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00:50:03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중앙선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경의·중앙선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문산에서 가좌를 거쳐 서울역을 잇는 철도 노선에 대한 내용은 경의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청량리에서 용문을 거쳐 모량신호장을 잇는 철도 노선에 대한 내용은 중앙선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수도권 전철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1호선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 2호선
]]
경강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중앙선
]]
경춘선 공항철도 서해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분당선
]]
신분당선 신림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우이신설선
]]
[[용인 에버라인|
용인 에버라인
]]
GTX-A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 ||

||<-2><tablewidth=70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77c4a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경의선 도라산역 ~ 서울역
(56.0km, 40.64%)
용산선 가좌역 ~ 용산역
(7.0km, 5.08%)
경원선 용산역 ~ 청량리역
(12.7km, 9.22%)
중앙선 청량리역 ~ 지평역
(62.1km, 45.06%)
역 목록 | 운행 계통(수도권 전철 경의선 · 수도권 전철 중앙선) | 역사 | 연장 | 문제점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GJLine_icon.svg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首都圈 電鐵 京義·中央線
Seoul Metropolitan Subway
Gyeongui-Jungang Line
}}}
파일:IMG_5957.jpg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파일:Korail_EMU_Class_331000.jpg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노선도(2024).svg현재 구리역수도권 전철 8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으며, 가좌역은 문산~용산 계통 급행도 정차한다.
노선 정보
노선 분류 일반철도
광역철도(용산문산, 청량리덕소 구간)
차량 분류 대형 중전철
기점 도라산역(매월 둘째 주 금요일 1회 운행),
임진강역(평일 2회, 휴일 4회 운행), 문산역
종점 서울역[1], 용문역, 지평역(평일 6회, 휴일 5회 운행)
역 수 58개
구성 노선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
상징색
옥색 (#77C4A3)
개통일 1978년 12월 9일([age(1978-12-09)]주년)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운영사 한국철도공사
사용차량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2]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3]
차량기지 문산차량사업소
용문차량사업소
노선 제원
노선연장 137.8km
궤간 1,435mm
선로구성 4 (능곡 ~ DMC)
2 (문산 ~ 능곡, 가좌 ~ 서울역/지평)
1 (문산 ~ 도라산)
급전방식 교류 25,000V 60Hz 가공전차선
신호방식 ATS-S1, ATS-S2[4]
최고속도 110km/h
표정속도 문산 ↔ 용문 완행 44.27km/h
문산 ↔ 용산 급행 49.24km/h
문산 ↔ 서울역 급행 49.27km/h
용산 ↔ 용문 급행 54.77km/h
지하구간 가좌효창공원앞[5]
통행방향 좌측통행
개통 연혁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역사 문서 참고
[ 펼치기 · 접기 ]
1978. 12. 09. 용산청량리[1호선]
(한남, 회기, 옥수 제외)
1980. 04. 01. 한남, 회기[1호선]
1985. 10. 18. 옥수[1호선]
2005. 12. 16. 청량리덕소(상봉, 일패 제외)[9]
2007. 12. 27. 덕소팔당
2008. 12. 29. 팔당국수(신원 제외)
2009. 07. 01. 서울역문산(영태, 야당, 강매, 경의선/한국항공대~수색 중간역 제외)
2009. 12. 23. 신원, 국수용문(오빈 제외)
2010. 12. 21. 상봉, 오빈
2012. 12. 15. 가좌공덕
2014. 10. 25. 강매
2014. 12. 27. 공덕용산(효창공원앞 제외) 및 직결 운행 개시
2015. 10. 31. 야당
2016. 04. 30. 효창공원앞
2017. 01. 21. 용문지평
2020. 03. 28. 문산임진강(운천 제외)
2021. 12. 11. 임진강도라산
2022. 12. 17. 운천
개통 예정 2025. 경의선/한국항공대~수색 중간역
2028. 일패
미정. 영태
1. 개요2. 건설 목적3. 역사4. 구성 노선5. 운행 환경
5.1. 안내방송5.2. 혼잡 구간5.3. 배차 간격
6. 전 구간 주행 영상7. 역 목록8. 환승역9. 소재지10. 현존 행선지 및 열차 번호11. 운행 차량12. 운행 계통13. 역별 승하차 통계14. 문제점15. 연장 논의16. 사건 사고17. 기타
17.1. 경의·중앙선 주변 도시개발17.2. 열차 이용 팁17.3. 기타

[clearfix]

1. 개요

2014년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을 하나의 노선으로 직결운행하면서 탄생한 수도권 전철 운행 계통이다. 노선색은 옥색이다. 운행 열차의 도색은 1호선과 같은 자석도색이다.

철도 노선 하나가 관장하는 주 간선 도로인 국도1번 국도, 77번 국도, 46번 국도, 6번 국도 총 4개인 노선이다. 고속도로로는 평택파주고속도로를 대체하는 노선이다.

로마자로는 'Gyeongui·Jungang Line'으로 표기한다. 하지만 서구권에서 가운뎃점은 생소한 문장부호이고, 이렇게 두 지명을 잇는 데에는 대시(줄표)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영어판 위키백과등에서는 'Gyeongui–Jungang Line'과 같이 엔 대시(en dash)로 잇고 있다.

2. 건설 목적

  • 일반열차 및 수도권 전철 1호선 지선구간 대체
    수도권 전철 경의선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건설 목적. 경의선통근열차새마을호를 100% 대체하였으며, 중앙선은 최하등급 열차였던 통일호를 대체하며 일반열차 대비 운영비용과 소요시간을 절감하는 효과를 보았다. 또한 경원선 구간은 원래 1호선의 지선으로 운행되었으나 본선 구간과의 평면교차 및 안내의 어려움[10]등의 문제가 있었는데 중앙선 전철로 편입되며 해결되었고, 용산선일제강점기 이후 수십년 만에 여객노선의 지위를 되찾게 되었다.
  • 강변북로를 비롯한 주요 도로의 교통체증 완화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직결 목적. 강변북로는 대한민국 고속화도로 교통량 1위를 달리는 상습정체 도로이기 때문에 이를 분산시킬 필요가 있었고, 경의선과 중앙선을 직결시킬 때 감사원이 내세운 명분이 바로 이것이었다. 그 외 경의선 쪽에서는 강변북로와 직결되어 있는 자유로와 서울~금촌~문산을 잇는 통일로, 중앙선 쪽에서는 6번 국도의 청량리~용문 구간 교통 혼잡을 완화하는 역할도 맡고 있다.

3.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경의선 계통 중앙선 계통
2009. 07. 01. 서울역문산 개통
2012. 12. 15. 가좌공덕 개통
2014. 10. 25. 강매역 개통
1978. 12. 09. 용산청량리 개통
1980. 04. 01. 한남역, 회기역 개통
1985. 10. 18. 옥수역 개통
2005. 12. 16. 청량리덕소 개통
2007. 12. 27. 덕소팔당 개통
2008. 12. 29. 팔당국수 개통
2009. 12. 23. 신원, 국수용문 개통
2010. 12. 21. 상봉역, 오빈역 개통
2014. 12. 27. 공덕용산 개통 및 직결 운행 개시
2015. 10. 31. 야당역 개통
2016. 04. 30. 효창공원앞역 개통
2020. 03. 28. 문산임진강 개통
2021. 12. 11. 임진강도라산 개통
2022. 12. 17. 운천역
2017. 01. 21. 용문지평 개통
{{{#!folding [경의선 미개통역]2025. 경의선/한국항공대~수색 중간역 개통 예정
미정. 경의선/K332정거장 개통 예정
}}} ||
[중앙선 미개통역]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191919><bgcolor=#ffffff,#191919>2028. 남양주시 일패동 중간 추가역 개통 예정 ||
||

4. 구성 노선

5. 운행 환경

5.1. 안내방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차내 안내방송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안내방송/열차/도시철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역내 안내방송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안내방송/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d8bfd8,#3f263f> 운영사 한국철도공사
한국어 보이스웨어 혜련
영어 보이스웨어 Julie
중국어 조홍매
일본어 교코
출발 BGM 코레일 ID송
환승 BGM 얼씨구야
종착 BGM 코레일 로고송

5.2. 혼잡 구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축수송(교통)/사례/대한민국/철도 문서
3.9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1년 경의선 최대 혼잡 구간 행신역강매역 111%
2021년 중앙선 최대 혼잡 구간 망우역상봉역 139%

우선 수도권 전철 경의선 구간의 경우 출근시간 기준으로 기점인 문산역부터 입석이 발생하며, 파주시 원도심인 금촌(금촌역·금릉역)과 신도심인 운정신도시(운정역·야당역)을 연속으로 지나면서 혼잡도가 상승한다. 이후 고양시 일산 구간인 탄현역일산역, 백마역을 거치면서 가축수송이 되고, 덕양구능곡역행신역을 지나면서 혼잡도가 절정에 달한다. 특히 일산 구간의 경우 일산신도시 중심부를 지나는 수도권 전철 3호선(일산선)이 불량한 선형이라는 치명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다 보니 일산신도시의 수요가 선형이 훨씬 좋은 경의선 쪽으로 쏠리고, 여기에 철길 반대편의 일산 원도심 수요까지 겹치면서 더더욱 혼잡하다. 서울에 들어와서는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6호선 환승객들이 아주 조금 하차하고, 홍대입구역에서 2호선 및 공항철도 환승객들이 대거 하차한 후 남은 승객들도 대부분 공덕역용산역에서 하차한다.

한편 수도권 전철 중앙선 구간의 경우 양평역에서 많이 탑승해 입석이 발생한 후로는 한동안 수요가 적은 역들을 지나며 승객 수가 조금씩 늘어나다가 남양주 시내에 접어드는 도심역덕소역부터 본격적으로 우르르 탑승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다산신도시의 중심에 있는 도농역에서 많은 승객들이 탑승하고 구리역에서는 정말 엄청난 혼잡도를 자랑하게 된다. 하지만, 이는 서울 도심쪽으로 가는 승객들만 포함된 얘기고 별내선이 개통하면서 강남으로 출퇴근하는 수요는 8호선으로 많이 뺏길 예정이므로 이 구간 역시 예전보다 혼잡도가 줄어들 것이다. 강남으로 가는 승객들은 다산신도시 중심에 있는 다산역에서 8호선으로 탑승하고, 구리역에서는 양평과 덕소에서 강남으로 갈려는 승객들 때문에 8호선으로 대거 넘어가면서 예전보단 확실히 여유가 있어질 것이다. 서울에 들어와서는 상봉역에서 강남으로 가려는 7호선 환승객들이 대거 하차하지만 수도권 전철 경춘선 환승객들이 그만큼 탑승하면서 다시 혼잡해진다. 이후 회기역청량리역, 왕십리역에서 대거 하차하면서 열차 내부가 한산해지고 남은 승객들도 대부분 옥수역이촌역, 용산역에서 하차한다. 반대로 퇴근시간에서는 서울 구간 역들, 특히 왕십리역의 승강장이 매우 혼잡하다.[11]

5.3. 배차 간격

경의·중앙선 본선의 배차 간격은 RH 7~9분, NH 10~20분 정도로 수도권 전철 치고는 상당히 긴 편에 속한다. 급행 미정차역은 RH 시간조차에도 거의 20분 정도까지 벌어지기도 한다. 수도권 전철 23개 노선 중 경의·중앙선보다 배차 간격이 긴 노선은 NH 배차 간격 20~30분의 경춘선, 경강선 이렇게 2개가 있다.[12] 이들은 모두 일평균 이용객 수가 경의·중앙선의 1/4에도 미치지 못하는 노선들이다. 경의·중앙선과 수요가 비슷한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배차 간격이 RH 4~5분, NH 8~10분인 것과 비교하면 차이가 확연하게 드러난다. 또한 중앙선 쪽은 절반에 가까운 열차가 덕소역에서 종착하기 때문에 도심역~용문역 구간의 배차간격은 RH 15분, NH 30~40분으로 더욱 벌어진다. 그리고 4량 편성의 서울역 지선은 RH 15~30분, NH 최대 60분의 긴 배차 간격을 보인다.

평시 배차 간격이 15분 이상 되는 광역철도 노선 중 가장 이용객이 많은 노선이며, 중앙선 구간은 용산~왕십리~청량리~상봉·망우~덕소~양평·용문까지는 전철뿐만 아니라 KTX나 일반열차, 화물열차까지 다니고 있어서 늘 혼잡하다. 그러다 보니 배차 간격으로 시민들한테 가장 많은 비난을 받고 있다. 하지만 경강선이나 경춘선에 비하면 새발의 피일 뿐이다.

수도권 전철 서해선2023년 8월 26일 개통하면서 일산역 - 능곡역 구간은 경의중앙선과 서해선을 합쳐서 RH 3분, NH 10분 배차간격이 완성됐다. 다만 선로공용 구간의 존재로 서해선은 대부분의 열차가 대곡역에서 시종착한다.

6. 전 구간 주행 영상[13]

<nopad>
▲ 용문(지평)역 → 문산역 전 구간 주행 영상
▲ 문산역 → 용문(지평)역 전 구간 주행 영상
<nopad>
▲ 경의선 구간 서울역 → 대곡역 주행 영상
▲ 경의선 구간 대곡역 → 서울역 주행 영상
<nopad>
▲ 임진강역 → 문산역 셔틀 구간 주행 영상
▲ 문산역 → 임진강역 셔틀 구간 주행 영상
<nopad>
▲ 임진강역 → 도라산역 셔틀 주행 영상[주의사항]
▲ 도라산역 → 임진강역 셔틀 주행 영상[주의사항]

7. 역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역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환승역


향후 개통되는 노선 중 계획에 따라 공사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어 경의·중앙선과의 환승이 확실해진 역으로는 왕십리역(동북선)과 대곡역(GTX A선), 서울역(GTX A선)이 있다.

이외에도 신안산선공덕역서울역에서, 서울 경전철 면목선청량리역에서, 대장홍대선홍대입구역에서 환승할 수 있도록 추진 계획이 잡혀있다. 서울 경전철 서부선의 경우 경의선 신촌역 또는 서강대역과 환승이 될 가능성이 있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가 완공된다면 환승이 가능해질 역은 대곡역서울역이다. 두 역 모두 운정-동탄을 잇는 A선과 환승될 예정이다. 계획으로는 용산역과 서울역은 송도 ~ 마석 구간을 운행하는 B선과 환승될 예정이지만 사업이 지지부진하다. C선 덕정 ~ 수원 노선은 왕십리역청량리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또한 문산역도 임진강역 셔틀열차와 본선 열차(서울역, 용문/지평 방면)와 갈아탈 수 있는 환승역이다.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일산 연장 계획에 따라 일산역이 환승 계획 역으로 추가됐다.

남양주시 일패동 중간 추가역에서 서울 지하철 9호선과 환승될 계획이다.

또한 일산역까지만 운행하던 서해선이 탄현, 야당, 운정역까지 운행할 예정이다.

9. 소재지

파일:GJLine_icon.svg 본부 및 소재지
본부명 소재지 구간 관리역 역 수
본선
서울본부 경기도 파주시 도라산(K338) ~
야당(K328)
문산역 16
고양시 탄현(K327) ~
곡산(K323)
대곡(K322) 대곡역 1
능곡(K321) 문산역 1
행신(K320) ~
한국항공대(K318)
수색역 8[16]
서울
특별시
은평구 수색(K317) ~
디지털미디어시티(K316)
서대문구 가좌(K315)
마포구 홍대입구(K314)
서강대(K313) ~
공덕(K312)
용산역 7
용산구 효창공원앞(K311) ~
한남(K113)
서울본부
(수도권동부
지역관리단)
성동구 옥수(K114) ~
왕십리(K116)
청량리역 4
동대문구 청량리(K117)
회기(K118) 망우역 12
중랑구 중랑(K119) ~
양원(K122)
경기도 구리시 구리(K123)
남양주시 도농(K124) ~
운길산(K129)
양평군 양수(K130) ~
지평(K138)
양평역 9
지선
서울본부 서울
특별시
서대문구 신촌(P314) 수색역 1
중구 서울역(P313) 서울역 1

10. 현존 행선지 및 열차 번호


네자리 중 앞의 번호는 노선을 의미한다. 5는 경의선-중앙선 직결 계통 또는 중앙선 전용 계통, 2는 경의선 전용 계통이고, 번호가 짝수는 하행(수색, 대곡, 일산, 문산 방향), 홀수는 상행(용산, 덕소, 팔당, 용문, 지평 방향)이다.

11. 운행 차량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운행 이력이 있는 타 노선 차출 차량
경의·중앙선 직결 전
수도권 전철 경의선
해당 편성 원 노선
311G03~311G05 수도권 전철 1호선
321C15~321C16 수도권 전철 중앙선
351F61 수도권 전철 수인선
수도권 전철 중앙선
351F61~351F64 수도권 전철 수인선
361C14~361C15 수도권 전철 경춘선
경의·중앙선 직결 후
311G03~311G04 수도권 전철 1호선
361C03, 361C14 수도권 전철 경춘선
381G01~381G09 동해선 광역전철
  • 예전 중앙선을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열차에 자전거 등 그림이 그려져 있으면 해당 열차는 중앙선이었다.
<현재 운행중인 열차>
*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 당시 중앙선 운행용으로 생산됐다.
*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 당시 경의선 운행용으로 생산됐다.
*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 광명셔틀 운행용으로 생산됐다. 그러나 경의선 차량 부족으로 충분한 편성수의 319000호대 중 311G05편성을 차출하여 운행중이다.
*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 동해선 운행용으로 생산됐다. 2021년 9월 이전까지 임시 운행 예정이었으나, 차량 부족으로 12월까지 연기되다 결국 381G10편성만 331C28편성 도입 전까지 경의선 구간에 남아 운행하기로 결정했다.

12. 운행 계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운행 계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역별 승하차 통계

2023년 기준 경의·중앙선의 일평균 승하차 순위이다. 환승역의 경우 경의·중앙선이 아닌 다른 노선의 승하차객은 제외한다.

도라산역의 경우는 따로 승하차 통계를 집계하지 않는다.

용산역회기역은 1호선의 이용객에 포함되므로 모두 1호선으로 집계된다.

대곡역옥수역은 3호선의 이용객에 포함되므로 모두 3호선으로 집계된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노선 총합
역수 구간 역당 일평균 이용객 일평균 승하차량 2023년 승하차량 최다 이용역 최저 이용역
58개 임진강 ↔ 지평 8,458명[22] 456,759명 166,716,876명 청량리 운천
29개 경의선 구간 8,432명[23] 227,676명 83,101,920명 일산 운천
29개 중앙선 구간 8,485명[24] 229,082명 83,614,956명 청량리 지평
일일 이용객 수
역수 구간 5만명 이상 2만명~5만명 1만명~2만명 5천명~1만명 5천명 이하
58개 임진강 ↔ 지평 없음 4개역
(역별 순위 1~4위)
16개역
(역별 순위 5~20위)
11개역
(역별 순위 21~31위)
23개역
(역별 순위 32~54위)
||<-4><tablebordercolor=#77c4a3><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bgcolor=#77c4a3>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역별 순위
순위 역명 일평균 승하차량 2023년 승하차량
1위 청량리[수+춘] 34,441명 12,570,853명
2위 왕십리[수] 33,306명 12,156,790명
3위 구리 25,660명 9,365,976명
4위 도농 20,503명 7,483,475명
5위 일산[서] 19,005명 6,936,927명
6위 야당[KN] 16,480명 6,015,126명
7위 행신 15,616명 5,699,959명
8위 망우[춘] 14,959명 5,459,860명
9위 상봉[춘] 14,706명 5,367,520명
10위 탄현[KN] 14,670명 5,354,698명
11위 운정[KN] 13,193명 4,815,315명
12위 백마[서][KN] 13,115명 4,787,109명
13위 금촌 12,831명 4,683,451명
14위 가좌[KN] 10,983명 4,008,722명
15위 풍산[서][KN] 10,953명 3,997,852명
16위 중랑[춘][KN] 10,602명 3,869,825명
17위 덕소 10,539명 3,846,711명
18위 문산 10,519명 3,839,338명
19위 홍대입구 10,507명 3,835,031명
20위 금릉[KN] 10,035명 3,662,766명
21위 이촌[KN] 9,815명 3,582,579명
22위 서울[KN] 8,923명 3,256,803명
23위 공덕 8,420명 3,073,348명
24위 능곡[서] 8,206명 2,995,125명
25위 디지털미디어시티 8,003명 2,921,243명
26위 한남[KN] 7,552명 2,756,533명
27위 양평 6,408명 2,338,957명
28위 효창공원앞[KN] 6,146명 2,243,219명
29위 강매[KN] 5,753명 2,099,679명
30위 양원[KN] 5,669명 2,069,009명
31위 수색 5,463명 1,994,175명
32위 옥수[KN] 4,978명 1,817,067명
33위 한국항공대 4,694명 1,713,386명
34위 용문 4,590명 1,675,409명
35위 서강대[KN] 4,386명 1,600,908명
36위 서빙고 4,361명 1,591,896명
37위 월롱[KN] 4,229명 1,543,732명
38위 도심[KN] 4,086명 1,491,254명
39위 양수 4,007명 1,462,605명
40위 응봉[KN] 3,525명 1,286,515명
41위 파주[KN] 2,318명 846,155명
42위 팔당 1,958명 714,751명
43위 신촌 1,944명 709,617명
44위 운길산[KN] 1,679명 612,852명
45위 국수 1,452명 529,893명
46위 아신[KN] 1,215명 443,381명
47위 곡산[서][KN] 1,207명 440,460명
48위 양정[KN] 1,132명 413,130명
49위 원덕[KN] 767명 280,083명
50위 오빈[KN] 619명 225,768명
51위 신원[KN] 418명 152,389명
52위 지평 137명 49,875명
53위 임진강[62] 65명 23,595명
54위 운천[KN][64] 12명 4,181명

2009년 수도권 전철 경의선,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 이후 2022년까지 중앙선 구간 이용객이 경의선 구간보다 많았으나, 2023년 8월 26일 수도권 전철 서해선일산역 연장으로 경의선 일산-능곡 구간의 배차간격이 개선되는 효과가 발생하여 2023년 11월부터 경의선 구간의 이용객 수가 중앙선 구간보다 많아졌다. 관련 링크

2024년 4월 일평균 승하차 통계에서는 경의선 246,629명 vs 중앙선 235,143명으로 경의선 쪽이 중앙선 쪽을 일평균 1만 명 이상 상회하고 있다. 관련 링크 용산국제업무지구, 수색역세권개발사업, 수색증산뉴타운, 서강대역 복합역사 개발, 공덕역-효창공원앞역 주변 재개발[65] 등 서울 시내 구간에서도 경의선 쪽에 개발 호재가 많다.

14. 문제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문제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연장 논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연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사건 사고

  • 2017년 9월 13일, 오전 4시 30분에 중앙선에서 평창올림픽 개최를 위한 경강선 개통을 앞두고 시운전 중이던 기관차끼리 추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기관차는 8200호대 8252호 전기기관차와 8500호대 8569호 전기기관차이다. 사고 원인은 단행기관차들의 추돌사고였기에 민간인 부상자는 없었지만, 사고 여파로 한국철도공사 직원과 기관사 등 부상자 7명 발생했고 이 가운데 1명은 중상, 기관사 1명 사망인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 여파로 원덕역 ~ 양평역 구간의 열차가 운행 중지되어 출근길 대란이 났었다.[66] 이후 조사 끝에 2019년, 이 사고가 인재였음이 밝혀졌다.[67]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제조사는 신호 설비에 잘못된 소프트웨어를 설치했고, 한국철도시설공단은 감리시에 이를 잡아내지 못했으며, 한국철도공사는 현장에 시운전 관련 정보 전달시 '시속 65km/h 이하 주행' 사항을 제대로 전파하지 않아서 발생한 인재라는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 열차 추돌사고 문서에 기술되어 있다.
  • 2018년 5월 17일 오전 4시 30분에 기상악화로 인해 낙뢰가 발생하여 팔당역에 단전 사고가 일어났다. 이 사고로 망우~팔당역 간 서울방면 경의중앙선 전철과 강릉선 KTX가 운행이 중단되는 등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어야 했다. 한국철도공사는 단전사고가 발생하자 망우~팔당 구간은 단선으로 왕복 운행을 실시하고 셔틀버스 8대를 긴급투입해 승객들을 수송했다.
  • 2019년 10월 6일 오후 10시 50분경 백마교 사거리 건널목 에서 080번 버스와 서울역행 K2233열차가 들이받는 사고가 났다. 사고 원인은 버스 고장으로 인한 시동 꺼짐이었다. 다행히 시민들이 빨리 창문으로 대피했고, 고장난 버스를 본 기관사가 전동차 속도를 낮추고 경적을 울려서 열차가 오는 것을 알렸기 때문에 인명피해는 없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버스 기사는 중상을 입었다. 전복됐다면 큰 피해가 일어날 뻔했다.[68][69]
  • 2020년 2월 21일 오전 7시 2분경 서빙고~이촌역 구간의 건널목을 횡단하던 화물트럭이 전차선과 접촉해 장애가 발생, 그 결과 열차에 전기 공급이 차단되어 경원선(용산~청량리) 구간의 열차 운행이 전면 중지됐다. 이후 11시경 전차선 장애 복구작업를 완료해 운행을 재개했다. 이에 따른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대체경로인 1호선이 극도로 혼잡했고, 출근 피크시간대의 연이은 상행선 열차 운행 중단 및 일부 열차의 비환승역(중랑역 등)에서의 하차 조치로 많은 승객의 불편함을 초래했다. 또한 용산~청량리 구간의 선로를 공유하는 서울역발 강릉선 KTX의 출발역이 임시적으로 청량리역으로 변경되어 운영되기도 했다.[70]
  • 2021년 11월 10일 용문 방면 열차의 출입문 고장으로 인해 연쇄지연이 일어났다. 공문이 내려온 것이 없어서 역무원들은 태업이 계속 진행 중인 것으로 착각해 열차 지연 방송을 잘못 방송하는 경우가 생겼다.
  • 2022년 1월 17일 오후 10시 24분경 서빙고역이촌역 건널목 사이에 승용차가 진입해 전동열차 운행이 지연됐다.
  • 2022년 5월 26일 오후 8시경 열차 내 폭행사건 때문에 운정역에서 20분간 정차하는 일이 발생했다. 해당 열차가 문산차량사업소로 들어갔다가 덕소행 K5147 열차로 나와야되는데 이 사건 때문에 12분이 지연되어 시간표 상으론 그 다음 열차인 서울행 K2237 열차가 먼저 지나가는 일이 생겼다.
  • 2022년 5월 26일 오후 9시 30분경 공덕역에서 정차중이던 차량에 타고있던 고객이 차량문 코크를 임의로 조작해 출발이 지연되는 일이 발생했다. 이에 한국철도공사 광역상황실에서 바로 전역에 방송을 실시했으며 이와 동시에 코레일 지하철톡 등 일부 지하철 앱에도 알림이 수신됐다.
  • 2022년 6월 19일 오후 9시 30분경 K5148 열차 운행중 한남역~옥수역 구간 선로에 사람이 들어가 열차 운행이 지연됐다. 이에 한국철도공사 광역상황실에서 바로 전역에 방송을 실시했으며 이와 동시에 코레일 지하철톡 등 일부 지하철 앱에도 알림이 수신됐다.
  • 2022년 7월 7일 오후 11시 50분경 경원선 구간 선로인 용산역~이촌역사이 돈지방건널목에서 청량리행 ITX-청춘 열차에 치이는 사상사고가 발생해[72] 하행 막차인 청량리행 K5167열차는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타절하려고 했다가 공덕역까지로 운행을 바뀌었다. 이 사고 때문에 상행 막차인 능곡행 K5162가 10분 가까이 지연됐다. 광역상황실에서 방송은 하지 않았으며 코레일 지하철톡 앱에서도 알림이 수신되지 않았다. 열차에 치인 사람은 결국 8일 오전 5시에 사망했다.[73]
  • 2022년 7월 11일 모든 역의 PI가 잘못 나와 고객들의 민원이 터져나왔다. 이에 한국철도공사 광역상황실에서 전역에 방송을 실시했으며 이와 동시에 코레일 지하철톡 등 일부 지하철 앱에도 알림이 수신됐다.
  • 2022년 7월 13일 오후 4시 24분경 중랑역 근로자가 ITX-청춘 S2021 열차에 치이는 사상사고가 발생해 열차들이 지연됐다.[74] 이 사고로 인해 수색행 K5102가 5번 승강장에 들어와 차를 돌려서 덕소행 K5115로 4번 승강장에서 출발하는데 열차가 40분 가까이 지연되면서 종착열차가 4번 승강장으로 들어와서 바로 출발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 때문에 승객들은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열차가 들어오고, PI에도 이번열차가 화전역 도착이라 되어 있는데 열차가 들어와 혼란을 겪었다. 열차에 치인 근로자는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끝내 사망했다.
  • 2022년 8월 18일 오후 12시 50분경 용산역 구로역 구간에서 크레인 와이어 접촉사고 여파로 인해 연쇄지연이 발생했다.
  • 2023년 8월 12일 새벽 4시 반 경 경의·중앙선 한남역옥수역 사이에서 인근 공사현장의 이물질이 전기 공급선에 접촉해 선로장애가 일어났다. 이로 인해 용산역 ~ 청량리역 구간 양방향 열차 운행이 2시간 반 동안 중단되었다. 이 여파로 서빙고역에서 왕십리역 사이 선로 한 개만 운행되면서 KTX와 ITX청춘 상하행 열차 각각 두 대가 15분 동안 지연됐다.[75]
  • 2023년 9월 9일 옥수역 ~ 한남역 구간을 주행하는 열차 안에서 자전거족이 할머니에게 살해협박을 한 사건이 발생했는데 운영사인 한국철도공사는 역직원을 보내지도 않았고 철도특별사법경찰대에 신고조차 하지 않아 논란이 일어났다. 결국엔 신고자와 할머니가 정황상 이촌역에서 내린것으로 추정된다.[76]이에 국토부에서 조사에 착수하였다. 그러나 이 사건과 관련해 할머니가 먼저 시비를 걸었다는 일부 네티즌들의 반론이 있다.[77]

17. 기타

17.1. 경의·중앙선 주변 도시개발

경의·중앙선 연선에 재개발 및 신규 도시개발이 많은 편이다. 진행중이거나 계획이 세워진 사업만 해서 문산역 근처부터 시작하면 다음과 같다.
한차례 무산됐던 도시개발사업이 경의·중앙선 완전개통에 따라 논의가 생기는 곳도 있고, 비교적 빠르게 서울특별시 중심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것 때문에 도시개발사업들이 역세권 단위로 진행되고 있는 곳이 많다.

17.2. 열차 이용 팁

  • 이용객 중 체감상 약 90% 가량은 인근 경기도 지자체와 서울을 이어 주는 장거리 광역 수요로, 구간수요의 비중이 상당히 낮다. 그나마 경의선 구간에선 일산역, 대곡역(3호선 환승), 행신역, 중앙선 구간에선 양평역, 덕소역, 구리역, 회기역, 청량리역, 왕십리역 정도에서 극소수의 구간 하차승객이 발생한다. 승객이 들어찼다면 착석을 포기하고 기대면서 서 있기 편한 자리를 잡는 게 더 좋을 수도 있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환승객이라면 경의선 연선의 경우 환승 동선이 나쁘지 않은 용산역, 중앙선 연선의 경우 회기역을 먼저 고려하는 게 좋다. 청량리역은 환승거리가 길고 동선이 복잡하다(지상-지하 환승). 경의선 구간에서 1호선의 도심 구간으로 이동하면서 서울역행 시간표에 따라 움직이는 게 아니라면, 최종 목적지를 확인하여 홍대입구역이나 공덕역에서 환승하여 인근의 2, 5호선 역으로 가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 단, 경의선-용산선 연선 쪽에서 이용하는 쪽이라면 회기역이 아닌 용산역에서 환승해야 한다.
  • 경의선 연선 지역의 경우, 목적지에 따라 서울역 환승이 유리한 몇몇 동네가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본선을 통한 대체경로가 없는 대학로나 돈암동, 신설동 인근이며, 6호선의 동묘앞~봉화산 구간은 공덕역이나 효창공원앞역에서 6호선으로 환승하여 이동이 가능하다. 경의선 서울역의 승강장의 위치가 구서울역(문화역서울284)으로 이전되어, 환승 길이가 서부역 시절보다 짧아지면서 1,4호선 - 경의·중앙선 환승이 조금 용이해졌다. 그러나 경의선 서울역 승강장 위치가 이동된다고 해서 지선 배차 간격이 줄어드는 건 아니다. 시간표를 확인하고 이용하는 건 마찬가지이니 시간이 맞지 않으면 본선 열차를 타고 타 노선으로 환승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버스 환승이 더 유리할 수 있다.
  • 경의·중앙선을 타다가 남양주 구간 중 수도권 전철 경춘선상의 역들, 퇴계원역, 사릉역, 평내호평역으로 가야 한다면 중랑역쯤에서 시간표를 확인해야 한다. 상봉역에서 경춘선 춘천행 열차를 기다리는 시간이 15분이 안 되면 타는 게 낫지만, 15분이 넘어가는 경우가 적잖이 있는데 이럴 경우 구리역이나 도농역까지 가서 버스 환승을 하면 된다. 차가 막히지 않는다면 이쪽이 조금 더 빠르다. 평내호평보다 먼 지역부터는 경춘선을 기다렸다 타는 게 더 빠를 것이다.
  • 운정역에서 일부 시외버스를 탈 수 있으며 상봉터미널은 상봉역보다 망우역에서 가깝다. 용문역 근처에는 용문시외버스터미널이 있어 강원도 노선이 꽤 운행되고 있다. 도보 5분 정도 거리이다.
  • 경의·중앙선 서울역에서 1, 4호선 환승을 한다면, 1, 4호선 - 경의·중앙선 환승 경로를 숙지하고 있고, 환승 가능 시간대(평시 30분, 21~07시는 1시간까지 가능)랑 시간표만 맞춘다면 환승 도중 서울역 롯데마트 쇼핑도 가능하다. 2016년 5월 16일부터 7월 15일까지는 서울역 북부 선로개량 공사로 인해 평일 아침 시간에만 경의선 서울역이 개방되어 이 방법이 불가능했다. 단, 경의·중앙선 서울역의 승강장이 14번 서부역에서 구 서울역(문화역서울284)로 이전하여 2017년 11월 28일부터 운영 중인데, 서울역 롯데마트와는 예전 서부역 시절보다는 약간 거리가 생겼다.
  • 옥수역의 경우 경의·중앙선 구간에 컵라면, 김밥 등을 파는 편의점이 있는데 열차를 기다리면서 취식이 가능하다. 2024년부터는 3호선에 천원빵 파는곳도 들어왔다.
  • 경의·중앙선으로 환승하거나 승차하고자 하는데 주위 사람들이 갑자기 뛴다면 같이 뛰는 게 좋다. 대개 시각표를 외우고 있는 연선 주민들이고, 이들이 뛴다는 것은 열차 도착 직전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열차 도착 후 사람이 나오면 출발 직전이니 다음 열차를 타는 게 더 안전하다. 에스컬레이터에 타고 있는 상태라면 되도록이면 움직이지 않는 게 더 안전하다.
  • KTXITX-청춘이 시내 전철역을 지나가다 보니 급행열차인 줄 아는 등 승차권을 구매하지 않고 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 경의·중앙선을 이용한다면 열차가 시각표대로 오는 경우가 거의 없다. 그렇기에 열차 실시간 어플을 깔아서 열차위치를 확인 후 이용하는 게 제일 편리하다. 어플을 확인하기 귀찮다면, 경의선 구간에서 덕소 방면은 대개 지연은 0~1분, 문산 방면으로는 중앙선에서 지연이 잦으므로 여유시간 +3~5분을 더해서 움직이면 열차가 맞게 온다. 낮에는 목적지에 조금 늦게 도착하는 정도로 끝나지만, 밤 늦게 다른 노선으로 갈아타야 할 경우 환승해야 할 역에 늦게 도착해서 환승해야 하는 노선 막차를 놓칠 위험이 있다.
  • 구리, 남양주 지역에서 강동구, 송파구, 광진구로 갈 때는 경의·중앙선보다 광역버스가 빠르다. 잠실역과 강변역에서 구리, 남양주로 가는 광역버스가 많이 있으며, 양평에서 출발하더라도 덕소에서 1670번, 1700번, 1660번으로 갈아타거나 아예 처음부터 동서울행 시외버스를 타는 게 빠르다. 아니면 G9311번을 타도 된다. 다만 광역버스는 자전거와 휠체어 탑승이 불가능하므로 자전거나 휠체어 사용 장애인 탑승이 필요할 때는 경의·중앙선 이용이 강제된다. 다만 잠실역과 강남역은 1670번 2층버스를 이용하면 하차하거나 환승하면 가능하기는 하다. 현재는 수도권 전철 8호선을 타면 빠르게 연결된다.
  • 위와는 반대로, 수색, 일산, 파주 지역에서 강동구, 송파구, 광진구로 갈 때는 지연을 감안하더라도 올림픽대로와 강변북로의 상습정체를 피할 수 있기 때문에 '광역버스+지하철/시내버스 환승' 루트보다 확실히 유리하다. 만약 수색, 일산, 파주 지역에서 강동구나 송파구, 광진구로 갈 때는 공덕역이나 왕십리역 환승 코스가 무난하다. 종합운동장은 용산-노량진이나 이촌-동작 코스가 빠르니 이 코스로 이동하는 것이 좋다. 단, 어떠한 사건이 발생해서 10분 이상의 심각한 지연이 발생할 경우 7호선을 타고 내려가서 고속터미널로 가서 9호선 급행으로 노량진-1호선 열차로 한강 도강 후 용산역으로 우회 코스를 거치는 게 좋다. 만약 수도권 전철 서해선을 제때 탈 수 있다면 서해선을 타고 김포공항으로 내려가 9호선 급행을 타는 방법도 생각해볼 수 있다.
  • 경의선 연선(문산~디지털미디어시티)에서 의정부, 양주, 노원, 도봉, 동두천 방향으로 가기 위해 전철만 이용할 때는 가장 빠른 경의·중앙선 서울역행을 이용할 생각이라면, 이용하지 않는 게 오히려 빠르다. 고양시나 운정신도시의 경우 수도권 전철 3호선을 이용해 구파발역에서 의정부행 버스 360으로 환승해 가능역으로 이동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고, 수색의 경우에는 서울 지하철 6호선을 이용해 연신내역에서 의정부행 버스 34, 360으로 환승해 가능역으로 이동하는 게 훨씬 유리하다. 금촌이라면 연신내 방향 버스를 이용해 박석고개나 연신내에서 34/360으로 환승하고, 금촌 이북이라면 법원읍으로 이동해 35를 이용하면 된다.
  • 2017년 12월 22일 강릉선 KTX 개통 후, 금/토/일요일에 문산역 ~ 왕십리역 구간에서 청량리역으로 이동해 강릉역까지 빠르게 가고 싶다면, 덕소행 K5031열차(문산역 08:19 출발)와 덕소행 K5047 열차(문산역 10:16 출발)를 이용하면 된다. 덕소행 K5031열차는 청량리역에 09:43에 도착해 강릉행 KTX 855열차(청량리역 09:55 출발)와 연계되어, 문산역에서 강릉역까지 3시간 5분만에 이동 가능하고, 덕소행 K5047 열차는 청량리역에서 11:41에 도착해 강릉행 KTX 857 열차(청량리역 12:00 출발)과 연계되어, 문산역에서 강릉역까지 3시간 10분만에 이동할 수 있다. 청량리역에서 환승시간을 최소화한다면 문산~강릉 간 2시간대 진입도 가능하지만, 경의·중앙선의 지연이 워낙 심한 점을 감안하면 청량리역에서 10분 이상 여유를 두는 편이 낫다.
  • 경의선 구간의 경우 승강장이 여러 개이므로 PI(열차도착정보 안내판)를 확인하고 타야 한다. 특히 서울역 방면은 경의선 구간으로만 다니므로 용산선 구간부터는 가지 않는다. 즉 홍대입구역부터는 가지 않는다.

17.3. 기타

  • 문산~용문 전 구간 완주 시 완행 기준으로 2시간 40분~3시간 5분, 문산~서울역 전 구간 완주 시 완행은 1시간 1분, 급행은 55분이 소요된다.
  • 열차 이용객 중에 군인 비율이 높다.[78] 휴가외출, 외박 나가는 군 장병들이 많아 아침, 저녁에는 디지털 전투복의 비중이 일반 민간인과 비슷하다. 이유는 파주시부터 양평군까지 경의·중앙선 곳곳에 군 부대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경의·중앙선 중 한국항공대역 일대에 군부대가 즐비해서 연간 이용객이 적은 한국항공대역에서 한국항공대 학생과 함께 군인들 역시 자주 내리고 탄다. 문산역의 경우 군인들이 외박을 나오는 토요일의 승차량이 평일 승차량보다 높은 경우까지 있다. 군인 수요가 많은 문산역금촌역은 평일 대비 휴일 승하차율이 80~90%에 이른다.
  • 열차는 8량이지만 구 중앙선 구간(용산~덕소)은 팔당역 연장개통 전에 10량 열차가 운행한 적이 있었다. 당시 중앙선에서는 1호선과 공유했던 1000호대 전동차, 舊 5000호대 전동차와 교류 전용의 6000호대 전동차를 운행했다. 이때는 모두 10량 편성이었다. 나머지 역들의 승강장은 10량으로 확장이 가능하게끔 부지를 잡고 선시공부가 있다. 용산선 구간 역들도 10량 대응으로 설계되어 있다. 2015년에 개통한 야당역은 8량 승강장이다. 하지만 야당역도 10량 대응이 가능하도록 부지가 마련되어 있다.
  • 환승역의 경우 경의선 쪽은 홍대입구역, 공덕역, 중앙선 쪽은 왕십리역, 회기역, 상봉역이 환승 인원이 많다. 대곡역은 환승객이 많아졌지만 상대적으로 이용객이 많은 편이 아니고,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은 경의선 공덕 연장 이후 환승객이 급격히 감소했다.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중앙선 구간 둘 다 속하는 용산역 역시 환승객이 많은 편이다.
  • 노선 특성상 자전거 휴대 이용객이 많은 편이다. 특히 복선전철화 이전의 옛 중앙선 철길을 재활용해서 만든 남한강 자전거길 개통으로 그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 수도권 전철 서해선과의 공용 구간 중 풍산역 ~ 대곡역까지의 구간에서는 서해선 원시행이 진입할 때 "지금 원시, 원시 가는 4량 편성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라고 방송한다.
  • 2021년 12월 기준 도라산역을 제외한 전 구간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가동 중이다.
  • 경의·중앙선 임진강역 ~ 지평역의 운행계통, 즉 경의·중앙선 전 구간 운행계통은 128.4km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최장 운행계통인 광운대역 ~ 신창역간 129.3km에 이어 전국 전철(도시철도, 광역철도, 간선철도 포함) 중 운행거리 수가 두 번째로 길다. 단, 현행 문산역~지평역 계통은 122.3km이다.
  • 가끔씩 동해선의 열차가 서울역 ~ 문산역 구간을 왕복하는데, 월롱역의 로마자 표기가 'Wollng'으로 나온다. 오류가 나서 중간에 o 하나가 빠진 것이다.
  • 해당 노선에서 역간거리가 가장 긴 구간은 팔당역 ~ 운길산역 구간으로 6.4km이다.
  • M.C The Max의 20주년 기념 앨범 <CEREMONIA>의 선공개곡 처음처럼의 뮤비 후반부에 이 노선의 열차가 지나간다. 해당 뮤비에서 나오는 건널목은 백빈건널목이다.
  • 수도권 전철 중앙선과의 통합으로 '경의선'이라는 노선 명칭을 사용하지 않게 되었지만, 복복선 구간의 일부 역에서는 승강장 노선도, 안내판 등에서 지선 구간 '경의선'으로 표기하여 본선 구간과 구별하는 경우가 있다.
  • 운행중인 열차가 모두 현대로템의 3세대 전동차(일명 "뱀눈이")이다. 1호선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4량 열차를 제외한 모든 경의중앙선 열차는 경고음이 울리지 않는다. 다만 국철 시절 1호선 열차[80]가 드나들거나 6량화 당시 351000호대 일부가 들어온 사례가 있다.
  • 수도권 전철 1호선과 함께 기종점 중 하나 이상이 면 지역에 있는 둘뿐인 수도권 전철 노선이다. 전국 전철 중에서는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이 그렇고 동해선 광역전철도 태화강 연장 전엔 그랬다. 또한 1호선과 함께 읍, 면 지역에 기점과 종점을 모두 하나 이상씩 가진 둘뿐인 전철 노선이다.[81]
  • 지하구간이 존재하는 수도권 전철 노선 중 유일하게 기종점이 모두 완전한 지상역이다.[82]
  • 문산~용산 구간보다 용산~용문 구간이 평균 역간거리와 약간 소요시간이 확연히 긴 편이다.


[1] 경의선 지선[2] 311G05편성[3] 381G10편성[4] S1: 도라산~문산, S2: 문산~지평 구간[5] 단, 가좌역은 용산선 승강장은 지하, 경의선 승강장은 지상이다.[1호선] 개통 당시에는 1호선 소속이였으며, 이후에 1호선에서 분리되어 별개의 노선이 됐다.[1호선] [1호선] [9] 이때 용산~청량리 구간이 1호선에서 분리됐다.[10] 1997년 11월 18일 MBC 뉴스 보도에서는 現 용산역~이촌역~청량리역 구간과 청량리역 이북의 경원선이 같은 색깔로 표시되어 있어서 승객들이 혼란을 겪는다는 문제가 소개되었다.[11] 「[밀착카메라] 경의중앙선 '지각철' 분통…안전까지 불안」, JTBC, 2018-03-12[12] 동남권으로 범위를 늘리면 NH 30분즈음의 동해선도 있다.[13] 일부 영상은 촬영 당시 일부역의 스크린도어가 공사 중이었거나, 설치 전이었다. 또한 능곡역 선로 이전되기 전, 그리고 청량리역 지평 방면 승강장 이전 전에 촬영했다. 임진강역-문산역 구간 영상은 운천역이 임시승강장이던 시절, 화전역이 항공대역 변경전에 촬영했다.[주의사항] 임진강-도라산 구간은 민간인통제구역을 통과하므로 군시설 촬영이 (군철책, 군초소 등) 금지되어 있다. 이 영상을 올린 유튜버는 군시설 부분과 민통선 내부의 모습을 모자이크 처리했다.[주의사항] [16] 경의선/한국항공대~수색 중간역이 추가되면 9개이다.[17] 토요일 및 공휴일에는 대부분 대곡에서 시종착한다.[18] 일부 열차 시종착[19] K5102는 수색 종착, K5037, K5043, K5115는 수색에서 출발한다.[20] K5853은 일산역에서 출발한다.[21] K5852, K5854는 수색 급행으로 수색까지만 운행한다.[22] 모든 이용객이 1호선으로 집계되는 용산역·회기역, 모든 이용객이 3호선으로 집계되는 대곡역 제외 54개역[23] 모든 이용객이 1호선으로 집계되는 용산역, 모든 이용객이 3호선으로 집계되는 대곡역 제외 27개역[24] 모든 이용객이 1호선으로 집계되는 용산역·회기역 제외 27개역[수+춘]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출입구 게이트를 경의·중앙선이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두 노선의 이용객도 전부 포함되어 있다.[수]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출입구 게이트를 경의·중앙선이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수인·분당선 이용객이 전부 포함되어 있다.[서]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출입구 게이트를 경의·중앙선이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서해선 이용객이 전부 포함되어 있다.[KN] 한국철도공사의 자회사인 코레일네트웍스가 운영하는 업무위탁역이다.[춘]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출입구 게이트를 경의·중앙선이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경춘선 이용객이 전부 포함되어 있다.[춘] [KN] [KN] [서] [KN] [KN] [서] [KN] [춘] [KN] [KN] [KN] [KN] [서] [KN] [KN] [KN] [KN] [KN] [KN] [KN] [KN] [KN] [KN] [KN] [KN] [서] [KN] [KN] [KN] [KN] [KN] [62] 평일 2회, 주말 4회 정차[KN] [64] 평일 2회, 주말 4회 정차[65] 공덕역 주변은 이미 유명하고, 효창공원앞역 일대는 역세권 시프트 사업으로 재개발 추진중이다.[66] 「[속보] 경의중앙선 시험운행 열차 추돌...1명 사망」, YTN, 2017-09-13[67] 「'7명 사상' 2년 前 경의·중앙선 열차 추돌사고도 '인재' 였다」, SBS, 2019-03-05[68] 「전동차, 멈춰선 시내버스 충돌..."인명피해 없어"」, YTN, 2019-10-07[69] 「버스와 기차가 부딪힌 아찔한 순간...대형사고 날 뻔」, 비디오머그, 2019-10-07[70] 「경의중앙선 청량리~DMC역 구간 열차 중단…"전기 공급 끊겨"」, MBC, 2020-02-21[71]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72] 「30대 남성, 이촌역 부근 철도건널목서 열차에 치어」, SBS, 2022-07-08[73] 「용산구 철도 건널목서 30대 남성 열차에 치여 숨져」, 경향신문, 2022-07-08[74] 「[단독]중랑역 작업 근로자, 열차 사고…경의중앙선 지연」, 머니투데이, 2022-07-13[75] 「경의중앙선 용산-청량리역 구간 운행 멈췄다 2시간반만에 재개」, MBC, 2022-08-12[76] 도착역인 한남역에서 역직원이 나오지 않았고 그 다음역인서빙고역에서 역직원은 오지도 않자 이촌역에서 내린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그 다음역인 용산역에는 철도특별사법경찰대센터가 있다는 것이다.[77] 「충격에 발작 증세까지…자전거 칸 탔다가 '봉변' 당한 할머니」, 한국경제, 2023-09-15[78] 이 점은 강릉선 KTX도 공유하는 특징이다.[79] 문산역부터 입석으로 시작할 때도 있다.[80] 중저항, 신저항, 납작이, 동글이, 뱀눈이 열차가 용산행, 덕소행으로 운행하던 사진이 확인되었다.# 현재까지도 중앙선 행선지가 더미 데이터로 남아있다. #[81] 대구 도시철도 1호선도 하양으로 연장되면 그럴 예정이다.[82] 1호선의 경우 광명셔틀이 폐지되면 그렇게 될 예정이나, 동탄역으로 연장된다면 다시 그렇지 않게 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