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1 16:13:16

삼락IC

삼락 / 김해공항 나들목
三樂 / 金海空港 나들목
Samnak / Gimhae Airport Interchange
부두사거리 방면모라교차로
← -.- km
파일:Cityroad_kor_33m.svg 파일:Expressway_kor_55.svg
주소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삼락IC)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김해공항IC)
관리기관
중앙선 한국도로공사 부산경남본부 양산지사
관문대로 부산시설공단
개통
중앙선 1999년 7월 1일
관문대로 2001년 12월 10일
접속도로
파일:Cityroad_kor_66m.svg(강변대로) · 파일:Cityroad_kor_33m.svg(관문대로) · 공항로

1. 개요2. 구조
2.1. 춘천 방향2.2. 부산 방향
3. 역사4. 특징5. 둘러보기

1. 개요

중앙고속도로 1번.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과 강서구 대저1동에 걸쳐 있는 중앙고속도로나들목이자 시점. 명칭은 소재지인 삼락동에서 유래했다.

2. 구조

2.1. 춘천 방향

2.2. 부산 방향

3. 역사

4. 특징

  • 중앙고속도로의 기점으로, 중앙고속도로 이정표에는 춘천, 원주, 안동, 대구, 부산 등 5가지 주요도시들이 표시가 되는 데 부산의 기준점과 시점이 바로 이 나들목이다. 이 나들목에서 춘천 방향으로 진행하면 거리기준 표지판이 대구로 표시 된다.
  • 삼락IC에서 빠지면 사상이나 구포 등으로 갈 수 있으며, 계속 직진하면 백양터널 지나 서면으로 가게 되므로 교통량이 많다.
  • 강서낙동강교에 설치된 나들목으로 낙동강을 기준으로 남단의 구조물과 북단의 구조물로 구분되며 전자가 일반적으로 삼락 나들목이라 알려져 있다.
  • 나들목에서 직진으로 진출하면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모라역으로 나온다.
  • 낙동강 남단의 구조물은 강변대로와 접속 및 관문대로와 직결되어 부산 도심으로의 진입을 수월하게 하고 있다.
  • 낙동강 북단의 구조물은 김해공항 나들목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공항로를 통해 김해국제공항으로 진출이 가능하다. 한국도로공사 홈페이지와 포털 지도 등에서 이 표현을 사용하나 공식 명칭은 아니며 설치된 표지판과 구간거리표 등에서 삼락 나들목의 일부로 취급된다. 교통방송에서도 혼란 방지를 위해 김해공항 나들목으로 사용한다.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로 가는 모든 경부선[3], 7번 국도 버스[4]들은 동단에서 강변대로로 진출하여 터미널로 진입한다. 단, 서울남부행과 같이 남해선 연선에 경유지가 있는 경우 이 나들목이 아닌 사상IC를 이용한다.
  • 부산의 도로가 다 그렇듯 여기도 출퇴근시간대만 되면 빠짐없이 막힌다.
  • 낙동강 북단 구조물 김해공항IC의 경우 동대구, 경주-포항, 구미-대전(복합)중앙고속도로로 가는 경우 해당 나들목을 이용한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파일:Expressway_kor_55.svg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삼락IC - 대저JC(파일:Expressway_kor_10.svg) - 초정IC - 대동IC/대동TG - 대감JC(파일:Expressway_kor_600.svg) - 대동JC(파일:Expressway_kor_551.svg) - 상동IC - 삼랑진IC - 남밀양IC - 밀양IC - 밀양JC(파일:Expressway_kor_14.svg) -
청도새마을SA - 청도IC - 수성IC - 동대구IC - 동대구JC(파일:Expressway_kor_1.svg·파일:Expressway_kor_700.svg)1 - 도동JC(파일:Expressway_kor_20.svg)1 - 북대구IC1 - 금호JC(파일:Expressway_kor_1.svg·파일:Expressway_kor_451.svg)1 - 칠곡IC - 동명동호IC(파일:Expressway_kor_700.svg) -
동명SA - 다부IC - 가산IC - 군위JC(파일:Expressway_kor_301.svg) - 군위IC - 군위SA - 의성IC - 안동JC(파일:Expressway_kor_30.svg) - 남안동IC - 안동SA - 서안동IC - 예천IC - 영주IC - 영주SA -
풍기IC - 단양IC - 단양팔경SA - 북단양IC - 남제천IC - 제천JC(파일:Expressway_kor_40.svg) - 제천SA - 제천IC - 신림IC - 치악SA - 남원주IC - 만종JC(파일:Expressway_kor_50.svg) -
신평JC(파일:Expressway_kor_52.svg) - 북원주IC - 원주SA - 횡성IC - 홍천IC - 홍천강SA - 춘천JC(파일:Expressway_kor_60.svg) - 춘천SA - 춘천TG - 춘천IC
1: 경부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


[1] 낙동강교 2.6km 6일부터 임시개방, 1999-04-03, 연합뉴스[2] 부산 강서 낙동강교 개통, 1999-06-30, 연합뉴스[3] 서울경부, 인천 등[4] 경주-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