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aa57><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광주시내 운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직행좌석 | ||
좌석 | |||
일반 | |||
마을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광주시 미경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광역급행 | ||
<colcolor=#fff> 직행좌석 | 3200[통] | ||
좌석 | |||
일반 | |||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광주시 경안동(경기광주터미널) | 종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모란역) | ||
종점행 | 첫차 | 04:45 | 기점행 | 첫차 | 05:20 |
막차 | 23:15 | 막차 | 23:55 | ||
평일배차 | 5~15분 | 주말배차 | 10~20분 | ||
운수사명 | 경기고속 | 인가대수 | 14대[1] | ||
노선 | 경기광주터미널 - 축협 - 우체국 - 광주시자원봉사센터 - 보건소 - 송정동주민센터 - 신일아파트 - 두리봉마을 - 목현2리 - 이배재터널 - 상대원파출소 - 대원사거리 - 아튼빌아파트 - 중원구청 - 모란역.모란시장입구.풍생고교 - 모란역 |
2. 개요
경기광주터미널과 모란역을 잇는 시내일반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약 27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초는 경기교통에서 개통한 노선이었으나 부도 이후 경기고속에서 31번에서 2002년에 분리개통해 운행을 시작한 노선이다. 당시엔 '밀목차고지 - 축협 - 보건소 - 목현리 - 이배재 - 모란' 구간을 한 대로 운행하였다.
- 초창기에는 '중원구청 - 모란농협 - 모란역' 이었으나 모란역 회차구간을 중원구청에서 수성교를 건너 풍생고교를 경유하여 모란역으로 오도록 변경했다.
- 광주터미널 공사기간에는 축협에서 출발했다가, 터미널 개장 이후 500-5번과 함께 터미널로 연장되었다.
- 500-5번과 함께 평일 아침에만 3회 탄벌중학교를 경유하게 되었다. '목현동 → 탄벌초교 → 벌원사거리 → 탄벌중 → 보건소 → 송정교 → 광주터미널' 순으로 운행한 다음 기존 노선대로 운행한다. 관련 게시물
- 2020년 2월 17일에 이배재고개 대신 이배재터널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감차되어 배차시간이 늘어 났다.
4. 특징
- 500-5번과 '광주시노인종합복지회관 - 중원구청사거리' 구간이 동일하다. 500-5번은 축협, 파라다이스아파트를 경유하지 않는다.
- 3-3번과 경쟁을 심하게 하는 노선으로 유명하다. KD에서 광성운수를 잡기 위해 증차 및 추월 과속은 물론이고 무전까지 쓰고 있다. 일각에선 대기업에 마을버스 회사 상대로 너무 쪼잔하게 군다고 할 정도.[2] 그러다 어느순간부터 회덕동, 송정동, 목현동 인구가 어마어마하게 늘면서 3-3번, 31-3번, 500-5번 모두 가축수송을 하기 때문에 경쟁이 의미가 없어졌는지 짱박기나 무전드는 일은 사라졌다.
3-3번이 정말 잘 버텨냈다
- 상술했듯 KD 운송그룹에서 상당히 공을 들이는 노선이다. 3-3번과 경쟁관계인 것도 있고, 특히 이 노선이 경유하는 회덕동, 목현동, 이배재 지역은 오포읍과 맞먹는 최악의 난개발을 자랑하는데 오포와 달리 계곡 지역이라 외부로 나가려면 이 노선과 3-3번을 탈 수밖에 없고, 따라서 수요가 많다.
- 우회전하는 3-3번 등과 달리 모란역이 종점인 31-3번은 중원구청 사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중원구청을 경유하고 수성교를 건너 풍생중.고교 앞을 지나 이배재 경유 노선의 광주 방면 정류장에서 내려준다.[3] 즉 자매노선 31-2번, 직행좌석 9400, 9800과 더불어 수성교를 건너는 넷 뿐인 시내버스 노선. 단, 두 노선 모두 모란역 일대에서 루프식 회차를 하기 때문에, 수성교는 모란역 방향에서만 건너다닌다.[4]
- 아침 출근시간에는 광주공영버스 33-2번에서 1회 지원 운행을 하며 별도로 광주 방향에서 2회 탄벌중학교를 경유해서 운행한다.
- 3-1번과 함께 모란역에서 광주시로 운행하는 일반버스 노선 중 막차가 가장 늦은 노선 중 하나이다. 모란역 6.7번출구 정류장에서 막차가 대기하고 있다가 23시 55분이 되면 칼같이 출발하나, 종종 자정에 맞춰 출발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평일 한정으로 심야버스인 500-1A번이 있긴 하나, 이 노선은 경충대로 따라 운행하기 때문에 목현동 일대로 가고자 한다면 매우 불편하다.
- 둔촌대로 구간에서 여타 버스들과 함께 난폭운전을 일삼는 경향이 있으니 자리에 앉지 못했을 때는 손잡이나 봉 등을 꽉 잡고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4.1.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하였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평일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3,787 | |
2015년 | 4,482 | △ 695 |
2016년 | 5,793 | △ 1,311 |
2017년 | 7,103 | △ 1,310 |
2018년 | 7,040 | ▽ 63 |
2019년 | 7,346 | △ 306 |
주말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2,991 | |
2015년 | 3,676 | △ 685 |
2016년 | 4,581 | △ 905 |
2017년 | 5,278 | △ 697 |
2018년 | 4,989 | ▽ 289 |
2019년 | 3,345 | ▽ 1,644 |
5. 연계 철도역
[1] 실제로는 평일 12대, 토요일 3~6대, 공휴일, 일요일 2~3대다.[2] 다만, 광성운수가 신경 안 쓴 건 아니고 아이패드까지 써가면서 31-3과 500-5를 추격했다. 뭣보다 광성운수는 경기교통의 후신이라서 그런 것도 있다. 최근 들어 불친절해졌단 얘기도 있고.[3] 그래서 둔촌대로 연선인 상대원, 하대원 구간에서 풍생중, 고교 통학 수요가 나온다. 학교 정문 바로 앞에 내려주기 때문에 인기가 좋은 편이다. 예전에는 수성교를 건너지 않고 350번, 60번을 위시한 노선들처럼 그 옆으로 빠져 수성교 아래 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모란농협을 경유하여 모란역으로 왔으나, 이후 지금의 경로로 바뀌었다.[4] 애초에 길이 풍생중.고교 방면으로만 나 있어서 불가피한 면도 있다. 강남역으로 가는 9400, 9800은 수성교 하부를 통해 중원구청으로 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