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e5007f> | }}} |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5007F; font-size: 13px;"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도시 고속 | | | | |
| | | | ||
급행 (공항) | 2029[A][C][E] | ||||
급행 (직행좌석) | 2000[C][D] | ||||
급행 (일반좌석) | 1000 | 1001 | 1002 | 1003 | |
1004[A] | 1005[B][C] | 1006[A][C] | 1008[A] | ||
1009[B] | 1009-1[A] | 1011[A][C] | 1012[B] | ||
좌석 | 58-1[A] | 203[A] | |||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입석금지 [D] 준공영제 제외 및 환승할인 불가 [E] 임시노선 |
1. 노선 정보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12번 | |||||
| |||||
기점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금곡주차장) | 종점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김해국제공항) | ||
종점 행 | 첫차 | 05:00 | 기점 행 | 첫차 | 05:55 |
막차 | 22:00 | 막차 | 22:53 | ||
배차간격 | 60~80분 (1일 16회) | ||||
운수사명 | 삼진여객 | 인가대수 | 2대 | ||
노선 | 금곡주차장 - 동원역 - 금곡동행정복지센터 - 율리역 - 벽산아파트 - 북구보건소.인도네시아센터 - 화신중학교(화명역) - (→ 화명롯데마트(화명역) →) - 대동화명대교 - 대저수문 - 당리마을입구 - 강서고.부산혜원학교 - 강서구청역 - 강서체육공원 - 등구마을 - 강서브라이트센터 - 덕두역 → 김해국제공항(2층) → 김해국제공항(1층) → 덕두역 → 이후 역순 |
2. 개요
삼진여객에서 운행하는 부산광역시의 급행시내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6.2km이다.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023년 7월 29일 개통되었다. #
- 2025년 부산 시내버스 전면개편으로 폐선될 예정이다. 차량은 126번 증차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1] 대체 버스는 대동수문과 당리마을은 김해 버스 70번과 김해 버스 73번이며, 공항쪽은 부산 109번이다.
4. 특징
- 환승대기시간이 90분으로 적용된다.
- 강서공영차고지 조성에 따른 차고지 이전 업체 운행 노선 조정 필요성에 따라 신설된 노선이다.
- 노선 신설 사유는 강서구 대저동 지역 ↔ 북구 화명동 화명역 환승객의 대중교통 편의증진을 위해서이다. 사실상 1009번의 금곡~공항 구간을 대체하는 노선으로 봐도 무방하다. 다만 대동면 주민들이 생활 및 자녀 교육[2] 등을 이유로 화명동으로 가는 노선을 내심 원했다는 이야기도 있었으나, 대동면 끄트머리만 지나가게 되어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평이 많다.[3]
- 1009번 삼진여객 철수분 2대를 활용하여 운행되고 있다.
- 기존 1009번과 동일하게 금곡주공을 거치지 않고 금곡주차장에서 금곡대로로 직통한다. 다만 차이점은 1012번은 동원역에 정차하고, 금곡동행정복지센터에 양방향 정차한다는 것이다.[4]
- 김해시를 지나가지만 정작 김해에 서는 정류장은 단 1개도 없다.[6]
- 기존 1009번 버스는 구포대교를 건너서 김해국제공항으로 갔지만 1012번 버스는 대동화명대교를 건너간다. 이렇게 최초로 대동화명대교를 정식 운행하면서 거쳐가는 버스의 타이틀을 가지게 되었다.[7]
- 하루 16회밖에 운행하지 않아 굳이 급행버스를 넣어야 하냐는 여론이 존재하나 화명대교는 자동차전용도로라 입석이 불가능하기에 어쩔 수 없다.[8]
- 한동안 BIMS에는 김해국제공항 1층만 경유한 다음 바로 금곡동 방향으로 가는 것으로 되어있었으나, 실제로는 307번과 동일하게 김해국제공항 2층을 지난 다음 쉬고, 다시 김해국제공항 1층을 경유해서 금곡동 방향으로 간다. 현재는 이것이 반영되었다.
- 307번과 달리 대저안동네는 미경유하고, 신덕삼거리 및 화물청사 정류소에는 정차하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나머지 구간 내 정류소는 모두 정차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 좌석 예비차가 없기 때문에 차량이 고장날 경우 시내버스에서 쓰이는 입석 예비차가 들어온다.[9]
- 부산광역시의 모든 급행버스 노선들 중에서 1009번과 함께 인가대수가 2대로 가장 적다. 기존에 1009번을 공동배차했던 삼진여객에서 철수한 차량으로만 운행하기 때문이다.
4.1. 비판
2023년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개편 논란 | |||||
17(구) | - | - | 1009 | 1009-1 | 1012 |
- 급행노선 치고는 왕복 운행거리가 36.2km로 제법 짧다. 그럼에도 운행시간을 과도하게 길게 잡아놓아 저속주행을 한다. 금곡주차장에서 김해국제공항까지 40분 정도 걸린다.[10]
- 일단은 존재감이 너무 없다. 1009번과 마찬가지로 수요 또한 심각하게 저조한데, 2023년 8월 중순 기준 하루 이용객이 50~80명대로 드러났다. 기존 최하위 포지션이었던 1005번도 첫 해에 250명 정도를 태웠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심각한 상황이다.
- 노선을 보면 수요가 나올 만한 부분이 많지 않다. 1기 1009번처럼 차고지 출발 후 바로 대로로 나오는데다 정차하는 정류장도 적어 금곡동 주민들은 집의 위치에 따라 버스 정류장까지 꽤 걸어야 할 수 있다.[11] 화명동에 위치한 정류장은 모든 정류장에 정차해 접근성 문제는 없지만 배차가 너무 길고, 대저1동에 있는 정류장은 타는 사람이 거의 없으며, 김해공항 역시 공항에서 근무하는 직원이나 국내선/국제선 여객기를 이용할 것이 아닌 이상 1년에 한번도 안 가는 사람이 많아 수요가 적다.[12]
- 상술된 문제점들 때문에 현재는 1009번과 함께 2012년의 180번을 뛰어넘는 욕받이 노선으로 전락했다.[15] 이 노선이 대동면 쪽으로 깊숙하게 들어가거나 69번 지방도 혹은 중앙고속도로 혹은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16]를 타고 상동면으로 올라가지 않아서 주민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기껏해야 대저수문 정류장이 대동면과 가까운 곳에 있는 것 정도이다. 대동면 내에서 끊거나 상동면으로 올라갔으면 적어도 서부산판 187번의 포지션으로서 복지 노선으로 나름 성공할 수도 있었던 부분이었다.
4.2. 시간표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12번 시간표 | |||||
금곡주차장출발 | 김해국제공항출발 | ||||
05:00 | 05:50 | ||||
06:00 | 06:50 | ||||
07:10 | 08:00 | ||||
08:20 | 09:10 | ||||
09:30 | 10:30 | ||||
10:40 | 11:40 | ||||
11:50 | 12:40 | ||||
13:00 | 13:50 | ||||
14:10 | 15:00 | ||||
15:20 | 16:10 | ||||
16:20 | 17:20 | ||||
17:40 | 18:40 | ||||
19:00 | 19:50 | ||||
20:00 | 20:50 | ||||
21:00 | |||||
22:00 |
5. 연계 철도역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동원역, 율리역, 화명역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강서구청역
- 부산김해경전철: 등구역, 덕두역, 공항역
6. 둘러보기
김해국제공항 경유 시내버스 |
인천 · 김포 · 제주 · 김해 · 대구 · 청주 · 무안 ·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 군산 · 원주 |
[1] 126번에 차량 2대를 증차하되, 양달로와 산성로의 도로폭과 교차로의 회전반경이 좁기 때문에 1012번에서 사용하던 현대 유니버스 2대는 삼진여객의 타 노선에 투입되고, 126번에는 삼진여객의 타 노선의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대가 투입될 가능성도 있다. 삼진여객에서는 2024년 11월말부터 126번의 노후 차량을 현대 일렉시티로 대차 후, 양달로와 산성로 주행 문제 때문에 일렉시티를 타 노선에 투입하고, 타 노선에서 사용하던 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126번에 투입하고 있다.[2] 대동면에 고등학교가 없어서 김해대동중학교 졸업 후 부산 학군에 편입되어 부산 관내 고등학교로 진학이 가능하다. 과거에는 무조건 부산강서고등학교로 진학했으나 대동화명대교 개통 이후에는 학구열이 상대적으로 높은 화명고등학교로 자녀들을 진학시키고 싶어한다. 다만 이 노선이 개통되기 전까지는 지나가는 버스가 없어서 마을에서 화명고에 진학한 자녀가 있을 경우 부모님이 태워주기도 했으며, 시골 마을 특성상 이웃 간의 협조가 쉬운 점을 이용, 마을에서 차량을 마련하여 화명고까지 태워주는 경우가 많았다.[3] 실제로 대동면에 정차하는 정류장이 없어 대저수문까지 걸어가서 이용해야 한다. 그래서인지 지금도 화명고등학교에 다니는 대동면민들은 부모가 태워주거나 마을 차원에서 도와주고 있다.[4] 1009번은 금곡동 방향만 금곡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에 정차했다.[5] 다른 노선들은 금곡주공1단지(15번, 111번)나 금곡역(59번, 111-1번, 126번)에서부터 승객을 취급하며 분실물 수령 등 차고지를 방문해야 하는 사정이 있다면 승무원한테 문의하면 차고지 정류장에서 승하차가 가능하다.[6] 대저수문 정류장이 김해시계와 매우 가깝기는 하다.[7] 126번과 555번이 건너간 적은 있지만 정식 운행이 아닌 공차회송으로 건넜다.[8] 옆동네에도 단거리 노선임에도 자동차전용도로라는 이유로 좌석버스가 들어간 노선이 있다. 남양주 버스 1660, 남양주 버스 1670도 왕복 40km 이내의 단거리 노선이지만 자동차전용도로 경유로 인해 2000년대 초반부터 좌석버스로만 다녔다.[9] 이 경우 요금은 입석 요금으로 받고 1009번 예비차를 109번 노선으로 만들어 운행하는 것처럼 편법으로 112번이라는 노선을 만들어 운행한다. 이렇게 되면 전산상 별개의 노선으로 취급되어 112번 하차 후 90분 이내에 정규 차량에 승차하면 환승 할인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전용도로인 대동화명대교는 어떻게 지나가는지 의문인데 승객이 워낙 없어서 큰 문제는 없는 듯하다.[10] 정상적인 속도로 주행하면 30분 정도면 간다.[11] 그나마 1기 1009번보다는 정차하는 정류장이 많은데, 1기 1009번과는 달리 동원역에 정차하고, 금곡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을 양방향 정차한다.(1기 1009번은 금곡동 방향만 정차했다.)[12] 롯데몰이 입점한 서울 김포국제공항에는 공항을 이용하는 것이 아닌 롯데몰 김포공항으로 쇼핑하러 오는 수요도 제법 많으며 김포공항역 자체 환승 수요도 압도적으로 많지만 부산 김해공항은 공항 주변은 허허벌판이라 공항을 이용하지 않는 한 갈 이유가 없다.[13] 매일 아침 5~10명 정도의 청소년이 화명동에서 탑승한다.[14] 시골마을 특성상 이웃들끼리 도와주는 게 쉬워서 굳이 1012번 타고 통학하려 하지 않는다.[15] 실제 일평균 승객수를 따져도 180번보다 훨씬 못한 노선이다.[16] 대동TG 인근에 진출입로가 있다. 고속도로를 타고 상동면으로 가더라도 대동면 중심지 일대를 훓은 뒤 괴정마을까지는 정차할 수 있었다. 상동면 쪽의 경우 중앙고속도로 상동IC나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광재IC에서 내린 뒤 상동면 쪽으로 가면 되긴 하나, 좀 굴곡이 있더라도 광재IC에서 나와서 상동면 일대를 훓었으면 수요가 더 나왔을 것이다. 광재IC에서 나와서 상동면을 훓은 뒤 상동IC에서 다시 고속도로에 진입하는 루프식 편도 순환 회차도 가능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