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9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 |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심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 | 3 | 5-1 | 6 | 7 | 8 |
9 | 10 | 11 | 15 | 16 | 17 | |
20 | 22 | 23 | 24 | 26 | 27 | |
29 | 30 | 31 | 33 | 33-1 | 36[A] | |
37[A] | 38[A] | 39 | 40 | 41 | 42 | |
43 | 44 | 46 | 49 | 50[A] | 51 | |
52 | 54 | 55[A] | 55-1[C] | 55-2 | 57 | |
58[A] | 58-2 | 59 | 61 | 62 | 63 | |
67 | 68 | 70 | 71 | 73[B] | 77 | |
80 | 81 | 82 | 83 | 83-1[A] | 85 | |
86 | 87 | 88 | 88-1 | 90 | 96 | |
96-1[A] | 99 | |||||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00 | 100-1 | 101 | 103 | 105 | 106 |
107 | 108 | 110 | 110-1 | 111 | 111-1 | |
113 | 115[A] | 115-1 | 121 | 122[B] | 123 | |
124[A] | 126 | 127 | 128-1 | 129-1 | 131 | |
133 | 134 | 138 | 138-1 | 139 | 141 | |
144 | 148 | 148-1 | 155 | 160 | 161 | |
167 | 168 | 169 | 169-1 | 171 | 179 | |
180[A] | 181 | 182[A] | 183[A] | 184[A] | 185[A] | |
186[A] | 187[A] | 188[A] | 189 | 189-1 | 190 | |
200 | 210 | 300[A] | 301[A] | 302[A] | 307[A] | |
338 | 506 | 508 | 520[B] | 583[A] | ||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1. 노선 정보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21번 | |||||
| |||||
기점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금곡주공1단지) | 종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부산대학교정문) | ||
종점 행 | 첫차 | 05:00 | 기점 행 | 첫차 | 05:55 |
막차 | 22:15 | 막차 | 23:15 | ||
평일배차 | 출퇴근 25분 / 평시 28분 | 주말배차 | 28분 | ||
운수사명 | 삼진여객 | 인가대수 | 6대 | ||
노선 | 금곡주공1단지 - 금곡중학교 - 금곡주공9단지 - 율리역 - 와석 - 수정역 - 덕천역 - 남산정역 - 만덕그린코아 - 만덕2동행정복지센터 - 만덕역 - 제2만덕터널 - 미남교차로.미남역 - 동래역 → 롯데백화점동래점.명륜역 → 전자공고 → 동래3차SK뷰 → 온천장 → 온천장역.CGV동래 → 부산대학교정문(11-081) → 장전역 → 장전중앙교회 → 부산대학교정문(11-085) → 식물원입구 → 금강원입구 → 동래3차SK뷰 → 명륜역 → 롯데백화점동래점 → 동래역 → 이후 역순 | ||||
가늘게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40km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3. 역사
- 옛날에도 121번 노선이 존재하였다.
- 1기 노선은 현.121번과 관련 없는 노선으로 구.아진여객[1]에서 운행했으며 반송 - 석대동 - 동상초등학교 - 명장정수사업소 - 동래시장 - 동래 - 교대 - 거제리 - 전포동 - 문전시장 - 신암 - 개금아파트를 운행하는 상당한 장거리 노선이었다. 하지만 129번과의 중복 등의 이유로 1990년에 폐선되고 말았다.
- 2기 노선은 현.121번의 전신으로, 1993년에 대도운수에서 구.120번의 지선격 파생 노선인 온천장 - 만덕2터널 - 덕천주공 - 구포역 - 서부터미널 - 엄궁삼거리 - 엄궁농산물시장 노선으로 신설했다. 현재 운행중인 148-1번이랑 거의 같은 형태였다.
- 1998년 금곡동 - 화명주공 - 덕천교차로 - 신만덕 - 동래역 - 온천장 - 부산대 - 장전역 노선으로 탈바꿈하였다. # 삼진여객 4대, 대도운수 2대, 국제여객 2대로 20분 간격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같은 시기에 120번도 만덕주공아파트에서 사직운동장으로 연장되었다.
- 하지만 금곡동으로 기점을 옮기면서 대도운수는 차고지 주박 문제로, 국제여객은 적자를 이유로 이 노선에서 모두 철수하였다. 이후 한동안 삼진여객에서만 4대가 40분 간격으로 운행을 했으나 덕천동, 만덕에서 도시철도를 타고 가는 것보다 이 버스를 타고 동래, 부산대로 가는게 더 빠르다는 인식이 확산되어 급기야 시간에 맞춰 121번 버스를 기다리는 상황이 발생되었다. 2003년도에 자사노선 구.132번이 여러 가지 악재가 들이닥치면서 폐선되고 해당 잉여차량들이 모두 이 노선으로 넘어오면서 배차간격이 15분까지 줄어들어 탄력적인 운행이 가능해졌고 그에 따라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 2004년 삼진여객 계열사인 성보버스[2]가 이 노선에 공동배차로 참여하였으나, 2006년초에 성보버스가 삼진여객에 흡수합병되면서 다시 삼진여객 단독배차로 변경되었다.
- 2005년 미남교차로로 가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이 개통되며 부산시의 도시철도 이용 장려 정책으로 이 노선은 철저히 희생양이 되었고 결국 준공영제 대개편 때 인가대수를 8대에서 6대로 2대 감차시켜 25분 간격이 되었다. 준공영제 대개편과 동시에 성원여객이 이 노선 공동배차에 참여하였지만 기존 삼진여객 8대 중에서 2대는 111-2번(현.111번) 증차분으로 넘어가고 또다른 2대는 예비차로 내려가 총 인가대수는 6대(삼진여객 4대, 성원여객 2대)로 감차된 것이다. 성원여객 121번 모습
- 2010년 12월 14일 성원여객이 신설노선 126-1번(현.1009번) 공동배차에 참여함에 따라 이 노선에서 철수하였고, 이 노선도 다시 삼진여객 단독배차로 변경되었다. 111번 초저상버스 2대를 감차해 이 노선에 투입하여 2대의 공백을 채웠다.
4. 특징
- 배차간격이 20분을 넘는데, 환승대기시간은 60분이 아니다.[3]
- 15분 배차간격으로 다닐 때만 해도 금곡동이나 화명동 등지에서 동래구로 갈 때 북구 지역 거주 부산대 학생들에게는 한 줄기의 빛과 같았던 알짜배기 노선이었다. 전체적으로 수요가 상당히 많았으나 2007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때 중복 노선인 구.130-1번의 형간전환과 부산시의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의 개통에 따른 이용장려 정책으로 이 노선에 대량감차가 이루어지고 나서부터 몰락했다. 실제로 답 없는 배차간격 때문에 대다수의 수요가 111번으로 이탈했으며, 일부는 만덕대로의 교통체증으로 인해 금정1번 마을버스를 이용한 뒤 금성동에서 203번으로 환승해서 금정산을 타고 넘어가는 쪽으로 이탈하기도 했다. 2019년도 이후에는 110번, 111-1번에게 장거리 수요를 상당수 빼앗긴 상황이다.
- 한편 금곡동 - 화신아파트(만덕2터널입구) 구간은 111번과 똑같이 달리고 심지어 148-1번과도 덕천역 - 부산대정문 구간은 덕천동. 온천동 지역의 일부 구간만 제외하면 노선이 거의 겹친다.[4] 이처럼 다른 버스와 서로 겹치는 운행 구간이 많지만, 덕천역 - 부산대정문 간 노선이 비슷한 148-1번은 평일 기준 14~18분 간격 배차라서[5] 그 사이에 시민들이 이용한다. 덕천역 - 부산대정문 구간에서 서로 서브해가면서 운행한다고 보면 된다.[6]
- 구서동 이북으로 갈 사람들은 이 버스를 이용하기보다는 양산 23번을 이용한 뒤 다방교에서 양산 12번, 양산 12-1번으로 환승하는 것이 더 빠르다. 부산대 쪽으로 갈 때도 극동아파트(남양산IC)에서 양산 1200번으로 환승해서 갈 수도 있지만 요금이 비싼데다 양산 직행좌석 배차간격도 긴 편에 속하여 차라리 121번을 타는게 더 좋기도 하다. 아니면 300번을 타고 가거나[7] 111-1번을 타고 장전초등학교에서 29번, 49번, 51번, 80번, 131번, 300번, 301번, 양산 16번, 양산 16-1번[8]으로 환승하면 더욱 빠르게 갈 수 있다.
-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이 개통되어 도시철도 노선들과 상당히 많이 중복이 되나[9] 일일이 갈아타야 되기 때문에 도시철도 환승을 하기 싫은 사람들이 꾸준히 이용하고 있다.
- 운송수입금이 승객 수에 비해 상당히 높은 노선이다. 이는 도시철도의 환승저항이 한 몫 하기 때문이며 1일 대당 운송수입금은 약 48~49만원 정도 한다. 그러나 1일 평균 총 승객 수는 3,000명으로 굉장히 저조하다.[10] 거기다 2018년 6~7월에 대당 수입금이 44만원으로 줄어들었다가 11월에는 대당 41만원을 기록하였다.
- 증차 요구가 지금도 가끔 나오고 있으나 도시철도와 중복되는 선형으로 인하여 증차 소식은 들려오지 않고 있다.[11] 그리고 산성터널이 개통되고 이를 통과하는 300번과 111-1번이 개통된 현 시점에서는 이 노선의 증차요구가 싹 사라진 수준이다.
- 여담으로 주말.공휴일에는 감차를 하지 않지만 명절에는 감차운행을 한다. 그때는 무려 3대로만 운행을 하게 되다보니 배차간격이 2배 이상 벌어진다.[12]
- 상술했지만 노선은 배차간격이 25분이나 되는데도 환승 대기시간 1시간 적용 노선이 아니다. 부산 도시철도의 영향도 있겠지만 덕천이나 동래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하면 부산대로 갈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13] 따라서 덕천역이나 신만덕 일대에서 이 노선을 눈앞에서 놓쳐버리면 기다리지 말고 110번 혹은 148-1번[14]을 타면 된다.
- 여러모로 미래가 어두운 노선인데 300번이 개통하여 수요가 감소한 면이 적잖은데 산성터널을 통과해 북구와 금정구를 빠르게 이어주는 특성상 만덕터널로 빙 둘러가는 121번은 이동 소요시간 면에서 확실히 밀린다.[15] 2018년 11월에는 결국 일일 평균 승객 수가 대당 2,644명으로 예전보다 더 줄어들었다. 2019년 1월 26일에 111번 노선의 국제여객 소속 차량이 전면 철수하고 111-1번이 개통하여 수요가 상당수 이탈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111-1번의 경우 금곡동과 화명동 북측[16]에서 산성터널을 통과하여 부산대학교와 온천장, 롯데백화점동래점(명륜역), 동래역 지역을 최단거리로 이어주는 노선이다. 그리고 2019년 4월 기준으로 금곡동 수요는 111-1번에게, 덕천역~신만덕~부산대 수요는 110번에게 대다수 빼앗긴 상황이며 110번과 111-1번 수요는 현재도 늘고 있다. 현재는 화명동 남측 수요로 근근히 버티고 있는 실정이다. 커뮤니티에서는 잉여노선으로 취급받는 실정이며 이 노선의 존폐위기까지 거론되고 있다.[17] 결국 도시철도 중심 버스노선 전면개편 용역에서 이 노선의 폐선안이 올라왔다.[18]
- 그러나 금곡동 ~ 덕천역 구간을 운행하는 111번이 대량감차를 당한 여파로 전체적으로 감차 없이 운행되고 있다. 2019년 3월 기준으로 1일 승객 수는 2,627명이고 대당 운송수입금은 여전히 40만원대를 유지 중이었다.
4.1. 기타 사건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018년 11월 9일에 덕천동 숙등역 버스 정류장 앞에서 버스기사가 뇌경색으로 의식을 잃으면서 앞에 있던 화물차를 들이받은 사고가 일어났다. # 다행히 서행 중 일어난 사고라서 타고 있던 승객 6명은 별다른 부상을 입지 않았고 화물차 기사가 상처를 입은 것에 그쳤다.
4.2. 연간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9년 | 2652.57 |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2046.57 | ▽ 606 |
2022년 | 2144.71 | △ 98.14 |
4.3. 노선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21번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금정로 | |
▼ | ▲ 금정초등학교 | |
수림로 | 온천장로 | |
장전동어린이놀이터 ▼ | ▲ 온천장 | |
금강로 | 차밭골로 | |
구 온천시장 ▼ | ▲ 구 온천시장 | |
차밭골로 | 금강로 | |
명륜동역 ▼ | ▲ 전자공고 | |
온천장로 | 동래로 | |
롯데백화점동래점 ▼ | ▲ 롯데백화점동래점(명륜역) | |
중앙대로 | ||
동래럭키아파트 ▼ | ▲ 동래역 | |
충렬대로 | ||
▼ | ▲ 화신아파트 | |
만덕대로 | ||
만덕삼성아파트(만덕역) ▼ | ▲ 만덕역.만덕교차로 | |
만덕2로 | ||
동문굿모닝힐아파트 ▼ | ▲ 만덕2동주민센터 | |
덕천로 | ||
이노비즈센터 ▼ | ▲ 만덕그린코아 | |
만덕3로 | ||
남산정역 ▼ | ▲ 이노비즈센터 | |
만덕대로 | ||
덕천교차로 ▼ | ▲ 덕천역 | |
금곡대로 | ||
금곡주공5단지 ▼ | ▲ 율리역 | |
금곡대로470번길 | ||
금곡주공4단지후문 ▼ | ▲ 금곡주공5단지 | |
효열로 |
5. 연계 철도역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동래역, 명륜역, 온천장역,[장전역] 부산대역, 장전역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금곡역, 율리역, 화명역, 수정역, 덕천역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덕천역, 숙등역, 남산정역, 만덕역, 미남역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미남역, 동래역
6. 둘러보기
부산대학교 부산캠퍼스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부산대학교 부산캠퍼스 교내 진입 | ||||
금정7 | |||||
부산대정문, 부산대후문 정류소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 1002 (심야) | 1008 | |||
29 | 49 | 51 | 77 | ||
80 | 100 | 100-1 | 110 | ||
110-1 | 111-1 | 121 | 131 | ||
144 | 148-1 | 183 | 301 | ||
양산시 시내버스 | 16[Y] | ||||
양로원(산성방면), 광명사(온천장역방면) 정류소 | |||||
203 | |||||
부산대역(부곡2동)정류소 (양산시 시내버스 정차) | |||||
1100 | 1200 | 1300[Y] | 1500[Y] | 12 | |
부산대역 정류소 | |||||
금정5-1 | |||||
[Y]: 양산캠퍼스(양산부산대병원) 경유 노선 | }}}}}}}}} |
[1] 1985년에 대진버스에서 인수[2] 태영버스 화명동/구룡사 노선들(59-1번, 126번, 구.159번)이 삼진여객에 인수되어 성보버스로 사명이 변경되었다.[3] 88번, 139번, 148-1번, 강서9-1번 등도 똑같은 케이스다. 한때 83-1번, 124번, 300번, 301번, 307번, 1006번도 있었으나, 현재는 환승대기시간이 60분으로 변경되었다.[4] 단 121번은 숙등역 - 남산정역 - 이노비즈센터를 경유하기 때문에 148-1번과는 신만덕 구간이 서로 다르다.[5] 같은 형태의 노선이었던 130번은 2015년 11월 28일에 폐선되었다.[6] 인가대수는 148-1번이 2배가량 더 많지만 노선이 너무 길어 배차간격도 길다.[7] 구포시장에서 회차하기에 금곡동에서 출발한다면 111-1번을 타고 장전초등학교에서 환승하는 편이 낫다.[8] 양산 16(-1)번은 요금이 약간 더 비싸니 참고.[9] 4호선이 개통되면서 부산 도시철도 모든 노선과 환승이 가능한 시내버스 노선 중에서 하나가 되었다. 다만 부산 도시철도 5호선이 개통하면 이 기록은 깨질 예정이다.[10] 1일 평균 총 승객수가 비슷한 노선으로는 115번이 있다. 비슷하게 승객수 대비 운송수입금이 높은 노선으로는 1009번이 있는데 1,000명 정도밖에 안타는 이 노선의 운송수입금은 20만원 중반대를 기록하고 있다. 반면 1011번은 이보다 3배나 많은 3,000명 정도 타는데도 환승수요가 주를 이루어서 수입금은 1009번과 큰 차이가 없다. 반면에 1일 총 승객 수가 이 노선보다 약 4~5배가 더 많으면서도 대당 운송수입금이 적은 노선들도 존재한다.[11] 정확히는 삼진여객이 다른 노선에서 빼올 차량이 없다보니 증차시키지 못하고 있다. 59번의 경우 수요가 적으나 노선의 운행거리에 비해 인가대수가 부족하여 한 대라도 빠졌다간 배차간격이 바로 벌어진다.[12] 무려 55분까지 벌어진 적이 있다.[13] 이와 비슷한 노선으로 88번, 139번, 148-1번이 있다. 실제로 이보다 배차간격이 짧은 1008번이 환승대기시간이 1시간이다! 그리고 이 노선과 똑같은 배차간격(25~30분)인 37번, 38번, 115번, 1011번도 환승대기시간이 1시간이다.[14] 다만 이 노선은 덕천3동을 경유한다.[15] 비록 300번이 부산대학교를 경유하지는 않고 300번의 장전역 정류장이 다소 애매한 위치에 있다보니 환승저항이 발생하고 있다. 그럼에도 장전초등학교 정류장까지 걸어가서 29번, 49번, 51번, 80번, 131번, 301번 중 아무 노선으로 환승하거나 또다른 장전역 정류장(11-071)에서 회차하는 다른 노선으로 환승해서 가도 121번을 타고 가는거보다 훨씬 빠른 시간내에 부산대에 도착 할 수 있다.(다만 100번의 경우에는 장거리 노선인 점 때문에 장전동에서 휴식 후 출발한다.) 와석교차로 기준으로 300번을 이용하면 장전초등학교 정류장까지 신호대기를 포함해도 10분~15분밖에 걸리지 않지만 이 노선을 타면 신호대기와 만덕2터널~내성교차로 간 교통체증을 포함하면 40~50분 이상 걸린다.[16] 단, 화명1동 남측-덕천교차로 구간은 이 노선이 유일하게 부산대, 동래를 잇는다.[17] 일각에서는 폐선이 이루어지면 남는 차량 6대를 111번에 모조리 투입시키자는 제안도 나오고 있고 많은 지지를 얻고 있다. 111번이 111-1번 신설로 인해 배차간격이 2배 이상 늘어났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2019년 하반기에 간선, 지선 체계가 마련될 예정인데 이때 도시철도와 중복되는 노선은 정리될 예정이라 도시철도와 90%가 겹치는 이 노선은 더더욱 위험한 상황. 2019년도 지나가고 2020년인 현재는 간선,지선체계를 안하고 있다.[18] 다만 심의에는 상정되지 않은 것인지 2021년 노선 개편 시안에는 올라오지 않았다.[장전역] 방향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