청(중)
20227 파일:Seoulmetro3_icon.svg
일산동부경찰서(중)
20203
일산동부경찰서(중)
20206
강선마을(중)
20166
강선마을(중)
20161
주엽역(중)
20135 파일:Seoulmetro3_icon.svg
주엽역(중)
20136 파일:Seoulmetro3_icon.svg
문촌마을(중)
20114
문촌마을(중)
20111
백병원(중)
20097
백병원(중)
20098
대화역
20086 파일:Seoulmetro3_icon.svg
대화역
20085 파일:Seoulmetro3_icon.svg
예비군훈련장.성저3.4단지
20087
예비군훈련장.성저3.4단지
20084
농수산물센터
20091
농수산물센터
20090
덕이동행정복지센터
20103
덕이동행정복지센터
20102
하누리타운빌리지
20686
하누리타운빌리지
20687
한산초교.덕이고교
58293
한산초교.덕이고교
58294
하이파크시티4.5단지
20643
하이파크시티4.5단지
20646
하이파크시티2.4단지
20642
하이파크시티2.4단지
20639
일산중심병원
20684
일산중심병원입구
20677
동패동
31758
동패동
31757
새암공원
31626
새암공원
31628
한빛마을1단지
31552
한빛마을1단지
31554
해솔마을6.7단지
50045
해솔마을6.7단지
50046
지산중학교.운정행복센터
31680
지산중학교.운정행복센터
31673
가람마을9단지
30845
해솔마을4단지
30148
두레공원(중)
31670
두레공원(중)
31672
산내마을8.12단지(중)
31765
산내마을8.12단지(중)
31766
산내마을6.8단지
30104
산내마을6.8단지
30103
해오름마을중심상가
31966
해오름마을중심상가
31868
다율동
30701
다율동
30702
다율4통
30068
다율4통
30069
연다산32통
30064
연다산32통
30065
연다산동종점
30060
교하차고지
30059
}}}}}} ||

5. 연계 철도역


[1] GBIS 기준 06:00[2] 운정 대다수 광역버스의 서울행 마지막 정차 거점인 새암공원을 통한 환승연계다.[3] 당초에 70-1번의 고양시 진입을 승인해 준 대신 이 노선을 분리 신설하기로 하였지만, 행정실수로 인해 계획되어 있던 운정 구간대로 운행할 수 없게 되어 이를 경기도노선조정위원회에 조정신청, 현재 노선으로 확정되어 개통되었다.[4] 일산동구청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약 15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