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18:31:44

부산 버스 203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e5007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좌석버스 노선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5007F; font-size: 13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도시
고속
3001 3002 3003 3004
3005 3006 3007 3008
급행
(공항)
2029[A][C][E]
급행
(직행좌석)
2000[C][D]
급행
(일반좌석)
1000 1001 1002 1003
1004[A] 1005[B][C] 1006[A][C] 1008[A]
1009[B] 1009-1[A] 1011[A][C] 1012[B]
좌석 58-1[A] 20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입석금지
[D] 준공영제 제외 및 환승할인 불가
[E] 임시노선
}}}}}}}}} ||
파일:부산 버스 203.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수요 특성4.2. 시간표4.3. 연간 일평균 승차량4.4. 노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15.6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좌석버스 20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203 노선도.png
기점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죽전마을) 종점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온천장역)
종점
첫차 06:00 기점
첫차 06:30
막차 22:30 막차 23:00
평일배차 15분 주말배차 10분
운수사명 산성교통 인가대수 7대[1]
노선 (부산광역시학생교육원[2]) - 죽전마을 - 금성동주민센터 - 공해부락 - 금정산성남문.금정산성도매큰시장 - 금정산성동문 - 부산대후문[3] - 광명사 - 식물원 - 금정산SK뷰 - (→ 경보아파트 →/← 만수마트 ←) - 온천시장 → 온천장역온천장온천장 SK HUBSKY → 온천시장 → 이후 역순

3. 역사

  • 1972년 산성버스라는 이름으로 설립 후 마이크로버스로 산성~식물원 구간 운행을 시작하였다.
  • 본래 일반시내버스 노선이었으며 1980년 '동래산성교통'이라는 회사를 설립하여 한정면허를 받아 마을버스처럼 운행하였으며[4], 차종은 모두 기아 코스모스의 전속 모델인 AM808로 운행하였다.[5] 당시 노선은 식물원입구[6]~식물원~금정산성~공해부락이었다.
  • 1981년 11월 22일 금정산 자락을 내려오던 도중 탑승정원 초과[7] 및 정비 불량으로 인한 브레이크 파열로 추락사고를 일으켜 무려 33명이 사망하고 36명이 중경상을 입는 대참사가 벌어지고 동래산성교통은 유족 보상금을 지급하지 못해 부도를 맞는다. 이후 노선은 경매에 부쳐져 대성여객과 일광여객이 경합을 벌인 결과 일광여객이 입찰경쟁에서 승리하여 203번 노선을 가져간다. 이와 동시에 좌석버스로 전환되면서 부산 최초 중형 좌석버스 노선이 되었다. 사고 관련 기사
  • 1996년 식물원입구에서 온천장역으로 연장되었고 공해(부락)마을에서 죽전마을까지 연장되었다.
  • 2009년 3월 3년마다 갱신을 받는 한정면허로 전환되어 일광여객에서 일광서비스라는 한정면허 업체를 설립해 운행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LED 의무장착 대상에서 제외되었다.[8] 또한 한정면허 노선은 차량총량제 대상도 아니라서 전환 직후 2대가 순수증차되기도 했다.
  • 2013년 7월 1일 장전2동 금강식물원, 광명사 인근 지역 주민들에게도 일반시내버스 요금(1,550원)을 받는 걸로 변경되었다. 다만 이로 인해 적자가 심해졌다고 한다.[9] 이 지역의 경우 경유하는 노선은 이 노선 단 하나뿐인데[10] 온천장역까지 거리가 불과 3km정도 밖에 되지않으나 비싼 좌석버스 요금 내고 승차하는 것에 오래 전부터 불만이 많았었다.[11] 이때문에 시청에 민원을 내어 일반버스 요금을 받게 된 것이다.
  • 2014년 장전2동에 위치했던 금정영업소가 폐쇄되고 금성동(산성)[12]으로 이전함에 따라 기종점이 서로 바뀌게 되었다. 다만 과거 금정영업소가 장전2동에 위치했을때 온천장역이 기점이었던 영향으로 전산 상으로는 여전히 온천장역이 기점이고 산성(죽전마을)이 종점으로 되어있다. 이 때문에 온천장역에 도착했을시 단말기에서 "운행이 끝났습니다. 운행종료 버튼을 눌러주세요."라는 멘트가 송출되기도 하며 버스정보 API에서도 상행 하행이 반대로 나온다.
  • 2018년 3월말에 기존 BS090 NGV 차량들은 순차적으로 NEW BS090 디젤 차량으로 교체되었다. 대우조선해양[14] 셔틀버스 출신 중고 차량으로, LED 위에 종이 행선판이 덮여있고[15] 부산시내버스 도색이 아닌 대우조선해양 도색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16][17]
  • 가져온 차량 중 일부는 입석 차량인데 좌석 개조를 하며 기존 입석형 좌석을 일부 남겨두어 입석 좌석 반반 상태로 운행 중이다. 배열 자체는 2010년대 이후에 종종 보이는 2X1형 배열이나, 두 종류의 좌석 시트가 사용된 것이 특징. 준공영제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일로 보인다.[18]
  • 2021년 12월초에 1대가 금정1번 출신 NEW BS090 디젤로 대차되었다. 이후 2022년 1월초에 좌석 개조를 하고, 부산광역시 좌석버스 도색이 아닌, 대우조선해양 도색으로 재도색한 후에 운행을 시작했다.
  • 2025년 1월 11일부터 만수마트(식물원로75번길)를 양방향 경유하도록 노선이 조정될 예정이다.

4. 특징

  • 산지가 많은 지형 특성상 부산에는 난코스를 운행하는 노선이 많은데,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노선이다. 금정산성을 경유하는 산성로는 부산 시민들 사이에서도 손꼽히는 저속 커브 도로 중 하나로, 초보운전자들에게 웬만하면 타지 마라고 할 정도. 지도로 보면 사실상 이니셜D수록되는 트랙들과 별반 차이가 없다. 전차로 D에 이은 버스로 D 이런 도로 상황때문에 중형버스로만 운행하며, 커브길이나 경사가 있는 곳에 진입하면 운행승무원이 미리 손잡이를 꽉 잡으라고 알려준다.
  • 함께 금정산으로 올라오는 금정1번도 이 노선 못지 않게 산길에서 속력을 내는데 거리는 더 길지만 203번보다는 굴곡과 경사가 덜하여 70~80km/h 정도로 하산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이렇게 산악도로를 이용하는 관계로, 심각한 악천후로 인해 해당 도로의 이용이 어려울 경우 우회 대신 노선 운휴를 하기도 한다. 2021년 태풍 오마이스의 사례가 그 예. 기사
  • 2000번과 함께 준공영제에서 제외된 둘 뿐인 노선이다. 당초에는 이 노선도 준공영제에 포함되었으나 2009년에 준공영제에서 제외되었다. 따라서 운송수입금과 이에 발생하는 적자는 모두 산성교통이 감당하고 있다.[19] 다만 환승할인제로 인한 손실은 부산시에서 지원한다.
  • 온천장역에서 부산대후문까지의 구간만 이용하는 승객이나 금성동 거주민에 대해서는 일반버스 운임을 징수한다. 즉 이 노선도 어찌보면 구간요금을 징수하니 산성마을행 온천장역 ↔ 부산대후문 구간만 이용할 승객들은 반드시 목적지를 말하고 승차해야 한다. 반대로 금성동 내 산성마을 구간만 이용할 승객이라면 차라리 금정1번을 타고 가자. 물론 부산대후문 이후 구간에서부터는 얄짤없이 기본 운임을 징수한다.
  • 물론 해당 구간을 이용할 승객은 한정되어 있기에 버스 기사가 이미 다 알 만한 사람들뿐이다.[20] 구간 속이지 말고 양심껏 타자.[21]
  • 정류장 표지판 역시 여타 노선들과 별도로 관리되는지 대부분의 정류소에서 203번만의 특이한 양식을 쓴다. 대부분의 정류장이 타 노선과 정류장을 공유하지 않는 단독구간이라 그런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나마 정류장이 겹치는 장전동 일부 정류장에는 다른 노선용 표지판과 별도의 자체 표지판을 설치한 반면 회차구간인 온천장역(이전 정류소명 '홈플러스')의 경우 타 노선과 동일한 표지판과 정류장 구조물을 사용한다.
  • 차량 행선판의 '온천지하철'은 온천장역이다. 또한 온천장역 정류장 표지판에는 정류장 ARS코드가 06-223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부산광역시 버스 정보 시스템에는 06-223 정류장은 명륜역·동래중학교이다.
  • 차내 노선도는 과거 준공영제 노선일 때는 시내버스 양식을 썼으나 현재는 마을버스 양식을 쓴다.[22] 이외에도 산성에서 다시 시내로 나왔을 때 좌석버스인데도 마을버스 안심귀가서비스 홍보 방송을 하는 등 마을버스와 일부 특징을 공유한다.
  • 노선 길이가 마을버스 수준이지만 중형 좌석버스인데 이는 산복도로 통행에 따른 사고 위험성 때문이다. 1981년 사고가 결정적인 이유로 추정된다. 이로 인해 전국의 좌석버스중 운행거리가 가장 짧은 노선이다. 그러나 2024년 현대 그린시티를 포함한 중형 좌석버스의 단종으로 추후 차량 대차 시 형간전환 이후 중형 전기버스의 도입 가능성도 생겼다.
  • 버스도착정보 확인이 되긴 하나, 중간에 정류장 코드가 몇개 누락되고 없다. 이 사이 구간에 차량이 있는 경우 순간이동하기도 하는 듯.

4.1. 수요 특성

  • '공해부락 - 광명사' 구간은 단독 구간이다.
  • 평일에는 북부산권에 거주하는 부산대 통학수요가 많으며, 특히 산성마을회관에서 08:30과 10:00에 출발하는 버스는 항상 만차다. 이 노선이 없으면 '덕천교차로 - 신만덕 - 만덕터널 - 미남교차로 - 동래역 - 온천장 - 부산대' 혹은 '남양산IC - 경부고속도로 - 부산대' 이런 식으로 돌아서 가야 하는데, 거리도 거리지만 교통체증이 심한 곳을 많이 거친다. 그 외에는 동래/금정구에서 구포로 넘어갈 때 만덕터널 정체를 피하기 위해 타는 수요도 있었으나 산성터널 개통과 함께 300번 시내버스의 개통으로 인하여 수요가 줄어들었다.
  • 주말에는 금정산 등산객들이 많아 온천장역부터 만차가 된다. 온천장역에서는 늘 1대씩 기다리고 있다가 시간에 맞춰 출발하기에 타는것은 별 문제가 없지만 온천장역을 출발하여 중간 정류장에서 탑승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이 덕분인지 부산광역시에서 90번과 함께 평일보다 주말 및 공휴일에 투입 차량이 더 많은 노선이다. 90번 또한 범어사에 가기 위한 관광객이 많은 노선이며, 이런 특징은 203번과 비슷하다.
  • 금정산 안쪽에 있는 부산광역시학생교육원에 학교 수련회를 갈 때는 산성동에서 더 들어가 부산광역시학생교육원 주차장 앞까지 운행한다. 귀가할 때도 마찬가지. 수련회 건물과 수련회 행사 모두 부산광역시학생교육원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수련원 관계자들이 버스 회사에 요청하면 차량이 더 온다.
  • 산성터널 개통과 함께 2018년 9월 30일300번 시내버스가 개통되어 부산대 통학 수요가 많이 줄어들었는데 300번의 경우 산성터널을 직통하여 북구 화명동금정구 장전동을 잇는 노선이기에 금성동으로 거쳐가는 데다 환승까지 해야 하는 이 노선보다 훨씬 빠르게 이어주기 때문이다.[23] 게다가 2019년 1월 26일에 개통된 111-1번산성터널부산대학교를 모두 경유하고 있어서 타격이 더 가고 있다. 때문에 안 그래도 심한 적자가 훨씬 심해졌다고 한다. 현재 수요층은 금성동 주민 고정수요, 주말 금정산 등산객들의 수요와 남문과 가까운 북부산권 음대, 미대와 사범대 소속 학생들의 통학수요로 연명하는 중이다.[24] 그래도 온천장에서 금정산성을 이어주는 유일한 노선이라 폐선되지는 않을 것이다.

4.2. 시간표

2022년 6월 1일 기준

4.3. 연간 일평균 승차량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2217.14
2015년 2234.71 △ 17.57
2016년 2291.86 △ 57.15
2017년 2324.86 △ 33.00
2018년 2163.28 ▽ 161.58
2019년 1988.14 ▽ 175.14

4.4.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좌석버스 203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중앙대로
온천장 ▼▲ 온천장역
온천장로
온천시장(목욕타운) ▼
온천장로125번길
만수마트 ▼▲ 경보아파트교차로
식물원로75번길금강로
금정산SK뷰 ▼
식물원로
식물원 ▼▲ 금정산SK뷰
금샘로
부산대후문 ▼▲ 광명사
산성로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부산캠퍼스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부산대학교 부산캠퍼스 교내 진입
금정7
부산대정문, 부산대후문 정류소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1002 (심야) 1008
29 49 51 77
80 100 100-1 110
110-1 111-1 121 131
144 148-1 183 301
양산시 시내버스 16[Y]
양로원(산성방면), 광명사(온천장역방면) 정류소
203
부산대역(부곡2동)정류소 (양산시 시내버스 정차)
1100 1200 1300[Y] 1500[Y] 12
부산대역 정류소
금정5-1
[Y]: 양산캠퍼스(양산부산대병원) 경유 노선 }}}}}}}}}


[1] 평일 5대 / 토요일·공휴일 6대 운행[2] 각급 학교에서 이 곳으로 단체로 학교 수련회를 갈 때 학생들을 수송하기 위해 이 곳까지 운행한다. 반면에 금정1번한정면허 버스가 아닌 관계로 공해부락에서 시종착한다.[3] GS아파트, 금정초등학교 부근에 위치한 정류소가 아닌 금정산 길목에 위치한 정류소이며 203번 단독으로 선다. 이 정류소는 부산대 장전캠퍼스내 가장 고지대에 위치한 사범대, 음대, 미대 건물을 비롯한 700번대 건물과 가깝다. 다만 이 노선으로 부산대학교 가려고 한다면 이 정류소가 아닌 이전 정류소인 양로원/광명사 정류소를 이용해야한다.[4] 회사명은 차량 앞뒤로 동래 산성이라고 붙이고 다녔다.[5] 당시 부산 시내버스 중 유일한 아시아자동차 차량이었다. 부산 시내버스는 AB185AM907(L), AM917을 단 한 대도 운행하지 않았다.[6] 80번100-1번이 정차하는 식물원입구 정류장(06-002)에서 정차하였고 잠시 정차했다가 금정영업소에서 차를 돌린 후 다시 산성으로 향하는 방식이었다.[7] 32명까지 탑승이 가능하나 당시 주말이여서 밀려드는 행락객들을 모두 태울려는 욕심에 무려 69명을 탑승시켰다.[8] 업체 재량으로 달 수도 있으나 LED 행선판도 꽤 비싼 물건이라 203번에는 달지 않고 있다. 내부에도 달지 않았다.[9] 기존에는 금성동 주민들에게만 일반시내버스 요금을 받았다. 운행사원이 단말기를 조작하여 요금을 내려받는 방식인데 주민들 수가 적어 다 아는 사람들이니 주민인 척 하지 말자. 이는 부산 ~ 거제 노선인 2000번도 마찬가지로 시내구간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지역 주민들이라는 특성상 다 아는 사람들이다.[10] 1-1번 마을버스는 식물원(장전중학교)까지만 운행하며 배차간격이 매우 길다. 그마저도 온천장역 방향으로 가지 않는다.[11] 심지어 이 짧막한 거리를 요금이 비싸다며 온천장역까지 걸어서 가는 승객들도 여럿 보였다. 온천장역까지 가는 길은 내리막길이라 걸어가는데 그렇게 힘들지 않기 때문이다.문제는 반대로 돌아오는 길이다[12] 회차지였던 산성교 바로 옆에 차고지와 영업소가 있다. 완공되기 전까지 임시로 사용했던 차고지는 컨테이너 박스만 달랑 하나 있어 매우 초라했으나 완공된 이후에는 영업소로서 구색은 갖춰졌다. 그런데 1대 단위로 영업소에 있지 않고 산성로 중턱에 주차되어 있을 때도 있다.[13] 실질적으로는 2019년도 3월에 변경됐었다.[14]한화오션[15] 이 LED는 부산시내버스의 LED와는 관계 없는 옥포조선소 구내 셔틀버스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16] 유로 5까지 적용된 하늘색 도색과 유로 6 이후로 적용된 파란색 도색으로 나뉜다.[17] 대우조선해양 도색이라고 서술하는 이유는 현재 한화오션 셔틀버스는 인수 직후 전 차량 주황색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18] 부산 타 좌석버스 노선보다 요금이 높았던 시절 일각에서는 부산시내 구간 내 운임이 가장 높은 노선이었음에도 딱딱한 입석형 의자가 있다는 것을 지적하기도 하였다. 다만 뒤쪽의 2인용 입석시트는 등받이도 높고 착석감이 오히려 더 푹신하다는 평이 많다. 물론, 타 노선보다 운임이 높았던 시절에도 금성동 주민이나 온천동-장전동 이내 구간만 이용하는 경우에는 일반버스 운임을 받았단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19] 그 밖에 한정면허 버스로는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과 부산역을 잇는 하버트란스 노선이 있다. 과거엔 태영공항리무진 소속 공항리무진 1번, 2번 노선도 있었으나, 2024년 7월 13일에 2029번으로 통합되었다.[20] 대표적으로 부산대후문 정류장에 하차하는 제2사범관, 음대, 미대 건물 이용하는 부산대학교 학생들이 있다.[21] 어차피 온천장역에서 금성동 거주민들이나 광명사 이남 지역 승객들이 승차하면 기사가 알아서 단말기를 조작한다.[22] 마을버스는 준공영제 이전 시내버스에서 쓰던 양식을 그대로 사용 중인 상황이라, 203번은 과거로 회귀한 셈이다.[23] 그래도 이 노선은 금정산성으로 올라가는 초입 부분에 위치한 부산대후문 정류장을 단독으로 경유하고 있으며 300번의 경우 노선 경로상 부산대는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부산대후문으로 빠르게 갈 수 있는 이 노선만의 메리트가 있다. 음대와 미대, 그리고 약대 소속 학생이 그 대상이다.[24] 남문쪽의 경우 111-1번을 타고 부산대정문에 내려서 금정7번 마을버스로 환승하여 후문 쪽으로 가는 거보다 이 노선을 이용하여 바로 가는 편이 더욱 빠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