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6 13:39:40

강철이

깡철이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꽝철이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소녀신선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꽝철이(소녀신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합격시켜주세용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꽝철이(합격시켜주세용)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사신 청룡 <colbgcolor=#b84a63> 주작 백호 <colbgcolor=#616264> 현무
오룡 {{{#!wiki style="margin: -16px -10px" 청룡 <colbgcolor=#b84a63> 적룡 황룡 백룡 흑룡 }}}
사령 응룡 봉황 기린 영귀
사흉 도철 궁기 도올 혼돈
그 외
<colbgcolor=#fff,#000> 용생구자 · 이무기 · 강철이 · 촉룡 · 계룡 · 교룡
인면조 · 짐조 · 비익조 · 삼족오 · 삼두일족응 · · 상양 · 청조 · 선학 · 앵무 · 가릉빈가
수생
삼족섬 · 인어 · 목어 · 비목어 · 저파룡
기타
달두꺼비 · 뇌수 · 해태 · 구미호 · · 불가사리 · 백택 · 천구 · 텐구 · 옥토끼 · 예티 · 신구 · · 신록 · 추인 · 요정 · 시사 · · 코마이누
{{{#!wiki style="margin:-15px -10px;"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1. 개요2. 기록 및 전승3. 유사 사례4. 대중문화 속의 강철이5.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external/www.mohae.kr/ebc0ff136c7ca0aeb73d7e20c4e934f3.jpg

강철이는 한국 신화에 나오는 괴물이다. 강철, 꽝철, 깡처리 등등 발음은 다양하다. 표준국어대사전에 표제어로 실린 것은 '강철이'다.

특정 지역이 아니라 전국에서 전승이 유행한 특이한 요괴다. 맹렬한 열기로 산천초목을 모두 말려버린다고 해서 화(火)속성이라고 흔히 알려져 있는데 우박을 동반한 폭풍을 일으킨다거나 호우로 농사를 망친다는 전승도 함께 있다. 이로 보아 특정 속성에 구애되는 것이 아니라 '농사를 망치는 온갖 재해들' 그 자체가 형상화된 존재라고 보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 "강철이 간 데는 가을도 봄"이라는 속담도 남아 있다. 풍성한 가을의 결실도 강철이가 휩쓸면 아무것도 남지 않는 처럼 된다는 뜻이다.[1]

현대에는 용이 되는데 실패한 이무기가 타락하여 변한 괴물이며, 용이 되지 못한 울분과 화가 쌓여 속에서 천불이 일기 때문에 불을 다룬다는 설이 널리 알려졌다.[2] 현대 창작물에서 주로 묘사되는 모습도 이쪽.

2. 기록 및 전승

어우야담』(17세기)에는 강철이라 직접 언급하지 않았지만 사오십 척의 넓이에 수백 리 되는 크기의 물체가 불길을 일으키며 지나갔다고 한다. 이 물체는 폭우와 천둥번개가 몰아치던 날 나타났다고 하며, 사람에 따라 화가 난 용 또는 악어의 일종이라고 했다.[3]

이수광의 『지봉유설』(1614년)에서 “강철이 가는 곳에는 가을도 봄 같다”는 속담을 소개하며, 그 의미를 알지 못하던 저자 이수광이 시골 노인에게 묻자 “강철이라 하여 식물을 말려죽이는 괴물이 있다”는 답을 얻었다. 이수광은 이것이 중국고전에 나오는 뱀꼬리 달린 소 괴물 비(蜚)와 같은 것이라고 추측했다.

이익이 쓴 『성호사설』(18세기 중반) 《만물문》편에서 강철이는 독룡(毒龍)이라고도 하며 소와 형태가 비슷하고 폭풍, 낙뢰, 우박을 퍼부어 곡식과 가축을 상하게 한다고 한다. 주로 늪과 호수에 살고 있으며 밖으로 나오면 강력한 열기를 내뿜어 수분을 없애고 가뭄이 들게 한다.

김리만의 『학고집』(1742년)에서는 강철이는 독룡 비슷한 것인데 온 몸에 털이 있고 황색 기운을 띠고 있다고 한다. 김리만은 강철이를 중국고전의 효(蟂)와 같은 것으로 추측한다.

신돈복의 『학산한언』(1779년)에서 이의제라는 사람이 강철이를 목격했는데, “소 같기도 하고 말 같기도 하고 용 같기도 한 동물”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목격장소는 계룡산철원인데 철원에서는 우박을 뿌렸다고 한다. 신돈복은 강철이를 중국의 한발(旱魃)[4]과 동일시했다.

박지원의 『열하일기』 《성경잡지》편(1780년)에선 청나라 사람과 필담을 할 때, 중국의 화룡, 응룡, 한발에 관한 이야기를 들은 박지원이 조선에서는 그런 것들을 강철(罡鐵)이라고 부른다고 대답했다. 화룡이 내려 앉은 곳 주변의 호수와 강은 말라버리고 가축들은 뼈까지 모두 불타 녹아버린다고 한다. 위의 속담(강철의 가을)도 인용했는데, 동석한 중국 사람이 '사주를 따져 보면 내가 태어난 해가 그 강철의 가을이니 팔자 펴기는 글렀다'고 농담을 한다.

이덕무의 『양엽기』에서는 『술이기』, 『죽창소품』이란 두 권의 책을 참고하여 강철을 중국 요괴 (犼)[5]와 동일시했다. 이덕무의 말에 따르면 망아지처럼 생겼으며, 김포 속에 살면서 가뭄을 일으킨다고 했다. 강철이를 바닷물에 몰아넣으니 열기로 바닷물이 들끓었다고 한다.

『한국민속신앙사전』에 채록된 기록으로, 경남지역에서는 “용이 되는데 실패하여 땅으로 떨어지는 괴물”인 강철이를 쫓아내는 "꽝철이 쫓기"라는 기우제를 벌였다고 한다.

밀양 석골사에는 상좌를 질투한 주지가 도술을 부려 상좌를 강철이로 변하게 했다는 전설이 있다. 청도군 대비사의 승려가 용이 되려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꽝철이가 되어 농사를 망치기에 이 지역에 "꽝철이 쫓기" 행사가 생겼다고 한다.

1957년 양산군에 홍수가 났는데, “소위 용못된 「깡철」이란 괴동물”이 나타나 홍수를 자유자재로 증감시켰다는 괴소문이 돌고 강철이 2마리가 나타나 사람들이 구경했다는 기사가 있다. 강철의 움직임에 따라 수면이 5미터 가량 오르내렸다고 한다(동아일보 기사).

3. 유사 사례

문화원형백과사전에는 백두산 천지의 흑룡에 대한 설화를 소개한다. 백두산의 수원 천지를 불칼을 휘둘러 마르게 하는 흑룡과 백장군의 싸움이 천지천지 신화로 나온다. 둘 다 같은 내용이되 히로인 공주의 활약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4. 대중문화 속의 강철이

과거에는 언급도 별로 없던 요괴였으나 2010년 이후로 여러 작품에 꽤 나오기 시작했다. 그리고 극히 소수이긴 하나 한국산 대역물 중 한국이 식민지가 되지 않고 나름대로 열강 직위를 획득하게 된다는 전개로 가는 경우 강철이 전승의 특징을 살려 한국산 폭격기의 이름으로 채용하기도 한다.
  • 웹툰 귀각시에서 주인공 무리 주위를 맴돌며, 이무기에게 관심이 많은 요괴로 등장한다. 매우 둔하며 멍청하고 다른 귀신이[6] 보기엔 못생긴 설정으로 나온다. 백여우 말로는 원래 뱀은 예뻐야 하는데 이무기인 이묵희와 달리 못생겼다고 한다.[7] 또한 이묵희 말로는 강철이는 원래 난폭한 성격으로 파괴하고 죽이려 든다고 한다. 하지만 이 강철이는 이상하게도 살기가 전혀 없어 그럴 위험이 없다고. 그래서 이묵희랑 산귀신인 기신이 해치지 않고 그냥 둔다.
  • 웹툰 도사랜드 에서 강철이라는 용이 되지 못한 이무기가 등장한다.
  • 이무기를 가축으로서 사육해 파는 가문이 존재하는 세계관을 배경으로 한 웹툰 도롱이에서는 일종의 빌런 혹은 다크 히어로로서[8]등장한다. 아직 인간으로 둔갑한 모습의 얼굴은 밝혀지지 않았다.
  • 웹툰 호랑이형님에서도 등장. 꽝철이라는 이름으로 나오는데 생김새는 입이 크고 둥글고 시커먼 몸통에 긴 꼬리가 달린 올챙이나 메기같은 모습에, 메기같은 수염이 넷, 눈이 네 개이고 짧은 다리도 네 개가 있어서 땅을 빠르게 기어다닌다. 꼬리 끝에 파이리마냥 불이 붙어있는데 설화에서처럼 농작물을 말려 죽이고 용이 되지 못해 언제나 화가 나 있는 모양이다. 최근 버일러 시라무렌의 본모습인 거대 뱀[9]이 공개되면서 혹시 꽝철이도 버일러급의 힘을 가진 짐승이 아닌가 예측하는 독자들도 있다. 초창기에 딱 한 번만 나온 짐승이라 이것 또한 떡밥.
  • 웹툰 신의 언어에서는 패왕 라만의 본체로 등장한다. 그런데 묘사에 언급에 따르면 저렇게 큰 강철이는 본 적이 없다고 한다.
  • 여담으로, 과학도둑에서 불새가 주문을 들으면 이무기는 안 되는데 이름은 강철이가 된다.
  • 웹툰 소녀신선에 남자주인공으로 등장. 설화와 똑같이 용이 되지 못해서 타락한 이무기로 나오며 불을 다룬다.
  • 웹툰 파도의 주인에서는 악역 포지션으로, 독룡으로 등장. 여기서는 이무기가 아니라 용으로 나오나 마찬가지로 불을 다룬다.
  • 웹소설 쥐뿔도 없는 회귀에서 검은비늘을 가지고 강력한 불을 내뿜고 사람들에게 공포를 심어 힘을 키우는 악역으로 등장
  • 웹툰 합격시켜주세용에서는 꽝철이라는 이름으로 이무기로 나온다. 성격이 매우 좋지 못하다. 제 화를 참지 못하고 마을 하나를 해먹었다가[10] 산에 연금되어 있었다. 아직까지는 이무기(뱀)의 모습이 아닌 인간화를 한 모습만 나왔다.
  • 웹툰 먹지마세요에서 강철이라는 요괴로 나온다. 요괴측의 우두머리이며 호쾌하고 위압적으로 카리스마 넘치는 형님 빌런이다.
  • Why? 사랑이야기 편에서 악역으로 나오는데 인간에게 배신당했다는 과거가 있다는 설정이다.

5. 관련 문서



[1] 강철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도 지나는 곳마다 바람과 우박이 몰아쳐 꽃과 과일이 남지 않은 무자비함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2] 생각해보면 빡칠만도 한 게 999년 364일 정도 용쓴 게 어떤 사람이 말 한번 잘못하면 망하는 셈이다.[3] 그러나 악어는 조선에 존재하지도 않았고, 기본적으로 동양의 용은 서양의 드래곤처럼 불과 관련있는 동물이 아니므로 현대에 와서 강철이라고 추측할 뿐이다.[4] 중국 신화의 황제 헌원씨의 딸. 몸에 불덩어리가 들어 있어 사방 천리에 가뭄을 일으킨다. 한발이라는 말 자체가 한자로 가뭄을 의미한다. 말하자면 가뭄이 의인화된 여신.[5] 오래 묵은 강시가 신통력을 얻어 변한, 사자개 비슷하게 생긴 식인괴물. 가뭄을 일으킬 수 있다. 악행을 못 하도록 관음보살 등 불교의 신들이 올라타서 억누른다고 한다.[6] 인간인 김은아가 보기엔 안 못생겼지만 백여우는 못생겼다고 놀린다.[7] 작중 묘사를 보면 이무기 이묵희나 백여우만큼 인간의 눈에 엄청 띌 만큼 예쁜 거와 적당히 예쁜 강철이의 차이를 두고 말하는 듯하다.[8] 진짜로 빌런인지 의문을 표하는 독자들이 꽤 많다. 이 작품에서 잘못을 저지른 건 명백하게 인간들이고, 그 탓에 이무기들이 당하는 수난도 장난이 아니다. 반면 강철이는 동족인 이무기를 보호하는 것을 최우선순위로 삼고 있고, 인간들을 싫어할지언정 관계없는 인간까지 습격하는 모습은 보이지 않고 있다.[9] 정확하겐 시라무렌이 속한 '황수의 일족'의 수장은 오랜 세월을 묵은 이무기인 게 밝혀졌으며, 시라무렌 역시 본 모습이 거대한 뱀의 형상이라 이무기나 그에 버금가는 종으로 보이는 상황이다.[10] 꽝철이 마을에 불지르고 사람들은 도망가는 장면을 보아 을 다룬다는 컨셉을 반영한 듯 하다.