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004098,#49aaf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수원시 | }}} |
{{{#!wiki style="color:#004098,#49aaff;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프리미엄 | ||
광역급행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33%" | ||
직행좌석 | |||
좌석 | |||
일반 | |||
마을 | |||
'''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
8471번 | 8472번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1가(수원역.AK플라자) | 종점 |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현화리(안중버스터미널.안중보건지소) | ||
종점행 | 첫차 | 07:10 | 기점행 | 첫차 | 08:20 |
막차 | 20:28 | 막차 | 21:38 | ||
배차간격 | 126~252분 (1일 4회) | ||||
운수사명 | 경진여객 | 인가대수 | 1대 | ||
노선 | 수원역 - 고색역.고색초교 - 오목천동사거리 - 오목천역.영신여고 - 수영오거리.봉담입구 - 봉담읍사무소 - 장안대학교 - 사령부 - 장짐교차로.축산농협 - 발안만세시장 - 화성시보건소 - 제약공단아파트 - 상신리 - 향남제약공단 - 구문천리 - 요당리 - 청북읍사무소 - 후사리 - 용성리 - 안중오거리 - 안중버스터미널.안중보건지소 | ||||
| |||||
| |||||
| |||||
기점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1가(수원역.AK플라자) | 종점 |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현화리(안중버스터미널.안중보건지소)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10 |
막차 | 22:40 | 막차 | 23:50 | ||
배차간격 | 42~84분 (1일 26회) | ||||
운수사명 | 경진여객 | 인가대수 | 8대 | ||
노선 | 수원역 - 고색역 - 오목천동사거리 - 오목천역 - 수영오거리.봉담입구 - 봉담읍사무소 - 장안대학교 - 사령부 - 장짐교차로.축산농협 - 발안만세시장 - 화성시보건소 - 제약공단아파트 - 상신리 - 향남제약공단 - 구문천리 - 요당리 - 청북읍사무소 - 후사리 - 한양수자인 - 청북신도시 - 안중오거리 - 안중버스터미널.안중보건지소 |
2. 개요
수원역과 안중버스터미널을 잇는 직행좌석버스 노선. 8471번, 8472번3. 역사
- '수원 - 발안 - 안중' 간 노선은 굉장히 역사가 오래되었는데, 기록에 따르면 무려 1927년 7월에 첫 운행을 하였다고 한다.
- GBIS에 시외버스를 등록하게 되면서 번호가 부여되었다.
- 광승소하천 정비사업에 따라 광승4교가 철거되면서, 2015년 10월 3일부터 (일자 미상)까지 현곡2리회관까지 우회하게 되었으며 청북면사무소 정류장(안중 방면 한정)도 임시로 이설되었다. 평택시청 공지사항
- 2016년 1월에 8472번이 후사리, 용성리 대신 안중출장소, 부영1차후문, 청북신도시를 경유하게 되었다.
- 2017년 7월 17일에 8471번의 기점이 서수원버스터미널에서 수원버스터미널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1일 11회(#)
- 2019년 3월 1일, 개통 92년만에 시내버스(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됨과 동시에 '수원터미널 - 수원역' 구간이 단축되었다. 관련 게시물 수원터미널에서는 8472번이 8471번으로 통합된다고 되어 있었으나 청북신도시 구간 때문에 무산된 듯하다. 수원터미널 공지사항
- 2019년 3월 11일에 8471번은 1일 5회에서 1회(수원 20:20 / 안중 21:40) 감회되어 1일 4회 운행으로 줄었다. 8472번은 8대로 증차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9년 11월부터 상하행 모두 청북신도시에 있는 한양수자인 정류소에 추가 정차하게 된다.
- 2020년 11월 1일 경기도 공공버스 전환으로 증회되었다. 그와 동시에 화성시 면허에서 수원시 면허로 전환되었다.
- 2022년 날짜 미상으로 8471번이 6회에서 4회로 감회되었고 8472번이 20회에서 26회로 증회되었다.
- 2022년 7월 1일 기점이 수원역.헌혈의집에서 수원역.AK플라자로 변경된다.
- 2022년 7월 11일 경진여객 파업 영향으로 운행이 중단되어 안중~향남터미널 구간을 전세버스로 12회 운행되었다. 평택시청 블로그
4. 특징
- 시외버스 시절에도 수원 - 발안 구간에서는 모든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일부 정류장에만 정차하였다.
- 안중터미널 ~ 청북신도시, 바다마트 ~ 수원역 구간에서는 무정차 통과하는 정류장이 있으며 독점구간인 후사리~발안시장 구간은 모두 정차한다. 그래서 단거리만 이용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 외국인 근로자들의 수요가 많은 노선이다. 산업단지가 몰려있는 화성시 서부에서 수원역까지 빠르게 가는 노선이기 때문.
- 8471번은 오뚜기 공장, 용성리, 금곡리를, 8472번은 청북신도시를 경유한다. 8471번과 통합배차로 40~50분 간격으로 다니고 있다.
- 과거에는 BS106, 뉴 슈퍼 에어로시티[1]로 운행하였다. 광역버스로 전환 이후 경기도 공공버스 사업에 참여함에 따라 유니버스가 소수 투입되었고, 2022년 7월부터 노후화된 에어로시티 차량들이 유니버스로 대차되었다.
4.1. 시간표
8471, 8472번 운행시간표 (2022년 7월 3일 기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수원발 | <colbgcolor=#FFD8D8> 시간 | 안중발 |
00 45 | 05 | - | |
28 | 06 | 10 | |
10 52 | 07 | 도착 후 회차 | |
34 | 08 | 20 | |
16 58 | 09 | 도착 후 회차 | |
40 | 10 | ||
22 | 11 | ||
04 46 | 12 | ||
28 | 13 | ||
10 52 | 14 | ||
16 58 | 16 | ||
40 | 17 | ||
22 | 18 | ||
04 40 | 19 | ||
28 | 20 | ||
10 55 | 21 | 38 | |
40 | 22 | 도착 후 회차 | |
- | 23 | 50 | |
█ - 8471번 (청북신도시 미경유) |
4.2. 사건사고
2020년 4월 15일, 안중터미널 인근에서 8472번 차량이 상가 건설현장으로 돌진하는 사고가 났다. 신호 위반하던 승합차를 피하려다가 사고가 났으며, 이 사고로 버스 안의 2명이 경미한 부상을 입었다. 기사 사고난 차량은 차고지에서 수리후 8471번으로 운행했다.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수원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원역, 고색역, 오목천역
- 일반 철도역: 수원역(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6. 둘러보기
| |
봉담행 | |
'''[[향남읍|향남행]]''' | |
안중행 | |
경유 노선 | |
남양읍 방면 · 봉담읍 방면 · 수원대 방면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00><colcolor=#fff> | <colcolor=#fff><colbgcolor=#f00>광주시[미] | 3200[통] ···· |
김포시 | · 9008[통] | ||
성남시 | ···· | ||
수원시 | ······· | ||
안산시 | · 300[관] ·· | ||
파주시[관] | ·· | ||
화성시 | ··· | ||
기타 | · | ||
[관] 주말 관광노선 / [미] 광주시 미경유 / [통] 서울시를 경유하나 정류장이 없는 경우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00> | <colcolor=#fff><colbgcolor=#f00>가평군 | ·· |
고양시 | 1000[2] ··· | ||
광주시 | · | ||
김포시 | · | ||
수원시 | ··· | ||
안산시 | · 300[주] ···· | ||
용인시 | ·· | ||
파주시 | 7500[주] ·7700[주] ·7701[주] ···9710-1[2] | ||
기타 | ·· | ||
[2] 2층버스 운행 노선 / [주] 주말에만 운행, 2층버스 운행 노선 이 틀에 기재된 노선은 입석금지 제도 적용을 받지 않아 합법적으로 입석 승차가 가능하나, 업체 재량으로 입석 승차가 불가능할 수 있음. |
|
300일반좌석 301일반시내 6800직행좌석 8471, 8472직행좌석 |
| |
직행좌석 | 8471[청], [수] 8472[수] |
일반시내 | 315[청] |
[청] : 청북신도시 미경유 / [수] : 수원시 버스 |
[1] 시외버스였음에도 불구하고 고정식 좌석시트에 판스프링 서스펜션 차량만 투입되었다.[2] 최북단은 연천 G2001번, 최서단은 김포 3000번, 최동단은 양평 G9311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