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14:54:18

성남 버스 31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폐선된 310번(1기\에 대한 내용은 성남 버스 310(폐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폐선된 310번(1기\:
성남 버스 310(폐선)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0055b7>
파일:성남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광역급행
경기순환
직행좌석

심야
일반
마을
7대일
7영상
[[성남 버스 602-1|
602-1A/B
]]
}}}}}}}}} ||

파일:310_8430.png
파일:이야 성남 310에도 일렉이 있었냐.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5. 연계 철도역

1. 개요

대원버스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성남시 CI_White.svg 성남시 일반시내버스 31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성남310.png
기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오리역) 종점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금토동삼거리)
종점행 첫차 05:00 기점행 첫차 06:00
막차 22:30 막차 23:30
평일배차 10~20분 휴일배차 20~30분
운수사명 대원버스 인가대수 10대[1]
노선 오리역 - 미금역 - 이우중고 - 판교대장로동/서측 - 힐스테이트판교 - 한국잡월드 - 수내역 - 서현역 - 이매촌한신 - 성남역.백현마을 - 판교역 - 호반써밋플레이스 - 봇들마을5단지 - 봇들육교 - 삼평교 - 판교제2테크노밸리 - 기업성장센터 - 금토동삼거리

3. 역사

  • 대장지구 및 판교테크노밸리의 교통 편의를 위해 2021년 6월 11일에 신설되었다.
  • 2022년 12월 1일부터 9대로 증차됨과 동시에 오리역, 판교제2테크노밸리 첫차가 기존 06:00, 07:00에서 05:00, 06:00로 1시간 앞당겨졌다.
  • 2023년 11월 9일부터 판교제2테크노밸리 1~2구역 횡단교량 임시 개통과 함께 기점이 기업성장센터에서 판교이노베이션랩 경유 금토동삼거리 P턴 순환, KT판교빌딩으로 연장된다. 성남시청 공지사항

4. 특징

  • 분당신도시 안쪽을 돌고 갔던 1기 310번과는 다르게 대장지구와 한국잡월드, 수내역을 경유하며, 사송동 대신 기업성장센터로 가는 게 특징이다.
  • 오리역 ~ 대장동, 대장동 ~ 서현역, 서현역 ~ 기업성장센터의 세 구간 수요를 노리는 굴곡 노선이다.
  • 안양판교로 무정차 구간[2]을 이용하는 덕분에, 대장동이나 산운마을 14단지,13단지에서 정자사거리, 수내역이 목적지라면 운중동에서 220번 굳지 환승 없이 빠르게 갈 수 있으며, 또한 서현역을 오갈 경우 마을버스 32번보다 이 노선이 훨씬 빨리 도착한다. 그런데 미금역을 오갈 때도 32번은 고기리입구 대장동입구(낙생저수지)를 경유하므로 이 노선이 더 약간 빠른 경로로 다니는데, 신기하게도 실상은 주말에 고기동 입구쪽 정체 문제 빼고 평일이나 보통 때에는 미금역 종착후 빨리 쉬고 싶은 기사 마음이지는 몰라도 32번 마을버스가 은근히 더 기민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그닥 별 차이 없거나 이상하게 이 노선 버스가 마을버스 32번 보다 더 후미에 따라가는 편이다. 동시에 오면 그냥 먼저 오는 버스를 타는 것이 무난하며, 대장동에서 판교역으로 갈 때는 교통상황 따라서 73번, 32번, 340번이 비슷하거나 다소 빠르다고 할 수 있다.
  • 한국잡월드에서 서현역으로 가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 노선을 타야 빠르다. 배차간격이 짧은 220번은 정자역과 정자동, 수내동 안쪽을 돌고 가기 때문이다.
  • 현재는 대장지구와 태영데시앙, 경남아너스빌에서 수내역, 서현역으로 가는 수요로 먹고사는 수준이며 적은 구간수요로 노선을 유지하는 중이다. 하지만 서서히 증차하면서 다시 구간수요가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수내역, 서현역에서 제2판교테크노밸리로 출퇴근하는 수요도 많이 늘어났다. 이후 미금역6번출구 공사가 완공되고 추가로 증차되어 최소 배차간격이 10분까지 줄어들어 대장지구~미금역 구간 수요를 주름잡고 있다.

5. 연계 철도역



[1] 토요일 / 공휴일 6~8대 운행.[2] 57번 지방도 로써 서판교 내 운중로 시내 우회도로이지만 자동차전용도로는 아니다. 다만 국은교(두밀사거리)~백현교차로 구간사이에 신호등이 없고 60km/h 속도 제한 구간이지만 도시 시내형 입석형버스가 50km/h 속력 이상으로 입석승객까지 태우고 갈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전용도로로 착각해서 민원이 올 수도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