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전역 (사상구청·한국건강관리협회) | ||
장산 방면 주 례 ← 1.2 ㎞ | 2호선 (226) | 양산 방면 사 상 1.1 ㎞ → |
역명 표기 | ||
2호선 | 감전 Gamjeon 甘田 / [ruby(甘田, ruby=カムジョン)] | |
주소 | ||
부산광역시 사상구 사상로 지하93-1 (감전동) | ||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 ||
냉정관리역 소속 / 제2운영사업소 | ||
운영 기관 | ||
2호선 | 부산교통공사 | |
개업일 | ||
2호선 | 1999년 6월 30일 | |
역사 구조 | ||
지하 2층(심도: 12.90m)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1] |
[clearfix]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26번. 부산광역시 사상구 사상로 지하93-1 (감전동) 소재.2. 역 정보
감전역 3번 출구[2] |
대합실 |
스크린도어 설치 전 승강장 및 구 역명판 |
건축상의 특징으로는 바닥이 대리석으로 마감되어 있다는 것과 4번 출입구의 모양이 상당히 독특하다는 것. 언덕으로 올라가는 계단의 반쪽과 옹벽 일부를 파내서 출입구를 만들었기 때문에 출입구가 약간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를 지니고 있다.[4] 이런 이유 때문인지 일각에서는 이를 던전입구라고 부르기도 했다.
이 역의 역명판이 휴메트로식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장산 방면 중간 하나의 역명판의 경우 엘리베이터 설치로 인해 사상 부분이 짧다.
1996년 2월 당시에 촬영된 건설중이던 현장의 영상 자료가 남아있다. 그 당시만 하더라도 4번 출입구 주변에 건물이 존재했음을 알수있다.
3. 역 주변 정보
이 역 근처에 사상구청, 북부산세무서, 부산사상경찰서, 북부교육지원청 wee센터[5]가 있다. 그런데 그 외에 역세권이 미약해서 이용객 수가 매우 적다. 서면역에서부터 거의 이 역까지 만차 상태로 가다가 다음 역에서 대부분이 내려버리는 수준. 다만 근처의 사상 디지털밸리 때문에 출퇴근시간은 다소 북적거리는 편이며 실질적으로 이 인원이 감전역 이용인원의 적지 않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당시 사상구 제19대 국회의원이었던 문재인 전 대통령의 지역구 국회의원 당시 사무실이 이 역 4번출구 앞에 있었으며 후술할 4번 출구의 원경 사진 기준으로 왼쪽으로 고개를 살짝 돌리면 보였다. 현재는 폐쇄됨.
사실 디시인사이드 힛갤에서 한 번 올라간 다음 철도 갤러리, 도시 갤러리 등에서 부산 산동네의 대표격으로 꽤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가 보면 전혀 그렇지 않다. 오히려 김해 평야의 입구 부분으로 지평선 끝까지 뻗은 도로를 볼 수 있다. 문제의 던전입구도 솔직히 말해서 그냥 평지가 살짝 불룩 솟은 정도다. 그것도 사진의 해당 출구만. 뒤편의 주택가도 작은 언덕 정도의 높이로 일반적인 산동네의 정의에는 그다지 부합하지 않는다.
문제의 4번 출구의 원경[6] |
4. 일평균 이용객
감전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81bf48><bgcolor=#81bf48> 연도 || ||<bgcolor=#81bf48>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2년 | 7,589명 | |||
2003년 | 7,644명 | ||||
2004년 | 7,245명 | ||||
2005년 | 7,168명 | ||||
2006년 | 6,771명 | ||||
2007년 | 6,458명 | ||||
2008년 | 6,866명 | ||||
2009년 | 6,637명 | }}}}}}}}} | |||
2010년 | 6,746명 | ||||
2011년 | 7,235명 | ||||
2012년 | 7,089명 | ||||
2013년 | 7,278명 | ||||
2014년 | 7,419명 | ||||
2015년 | 7,552명 | ||||
2016년 | 7,626명 | ||||
2017년 | 7,541명 | ||||
2018년 | 7,409명 | ||||
2019년 | 7,642명 | ||||
2020년 | 5,907명 | ||||
2021년 | 6,107명 | ||||
2022년 | 6,932명 | ||||
2023년 | 7,403명 | ||||
2024년 | 7,538명 | ||||
출처 | |||||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
개통 초기부터 지금까지 큰 변화 없이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는 몇 안 되는 역이다. 2019년의 하루 평균 이용객 7,642명가량으로 15년 사이에 승객 숫자가 거의 변하지 않았다. 2006년~2010년까지 6천 명대 후반으로 떨어진 적이 있기는 하지만, 이 때도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이 아니라 점차적으로 줄어들다가 다시 조금씩 상승한 것이기 때문이다. 완만한 그래프를 그리고 있다.
역세권은 이름 그대로 감전동 대부분이다. 동네 하나를 대부분 커버하기는 하나 감전동주민센터 및 새벽시장과는 거리가 꽤 있고, 역 남쪽으로는 공단이 펼쳐져 주변 인구가 많지 않으며, 이것이 하루 평균 1만 명 미만의 저조한 이용률을 보이는 원인이다.
원도심(중구, 서구) 거주민들이 북구 방면으로 가기 위해 161번을 이용해 감전역까지 와서 도시철도로 환승해서 가는 편이다.[7] 원도심권에서 가장 빠르게 2호선으로 진입하는 방법이 161번을 이용해서 감전역으로 오는 것이라 출퇴근 시간대에는 이용 수요가 많이 발생한다. 허나 161번이 강서공영차고지로 들어가면서 노선이 대폭 연장되어 배차간격이 2배 남짓 늘어나버려 감전역에서 환승하는 수요가 소폭 줄어들었다.
5. 승강장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역명판 |
역 안내도 |
주례 ↑ | |||
하 | ㅣ | ㅣ | 상 |
↓ 사상 |
상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서면·경성대부경대·수영·해운대·장산 방면 |
하 | 사상·덕천·화명·호포·양산 방면 |
곡선 승강장이라 승강장과 열차 사이가 넓다. 발이 빠지지 않도록 조심하라는 안내 방송도 열차와 승강장에서 나온다.
문현역과 개금역 정도는 아니지만, 여기도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단차가 꽤 크다. 단, 여기는 양산 방면 승강장 한정이다. 장산 방면 승강장은 단차가 전혀 크지 않다.
6. 연계버스
6.1. 학감대로 가로변 정류장
6.2. 사상로 가로변 정류장
- 북부산세무서(감전역)(정류장 번호: 15-097) - 1번 출입구
- 부산 버스 31 - 송정행
- 부산 버스 33 - 연제공용차고지행
- 부산 버스 62 - 민락동행
- 부산 버스 138-1 - 용당동행
- 부산 버스 160 - 동성고교행
- 부산 버스 169 - 당감동행
- 부산 버스 186 - 태종대행
- 부산 버스 심야1004 - 충무동행
- 북부산세무서(감전역)(정류장 번호: 15-098) - 2번 출입구
- 부산 버스 31 - 모라주공아파트행
- 부산 버스 33 - 만덕행
- 부산 버스 62 - 신라대학교행
- 부산 버스 138-1 - 신평공단(구평)행
- 부산 버스 160 - 부산과학기술대행
- 부산 버스 169 - 신만덕행
- 부산 버스 186 - 서부터미널행
- 부산 버스 심야1004 - 김해(구산동)행
6.3. 마을버스
7. 둘러보기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장산 - 중동 - 해운대 - 동백 - 벡스코 - 센텀시티 - 민락 - 수영 - 광안 - 금련산 - 남천 - 경성대·부경대 - 대연 - 못골 - 지게골 - 문현 - 전포 - 서면 - 부암 - 가야 - 동의대 - 개금 - 냉정 - 주례 - 감전 - 사상 - 덕포 - 모덕 - 모라 - 구남 - 구명 - 덕천 - 수정 - 화명 - 율리 - 동원 - 금곡 - 호포 - 증산 - 부산대양산캠퍼스 - 남양산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1] 2012년 이전에는 계단을 이용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있었지만, 지금은 엘리베이터 때문에 횡단이 불가능하다.[2] 현재는 폴사인이 교체되었다.[3] 이 부분에 대한 내용은 특이한 지명/대한민국 문서를 참고.[4] 2호선 1단계 건설당시 부산지하철 2호선 215공구였고 시공회사는 삼성물산 건설부문이다. L=980m. 공사기간: 1992년 10월 16일 ~ 1998년 10월 28일.[5] 북부교육지원청은 이 역이 아닌 구남역에 위치해있으니 참고할 것.[6] 이 역시 2021년 이후 4번 출구의 폴사인이 교체된 것이 확인되었다.[7] 사상구 방면의 경우 사상로 연선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해서 가지 도시철도로 가려는 수요는 거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